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전은 제순 시대부터 당 현종 시기까지의 법령, 제도, 정치의 요체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책이다. 특히 당나라 시기에 대한 상세한 서술이 특징이다. 9전 20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화전, 선거전, 직관전, 예전, 악전, 병전, 형법전, 주군전, 변방전으로 분류된다. 당나라의 두우가 편찬했으며, 전제체 정서 형식을 확립하여 후대 정서 편찬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십통 - 문헌통고
    문헌통고는 마단린이 편찬한 중국의 백과전서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제도와 문물을 24개의 고로 나누어 상세히 다루어 역대 중국의 정치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조선 시대에는 국가 운영의 참고 자료로 활용되었다.
  • 십통 - 통지 (책)
    통지는 남송 시대 정초가 편찬한 백과사전적 역사서로, 통전의 뒤를 이어 삼통 중 두 번째로 편찬되었으며, 씨족, 육서, 천문, 지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20개의 략이 핵심 내용이다.
  • 중국 고전 전적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중국 고전 전적 - 관자
    《관자》는 관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고대 중국의 문헌으로, 법가, 유교, 도가 사상이 혼합된 황로 사상을 표현하며 경제 및 금융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통전
기본 정보
통전 《조문관총서》본
통전 《조문관총서》본
저자두우
국가당나라
언어한문
주제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발간801년
내용
분류정치제도, 경제, 군사, 의례, 음악, 지리, 관직, 민족, 국방
구성식화 (食貨)
선거 (選擧)
직관 (職官)
예 (禮)
악 (樂)
병 (兵)
형 (刑)
주군 (州郡)
변방 (邊防)
권수200권
역사적 의의
의의중국 최초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등에 관한 백과사전
영향후대의 회요, 통지, 문헌통고 등 통고류 저술에 영향
기타
관련 항목회요
통지
문헌통고

2. 편찬 배경

제순유우씨(帝舜有虞氏) 시대부터 당(唐) 현종 시기까지의 법령, 제도, 정치의 주요 내용을 연대순으로 기록한 책이다. 특히 당대에 관한 서술이 상세하다. 전체 9전 200권으로 분류된다.

대종 대력 원년(766년)부터 덕종 정원 17년(801년)까지 30여 년에 걸쳐 편찬되었다.

3. 구성

제순유우씨(帝舜有虞氏) 시대부터 현종 시기까지의 법령 제도와 제도의 연혁, 그리고 정치의 대요(大要)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책으로, 총 200권 9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당대에 관한 서술이 상세하다.

분야권수
식화전(食貨典)12권
선거전(選擧典)6권
직관전(職官典)22권
예전(禮典)100권
악전(樂典)7권
병전(兵典)15권
형법전(刑法典)8권
주군전(州郡典)14권
변방전(邊防典)16권


3. 1. 식화전 (食貨典)

통전은 제순유우씨(帝舜有虞氏) 시대부터 현종 시기까지의 법령 제도와 제도의 연혁, 그리고 정치의 대요(大要)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책이다. 그중 식화전(食貨典)은 식량과 물품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총 1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1]

3. 2. 선거전 (選擧典)

제순유우씨(帝舜有虞氏) 시대부터 당(唐) 현종 시기까지의 선거와 등용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총 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당대에 관한 상세한 서술이 보여지고 있다.

3. 3. 직관전 (職官典)

통전은 황제와 유우씨() 시대부터 당의 현종의 천보 말기에 이르기까지의 법령 제도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당대에 관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직관전(職官典)은 관직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2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3. 4. 예전 (禮典)

제순유우씨(帝舜有虞氏) 시대부터 현종 시기까지의 의례(儀禮)에 관해 기록하고 있다. 통전의 9개 분야 중 하나이며, 총 10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1]

3. 5. 악전 (樂典)

황제와 유우씨() 시대부터 현종의 천보 말기에 이르기까지의 법령 제도 중 음악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악전은 총 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1]

3. 6. 병전 (兵典)

황제와 유우씨() 시대부터 당 현종의 천보 말기에 이르기까지의 군사 제도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당대에 관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병전은 1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3. 7. 형법전 (刑法典)

제순유우씨(帝舜有虞氏) 시대부터 당(唐) 현종 시기까지의 형법 관련 법령 제도와 제도의 연혁, 그리고 정치의 대요(大要)를 연대순으로 기록하고 있다. 형법전(刑法典)은 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3. 8. 주군전 (州郡典)

황제와 유우씨() 시대부터 당 현종의 천보 말기에 이르기까지의 법령 제도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당대에 관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주군전은 지방 행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총 1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1]

3. 9. 변방전 (邊防典)

황제와 유우씨() 시대부터 당나라 현종의 천보 말기에 이르기까지의 국경 방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당대에 관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변방전은 1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1]

4. 의의와 영향

通典중국어제순유우씨 시대부터 당나라 현종 시기까지의 법령 제도와 제도의 연혁, 그리고 정치의 대요(大要)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책이다. 특히 당대에 관한 상세한 서술이 돋보인다. 通典중국어은 9전 200권으로 분류된다.

분류권수
식화전(食貨典)12권
선거전(選舉典)6권
직관전(職官典)22권
예전(禮典)100권
악전(樂典)7권
병전(兵典)15권
형법전(刑法典)8권
주군전(州郡典)14권
변방전(邊防典)16권



通典중국어은 전제체의 정서 형식을 확립하여 후대의 정서 편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5. 한국사와의 관련성

통전은 제순유우씨의 시대에서부터 당나라 현종 시기까지의 법령 제도와 제도의 연혁, 그리고 정치의 대요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책이다. 특히 당대에 관한 서술이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통전은 9전 200권으로 분류된다.

참조

[1] 서적 100 Books That Influenced China
[2] 서적 Seeing Islam as Others Saw It
[3] 서적 Official History under the T'a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