오실로스코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실로스코프는 전압, 시간, 주파수, 위상차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로, 전자 장비의 고장 진단, 회로 설계 검증, 신호 분석, 자동차 정비, 소프트웨어 개발, 교육 및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초기에는 전기 기계식 오실로그래프를 거쳐 음극선관(CRT)을 사용하는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ADC)를 사용하여 디지털화된 디지털 오실로스코프가 주류를 이룬다. 오실로스코프는 전면 패널 컨트롤, 프로브 등을 통해 신호를 처리하며, 트리거, 커서, X-Y 모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공학 공구 - 핀셋
핀셋은 손으로 잡기 힘든 작은 물체를 집는 데 쓰이는 집게 모양의 도구로,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사용되었으며 정밀 작업의 필요에 따라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 첨단 기술을 이용한 특수 핀셋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전자공학 공구 - 땜납
땜납은 금속 접합에 사용되는 합금으로, 주로 주석과 납의 합금이며 용도에 따라 다른 금속을 첨가하여 특성을 조절하고, 역사적으로 기원전 3000년경부터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납의 유해성 문제로 무연 땜납의 개발 및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 전자 테스트 장비 - 전압계
전압계는 전기 회로의 전압을 측정하는 장치로,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측정 범위 확장을 위한 장치가 사용되지만, 디지털 방식은 소프트웨어 오류 및 해킹 위험에 대한 우려가 있다. - 전자 테스트 장비 - 함수 발생기
함수 발생기는 콘덴서의 충전 및 방전 원리를 이용해 사인파, 구형파, 삼각파, 톱니파 등 다양한 파형을 생성하고 전압, 주파수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 전자 회로 테스트, 클럭 신호 생성, 통신 시스템 개발 등에 활용되며 임의 파형 발생 기능도 제공한다. - 실험 기구 - 도가니
도가니는 금속이나 기타 물질을 고온에서 가열, 용융, 정련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로, 기원전 6~5천년경에 등장하여 구리 제련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화학 분석, 금속 제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실험 기구 - 점도계
점도계는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오스트왈트 점도계, 낙하구 점도계, U자관 점도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측정 대상 유체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점도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실로스코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측정 기기 |
용도 | 전기 신호 시각화 |
기술적 세부 사항 | |
디스플레이 | 음극선관(CRT)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
대역폭 | 특정 주파수 범위 내 신호 측정 능력 |
샘플링 속도 | 초당 샘플링 횟수 |
입력 임피던스 | 오실로스코프 입력 단자의 임피던스 |
수직 감도 | 수직축 스케일 조정 |
수평 스케일 | 수평축 스케일 조정 |
트리거 기능 | 파형을 안정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기능 |
입력 채널 수 | 측정 가능한 채널 수 |
오차 | 측정 정확도 |
상승 시간 | 신호가 상승하는 시간 |
역사 | |
초기 형태 | 오실로그래프 |
개발 | 19세기 말 |
현대적 형태 | 20세기 중반 이후 |
작동 방식 | |
작동 원리 | 전압 변화를 시간 함수로 표시 |
활용 분야 | |
산업 | 전자 장비 설계, 테스트, 수리 |
연구 | 실험실 연구, 신호 분석 |
의료 | 생체 신호 측정, 진단 장비 |
교육 | 전기 및 전자 공학 교육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함수 발생기, 스펙트럼 분석기 |
2. 역사
초기 고속 전압 시각화는 1893년 앙드레 블롱델(André Blondel)이 발명한 전기 기계식 오실로그래프를 통해 이루어졌다.[2][3] 이것은 고속 전압 변화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했지만, 주파수 응답이 1kHz 단위였으며, 표시 요소로 음극선관(CRT)을 사용하는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대체되었다.
브라운관(Braun tube)은 1897년에 알려졌고, 1899년 요나단 체넥(Jonathan Zenneck)은 빔 형성판과 자기장을 추가하여 트레이스를 편향시켰고, 이것이 CRT의 기초가 되었다.[4] 초기 CRT는 1920년대 초 실험적으로 실험실 측정에 적용되었지만, 진공 및 음극 방출기의 안정성이 좋지 않았다. V. K. 즈보리킨은 1931년 열전자 방출기를 갖춘 영구 밀봉 고진공 CRT를 설명했다. 이 안정적이고 재현 가능한 구성 요소를 통해 제너럴 라디오(General Radio)는 실험실 환경 외부에서 사용 가능한 오실로스코프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잉여 전자 부품은 히스킷 코퍼레이션의 부흥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러한 부품으로 만든 50달러짜리 오실로스코프 키트가 최초의 시장 성공을 거두었다.
2. 1. 오실로스코프의 역사 (별도 문서)
초기 고속 전압 시각화는 1893년 앙드레 블롱델(André Blondel)이 발명한 전기 기계식 '''오실로그래프'''를 통해 이루어졌다.[2][3] 이것은 고속 전압 변화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했지만, 주파수 응답이 1kHz 단위였으며, 표시 요소로 음극선관(CRT)을 사용하는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대체되었다.브라운관(Braun tube)은 1897년에 알려졌고, 1899년 요나단 체넥(Jonathan Zenneck)은 빔 형성판과 자기장을 추가하여 트레이스를 편향시켰고, 이것이 CRT의 기초가 되었다.[4] 초기 CRT는 1920년대 초 실험적으로 실험실 측정에 적용되었지만, 진공 및 음극 방출기의 안정성이 좋지 않았다. V. K. 즈보리킨은 1931년 열전자 방출기를 갖춘 영구 밀봉 고진공 CRT를 설명했다. 이 안정적이고 재현 가능한 구성 요소를 통해 제너럴 라디오(General Radio)는 실험실 환경 외부에서 사용 가능한 오실로스코프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잉여 전자 부품은 히스킷 코퍼레이션의 부흥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러한 부품으로 만든 50달러짜리 오실로스코프 키트가 최초의 시장 성공을 거두었다.
3. 종류
오실로스코프는 크게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와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로 분류된다.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 ===
초기의 오실로스코프는 음극선관(CRT)을 사용하여 전자빔을 편향시켜 파형을 표시하였다.
CRT 그림의 전자총에서 전자가 방출되면 가속되고, 편향 전극의 전압 크기에 따라 전자가 힘을 받아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 x축으로는 시간에 따른 스캔을, y축으로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신호의 모양을 표시한다.
가장 초기이자 가장 단순한 유형의 오실로스코프는 CRT, 수직 증폭기, 타임베이스, 수평 증폭기 및 전원 공급 장치로 구성되었다. 이것들은 1990년대 후반부터 일반화된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와 구별하기 위해 현재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라고 불린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구조가 간단하고 직관적이지만, 기능이 제한적이고 휴대가 불편하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반드시 파형 크기 측정을 위한 보정된 기준 격자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위핑되는 선분의 전통적인 의미에서 파형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 기준 신호를 한 축에, 측정할 신호를 다른 축에 공급하여 신호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진동하는 기준 신호와 측정 신호의 경우, 이것은 리사주 도형라고 하는 복잡한 루핑 패턴을 생성한다. 곡선의 모양은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 신호의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진동 주파수에서 유용하다.
====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 ====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는 가장 오래된 유형의 오실로스코프이며, '''브라운관 오실로그래프''', '''음극선관 오실로그래프'''라고도 불리며, 드물게 줄여서 '''브라운관'''이라고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의 오실로스코프와 구분하기 위해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라고도 불린다.
'''구성 요소'''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는 브라운관, 수직 증폭기, 시간축 발생기, 수평 증폭기, 전원으로 구성된다.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가 현재의 형태가 되기 전, 브라운관은 이미 측정기로 사용되고 있었다. 오실로스코프의 브라운관도 흑백 텔레비전 수상기의 것과 마찬가지로 진공 유리 용기로 만들어지며, 평평한 면에는 형광 물질이 도포되어 있다.[21]
'''원리와 메커니즘'''
화면 표시는 스크린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주기적으로 주사(走査)되는 휘점에 의해 이루어진다.
브라운관의 목 부분은 전자총이 되어 있으며, 가열된 금속판 앞에 그물(격자)이 있는 구조이다. 가열된 판(음극)에 마이너스, 격자(또는 양극)에 플러스의 전하가 걸리도록 수백 볼트의 전압이 걸린다. 전계가 음극에서 전자를 흘러나오게 하여 탄환처럼 가속하여 양극을 통과하고 스크린을 향한다. 스크린에 구워져 있는 형광체에 전자빔이 부딪히면 발광하여 스크린 위에 휘점을 생성한다. 전원 투입 직후의 브라운관은 스크린 중앙에 하나의 휘점만 있지만, 이 휘점은 정전적으로 또는 자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의 브라운관에서는 정전 편향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총과 스크린 사이에는 편향판이라고 불리는 마주보는 2조의 금속판이 있다. 수직 증폭기는 전극의 한 쌍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전자빔이 통과하는 위치에 수직의 전계를 준다. 전계가 0이라면 빔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계가 양이라면 빔은 위쪽으로 편향되고, 음이라면 아래쪽으로 편향된다. 수평 증폭기는 다른 한 쌍의 편향판에 같은 역할을 하여 빔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이 편향 방식은 정전 편향이라고 하며, 텔레비전의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전자기 편향과는 다르다. 정전 편향은 저렴하고 가볍지만 작은 관에만 적합하다.[22]
시간축 발생기는 톱니파를 생성하는 전자 회로이다. 이것은 하나의 값에서 또 다른 값으로 반복적으로 변화하는 전압으로, 시간에 대해 리니어이다. 두 번째 값이 되면 빠르게 첫 번째 값으로 돌아가 다시 두 번째 값에 가까워진다. 시간축의 전압은 수평 증폭기를 구동한다. 이 작용으로 전자빔을 일정한 속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크린 위를 주사하고, 그 다음 주사의 시작에 맞춰 빔을 왼쪽으로 빠르게 되돌린다. 시간축 발생기는 신호의 기간에 맞춰 주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수직 증폭기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취해진 외부 전압(수직 입력)에 의해 구동된다. 이 증폭기는 MΩ 또는 GΩ대의 매우 높은 입력 임피던스로, 신호원으로부터는 아주 적은 전류만 취한다. 이 증폭기는 수직 입력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수직 편향판을 구동한다.
수직 증폭기의 이득은 입력 전압의 진폭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양의 입력 전압은 전자빔을 위쪽으로 구부리고, 음의 전압은 아래쪽으로 구부려, 그 결과 휘점의 수직 편향은 입력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 시스템의 응답은 관성에 의해 지침의 반응을 나쁘게 하고 있는 멀티미터와 같은 기계적인 측정기보다 훨씬 빠르다.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가 작용함으로써 전압 대 시간 그래프를 나타내는 빛의 궤적을 스크린에 그리는 것이다. 전압은 수직축이고 시간은 수평축이다.
멀티채널 오실로스코프는 여러 개의 전자총을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한 번에 하나의 휘점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주사마다 한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 전환하거나 ('''ALT 모드'''), 한 번의 주사 동안 여러 번 반복해서 전환한다 ('''CHOP 모드''').
수직 증폭기와 시간축 제어는 주어진 전위차가 스크린상의 수직 거리에 상당하도록, 또 주어진 시간 간격이 수평 거리에 상당하도록 보정된다.
오실로스코프의 전원은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브라운관의 음극 히터의 전원으로서, 또 수직 및 수평 증폭기의 전원으로서 낮은 전압 출력을 갖는다. 정전 편향판을 구동하는 데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압은 매우 안정되어 있어야 한다. 변동이 있으면 궤적의 위치나 밝기에 오차가 생기는 원인이 된다.
새로운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표준 설계에 디지털 처리가 추가되고 있다. 브라운관이나 수직·수평 증폭기의 기본적인 구성에는 변화가 없지만, 전자빔은 디지털 회로로 제어되어 아날로그 파형에 이미지나 문자를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확장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 입력 전압 범위 및 시간축 설정 표시(리드아웃)
- 전압 커서 - 전압 표시가 있는 이동 수평선
- 시간 커서 - 시간 표시가 있는 이동 수직선
- 트리거 설정 및 기타 기능의 메뉴 화면
==== 아날로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 ====
일부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에서는 추적 저장 기능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직접 시각 저장 CRT(Cathode-ray tube)를 사용했다. 저장 기능을 통해 일반적으로 몇 분의 일초 만에 사라지는 추적 패턴을 화면에 수 분 또는 그 이상 유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전기 회로를 의도적으로 활성화하여 화면의 추적을 저장하고 지울 수 있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에는 "'''스토리지'''(축적)"이라는 확장 기능을 갖춘 것이 있었다. 저장관이라고 불리는 CRT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오실로스코프에서는 1초 이내에 감쇠하는 트레이스 패턴을 수 분 이상 화면에 남길 수 있었다. 일반적인 오실로스코프 동작과 축적 동작을 전환할 수 있었으며(축적된 트레이스의 삭제도 가능했다), 아날로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와는 다르지만 화면에 후드를 부착하고 셔터를 개방한 카메라를 사용하여 파형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었다. 단 한 번의 파형이라도 필름에 구워서 기록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오실로스코프에는 어둠 속에서도 화면 눈금이 보이도록 조명 기능이 준비되어 있었다. 또한 소니의 디지털 마비카에는 오실로스코프를 촬영하기 위한 옵션 파츠가 존재했다.
==== 이중 빔 오실로스코프 ====
이중 빔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두 개의 신호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특수한 이중 빔 CRT는 두 개의 별도의 빔을 생성하고 편향시킨다. 다중 추적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초핑 및 교대 스윕으로 이중 빔 디스플레이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지만, 이러한 기능은 동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지 않는다. (실시간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이중 빔 오실로스코프와 동일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이중 빔 디스플레이가 필요하지 않다.) 이중 추적 오실로스코프의 단점은 추적 간에 빠르게 전환할 수 없고 두 개의 빠른 과도 현상을 포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중 ''빔'' 오실로스코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한국에서는 과거 전자 산업 초기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에 밀려 교육용 등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ADC)를 사용하여 측정된 전압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한다.
====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 (DSO) ====
디지털 저장 오실로스코프(DSO)는 현재 대부분의 산업 응용 분야에서 표준적인 오실로스코프 유형이며, 저가형 오실로스코프 덕분에 아마추어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아날로그 저장 오실로스코프의 정전기 저장 방식을 디지털 메모리로 대체하여 필요한 만큼 샘플 데이터를 열화 없이 저장하고 저장 방식 CRT의 밝기 문제 없이 표시한다. 또한 고속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를 통해 신호의 복잡한 처리가 가능하다.[1]
표준 DSO는 ADC의 샘플링 속도의 절반 미만의 대역폭을 가진 신호(「나이퀴스트 한계」라고 함)만 캡처하는 데 제한된다. 고속 통신 신호와 같이 파형이 반복되는 펄스로 구성된 특정 유형의 신호에 대해 이 한계를 초과할 수 있는 DSO의 변형인 「디지털 샘플링 오실로스코프」가 있다. 이 유형의 DSO는 의도적으로 나이퀴스트 한계보다 훨씬 낮은 주파수로 샘플링한 다음 신호 처리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펄스의 복합적인 보기를 재구성한다.[19]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를 대체하여 디지털 오실로스코프가 현재 오실로스코프의 주류가 되었다. 현재는 입력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처리하고 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표시부에 관해서도 LCD가 주류가 되고 있다.
이 종류의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저장 기능을 갖는 것이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DSO''')라고도 불린다. 파형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의 분포를 표시하는 FFT 모드 등을 갖춘 것이 많다.
;디지털 방식의 장점
아날로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에서 사용되던 신뢰성이 낮은 저장 수단을 디지털 메모리로 대체하여,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원하는 만큼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고속 ADC와 DSP의 등장으로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훨씬 넓은 대역의 신호 측정과 복잡한 신호 처리도 가능하게 되었다.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불가능했던 단발 현상에 트리거를 걸어 파형을 멈추거나, 트리거 조건 전에 발생한 현상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기 DSO에는 브라운관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LCD 평판 디스플레이가 선호되며, 컬러 LCD 표시의 것도 일반적이 되었다. 데이터 열은 처리나 보관을 위해 LAN이나 WAN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제품도 있다.
DSO에 내장된 신호 분석 소프트웨어는 많은 유용한 시간축 관계의 기능, 예를 들어 상승 시간, 펄스폭, 진폭이나, 주파수 스펙트럼, 히스토그램과 통계, 잔상도 등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매개변수를 통신이나 디스크 드라이브 분석, 파워 일렉트로닉스와 같은 특정 분야의 기술자에게 알기 쉽게 표시한다.
브라운관은 외부의 자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압 전선 근처 등에서는 화면에 오차가 발생하지만[23], LCD 표시의 경우에는 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배터리 구동이 가능한 것은 LCD 타입이 많다.
;디지털 방식의 단점
디지털 방식의 오실로스코프에도 약점이 있으며, '''앨리어싱'''과 '''데드 타임'''은 아날로그 방식에는 없는 디지털 방식 특유의 문제이다. 앨리어싱은 샘플링 주파수 저하에 따른 잘못된 표시로, 측정 대상 신호에 대해 데이터 포인트가 너무 거칠 경우에 발생한다. 데드 타임은 파형을 데이터화하여 취득한 후, 다음 파형을 취득할 수 있게 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이 동안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설령 트리거 조건에 맞는 신호가 입력되어도 놓쳐버린다.[24][25] 또한 같은 이유로 비디오 신호 표시 등에 대표되는 아름다운 농담 표현은 아날로그 방식에 훨씬 못 미친다. 디지털 방식에서는 탑재하는 고속 메모리의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간축 설정을 변경하면 많은 경우 샘플 레이트도 변경된다.[26][27]
==== 디지털 샘플링 오실로스코프 ====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현재 오실로스코프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DSO''')라고도 불린다. 파형 확대, 주파수 분포 표시(FFT 모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23]
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의 낮은 신뢰성을 메모리로 대체하여 데이터 보존성을 높였다. 고속 ADC와 DSP를 통해 넓은 대역의 신호 측정과 복잡한 신호 처리가 가능해졌다.[24] 단발 현상에 대한 트리거, 트리거 조건 전 현상 확인도 가능하다. 초기 DSO는 브라운관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LCD 평판 디스플레이가 선호되며, 컬러 LCD 표시도 일반적이다. LAN, WAN을 통한 데이터 전송도 가능하다.[25]
DSO 내장 소프트웨어는 상승 시간, 펄스폭, 진폭, 주파수 스펙트럼, 히스토그램, 통계, 잔상도 등 시간축 관계 기능을 제공한다. 브라운관은 외부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만, LCD는 영향이 없다. 배터리 구동이 가능한 것은 LCD 타입이 많다.[26][27]
디지털 방식의 단점으로는 '''앨리어싱'''과 '''데드 타임'''이 있다. 앨리어싱은 샘플링 주파수 저하로 발생하며, 데드 타임은 파형 데이터 취득 후 다음 파형 취득까지의 시간으로, 이 시간 동안 신호를 놓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등의 농담 표현은 아날로그 방식보다 떨어진다. 고속 메모리 용량 한계로 시간축 설정 변경 시 샘플 레이트도 변경된다.
==== 혼합 신호 오실로스코프 (MSO) ====
논리 분석기는 오실로스코프와 유사하지만, 각 입력 신호에 대해서는 아날로그 파형의 모양이 아닌 논리 레벨만 제공한다. 한편, 혼합 신호 오실로스코프(Mixed-signal oscilloscope, 또는 MSO)는 두 종류의 입력을 갖는다. 소수의 아날로그 채널(일반적으로 2개 또는 4개)과 다수의 논리 채널(일반적으로 16개)이다. 이는 아날로그 및 논리 신호를 정확하게 시간 상관시키는 기능을 제공하여 별도의 오실로스코프와 논리 분석기에 비해 확실한 이점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논리 채널은 버스로 그룹화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버스 값은 16진수 또는 2진수로 디스플레이 하단에 표시된다. 대부분의 MSO에서는 아날로그 채널과 논리 채널 모두에서 트리거를 설정할 수 있다.
==== 혼합 도메인 오실로스코프 (MDO) ====
혼합 도메인 오실로스코프(MDO)는 전용 FFT 기반 스펙트럼 분석기 기능에만 사용되는 추가적인 RF 입력을 갖춘 오실로스코프이다. 종종 이 RF 입력은 기존 아날로그 입력 채널보다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한다. 이는 일반적인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FFT 기능(일반 아날로그 입력을 사용)과 대조된다.
일부 MDO는 시간 도메인(특정 직렬 데이터 패키지와 같은)의 이벤트와 주파수 도메인(RF 전송과 같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간의 시간 상관 관계를 허용한다.
==== PC 기반 오실로스코프 ====

PC 기반 오실로스코프는 일부 디지털 오실로스코프가 계측기의 디스플레이 및 제어를 위해 PC 플랫폼에 의존하는 형태이다. 이는 내부 PC 플랫폼(PC 메인보드)이 있는 독립형 오실로스코프 형태이거나, USB 또는 LAN을 통해 별도의 PC 또는 노트북에 연결되는 외부 오실로스코프 형태일 수 있다.
데이터 수집(샘플링),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축적 기능만을 남긴 구성으로, 표시부가 없다. USB 등으로 PC에 연결하여 표시 및 파형 분석 등은 PC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에 의존한다.
노트북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휴대성이 뛰어난 측정 시스템이 된다. 측정 데이터는 컴퓨터에 저장되므로 데이터 분석 등의 작업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원을 켜자마자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조작성은 떨어진다.
==== 휴대용 오실로스코프 ====
현대 오실로스코프는 대부분 가볍고 휴대성이 뛰어나 한 사람이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휴대용 장비 외에도 현장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수의 소형 배터리 구동 장비가 시장에 출시되어 있다. 휴대용 오실로스코프는 많은 시험 및 현장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하며, 오늘날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디지털 샘플링 오실로스코프이다.
많은 휴대용 및 벤치 오실로스코프는 모든 입력 채널에 공통적인 접지 기준 전압을 갖고 있다.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측정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모든 입력 신호는 동일한 전압 기준을 가져야 하며, 공유 기본 기준은 "접지"이다. 차동 프리앰프 또는 외부 신호 절연기가 없는 경우 이러한 기존의 데스크톱 오실로스코프는 부유 측정에 적합하지 않다. (때때로 오실로스코프 사용자는 신호 공통을 접지에서 분리하기 위해 벤치톱 오실로스코프의 전원 공급 코드에서 접지 핀을 끊는 경우가 있다. 이 방법은 장비 캐비닛의 전체 누설 정전 용량이 회로에 연결되므로 신뢰할 수 없으며, 안전 접지 연결을 끊는 것은 위험하므로 사용 설명서에서는 이를 강력히 권장하지 않는다.)
일부 오실로스코프 모델은 입력이 분리되어 있으며, 신호 기준 레벨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각 입력 채널을 사용하여 독립적인 신호 기준 레벨로 "부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 입력의 한쪽을 회로 신호 공통 또는 접지 기준에 연결하지 않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절연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과전압 범주 | 작동 전압 (접지에 대한 AC/DC의 유효값) | 피크 순시 전압 (20회 반복) | 시험 저항 |
---|---|---|---|
CAT I | 600 V | 2500 V | 30 Ω |
CAT I | 1000 V | 4000 V | 30 Ω |
CAT II | 600 V | 4000 V | 12 Ω |
CAT II | 1000 V | 6000 V | 12 Ω |
CAT III | 600 V | 6000 V | 2 Ω |
3. 1.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
초기의 오실로스코프는 음극선관(CRT)을 사용하여 전자빔을 편향시켜 파형을 표시하였다.CRT 그림의 전자총에서 전자가 방출되면 가속되고, 편향 전극의 전압 크기에 따라 전자가 힘을 받아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 x축으로는 시간에 따른 스캔을, y축으로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신호의 모양을 표시한다.
가장 초기이자 가장 단순한 유형의 오실로스코프는 CRT, 수직 증폭기, 타임베이스, 수평 증폭기 및 전원 공급 장치로 구성되었다. 이것들은 1990년대 후반부터 일반화된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와 구별하기 위해 현재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라고 불린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구조가 간단하고 직관적이지만, 기능이 제한적이고 휴대가 불편하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반드시 파형 크기 측정을 위한 보정된 기준 격자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위핑되는 선분의 전통적인 의미에서 파형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 기준 신호를 한 축에, 측정할 신호를 다른 축에 공급하여 신호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진동하는 기준 신호와 측정 신호의 경우, 이것은 리사주 도형라고 하는 복잡한 루핑 패턴을 생성한다. 곡선의 모양은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 신호의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진동 주파수에서 유용하다.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는 가장 오래된 유형의 오실로스코프이며, '''브라운관 오실로그래프''', '''음극선관 오실로그래프'''라고도 불리며, 드물게 줄여서 '''브라운관'''이라고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의 오실로스코프와 구분하기 위해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라고도 불린다.
'''구성 요소'''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는 브라운관, 수직 증폭기, 시간축 발생기, 수평 증폭기, 전원으로 구성된다.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가 현재의 형태가 되기 전, 브라운관은 이미 측정기로 사용되고 있었다. 오실로스코프의 브라운관도 흑백 텔레비전 수상기의 것과 마찬가지로 진공 유리 용기로 만들어지며, 평평한 면에는 형광 물질이 도포되어 있다.[21]
'''원리와 메커니즘'''
화면 표시는 스크린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주기적으로 주사(走査)되는 휘점에 의해 이루어진다.
브라운관의 목 부분은 전자총이 되어 있으며, 가열된 금속판 앞에 그물(격자)이 있는 구조이다. 가열된 판(음극)에 마이너스, 격자(또는 양극)에 플러스의 전하가 걸리도록 수백 볼트의 전압이 걸린다. 전계가 음극에서 전자를 흘러나오게 하여 탄환처럼 가속하여 양극을 통과하고 스크린을 향한다. 스크린에 구워져 있는 형광체에 전자빔이 부딪히면 발광하여 스크린 위에 휘점을 생성한다. 전원 투입 직후의 브라운관은 스크린 중앙에 하나의 휘점만 있지만, 이 휘점은 정전적으로 또는 자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의 브라운관에서는 정전 편향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총과 스크린 사이에는 편향판이라고 불리는 마주보는 2조의 금속판이 있다. 수직 증폭기는 전극의 한 쌍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전자빔이 통과하는 위치에 수직의 전계를 준다. 전계가 0이라면 빔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계가 양이라면 빔은 위쪽으로 편향되고, 음이라면 아래쪽으로 편향된다. 수평 증폭기는 다른 한 쌍의 편향판에 같은 역할을 하여 빔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이 편향 방식은 정전 편향이라고 하며, 텔레비전의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전자기 편향과는 다르다. 정전 편향은 저렴하고 가볍지만 작은 관에만 적합하다.[22]
시간축 발생기는 톱니파를 생성하는 전자 회로이다. 이것은 하나의 값에서 또 다른 값으로 반복적으로 변화하는 전압으로, 시간에 대해 리니어이다. 두 번째 값이 되면 빠르게 첫 번째 값으로 돌아가 다시 두 번째 값에 가까워진다. 시간축의 전압은 수평 증폭기를 구동한다. 이 작용으로 전자빔을 일정한 속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크린 위를 주사하고, 그 다음 주사의 시작에 맞춰 빔을 왼쪽으로 빠르게 되돌린다. 시간축 발생기는 신호의 기간에 맞춰 주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수직 증폭기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취해진 외부 전압(수직 입력)에 의해 구동된다. 이 증폭기는 MΩ 또는 GΩ대의 매우 높은 입력 임피던스로, 신호원으로부터는 아주 적은 전류만 취한다. 이 증폭기는 수직 입력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수직 편향판을 구동한다.
수직 증폭기의 이득은 입력 전압의 진폭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양의 입력 전압은 전자빔을 위쪽으로 구부리고, 음의 전압은 아래쪽으로 구부려, 그 결과 휘점의 수직 편향은 입력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 시스템의 응답은 관성에 의해 지침의 반응을 나쁘게 하고 있는 멀티미터와 같은 기계적인 측정기보다 훨씬 빠르다.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가 작용함으로써 전압 대 시간 그래프를 나타내는 빛의 궤적을 스크린에 그리는 것이다. 전압은 수직축이고 시간은 수평축이다.
멀티채널 오실로스코프는 여러 개의 전자총을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한 번에 하나의 휘점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주사마다 한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 전환하거나 ('''ALT 모드'''), 한 번의 주사 동안 여러 번 반복해서 전환한다 ('''CHOP 모드''').
수직 증폭기와 시간축 제어는 주어진 전위차가 스크린상의 수직 거리에 상당하도록, 또 주어진 시간 간격이 수평 거리에 상당하도록 보정된다.
오실로스코프의 전원은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브라운관의 음극 히터의 전원으로서, 또 수직 및 수평 증폭기의 전원으로서 낮은 전압 출력을 갖는다. 정전 편향판을 구동하는 데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압은 매우 안정되어 있어야 한다. 변동이 있으면 궤적의 위치나 밝기에 오차가 생기는 원인이 된다.
새로운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표준 설계에 디지털 처리가 추가되고 있다. 브라운관이나 수직·수평 증폭기의 기본적인 구성에는 변화가 없지만, 전자빔은 디지털 회로로 제어되어 아날로그 파형에 이미지나 문자를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확장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 입력 전압 범위 및 시간축 설정 표시(리드아웃)
- 전압 커서 - 전압 표시가 있는 이동 수평선
- 시간 커서 - 시간 표시가 있는 이동 수직선
- 트리거 설정 및 기타 기능의 메뉴 화면
=== 이중 빔 오실로스코프 ===
이중 빔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두 개의 신호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특수한 이중 빔 CRT는 두 개의 별도의 빔을 생성하고 편향시킨다. 다중 추적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초핑 및 교대 스윕으로 이중 빔 디스플레이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지만, 이러한 기능은 동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지 않는다. (실시간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이중 빔 오실로스코프와 동일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이중 빔 디스플레이가 필요하지 않다.) 이중 추적 오실로스코프의 단점은 추적 간에 빠르게 전환할 수 없고 두 개의 빠른 과도 현상을 포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중 ''빔'' 오실로스코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한국에서는 과거 전자 산업 초기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에 밀려 교육용 등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3. 1. 1.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
초기의 오실로스코프는 음극선관(CRT)을 사용하여 신호를 표시하였다.CRT 그림의 전자총에서 전자가 방출되면 가속되고, 편향 전극의 전압 크기에 따라 전자가 힘을 받아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 x축으로는 시간에 따른 스캔을, y축으로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신호의 모양을 표시한다.
가장 초기이자 가장 단순한 유형의 오실로스코프는 CRT, 수직 증폭기, 타임베이스, 수평 증폭기 및 전원 공급 장치로 구성되었다. 이것들은 1990년대 후반부터 일반화된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와 구별하기 위해 현재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라고 불린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반드시 파형 크기 측정을 위한 보정된 기준 격자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위핑되는 선분의 전통적인 의미에서 파형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 기준 신호를 한 축에, 측정할 신호를 다른 축에 공급하여 신호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진동하는 기준 신호와 측정 신호의 경우, 이것은 리사주 도형라고 하는 복잡한 루핑 패턴을 생성한다. 곡선의 모양은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 신호의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진동 주파수에서 유용하다.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는 가장 오래된 유형의 오실로스코프이며, '''브라운관 오실로그래프''', '''음극선관 오실로그래프'''라고도 불리며, 드물게 줄여서 '''브라운관'''이라고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의 오실로스코프와 구분하기 위해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라고도 불린다.
'''구성 요소'''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는 브라운관, 수직 증폭기, 시간축 발생기, 수평 증폭기, 전원으로 구성된다.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가 현재의 형태가 되기 전, 브라운관은 이미 측정기로 사용되고 있었다. 오실로스코프의 브라운관도 흑백 텔레비전 수상기의 것과 마찬가지로 진공 유리 용기로 만들어지며, 평평한 면에는 형광 물질이 도포되어 있다.[21]
'''원리와 메커니즘'''
화면 표시는 스크린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주기적으로 주사(走査)되는 휘점에 의해 이루어진다.
브라운관의 목 부분은 전자총이 되어 있으며, 가열된 금속판 앞에 그물(격자)이 있는 구조이다. 가열된 판(음극)에 마이너스, 격자(또는 양극)에 플러스의 전하가 걸리도록 수백 볼트의 전압이 걸린다. 전계가 음극에서 전자를 흘러나오게 하여 탄환처럼 가속하여 양극을 통과하고 스크린을 향한다. 스크린에 구워져 있는 형광체에 전자빔이 부딪히면 발광하여 스크린 위에 휘점을 생성한다. 전원 투입 직후의 브라운관은 스크린 중앙에 하나의 휘점만 있지만, 이 휘점은 정전적으로 또는 자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의 브라운관에서는 정전 편향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총과 스크린 사이에는 편향판이라고 불리는 마주보는 2조의 금속판이 있다. 수직 증폭기는 전극의 한 쌍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전자빔이 통과하는 위치에 수직의 전계를 준다. 전계가 0이라면 빔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계가 양이라면 빔은 위쪽으로 편향되고, 음이라면 아래쪽으로 편향된다. 수평 증폭기는 다른 한 쌍의 편향판에 같은 역할을 하여 빔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이 편향 방식은 정전 편향이라고 하며, 텔레비전의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전자기 편향과는 다르다. 정전 편향은 저렴하고 가볍지만 작은 관에만 적합하다.[22]
시간축 발생기는 톱니파를 생성하는 전자 회로이다. 이것은 하나의 값에서 또 다른 값으로 반복적으로 변화하는 전압으로, 시간에 대해 리니어이다. 두 번째 값이 되면 빠르게 첫 번째 값으로 돌아가 다시 두 번째 값에 가까워진다. 시간축의 전압은 수평 증폭기를 구동한다. 이 작용으로 전자빔을 일정한 속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크린 위를 주사하고, 그 다음 주사의 시작에 맞춰 빔을 왼쪽으로 빠르게 되돌린다. 시간축 발생기는 신호의 기간에 맞춰 주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수직 증폭기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취해진 외부 전압(수직 입력)에 의해 구동된다. 이 증폭기는 MΩ 또는 GΩ대의 매우 높은 입력 임피던스로, 신호원으로부터는 아주 적은 전류만 취한다. 이 증폭기는 수직 입력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수직 편향판을 구동한다.
수직 증폭기의 이득은 입력 전압의 진폭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양의 입력 전압은 전자빔을 위쪽으로 구부리고, 음의 전압은 아래쪽으로 구부려, 그 결과 휘점의 수직 편향은 입력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 시스템의 응답은 관성에 의해 지침의 반응을 나쁘게 하고 있는 멀티미터와 같은 기계적인 측정기보다 훨씬 빠르다.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가 작용함으로써 전압 대 시간 그래프를 나타내는 빛의 궤적을 스크린에 그리는 것이다. 전압은 수직축이고 시간은 수평축이다.
멀티채널 오실로스코프는 여러 개의 전자총을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한 번에 하나의 휘점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주사마다 한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 전환하거나 ('''ALT 모드'''), 한 번의 주사 동안 여러 번 반복해서 전환한다 ('''CHOP 모드''').
수직 증폭기와 시간축 제어는 주어진 전위차가 스크린상의 수직 거리에 상당하도록, 또 주어진 시간 간격이 수평 거리에 상당하도록 보정된다.
오실로스코프의 전원은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브라운관의 음극 히터의 전원으로서, 또 수직 및 수평 증폭기의 전원으로서 낮은 전압 출력을 갖는다. 정전 편향판을 구동하는 데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압은 매우 안정되어 있어야 한다. 변동이 있으면 궤적의 위치나 밝기에 오차가 생기는 원인이 된다.
새로운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표준 설계에 디지털 처리가 추가되고 있다. 브라운관이나 수직·수평 증폭기의 기본적인 구성에는 변화가 없지만, 전자빔은 디지털 회로로 제어되어 아날로그 파형에 이미지나 문자를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확장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 입력 전압 범위 및 시간축 설정 표시(리드아웃)
- 전압 커서 - 전압 표시가 있는 이동 수평선
- 시간 커서 - 시간 표시가 있는 이동 수직선
- 트리거 설정 및 기타 기능의 메뉴 화면
3. 1. 2. 아날로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
일부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에서는 추적 저장 기능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직접 시각 저장 CRT(Cathode-ray tube)를 사용했다. 저장 기능을 통해 일반적으로 몇 분의 일초 만에 사라지는 추적 패턴을 화면에 수 분 또는 그 이상 유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전기 회로를 의도적으로 활성화하여 화면의 추적을 저장하고 지울 수 있다.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에는 "'''스토리지'''(축적)"이라는 확장 기능을 갖춘 것이 있었다. 저장관이라고 불리는 CRT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오실로스코프에서는 1초 이내에 감쇠하는 트레이스 패턴을 수 분 이상 화면에 남길 수 있었다. 일반적인 오실로스코프 동작과 축적 동작을 전환할 수 있었으며(축적된 트레이스의 삭제도 가능했다), 아날로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와는 다르지만 화면에 후드를 부착하고 셔터를 개방한 카메라를 사용하여 파형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었다. 단 한 번의 파형이라도 필름에 구워서 기록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오실로스코프에는 어둠 속에서도 화면 눈금이 보이도록 조명 기능이 준비되어 있었다. 또한 소니의 디지털 마비카에는 오실로스코프를 촬영하기 위한 옵션 파츠가 존재했다.
3. 2.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ADC)를 사용하여 측정된 전압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한다.
디지털 저장 오실로스코프(DSO)는 현재 대부분의 산업 응용 분야에서 표준적인 오실로스코프 유형이며, 저가형 오실로스코프 덕분에 아마추어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아날로그 저장 오실로스코프의 정전기 저장 방식을 디지털 메모리로 대체하여 필요한 만큼 샘플 데이터를 열화 없이 저장하고 저장 방식 CRT의 밝기 문제 없이 표시한다. 또한 고속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를 통해 신호의 복잡한 처리가 가능하다.[1]
표준 DSO는 ADC의 샘플링 속도의 절반 미만의 대역폭을 가진 신호(「나이퀴스트 한계」라고 함)만 캡처하는 데 제한된다. 고속 통신 신호와 같이 파형이 반복되는 펄스로 구성된 특정 유형의 신호에 대해 이 한계를 초과할 수 있는 DSO의 변형인 「디지털 샘플링 오실로스코프」가 있다. 이 유형의 DSO는 의도적으로 나이퀴스트 한계보다 훨씬 낮은 주파수로 샘플링한 다음 신호 처리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펄스의 복합적인 보기를 재구성한다.[19]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를 대체하여 디지털 오실로스코프가 현재 오실로스코프의 주류가 되었다. 현재는 입력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처리하고 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표시부에 관해서도 LCD가 주류가 되고 있다.
이 종류의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저장 기능을 갖는 것이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DSO''')라고도 불린다. 파형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의 분포를 표시하는 FFT 모드 등을 갖춘 것이 많다.
;디지털 방식의 장점
아날로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에서 사용되던 신뢰성이 낮은 저장 수단을 디지털 메모리로 대체하여,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원하는 만큼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고속 ADC와 DSP의 등장으로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훨씬 넓은 대역의 신호 측정과 복잡한 신호 처리도 가능하게 되었다.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불가능했던 단발 현상에 트리거를 걸어 파형을 멈추거나, 트리거 조건 전에 발생한 현상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기 DSO에는 브라운관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LCD 평판 디스플레이가 선호되며, 컬러 LCD 표시의 것도 일반적이 되었다. 데이터 열은 처리나 보관을 위해 LAN이나 WAN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제품도 있다.
DSO에 내장된 신호 분석 소프트웨어는 많은 유용한 시간축 관계의 기능, 예를 들어 상승 시간, 펄스폭, 진폭이나, 주파수 스펙트럼, 히스토그램과 통계, 잔상도 등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매개변수를 통신이나 디스크 드라이브 분석, 파워 일렉트로닉스와 같은 특정 분야의 기술자에게 알기 쉽게 표시한다.
브라운관은 외부의 자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압 전선 근처 등에서는 화면에 오차가 발생하지만[23], LCD 표시의 경우에는 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배터리 구동이 가능한 것은 LCD 타입이 많다.
;디지털 방식의 단점
디지털 방식의 오실로스코프에도 약점이 있으며, '''앨리어싱'''과 '''데드 타임'''은 아날로그 방식에는 없는 디지털 방식 특유의 문제이다. 앨리어싱은 샘플링 주파수 저하에 따른 잘못된 표시로, 측정 대상 신호에 대해 데이터 포인트가 너무 거칠 경우에 발생한다. 데드 타임은 파형을 데이터화하여 취득한 후, 다음 파형을 취득할 수 있게 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이 동안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설령 트리거 조건에 맞는 신호가 입력되어도 놓쳐버린다[24][25]. 또한 같은 이유로 비디오 신호 표시 등에 대표되는 아름다운 농담 표현은 아날로그 방식에 훨씬 못 미친다. 디지털 방식에서는 탑재하는 고속 메모리의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간축 설정을 변경하면 많은 경우 샘플 레이트도 변경된다[26][27].
3. 2. 1.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 (DSO)
디지털 저장 오실로스코프(DSO)는 오늘날 대부분의 산업 응용 분야에서 표준적인 오실로스코프 유형이며, 저가형 오실로스코프 덕분에 아마추어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아날로그 저장 오실로스코프의 정전기 저장 방식을 디지털 메모리로 대체하여 필요한 만큼 샘플 데이터를 열화 없이 저장하고 저장 방식 CRT의 밝기 문제 없이 표시한다. 또한 고속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를 통해 신호의 복잡한 처리가 가능하다.[1]
표준 DSO는 ADC의 샘플링 속도의 절반 미만의 대역폭을 가진 신호(「나이퀴스트 한계」라고 함)만 캡처하는 데 제한된다. 고속 통신 신호와 같이 파형이 반복되는 펄스로 구성된 특정 유형의 신호에 대해 이 한계를 초과할 수 있는 DSO의 변형인 「디지털 샘플링 오실로스코프」가 있다. 이 유형의 DSO는 의도적으로 나이퀴스트 한계보다 훨씬 낮은 주파수로 샘플링한 다음 신호 처리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펄스의 복합적인 보기를 재구성한다.[19]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현재 오실로스코프의 주류가 되었다. 현재는 입력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처리하고 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표시 장치도 LCD가 주류가 되고 있다. 파형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의 분포를 표시하는 FFT 모드 등을 갖춘 것이 많다.
;디지털 방식의 장점
아날로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에서 사용되던 신뢰성이 낮은 저장 수단을 디지털 메모리로 대체하여,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원하는 만큼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고속 ADC와 DSP의 등장으로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훨씬 넓은 대역의 신호 측정과 복잡한 신호 처리도 가능하게 되었다.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불가능했던 단발 현상에 트리거를 걸어 파형을 멈추거나, 트리거 조건 전에 발생한 현상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기 DSO에는 브라운관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LCD 평판 디스플레이가 선호되며, 컬러 LCD 표시의 것도 일반적이 되었다. 데이터 열은 처리나 보관을 위해 LAN이나 WAN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제품도 있다.
DSO에 내장된 신호 분석 소프트웨어는 많은 유용한 시간축 관계의 기능, 예를 들어 상승 시간, 펄스폭, 진폭이나, 주파수 스펙트럼, 히스토그램과 통계, 잔상도 등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매개변수를 통신이나 디스크 드라이브 분석, 파워 일렉트로닉스와 같은 특정 분야의 기술자에게 알기 쉽게 표시한다.
브라운관은 외부의 자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압 전선 근처 등에서는 화면에 오차가 발생하지만[23], LCD 표시의 경우에는 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배터리 구동이 가능한 것은 LCD 타입이 많다.
;디지털 방식의 단점
디지털 방식의 오실로스코프에도 약점이 있으며, '''앨리어싱'''과 '''데드 타임'''은 아날로그 방식에는 없는 디지털 방식 특유의 문제이다. 앨리어싱은 샘플링 주파수 저하에 따른 잘못된 표시로, 측정 대상 신호에 대해 데이터 포인트가 너무 거칠 경우에 발생한다. 데드 타임은 파형을 데이터화하여 취득한 후, 다음 파형을 취득할 수 있게 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이 동안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설령 트리거 조건에 맞는 신호가 입력되어도 놓쳐버린다[24][25]. 또한 같은 이유로 비디오 신호 표시 등에 대표되는 아름다운 농담 표현은 아날로그 방식에 훨씬 못 미친다. 디지털 방식에서는 탑재하는 고속 메모리의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간축 설정을 변경하면 많은 경우 샘플 레이트도 변경된다[26][27].
3. 2. 2. 디지털 샘플링 오실로스코프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현재 오실로스코프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DSO''')라고도 불린다. 파형 확대, 주파수 분포 표시(FFT 모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23]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의 낮은 신뢰성을 메모리로 대체하여 데이터 보존성을 높였다. 고속 ADC와 DSP를 통해 넓은 대역의 신호 측정과 복잡한 신호 처리가 가능해졌다.[24] 단발 현상에 대한 트리거, 트리거 조건 전 현상 확인도 가능하다. 초기 DSO는 브라운관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LCD 평판 디스플레이가 선호되며, 컬러 LCD 표시도 일반적이다. LAN, WAN을 통한 데이터 전송도 가능하다.[25]
DSO 내장 소프트웨어는 상승 시간, 펄스폭, 진폭, 주파수 스펙트럼, 히스토그램, 통계, 잔상도 등 시간축 관계 기능을 제공한다. 브라운관은 외부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만, LCD는 영향이 없다. 배터리 구동이 가능한 것은 LCD 타입이 많다.[26][27]
디지털 방식의 단점으로는 '''앨리어싱'''과 '''데드 타임'''이 있다. 앨리어싱은 샘플링 주파수 저하로 발생하며, 데드 타임은 파형 데이터 취득 후 다음 파형 취득까지의 시간으로, 이 시간 동안 신호를 놓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등의 농담 표현은 아날로그 방식보다 떨어진다. 고속 메모리 용량 한계로 시간축 설정 변경 시 샘플 레이트도 변경된다.
3. 3. 혼합 신호 오실로스코프 (MSO)
논리 분석기는 오실로스코프와 유사하지만, 각 입력 신호에 대해서는 아날로그 파형의 모양이 아닌 논리 레벨만 제공한다. 한편, 혼합 신호 오실로스코프(Mixed-signal oscilloscope, 또는 MSO)는 두 종류의 입력을 갖는다. 소수의 아날로그 채널(일반적으로 2개 또는 4개)과 다수의 논리 채널(일반적으로 16개)이다. 이는 아날로그 및 논리 신호를 정확하게 시간 상관시키는 기능을 제공하여 별도의 오실로스코프와 논리 분석기에 비해 확실한 이점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논리 채널은 버스로 그룹화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버스 값은 16진수 또는 2진수로 디스플레이 하단에 표시된다. 대부분의 MSO에서는 아날로그 채널과 논리 채널 모두에서 트리거를 설정할 수 있다.3. 4. 혼합 도메인 오실로스코프 (MDO)
혼합 도메인 오실로스코프(MDO)는 전용 FFT 기반 스펙트럼 분석기 기능에만 사용되는 추가적인 RF 입력을 갖춘 오실로스코프이다. 종종 이 RF 입력은 기존 아날로그 입력 채널보다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한다. 이는 일반적인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FFT 기능(일반 아날로그 입력을 사용)과 대조된다.일부 MDO는 시간 도메인(특정 직렬 데이터 패키지와 같은)의 이벤트와 주파수 도메인(RF 전송과 같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간의 시간 상관 관계를 허용한다.
3. 5. PC 기반 오실로스코프
PC 기반 오실로스코프는 일부 디지털 오실로스코프가 계측기의 디스플레이 및 제어를 위해 PC 플랫폼에 의존하는 형태이다. 이는 내부 PC 플랫폼(PC 메인보드)이 있는 독립형 오실로스코프 형태이거나, USB 또는 LAN을 통해 별도의 PC 또는 노트북에 연결되는 외부 오실로스코프 형태일 수 있다.
데이터 수집(샘플링),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축적 기능만을 남긴 구성으로, 표시부가 없다. USB 등으로 PC에 연결하여 표시 및 파형 분석 등은 PC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에 의존한다.
노트북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휴대성이 뛰어난 측정 시스템이 된다. 측정 데이터는 컴퓨터에 저장되므로 데이터 분석 등의 작업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원을 켜자마자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조작성은 떨어진다.
3. 6. 휴대용 오실로스코프
현대 오실로스코프는 대부분 가볍고 휴대성이 뛰어나 한 사람이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휴대용 장비 외에도 현장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수의 소형 배터리 구동 장비가 시장에 출시되어 있다. 휴대용 오실로스코프는 많은 시험 및 현장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하며, 오늘날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디지털 샘플링 오실로스코프이다.많은 휴대용 및 벤치 오실로스코프는 모든 입력 채널에 공통적인 접지 기준 전압을 갖고 있다.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측정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모든 입력 신호는 동일한 전압 기준을 가져야 하며, 공유 기본 기준은 "접지"이다. 차동 프리앰프 또는 외부 신호 절연기가 없는 경우 이러한 기존의 데스크톱 오실로스코프는 부유 측정에 적합하지 않다. (때때로 오실로스코프 사용자는 신호 공통을 접지에서 분리하기 위해 벤치톱 오실로스코프의 전원 공급 코드에서 접지 핀을 끊는 경우가 있다. 이 방법은 장비 캐비닛의 전체 누설 정전 용량이 회로에 연결되므로 신뢰할 수 없으며, 안전 접지 연결을 끊는 것은 위험하므로 사용 설명서에서는 이를 강력히 권장하지 않는다.)
일부 오실로스코프 모델은 입력이 분리되어 있으며, 신호 기준 레벨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각 입력 채널을 사용하여 독립적인 신호 기준 레벨로 "부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 입력의 한쪽을 회로 신호 공통 또는 접지 기준에 연결하지 않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절연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과전압 범주 | 작동 전압 (접지에 대한 AC/DC의 유효값) | 피크 순시 전압 (20회 반복) | 시험 저항 |
---|---|---|---|
CAT I | 600 V | 2500 V | 30 Ω |
CAT I | 1000 V | 4000 V | 30 Ω |
CAT II | 600 V | 4000 V | 12 Ω |
CAT II | 1000 V | 6000 V | 12 Ω |
CAT III | 600 V | 6000 V | 2 Ω |
4. 특징 및 기능
오실로스코프는 전압, 시간, 주파수, 위상차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이다.[30]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수직 제어, 수평 제어, 트리거 제어의 네 부분으로 나뉜다.
- 전압 측정: 수직축 설정을 통해 전압 크기를 측정한다. 수직 섹션의 볼트/디비전(V/Div) 선택 노브와 AC/DC/접지 선택 스위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1]
- 시간 측정: 수평축 설정을 통해 시간 간격을 측정한다. 수평 섹션의 초/디비전(Sec/Div) 선택 스위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 주파수 측정: 파형의 주기를 측정하여 주파수를 계산한다.
- 위상차 측정: 두 신호의 위상차를 측정한다. X-Y 모드를 사용하여 리사주 도형을 표시하고, 이를 통해 위상차를 확인할 수 있다.[30]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수평 및 수직 기준선(눈금)이 있는 CRT이다. CRT 디스플레이에는 초점, 강도 및 빔 파인더를 위한 제어 장치도 있다. 수직 섹션은 표시된 신호의 진폭을 제어하며, 볼트/디비전(V/Div) 선택 노브, AC/DC/접지 선택 스위치, 수직(기본) 입력, 수직 빔 위치 노브가 있다. 수평 섹션은 계측기의 시간 기준 또는 스윕을 제어하며, 초/디비전(Sec/Div) 선택 스위치, 수평 입력, 수평 빔 위치 노브가 있다.
트리거 섹션은 스윕의 시작 이벤트를 제어한다. 트리거는 각 스윕 후에 자동으로 다시 시작되거나,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응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소스 및 커플링 선택 스위치, 외부 트리거 입력(EXT 입력) 및 레벨 조정 장치가 있다.
대부분의 오실로스코프에는 프로브가 함께 제공된다. 프로브는 계측기의 모든 입력에 연결되며, 오실로스코프의 입력 임피던스의 10배인 저항을 갖는다. 이는 0.1(-10×) 감쇠 계수를 생성하여 프로브 케이블의 용량성 부하를 측정 중인 신호로부터 격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프로브에는 필요에 따라 저항을 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가 있다.[1]
4. 1. 기본 기능
오실로스코프는 전압, 시간, 주파수, 위상차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장비이다.[30]- 전압 측정: 수직축 설정을 통해 전압 크기를 측정한다. 수직 섹션의 볼트/디비전(V/Div) 선택 노브와 AC/DC/접지 선택 스위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1]
- 시간 측정: 수평축 설정을 통해 시간 간격을 측정한다. 수평 섹션의 초/디비전(Sec/Div) 선택 스위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 주파수 측정: 파형의 주기를 측정하여 주파수를 계산한다. 오실로스코프는 주기적인 신호의 주파수에 맞춰 시간축을 조정하여 거의 고정된 트레이스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50Hz의 정현파 신호의 경우 주기는 20ms이므로, 시간축을 조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 위상차 측정: 두 신호의 위상차를 측정한다. X-Y 모드를 사용하여 리사주 도형을 표시하고, 이를 통해 여러 입력 신호 간의 위상차를 확인할 수 있다.[30]
오실로스코프의 전면 패널에는 다양한 입력 단자와 조절 손잡이, 버튼들이 있으며, 화면의 격자 눈금의 각 정사각형은 구분(division)이라고 불린다. 측정할 신호는 BNC 또는 N형 커넥터와 같은 동축 커넥터를 통해 입력 단자에 연결하며, 신호원이 동축 커넥터가 없는 경우에는 오실로스코프에 부속된 프로브(probe)라고 불리는 전용 케이블을 사용한다.
오실로스코프의 가장 단순한 모드에서는 트레이스(trace)라고 불리는 수평선을 화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반복해서 그린다. 시간축 조정(timebase control)은 선을 그리는 시간을 설정하며, 구분당 초로 보정된다. 입력 전압이 0에서 벗어나면 트레이스는 위아래로 벗어나며, 수직축 조정(vertical control)으로 변위량을 설정하며, 구분당 전압으로 보정된다. 이를 통해 시간축에 대한 전압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신호가 주기적일 경우, 시간축을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맞춰 설정하면 거의 고정된 트레이스를 얻을 수 있다. 더 고정된 트레이스를 위해 트리거(trigger) 기능을 사용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다음 트레이스를 그리도록 하여 시간축의 동기를 다시 맞추고 트레이스의 수평 위치 변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오실로스코프는 싱크로스코프(synchronoscope)라고도 불린다.
대부분의 최신 오실로스코프는 여러 개의 전압 입력을 가지고 있어, 하나의 변하는 전압을 다른 전압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다이오드와 같은 부품의 I-V 곡선(전류 대 전압 특성)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데 유용하며, 리사주 그림을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12] X-Y 모드는 오실로스코프가 벡터 모니터 역할을 하게 하며, 테니스 포 투와 같은 초기 게임에서 출력 장치로 사용되었다.
4. 2. 추가 기능
오실로스코프는 기본적인 측정 기능 외에도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신호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트리거: 트리거는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 스윕(sweep)을 시작하여 안정적인 파형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트리거 기능을 통해 사인파 및 구형파와 같은 주기적인 신호뿐만 아니라 단일 펄스 또는 고정된 속도로 반복되지 않는 펄스와 같은 비주기적 신호도 표시할 수 있다.[1] 트리거는 각 스윕 후에 자동으로 다시 시작되도록 설정하거나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응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트리거 이벤트는 일반적으로 입력 파형이 지정된 방향(양수 또는 음수)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임계 전압(트리거 레벨)에 도달하는 것이다.
- 외부 트리거: 외부 소스의 펄스를 전용 입력 단자에 입력한다.
- 에지 트리거: 입력 신호가 정해진 방향에서 정해진 임계 전압을 넘었을 때, 에지 검출기가 펄스를 생성한다.
- 비디오 트리거: PAL이나 NTSC와 같은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펄스를 추출하여 모든 라인 또는 특정 라인, 모든 필드, 모든 프레임 중 하나에 의해 시간축 트리거를 건다. 이러한 회로는 파형 모니터 장비에서 볼 수 있다.
- 지연 트리거: 에지 트리거로부터 스위핑(주사)을 시작할 때까지 특정 시간 대기한다. 순간적으로 동작하는 트리거 회로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대부분 어떤 종류의 지연이 포함되지만, 트리거 지연 회로는 이 지연을 값이 알려진 조절 가능한 간격으로 연장한다.
- 커서: 커서는 화면상의 두 지점 간의 시간 간격이나 전압 차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선이다.[16][17] 몇몇 구형 오실로스코프는 단순히 이동 가능한 위치에서 트레이스를 밝게 하는 방식으로 커서 기능을 제공했다.
- X-Y 모드: 많은 오실로스코프는 시간축 발생기 대신 외부 신호를 수평축 증폭기에 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은 '''X-Y 모드'''라고 불리며, 두 신호의 위상 관계를 보는 데 유용하다. 두 신호가 다양한 주파수와 위상의 정현파일 때, 표시되는 도형을 리사주 도형이라고 한다.
- 듀얼 타임베이스: '''듀얼 타임베이스''' 오실로스코프는 2개의 트리거 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2개의 신호를 별도의 시간축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확대」 모드로도 알려져 있다. 적절한 트리거 설정으로 복잡한 신호를 볼 때, 「확대」「줌」「듀얼 타임베이스」를 유효하게 하여 복잡한 신호의 세부 사항을 보기 위해 창을 움직일 수 있다.
- 스토리지 스코프: 사용자가 보고 싶어하는 현상이 가끔밖에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포착하기 위해, 화면의 마지막 스위핑(주사)을 남기는 '''스토리지 스코프'''라는 오실로스코프가 있다.
- 자동 측정: 현대 오실로스코프는 대부분 디지털 신호 샘플링을 사용하며, 빠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샘플을 얻고, 그 후 모든 신호 처리(및 저장)는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롤 모드: 어떤 종류의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스위핑 시간을 1시간마다 등으로 느리게 할 수 있으며, 차트 레코더의 대용이 된다. 이 경우, 신호는 화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크롤한다. 롤 모드 표시 등이라고 불린다.
4. 3. 전면 패널 컨트롤
초점 조절 장치는 CRT의 초점을 조정하여 가장 선명한 트레이스를 얻는 데 사용된다. 평판 디스플레이에는 필요하지 않다. 밝기 조절 장치는 트레이스의 밝기를 조절한다. CRT 오실로스코프의 느린 트레이스는 밝기가 덜 필요하고, 빠른 트레이스는 더 많은 밝기가 필요하다. 빔 파인더는 트레이스가 화면 밖으로 벗어났을 때, 보이는 위치로 복원하는 기능이다. 활성화되는 동안 트레이스를 왜곡하기도 한다.눈금(graticule)은 전압 및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 격자이다. 일반적으로 1cm 격자로 구성되며, 중앙의 수직 및 수평 축에는 더 가는 눈금이 표시된다. 파형과 격자 눈금을 비교하여 전압(수직 축)과 시간(수평 축)을 측정할 수 있다. 주파수는 파형 주기를 측정하고 그 역수를 계산하여 결정한다. 구형 및 저가형 CRT 오실로스코프의 눈금은 빛을 확산시키는 표시와 눈금 가장자리에 숨겨진 램프가 있는 플라스틱 시트로 구성되며, 램프 밝기 조절 기능이 있었다. 고가의 기기는 시차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CRT 내부 표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확산 표시가 있는 조정 가능한 가장자리 조명이 있었다.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신호와 같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에 눈금 표시를 생성한다. 외부 눈금은 CRT의 유리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내부 눈금이 있는 일부 CRT 오실로스코프는 신호 대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시가 없는 색조가 든 플라스틱 광학 필터를 사용하며, CRT 전면판을 보호한다. 눈금을 사용한 측정의 정확도와 분해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더 우수한 기기에는 신호에 이동 가능한 밝은 마커가 있어, 내부 회로가 더욱 정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시간축 컨트롤은 CRT의 점이 트레이스를 생성할 때 수평 속도, 즉 스윕(sweep) 속도를 선택한다. 스윕 속도는 일반적으로 구분당 시간 단위로 보정되며, 초에서 피코초까지 매우 넓은 범위가 제공된다. 연속 가변 제어 장치는 보정되지 않은 속도를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보정된 속도보다 느리다. 고급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에는 홀드오프(Holdoff) 제어 기능이 있는데, 이는 트리거 이후 스윕 회로가 다시 트리거될 수 없는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이다. 이는 반복적인 이벤트의 안정적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수직축 컨트롤은 수직 감도, 커플링, 극성 등을 선택하고 조정한다. 수직 감도는 입력 진폭을 수용하기 위해 보정된 감도를 선택하며, 보정 선택기 노브 앞의 조절 장치는 제한된 범위에서 연속 가변 감도를 제공한다. 입력 커플링 스위치는 "AC" 위치에서 입력과 직렬로 커패시터를 연결하여 저주파 신호와 DC를 차단한다. "DC" 커플링은 커패시터를 우회한다. 대부분의 오실로스코프는 DC 입력 옵션을 제공한다. 많은 오실로스코프에는 입력을 분리하고 접지하는 "GND" 스위치 위치가 있다. 극성 선택기는 양의 신호가 트레이스를 위로 이동시키거나, "반전" 옵션을 통해 아래로 편향시킨다. 수직 위치 조절 장치는 표시된 전체 트레이스를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수평 위치 조절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트레이스의 왼쪽 끝을 눈금의 왼쪽 가장자리에 맞추거나, 필요에 따라 전체 트레이스를 이동할 수 있다.

듀얼 트레이스 컨트롤은 두 채널을 동시에 표시하거나, X-Y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각 입력 채널에는 자체 감도, 결합 및 위치 제어 장치가 있지만, 일부 4트레이스 오실로스코프에는 3번째 및 4번째 채널에 대한 최소한의 제어 장치만 있다. 모드 스위치는 각 채널만, 두 채널 모두, 또는 X-Y 디스플레이를 선택한다. 채널 전환은 자유 실행(비동기)이거나 연속 스윕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연 스위프 컨트롤은 주 스윕의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데 사용된다. 보정되고 가변적인 지연 스위프 타임베이스에 대한 컨트롤을 포함한다. 가장 느린 속도는 가장 느린 주 스위프 속도보다 몇 단계 빠르다. 보정된 다회전 지연 시간 컨트롤은 넓은 범위와 고해상도 지연 설정을 제공한다. 스위치는 주 스위프만, 밝아진 영역 표시, 지연 스위프만, 또는 조합 모드 등 표시 모드를 선택한다. 우수한 CRT 오실로스코프에는 지연 스위프 강도 컨트롤이 포함되어 있어, 더 어두운 트레이스를 허용한다.
스위프 트리거 컨트롤은 트리거 소스, 모드, 레벨 등을 선택하고 조정한다. 트리거 소스는 외부 입력, 수직 채널 중 하나 또는 AC 라인(주전원) 주파수일 수 있다. 자동 트리거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거나, 단일 스윕을 선택할 수 있다. 트리거 레벨 제어는 트리거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전압을 변경하고, 슬로프 스위치는 양의 또는 음의 극성을 선택한다. 트리거 스윕(Triggered sweep)은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사건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리거 스윕은 신호의 선택된 지점에서 시작하여 안정적인 표시를 제공한다. 트리거링을 통해 주기적 신호뿐만 아니라 비주기적 신호도 표시할 수 있다. 트리거 이벤트는 일반적으로 입력 파형이 사용자가 지정한 임계 전압(트리거 레벨)에 도달하는 것이다. 트리거 홀드오프(Trigger Holdoff)는 트리거 이후 특정 기간 동안 스윕(sweep)이 다시 트리거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이다.
5. 신호 처리 방식
프로브로 입력된 전자신호는 화면 표시를 위해 처리를 해야 한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입력부터 신호 표시 전과정을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비해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디지털화 하여 LCD에 표시한다. 아날로그 방식은 장비의 크기, 신호 저장, 유연성 등에서 디지털 방식에 비해 불리하다. 디지털 방식은 디지털화 하면서 신호의 미세한 부분에서 신호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고속의 신호인 경우 에일리어싱(aliasing: 컴퓨터 그래픽에서 해상도의 한계로 선 등이 우툴두툴하게 되는 현상.)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29]
=== 아날로그 방식 ===
프로브로 입력된 전자 신호는 화면 표시를 위해 아날로그 회로를 통해 처리된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입력부터 신호 표시 전 과정을 아날로그 회로로 제어한다. 초기 오실로스코프의 신호 표시는 CRT을 사용하였다.[29]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LCD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장비 크기, 신호 저장, 유연성 등에서 유리하지만, 디지털화 과정에서 신호 모양이 변형되거나 고속 신호의 경우 에일리어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29]
CRT 그림의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는 가속되고, 편향 전극의 전압 크기에 따라 힘을 받아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 X축으로는 시간에 따른 스캔을, Y축으로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신호의 모양을 표시한다.
=== 디지털 방식 ===
프로브로 입력된 전자 신호는 화면 표시를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ADC)를 거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처리 과정을 거쳐 LCD에 표시된다.[29]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장비의 크기, 신호 저장, 유연성 등에서 유리하다.[29] 현대 오실로스코프는 대부분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며,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방식으로 화면 표시 정보를 메모리에 담고 각 픽셀별로 표시한다.
디지털 방식은 신호의 미세한 부분에서 신호 모양이 변형될 수 있으며, 고속 신호의 경우 앨리어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29]
5. 1. 아날로그 방식
프로브로 입력된 전자 신호는 화면 표시를 위해 아날로그 회로를 통해 처리된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입력부터 신호 표시 전 과정을 아날로그 회로로 제어한다. 초기 오실로스코프의 신호 표시는 CRT을 사용하였다.[29]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LCD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장비 크기, 신호 저장, 유연성 등에서 유리하지만, 디지털화 과정에서 신호 모양이 변형되거나 고속 신호의 경우 에일리어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29]CRT 그림의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는 가속되고, 편향 전극의 전압 크기에 따라 힘을 받아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 X축으로는 시간에 따른 스캔을, Y축으로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신호의 모양을 표시한다.
5. 2. 디지털 방식
프로브로 입력된 전자 신호는 화면 표시를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ADC)를 거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처리 과정을 거쳐 LCD에 표시된다.[29]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장비의 크기, 신호 저장, 유연성 등에서 유리하다.[29] 현대 오실로스코프는 대부분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며,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방식으로 화면 표시 정보를 메모리에 담고 각 픽셀별로 표시한다.디지털 방식은 신호의 미세한 부분에서 신호 모양이 변형될 수 있으며, 고속 신호의 경우 앨리어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29]
6. 프로브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는 오실로스코프와 측정 대상 회로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신호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수한 설계가 적용된다.[7] 개방형 와이어 테스트 리드(플라잉 리드)는 간섭에 취약하고 높은 인덕턴스로 인해 저레벨 신호나 고주파 측정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저레벨 신호 측정에는 주로 차폐 케이블(동축 케이블)이 사용된다. 동축 케이블은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지만, 일반적인 50옴 케이블은 미터당 약 90pF의 높은 정전용량을 가진다.[7]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감쇠 프로브(예: 10× 프로브)가 사용된다.[7] 일반적인 프로브는 케이블 정전용량 및 오실로스코프 입력과 함께 RC 보상 분할기를 형성하기 위해 저값 커패시터로 션트된 9메가옴 직렬 저항을 사용한다. RC 시간 상수는 조정되어 주파수에 독립적인 감쇠를 제공한다. 저주파에서는 저항 분할기처럼, 고주파에서는 정전용량 분할기처럼 동작한다.[7]
현대의 오실로스코프 프로브는 손실이 적은 저정전용량 전송선과 정교한 주파수 성형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수백 메가헤르츠에서도 잘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9][10] 10:1 감쇠 프로브가 가장 일반적이며, 큰 신호의 경우 100:1 프로브도 사용될 수 있다. 일부 프로브는 10:1 또는 1:1 비율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지만, 1:1 설정은 프로브 팁에 상당한 정전용량(수십 pF)을 갖는다.
대부분의 오실로스코프는 프로브 감쇠 계수를 제공하여 프로브 팁에서의 유효 감도를 표시한다. 일부 자동 감지 회로는 프로브 커넥터의 추가 접점을 통해 감쇠를 정의하기도 한다. 그러나 프로브 마모 및 제조업체 간 호환성 문제로 인해 자동 감지 스케일링은 완벽하지 않으며, 수동 설정 시 사용자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특수 고전압 프로브는 오실로스코프 입력과 보상 감쇠기를 형성하며, 최대 수십 kV까지 측정 가능하다. 안전을 위해 장벽 디스크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정 지점에 닿지 않도록 보호한다.
전류 측정을 위한 전류 프로브도 있다. 전류 프로브는 검사할 도체를 둘러싸는 코어가 있으며, 코어 주위에 감긴 코일은 적절한 부하에 전류를 제공하고, 그 부하의 전압은 전류에 비례한다. 이 유형의 프로브는 AC만 감지한다. 보다 정교한 프로브는 자기 플럭스 센서(홀 효과 센서)를 포함하여 DC까지 저주파 부분의 전류 파형을 제공한다.
7. 활용 분야
오실로스코프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중요한 장비이다.
전자 장비 고장 진단: 오실로스코프는 전자 장비의 고장을 진단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된다. 회로의 신호를 추적하여 고장 부위를 찾는데, 예를 들어 전압계에서 예상치 못한 전압이 나타날 경우,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회로의 진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별(예: 전자 믹서, 전자 발진기, 증폭기) 연결을 확인하고, 예상되는 신호가 없거나 잘못된 경우 이전 단계의 문제를 진단한다. 결함 부품을 교체하여 장비를 수리하거나, 다음 고장을 격리할 수 있다.
회로 설계 검증: 새로 설계된 회로의 동작을 확인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도 오실로스코프가 활용된다. 설계 오류, 잘못된 전압 레벨, 전기적 잡음 등으로 인한 오작동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디지털 전자 장치의 경우 클럭 신호와 테스트 신호를 동시에 보여주는 이중 트레이스 오실로스코프가 유용하다.
신호 분석: 오실로스코프는 전압, 시간 간격, 주파수, 위상차[30] 등 다양한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자동차 정비: 1970년대 점화 시스템 분석에 처음 등장한 자동차 오실로스코프는 현재 전자식 엔진 관리 시스템, 브레이크 및 주행 안정 시스템의 센서 및 출력 신호를 테스트하는 데 중요한 정비 장비로 활용되고 있다. 일부 오실로스코프는 CAN 버스와 같은 직렬 버스 메시지를 디코딩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자동차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오실로스코프를 활용한 자동차 정비 기술 발전을 지지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오실로스코프는 실시간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성능 분석 및 최적화에 활용된다.[18]
교육 및 연구: 오실로스코프는 전자 공학 및 관련 분야의 교육 및 연구에도 활용된다.
8. 관련 기기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많은 계측기는 특정 응용 분야에 맞춰 입력, 보정, 제어, 디스플레이 보정 등이 특수화되고 최적화된 오실로스코프이다. 이러한 오실로스코프 기반 계측기의 예로는 파형 모니터가 있다. 자동차 수리에서는 점화 분석기가 각 실린더의 스파크 파형을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다른 계측기는 측정 결과를 반복적인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오실로스코프를 디스플레이 요소로 통합한다. 이러한 복잡한 측정 시스템에는 스펙트럼 분석기, 시간 영역 반사계(TDR)가 포함된다.
참조
[1]
논문
Digital and Analogue Instrumentation: Testing and Measurement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2]
웹아카이브
How the Cathode Ray Oscillograph Is Used in Radio Servicing
http://www.cfp-radio[...]
National Radio Institute
1943
[3]
웹사이트
Cathode-Ray Oscillograph 274A Equipment DuMont Labs, Allen B
http://www.radiomuse[...]
Radiomuseum.org
2014-03-15
[4]
서적
Advances in electronics and electron physics
Academic Press
[5]
문서
Tektronix documentation
[6]
문서
Probes and Input Impedance
[7]
논문
Wedlock and Roberge (1969)
[8]
논문
Kobbe and Polits (1959)
[9]
문서
Tektronix documentation
[10]
논문
Zeidlhack and White (1970)
[11]
웹사이트
Oscilloscope Trigger Holdoff Tutorial
http://www.eevblog.c[...]
EEVblog
2012-12-30
[12]
웹사이트
'Tennis for Two', the World's First Graphical Videogame
https://gizmodo.com/[...]
Gizmodo
2008-11-08
[13]
서적
The Measurement, Instrumentation and Sensors Handbook
Springer
[14]
서적
Principles of modern Instrumentation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and Winston
[15]
웹사이트
Equivalent Time Sampling Oscilloscope vs. Real-Time Oscilloscope
http://literature.cd[...]
2015-03-20
[16]
서적
Oscilloscopes
https://books.google[...]
Newnes
2001
[17]
서적
Oscilloscopes: A Manual for Students, Engineers, and Scientist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20
[18]
논문
13th Annual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and Workshop on Engineering of Computer-Based Systems (ECBS'06)
[19]
간행물
The alias theorems: practical undersampling for expert engineers
http://www.edn.com/d[...]
2001-06-21
[20]
논문
Digital and Analogue Instrumentation: Testing and Measurement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21]
문서
오실로스코프 브라운관의 크기와 형태
[22]
문서
학교용 오실로스코프
[23]
문서
트레이스 로테이션 기능
[24]
문서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표시 데이터 비율
[25]
문서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파형 취득 속도
[26]
문서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샘플링 레이트와 유효 주파수 대역폭
[27]
간행물
합점! オシロスコープ入門
CQ出版
2009-02
[28]
문서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 조정
[29]
웹인용
Digital data acquisition
http://www.tiepie.co[...]
TiePie engineering
[30]
문서
함수, 방정식, 포물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