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 월드 라디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랜스 월드 라디오(TWR)는 1952년 폴 프리드가 모로코에서 설립한 기독교 방송 단체이다. 괌, 보네르섬, 스리랑카, 키프로스, 에스와티니 등에 전송 사이트를 두고 방송해왔으며, 북한 주민과 탈북민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프로그램과 일본 복음화를 위한 일본어 프로그램을 제작, 송출했다. 괌 방송국 KTWR은 과거 일본어 종교 방송을 송출했으나, 경제적인 문제로 2007년 종료되었다가 DRM, 단파 방송을 통해 재개했으나, 2023년 태풍 피해로 송출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단파무선국 - 미국의 소리
미국의 소리는 1942년 미국 정부가 설립한 국제 방송으로, 나치 선전 대응과 냉전 시대 공산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다양한 언어와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뉴스와 정보를 제공하지만, 정치적 논란과 독립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미국의 단파무선국 - 자유아시아방송
자유아시아방송은 미국 국제미디어청의 지원을 받는 비영리 방송 기관으로, 언론 자유가 제한된 아시아 국가에 다양한 언어로 뉴스와 정보를 제공하며 일부 국가의 전파 방해와 보도 편향성 논란이 있다. - 기독교 라디오 방송국 - 북방선교방송
북방선교방송은 1995년 9월 개국한 단파 방송으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에 위치하여 다양한 시간대에 여러 단파 주파수로 방송을 송출한다. - 기독교 라디오 방송국 - 성경의 소리 방송
성경의 소리 방송은 2002년 영국과 캐나다의 기독교 단체가 공동 설립한 방송국으로, 이전 "Voice of Hope"의 후신이며 현재 40개 이상의 언어로 단파 및 인터넷 방송을 전 세계에 송출하고 있다. - 1952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호쿠리쿠 방송
호쿠리쿠 방송(MRO)은 호쿠리쿠 지방 최초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일본해 측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도 개국하는 등 지역 방송 역사를 이끌어왔으며, JNN, JRN, NRN에 가맹하여 이시카와현을 중심으로 지역 사회에 밀착한 보도 및 정보 제공에 힘쓰고 있지만, 과거 논란 속에서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1952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신에쓰 방송
신에쓰 방송(SBC)은 1951년 나가노현에서 시나노 방송으로 설립되어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을 제공하는 종합 민영 방송국으로, TBS의 JNN과 JRN, NRN에 가맹하여 뉴스,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을 제공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방송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트랜스 월드 라디오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복음주의 미디어 배급사 |
본사 | 캐리, 노스캐롤라이나주 |
설립일 | 1952년 |
설립자 | 파울 프리트 (Paul Freed) |
주요 인물 | 로렌 리비, 회장 |
서비스 제공 지역 | 190개국, 275개 언어 및 방언 |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 월드 라디오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TWR은 1952년 폴 프리드가 모로코에서 방송하여 스페인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설립한 단체이다.[1] 이후 TWR은 모나코로 이전했다. 괌(KTWG), 보네르섬,[1] 스리랑카, 키프로스, 에스와티니 (스와질란드) 등지에 주요 전송 시설을 갖추고 있다.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는 괌 전송 시설에 KTWR, 보네르섬 방송국에는 PJB라는 호출 부호를 할당했다. 괌 방송국 (KTWR)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괌 방송국 (KTWR)
괌에 있는 괌 방송국 '''KTWR'''에서 태평양 방송 협회가 제작한 '''태평양의 소리'''라는 종교 방송이 일본을 대상으로 방송되었다(태평양의 소리는 일본어 방송 고유의 명칭으로, 그 외에는 "KTWR" 혹은 "트랜스 월드 라디오 괌"이라는 정식 명칭으로 안내되었다). 그러나 2007년 3월 24일 밤 특별 방송을 마지막으로, 경제적인 문제 등을 이유로 '''일본어 방송이 종료되었다'''.[1] 2006년 12월 28일 방송된 "컴컴 코코넛"에서 처음 발표되었다. 일부 프로그램은 인터넷이나 중파 라디오 방송국에서 계속 방송된다.이후 KTWR의 요청에 따라 2014년 3월 30일부터 9월 28일까지 6개월 동안 DRM(일본에서는 미인가)을 사용한 시험 방송으로 일본어 방송을 재개했다. 처음에는 기간 한정 시험 방송이었으나, 청취자들의 일본어 방송 지속 요청과 DRM이 일본에서 미인가 상태이며, 새로운 일본어 방송 운영 주체인 [http://friendshipradio.net/ktwr.htm KTWR 프렌드십 라디오]의 예산 부담 문제로 인해, 2014년 11월 2일부터 기존 단파 방송으로 일본어 방송을 재개했다. 매주 일요일 UTC|12:15-12:45영어 (JST|21:15-21:45일본어)에 7500kHz로 방송되었다.(개시 초기에는 9975kHz 사용) 2017년 11월 4일부터는 "Leading the Way"라는 프로그램명으로 매주 토요일 JST|20:30-21:00일본어에 9910kHz로 방송을 재개했다. 이후 방송 시간과 주파수는 매주 일요일 JST|21:15-21:45일본어, 9380kHz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2023년 태풍 2호로 송신소가 피해를 입어 현재는 송출이 중단된 상태이다.
- "KTWR 프렌드십 라디오" (일본어 방송) 방송 시간 및 주파수 (2022년 12월 4일 기준)
방송 시간(JST일본어) | 주파수 |
---|---|
21:15-21:45일본어 (매주 일요일) | 9975kHz |
3. 산하 지부
TWR은 1952년, 폴 프리드|Paul Freednl가 모로코에서 방송하여 스페인에 도달하기 위해 단체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TWR은 모나코로 이전했다. 다른 주요 전송 사이트로는 괌(KTWG), 보네르섬,[1] 스리랑카, 키프로스, 그리고 에스와티니(스와질란드)가 있다.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는 괌 전송 사이트에 호출 부호 KTWR을 할당했다. 호출 부호 PJB는 보네르섬 방송국에 할당되었다.
3. 1. 북방선교방송 (대한민국)
북방선교방송은 서울에 위치한 지부로, 북한 주민과 탈북민 등을 대상으로 한국어 프로그램을 제작한다.[1] 북한의 인권, 기독교 박해 현실을 알리고 탈북민들의 증언을 통해 북한의 실상을 폭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대북 포용 정책 기조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과 정보 접근권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
3. 2. TWR Japan (일본)
TWR Japan은 일본 복음화를 위해 설립된 사역으로, 지부 사무실은 싱가포르에 있으며, 일본 내 21개 FM 스테이션에서 일본어 프로그램을 전달하고 있다.[1]
4. 일본어 방송
과거 일본을 대상으로 괌에 있는 괌 방송국 '''KTWR'''에서 태평양 방송 협회가 제작한 '''태평양의 소리'''라는 종교 방송이 방송되었다. 이 방송은 일본어 방송 고유의 명칭이었으며, 그 외에는 "KTWR" 혹은 "트랜스 월드 라디오 괌"이라는 정식 명칭으로 불렸다. 그러나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2007년 3월 24일 특별 방송을 마지막으로 '''일본어 방송이 종료되었다'''.[1] 2006년 12월 28일 "컴컴 코코넛"에서 처음 발표되었으며, 일부 프로그램은 인터넷이나 중파 라디오 방송국에서 계속 방송되었다.
이후 KTWR의 요청으로 2014년 3월 30일부터 9월 28일까지 6개월 동안 DRM을 사용한 일본어 방송이 재개되었다. 이는 당초 기간 한정 시험 방송이었으나, 청취자들의 지속적인 요청과 DRM이 일본에서 미인가 상태였던 점, 그리고 새로운 일본어 방송 운영 주체인 [http://friendshipradio.net/ktwr.htm KTWR 프렌드십 라디오]의 예산 문제로 인해 2014년 11월 2일부터는 기존 단파 방송으로 일본어 방송을 매주 1회, 일요일 UTC12:15-12:45 (JST21:15-21:45)에 7500kHz로 방송하기 시작했다.[1] 초기에는 9975kHz를 사용했다.
2017년 11월 4일부터는 "Leading the Way"라는 프로그램이 매주 토요일 JST20:30-21:00에 9910kHz로 방송을 시작(재개)했다. 이후 방송 시간은 매주 일요일 JST21:15-21:45, 주파수는 9380kHz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2023년 태풍 2호로 송신소가 피해를 입어 당분간 방송이 중단되었다.
4. 1. 과거 주요 프로그램 (일본어 방송)
- 세상의 빛 시리즈
- 내일을 향한 창 (CRC 미디어 미니스트리)
- 포스트 애비뉴
- 컴컴 코코넛
- 생일 코너
- 치누짱의 토마토 클럽
- 목사의 서재에서
- 루터 아워 "마음에 빛을"
4. 2. 현재 방송 프로그램 (KTWR 프렌드십 라디오, 일본어 방송)
KTWR 프렌드십 라디오일본어(일본어 방송)는 2022년 12월 4일 기준으로 매주 일요일 21:15-21:45에 9975kHz로 방송되고 있다.방송 시간(JST) | 주파수 |
---|---|
21:15-21:45 (매주 일요일) | 9975kHz |
5. 기타
괌 방송국(KTWR)의 인터벌 시그널은 찬송가 453장 "들으라, 사랑의 말씀을"의 앞부분 멜로디를 사용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