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로아스는 고대 도시로, 오늘날 터키 북서부에 위치해 있다. 히타이트 기록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그리스 정착지가 번성했다.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페르가몬 왕국을 거쳐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비잔틴 제국 시대를 거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다. 신약성서에서 사도 바울이 방문한 곳으로 언급되며, 누가의 출생지로 추정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의 반도 - 아나톨리아
아나톨리아는 '동쪽'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다양한 문명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터키의 아시아 지역을 지칭하고, 풍부한 고고학 유적과 역사적, 문화적 다양성을 지닌 지역이다. - 튀르키예의 반도 - 겔리볼루반도
겔리볼루반도는 터키 유럽 지역에 위치한 반도로,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고대부터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제1차 세계 대전 격전지로서 현재 튀르키예 영토 내에 전쟁 묘지와 기념관이 있다. - 에게 문명 - 미노스 문명
미노스 문명은 기원전 7000년경부터 크레타 섬에서 발전한 청동기 문명으로, 궁전을 중심으로 농산물 저장, 가공, 재분배가 이루어졌으며, 상업과 다신교를 특징으로 하고, 1420년경 미케네 문명의 침략으로 쇠퇴했다. - 에게 문명 - 키클라데스 문명
키클라데스 문명은 기원전 4000년경 에게해의 키클라데스 제도에서 번성한 청동기 시대 문명으로, 미노아 문명보다 앞섰으며 순백의 대리석 여성 숭배상으로 유명하지만, 유물 약탈과 위조로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트로아드 - 트로이아
트로이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도시로, 터키 북서부의 히사를리크 유적지로 추정되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로 유명하고, 1870년 하인리히 슐리만의 발굴을 통해 실제 도시였음이 밝혀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트로아드 - 페다소스
페다소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소아시아 트로아드, 카리아, 펠로폰네소스를 포함한 여러 지역의 도시 이름이자 트로이 전쟁에 등장하는 트로이 전사와 아킬레우스의 명마 이름으로 사용된 명칭이다.
트로아스 | |
---|---|
개요 | |
위치 | 아나톨리아 북서부, 튀르키예 |
역사적 수도 | 트로이 (현재 튀르키예차나칼레 주히사를르리크) |
로마 속주 | 아시아 |
![]() | |
지명 | |
영어 | Troad (ˈtroʊˌæd, ˈtroʊəd) |
그리스어 | Τρωάδα (Troáda), Τρωάς (Troás), Τρωϊάς (Trōïás) |
로마자 표기 | Teuroaseu, Teuroada |
기타 | |
별칭 | 비가 반도 |
2. 역사
트로아스는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다양한 문명의 흥망성쇠를 겪었다.
트로아스는 히타이트 기록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와 고전기 그리스 시대에는 그리스 정착지가 번성하여 자체 화폐를 주조한 그리스 폴리스들이 많았다.[4]
이후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페르가몬 왕국의 지배를 거쳐 로마 공화국에 할양되었다. 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아시아 속주와 에게해 섬의 테마에 속했다.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에는 비가 산자크의 일부가 되었다.
2. 1. 히타이트 시대
트로아스는 히타이트 기록에서 '타루이사(Taruiša)'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2] 에밀 포러는 타루이사와 트로이의 동일성을 처음 제기했지만, 오랫동안 논쟁이 있었다. 1983년 후잉크 텐 케이트는 타루이사와 'Wiluša'(트로이)가 아나톨리아 북서부에 위치했음을 밝혀냈다.[3] 트레버 R. 브라이스는 1970년대 고고학 조사를 통해 트로이 기반의 강력한 왕국이 아나톨리아 북서부를 지배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2. 2. 페르시아-헬레니즘 시대
이 지역은 알렉산드로스 3세의 정복 이전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의 헬레스폰토스 프리지아 사트라피(주)의 일부였다.[4] 그 후 디아도코스 셀레우코스 제국으로 넘어갔으며, 로마의 동맹국인 페르가몬 왕국으로 넘어갔다. 페르가몬의 아탈루스 3세가 기원전 133년 사망하면서 트로아스 영토를 포함한 미시아를 로마 공화국에 할양했다.2. 3. 로마-비잔틴 시대
로마 제국 시대에 트로아스 영토는 아시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고, 나중에는 더 작은 미시아 속주인 헬레스폰투스의 일부가 되었다. 피오니아 (현재 아브즐라르)를 포함하여 주교구가 있을 정도로 중요했다.[4]비잔틴 제국 후기에는 에게해 섬의 ''테마''에 포함되었다.
2. 4.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 트로아스는 비가 산자크의 일부가 되었다.[2]3. 신약성서
신약성서에서는 트로아스를 사도행전의 저자인 누가와 바울과 관련된 장소로 언급하고 있다.
3. 1. 바울의 선교 여정
사도 바울과 실라는 갈라디아에서 마케도니아로 가는 여정 중에 처음으로 트로아스를 방문했다.[5] 바울은 또한 동료 전도자 디모데에게 그곳에 두고 온 겉옷을 가져오라고 에페소스에서 요청했는데,[6] 이는 약 500km의 여정이었다. 사도행전 16장과 사도행전 20장에서 이야기가 "그들"에서 "우리"로 바뀌는 것은 바울이 트로아스를 지날 때 누가와 합류했음을 시사한다.[7]루카 복음서 및 사도행전의 저자로 여겨지는 누가의 고향으로 트로아스가 거론되기도 한다. 그 근거는 루카가 『사도행전』에서 바울과 그의 여정을 3인칭으로 서술하다가, 트로아스에 도착하자 1인칭 복수형으로 바꾼 것이다. 『사도행전』의 "우리" 부분은 한 행이 트로아스로 돌아올 때까지 계속되며, 거기서 다시 3인칭으로 돌아간다. 이 변경은 행이 두 번째로 트로아스에 도착할 때 다시 일어난다. 『사도행전』의 세 개의 "우리" 부분은 모두 이 규칙을 따른다.[8] 그러나 루카 본인이 트로아스에 살았다고 쓰고 있지는 않다.
바울 자신도 트로아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9][10]
참조
[1]
기타
Iliad 12.18 ff
[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Publishers
2009
[3]
간행물
AHHIYAWANS AND MYCENAEANS – AN ANATOLIAN VIEWPOINT
http://www3.intersci[...]
2010-07-12
[4]
웹사이트
asiaminorcoins.com - Troas
http://www.asiaminor[...]
[5]
성경
Acts 16:8 and 2 Corinthians 2:12
[6]
성경
2 Timothy 4:13
[7]
성경
Acts 20:5
[8]
성경
『使徒列伝』16:8, 16:10, 16:19, 20:5
[9]
성경
『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二』2:12
[10]
성경
『テモテへの手紙二』4: 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