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미 라이언 (189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미 라이언 (1893년)은 아일랜드 출신의 군인, 정치인이다. 아일랜드 육군에서 복무하며 제1차 세계 대전과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준장으로 예편했다.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아일랜드 대통령 비서실에서 국방 관련 업무를 수행했으며, 1945년 이후에는 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에서 활동했다. 1948년 아일랜드로 귀국하여 더블린에 정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장군 - 마이클 콜린스 (정치인)
    마이클 콜린스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지도자이자 아일랜드 자유국의 장관로서, 뛰어난 조직력과 전략적 사고로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으나, 아일랜드 내전 중 암살당했다.
  • 아일랜드의 장군 - 패트릭 피어스
    패트릭 피어스는 아일랜드의 시인이자 작가, 교육자, 정치 활동가이며 아일랜드 독립운동의 지도자로서 아일랜드어 부흥 운동과 자치 운동에 헌신, 1916년 부활절 봉기에서 아일랜드 공화국 잠정정부의 대통령을 역임했지만 봉기 실패 후 처형당해 아일랜드 독립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아일랜드의 외교관 - 토머스 라이언 (1870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나 중국, 하와이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에 정착한 토머스 라이언(1870년)은 오스트레일리아 정계에서 활동하며 총리 비서관을 지냈고, 후에 아일랜드에서 국빈급 환영을 받는 등 다채로운 국제적 삶을 살았다.
  • 아일랜드의 외교관 -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패트릭 제임스 맥글린치 신부는 아일랜드계 미국인 로마 가톨릭 사제로 50년 이상 제주도에서 봉사하며 한림수직 설립, 한림여자상업고등학교 설립, 성 이시돌 목장 설립 등을 통해 제주도민의 경제적 자립과 교육 기회 확장에 기여했고, 특히 축산업 발전에 공헌하여 '돼지 신부'라는 별명을 얻으며 대한민국 명예 국민이 되고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훈받았다.
토미 라이언 (189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토미 라이언
원래 이름羅珦栯
로마자 표기Ra Hyang-yuk
영어 이름Tommy Ryan
영어 이름 (다른 표기)Johns Kissum
영어 이름 (또 다른 표기)Thomas Ryan
출생일1893년 1월 23일
출생지영국 식민지 아일랜드 티퍼레리 주 터브리드
사망일1980년 2월 29일
사망지아일랜드 더블린
종교성공회 → 가톨릭(세례명: 사도 요한)
형제형 2명, 누나 1명, 누이동생 1명, 남동생 1명
자녀슬하 3남 2녀
거주지아일랜드 더블린
웹사이트"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1"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2"
친인척조카 토머스 대니얼 라이언(Thomas Daniel Ryan, 1907.5.26.~1971.11.20.)한국어 이름은 나도마(羅道馬)참고로 여담이지만 그의 친조카(첫째 친형의 슬하 2남 4녀 중 둘째아들)인 토머스 대니얼 라이언(Thomas Daniel Ryan, 한국어 이름은 나도마(羅道馬))은 1907년 5월 26일 아일랜드 메이요 주 크로스 오모라이나에서 출생한 대한 독립 유공자인데 1939년 일제 강점기 조선국 전라남도 제주를 내방(來訪)하던 시절 1939년에서 1941년까지 전라남도 제주군 소재 서귀포 천주교회 신부로 재직하면서 주민들에게 항일 의식을 고취하다가 1942년 전라남도 제주군 성산 땅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1942년 10월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1944년에 만기출감한 전력이 있는데 1948년 3월 2일을 기하여 대한민국을 떠나 아일랜드로 귀국한 이후 1971년 11월 20일을 기하여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향년 64세로 별세하였고 사후 대한제국 독립 유공 전력을 인정받아 1999년 3월 1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 이이다.
경력
직책아일랜드 대통령 비서실 국방과학개혁특보비서관
임기 시작1940년 9월 22일
임기 종료1941년 2월 26일
소속 정당무소속
대통령더글러스 하이드
직책 (2)아일랜드 대통령 비서실 국방내무행정분과비서관
임기 시작 (2)1941년 2월 26일
임기 종료 (2)1944년 5월 31일
군사 경력
군 복무아일랜드 국방연합군
복무 기간1912년 ~ 1940년
계급아일랜드 육군 준장
지휘연대장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아일랜드 독립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학력
학력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1929년)

2. 생애

토미 라이언은 영국 식민지 시대 아일랜드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보냈다. 1912년부터 1940년까지 아일랜드 육군에서 복무하며 제1차 세계 대전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하였다. 군 예편 후 아일랜드 정부에서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는 미군정 시기 대한민국과 인연을 맺기도 했다. 그는 한국에서 활동하며 Johns Kissum|존스 키섬eng이라는 영어 이름과 나향욱(羅珦栯)이라는 한국어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2. 1. 어린 시절

영국 식민지 시대 아일랜드 티퍼레리 주 터브리드에서 태어났다. 유아기에는 영국 잉글랜드 런던에서 잠시 지냈고, 이후 영국 식민지 시대 아일랜드 메이요 주 크로스 오모라이나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원래 이름은 '''토머스 라이언'''(Thomas Ryan)이었으나, 1898년 '''토미 라이언'''(Tommy Ryan)으로 개명하였다.

2. 2. 군 복무 (1912년 ~ 1940년)

그는 1912년부터 1940년까지 아일랜드 육군 군관으로 복무했다.

2. 3. 정치 경력 (1940년 ~ 1948년)

제1차 세계 대전과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중 아일랜드 정부(더글러스 하이드 정권)의 요구로 1940년 아일랜드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1940년부터 1941년까지 아일랜드 대통령 비서실 예하 국방과학개혁특보비서관 직책을 맡았다. 이후 1941년부터 1944년까지 3년 3개월간 하이드 아일랜드 대통령의 국방내무행정분과비서관으로 일했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과도 관계를 맺고 있던 그는 1948년 1월 8일 이후 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 서울 미군정청에서 '''존스 키섬'''(Johns Kissum)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한 달 뒤인 1948년 2월 15일에는 남조선 과도정부 서울 미군정청을 방문했을 때 '''나향욱'''(羅珦栯)이라는 한국어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당시 서울에 남아 있던 조카 토머스 대니얼 라이언(Thomas Daniel Ryan)과 함께 1948년 3월 2일 대한민국을 떠나 그 해 3월 중순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에 도착하여 정착했다.

2. 4. 대한민국 관련 활동 (1945년 ~ 1948년)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과의 친분을 바탕으로 활동하였다. 1948년 1월 8일 이후 미군정 남조선과도정부 서울 미군정청에서 활동하면서 '''존스 키섬'''(Johns Kissum영어)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한 달 뒤인 1948년 2월 15일에는 남조선 과도정부 서울 미군정청을 예방하면서 '''나향욱'''(羅珦栯)이라는 한국어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후 당시 서울에 남아 있던 조카 토머스 대니얼 라이언(Thomas Daniel Ryan영어)과 함께 1948년 3월 2일 대한민국을 떠나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으로 출국하였고, 그곳에 정착하였다.

참조

[1] 간행물 One Man's Flying Column 2 County Tipperary Historical Society 1992
[2] 문서 한국어 이름은 나도마(羅道馬)
[3] 문서 참고로 여담이지만 그의 친조카(첫째 친형의 슬하 2남 4녀 중 둘째아들)인 토머스 대니얼 라이언(Thomas Daniel Ryan, 한국어 이름은 나도마(羅道馬))은 1907년 5월 26일 아일랜드 메이요 주 크로스 오모라이나에서 출생한 대한 독립 유공자인데 1939년 일제 강점기 조선국 전라남도 제주를 내방(來訪)하던 시절 1939년에서 1941년까지 전라남도 제주군 소재 서귀포 천주교회 신부로 재직하면서 주민들에게 항일 의식을 고취하다가 1942년 전라남도 제주군 성산 땅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1942년 10월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1944년에 만기출감한 전력이 있는데 1948년 3월 2일을 기하여 대한민국을 떠나 아일랜드로 귀국한 이후 1971년 11월 20일을 기하여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향년 64세로 별세하였고 사후 대한제국 독립 유공 전력을 인정받아 1999년 3월 1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 이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