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다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다소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등장하는 이름으로, 트로이 전쟁 당시 트로이의 전사이자 아킬레우스의 빠른 말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트로이의 전사 페다소스는 부콜리온과 샘물의 요정 아바르바레에의 아들로, 쌍둥이 형제 아이세포스와 함께 에우리알로스에게 전사했다. 아킬레우스의 말 페다소스는 크산토스, 발리오스와 함께 아킬레우스의 전차를 끌었으나, 파트로클로스가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입고 전투에 나섰을 때 사르페돈의 창에 맞아 죽었다. 또한 페다소스는 소아시아의 여러 도시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중 트로아스의 페다소스는 아킬레우스에게 약탈당했고, 카리아에서는 페르시아 군대를 상대로 전투가 벌어졌으며, 펠로폰네소스의 메토네는 덩굴로 덮인 페다소스와 동일한 곳으로 여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로아드 - 트로이아
트로이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도시로, 터키 북서부의 히사를리크 유적지로 추정되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로 유명하고, 1870년 하인리히 슐리만의 발굴을 통해 실제 도시였음이 밝혀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트로아드 - 아소스
아소스는 기원전 1000년에서 900년 사이 아이올리아인들이 건설한 고대 도시로, 헤르미아스의 통치 아래 번성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아카데미,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해방, 스토아 철학자 클레안테스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 다양한 유적이 남아있다. - 신화의 장소 - 판테온
판테온은 본래 모든 신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다신교 사회의 신전이나 신들의 목록을 의미했으나, 르네상스 이후 종교적 의미를 벗어나 사회에 공헌한 위대한 인물들을 기리는 건축물 또는 그러한 인물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용어로 확장되었다. - 신화의 장소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 그리스 신화의 장소 - 칼케돈
칼케돈은 기원전 685년 메가라 식민지로 건설되어 무역으로 번성하고 여러 신전이 건설되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자유 도시의 지위를 얻었지만 여러 침입을 겪었고, 451년에는 칼케돈 공의회가 개최되었으며, 여러 순교자들과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한 고대 도시이다. - 그리스 신화의 장소 - 툴레
툴레는 고대 그리스 지리학자들이 언급한 북쪽의 미지의 섬 또는 지역으로, 극야와 백야 현상과 관련되어 묘사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브리타니아 북쪽,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등으로 여겨졌고, 신비주의적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 페다소스 | |
|---|---|
| 지리 정보 | |
| 기본 정보 | |
| 위치 | 고대 카리아 |
| 관련 민족 | 카리아인 |
| 신화 | |
| 관련 신화 | 벨레로폰 |
| 벨레로폰의 말 | 페가수스 |
| 역사 | |
| 관련 사건 | 벨레로폰의 키메라 퇴치 |
| 특징 | 벨레로폰의 말이 발굽으로 땅을 쳐서 샘이 솟아났다는 전설이 있음 |
| 기타 | |
| 중요도 | 고대 도시로서의 중요성은 높지 않음 |
2. 인명
- 페다소스는 트로이아 전쟁에 등장하는 이름으로, 다음 두 가지 경우가 있다.
| 이름 | 설명 |
|---|---|
| 트로이 전쟁의 영웅 | 트로이아의 전사. 부콜리온과 샘물의 요정 아바르바레아의 아들. 아이세포스와 쌍둥이 형제. 에우뤼알로스에게 전사.[1] |
| 아킬레우스의 말 | 아킬레우스가 에에티온을 죽이고 얻은 전리품으로, 빠른 발을 가진 말.[2] 크산토스, 발리오스와 함께 아킬레우스의 전차를 끄는 세 명마 중 하나였으나, 사르페돈이 던진 창에 맞아 죽음.[3][11][12] |
2. 1. 트로이 전쟁의 영웅
'''페다소스'''는 트로이아 전쟁 당시 트로이아의 전사였다. 그는 부콜리온과 샘물의 요정 아바르바레아의 아들이다. 아이세포스와 쌍둥이 형제였으며, 아버지 부콜리온은 트로이아의 왕 라오메돈의 서자였다. 이 두 형제는 트로이아 전쟁에서 트로이 군으로 참가했다가 둘 다 그리스의 장수 에우뤼알로스에게 전사했다.[1] (호메로스. ''일리아스'' 제6권 20행~28행)2. 2. 아킬레우스의 말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따르면, 페다소스는 아킬레우스가 에에티온을 죽이고 얻은 전리품으로, 빠른 발을 가진 말이었다.[2] 페다소스는 크산토스, 발리오스와 함께 아킬레우스의 전차를 끄는 세 명마 중 하나였다. 크산토스와 발리오스는 불사의 존재였지만, 페다소스는 그렇지 않았다.[11] 파트로클로스가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입고 사르페돈과 싸울 때, 사르페돈이 던진 창이 빗나가 페다소스를 맞혀 죽게 되었다.[3][12]3. 지명
'''페다소스'''는 소아시아에 있는 여러 지역의 이름이다. 트로아드의 페다소스는 사트니오에이스 강 근처에 있었으며, 렐레게스 부족이 살던 곳이다. 트로이아 전쟁 당시에는 아틀레스 왕이 다스렸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점령되었다.[9] 카리아와 메세니아에도 같은 이름의 도시가 있었다.
3. 1. 소아시아
'''페다소스'''는 소아시아의 지명으로, 트로아드와 카리아, 메세니아 지역에 같은 이름의 도시가 있었다. 트로아드 지역의 페다소스는 사트니오에이스 강 근처에 있었으며, 렐레게스라는 부족이 살고 있었다. 트로이아 전쟁 당시에는 아틀레스 왕이 다스렸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점령되었다.3. 1. 1. 트로아스
소아시아 트로아스의 사트니오에이스 강에 페다소스가 있었는데,[6] 이곳은 레게스족이 거주했다고 한다.[7] 트로이 전쟁 동안 이 페다소스는 알테스라는 왕이 통치했으며,[8] 아킬레우스에게 약탈당했다.[9]3. 1. 2. 카리아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카리아의 페다소스 전투(기원전 496년 여름)는 카리아인들이 페르시아 군대를 야간 매복 작전으로 전멸시킨 사건이다.[4] 이 전투는 이오니아 반란(기원전 499-494년) 중에 발생했다.3. 2. 그리스 본토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카리아의 페다소스 전투(기원전 496년 여름)는 카리아인들이 페르시아 군대를 전멸시킨 야간 매복 작전이었다.[4] 이 전투는 이오니아 반란(기원전 499-494년) 중에 발생했다.트로아스에는 사트니오에이스 강에 또 다른 페다소스가 있었는데,[6] 레게스족이 거주했다고 한다.[7] 트로이 전쟁 동안 이 페다소스는 알테스 왕이 통치했고,[8] 아킬레우스에게 약탈당했다.[9]
3. 2. 1. 메세니아
펠로폰네소스의 메토네는 덩굴로 덮인 페다소스와 동일한 곳으로 여겨지는데, 이곳은 아가멤논이 아킬레우스의 분노를 달래고 그를 트로이 공방전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그에게 제공한 일곱 개의 도시 중 하나였다.[5]참조
[1]
서적
Iliad
[2]
서적
Iliad
[3]
서적
Iliad
[4]
서적
5.121
[5]
서적
Iliad
[6]
서적
Iliad
[7]
서적
Iliad
[8]
서적
Iliad
[9]
서적
Iliad
[10]
서적
イーリアス
[11]
서적
イーリアス
[12]
서적
イーリア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