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는 106년에서 109년 사이에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가 건설한 기념물로,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마르스 울토르에게 헌정되었으며, 원통형 구조물과 로마 군인과 데체발루스의 동맹군 간의 전투를 묘사한 메토프, 조각상으로 장식되었다. 20세기까지 파괴되었으나 1977년에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루마니아 아담클리시 지역의 박물관에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
위치 | 루마니아, 콘스탄차 주, 아담클리시 근처 |
일반 정보 | |
기공 | 109년 |
완공 | 109년 |
의뢰인 | 트라야누스 황제 |
문화재 지정 | 루마니아의 역사적 기념물 |
건축 세부 정보 | |
높이 | 30 미터 |
재료 | 로마산 콘크리트, 석회암 |
스타일 | 로마 건축 |
역사적 맥락 | |
사건 | 다키아 전쟁에서의 로마의 승리 |
건설 목적 | 다키아에 대한 로마의 승리를 기리기 위해 |
기타 정보 | |
현재 상태 | 재건축됨 |
2. 역사적 배경
2. 1. 건립 배경
2. 2. 다키아 전쟁
3. 기념물의 구조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 기념물은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가 106년에서 109년 사이에 건설했다. 아우구스투스 영묘에서 영감을 받아 마르스 울토르에게 헌정되었다. 기단 위에 직경 40m의 원통형 구조물이 있고, 측면에는 로마 군인과 데체발루스의 동맹군 간의 전투를 묘사한 54개의 메토프가 있었다. 이 중 48개는 지역 박물관에, 1개는 이스탄불에 보관되어 있다. 부조는 프리즈로 구성되었고 장식적인 필라스터로 분리되었다. 상단에는 포로가 묘사된 27개의 성가퀴가 있었다. 석판으로 만들어진 원뿔형 지붕과 두 명의 여성과 손이 뒤로 묶인 남성으로 구성된 트로피가 있었다.
이 기념물은 새로 정복된 지역 외부 부족들에게 경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정된다.[2] 조각된 메토프는 "야만적인 지방 취향", "지방에서 훈련받은 조각가"의 작품, "인물 묘사, 유기적 구조에 대한 경험 부족과 고전적 흐름에서 벗어난 소박한 표현" 등으로 묘사되며, 트라야누스 황제 원주와 비교된다.[3]
20세기까지 돌과 모르타르 더미로 변했고, 부조는 흩어졌다. 현재 건물은 1977년에 재건된 것이다. 근처 박물관에는 원래 로마 기념물의 일부를 포함한 많은 고고학적 유물이 있다.
마르스 울토르(복수자)에게 바쳐진 기념물에는 큰 비문이 있었다. 비문은 트로피 육각형의 두 면에서 파편으로 보존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재구성되었다.
MARTI ULTOR[I]
IM[P(erator)CAES]AR DIVI
NERVA[E] F(ILIUS) N[E]RVA
TRA]IANUS [AUG(USTUS) GERM(ANICUS)]
DAC]I[CU]S PONT(IFEX) MAX(IMUS)
TRIB(UNICIA) POTEST(ATE) XIII
IMP(ERATOR) VI CO(N)S(UL) V P(ater) P(atriae)
?VICTO EXERC]ITU D[ACORUM]
?---- ET SARMATA]RUM
트라야누스를 ''게르마니쿠스''와 ''다키쿠스''로 칭하는 이 비문은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
마르스 울토르에게,
카이사르 황제, 신성한 네르바의 아들,
네르바 트라야누스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
''다키쿠스'', ''최고 제사장'',
13번째 민중 호민관,
[군대에 의해] 6번째 황제로 [선포됨],
5번째 집정관, 조국 아버지,
다키아인과 사르마티아인 군대를 정복했다...
기념물에는 54개의 메토프로 구성된 프리즈가 있었다. 이 중 48개는 근방의 아담클리시 박물관에 있고, 하나는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소실되었다. 기우레스쿠는 소실된 메토프 중 두 개는 부쿠레슈티로 수송 중에 다뉴브강에 빠졌다고 언급했다.[10]


3. 1. 트로파이온 (Trophy monument)
기념물에는 54개의 메토프로 구성된 프리즈가 있었다. 이 중 48개는 근방의 아담클리시 박물관에 있고, 하나는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소실되었다. 기우레스쿠는 소실된 메토프 중 두 개는 부쿠레슈티로 수송 중에 다뉴브강에 빠졌다고 언급했다.[4]
3. 1. 1. 메토프 (Metopes)
기념물에는 54개의 메토프로 구성된 프리즈가 있었다. 이 중 48개는 근방의 아담클리시 박물관에 있고, 하나는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소실되었다. 기우레스쿠는 소실된 메토프 중 두 개는 부쿠레슈티로 수송 중에 다뉴브강에 빠졌다고 언급했다.[13]3. 2. 헌정 비문
3. 3. 제단 (The altar)
102년에 세워진 이 제단은 "공화국을 위해 싸우다" 죽은 병사들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으며, 아마도 근처 아담클리시 전투에서 101–102년 겨울에 전사한 병사들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5] 제단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길이 12m, 높이 6m였다. 근처에서 비문이 새겨진 1.3 x 0.9m 크기의 조각들이 발견되었는데, 헌정문이 있었지만 황제의 이름은 보존되지 않았고, 약 4,000명의 병사 이름이 적혀 있었다.[5]기념된 병사들과 장군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이 제시되었는데, 여기에는 근처 어딘가에서 패배한 오피우스 사비누스의 병사들이 포함된다.[6] 코호트 II 바타보룸과 아마도 제15 아폴리나리스 군단의 언급, 그리고 기원전 1세기에 흔히 사용되는 ''미시치''(퇴역 군인 대신)라는 표현은 이 전쟁이 도미티아누스 시대, 아마도 M.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가 이끈 서기 86년의 원정으로 추정됨을 나타낸다.[7]
3. 4. 로마 장군의 묘 (The General's grave)
무덤은 제단이 세워진 직후인 102년에 건설되었으며, 아담클리시 전투에서 전사한 로마 장교, 아마도 옵피우스 사비누스의 무덤이 안치되어 있었다.
4. 고고학 연구 및 복원
1837년에, 오스만 제국에서 고용된 프로이센 장교 네 명이 최초의 발굴을 진행했다. 이 고문단은 하인리히 물바흐/Heinrich Muhlbachde,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피셔/Friedrich Leopold Fischerde, 카롤 빙케올벤도르프/Carol Wincke-Olbendorfde, 헬무트 폰 몰트케로 이뤄졌다. 이들은 터널을 파 기념비 가운데에 도달하려 했고, 가운데에 도착했지만 발견된 것은 없었다.[15]
본 대학교의 C. W. Wutzer가 이 기념비를 방문하기도 했는데, 그는 이 기념비에 관한 짧은 묘사 및 지역 전설들을 기록했다.[15]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는 1882–1895년 사이에 Grigore Tocilescu, O. Benford, G. Niemann이,[16] 1909년에는 George Murnu, 1911년에는 Vasile Parvan가 연구를 중단하기도 했으며, 1935–1945년 사이에는 Paul Nicorescu, 1945년에는 Gheorghe Stefan와 Ioan Barnea가 연구를 진행했다. 1968년부터 이 지역은 루마니아 학술원 관할하에서 연구가 이뤄졌다.[9]
4. 1. 초기 연구
1837년에, 오스만 제국에서 고용된 프로이센 장교 네 명이 최초의 발굴을 진행했다. 이 고문단은 하인리히 물바흐(Heinrich Muhlbach),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피셔(Friedrich Leopold Fischer), 카롤 빙케올벤도르프(Carol Wincke-Olbendorf), 헬무트 폰 몰트케로 이뤄졌다. 이들은 터널을 파 기념비 가운데에 도달하려 했고, 가운데에 도착했지만 발견된 것은 없었다.[15]본 대학교의 C. W. Wutzer가 이 기념비를 방문하기도 했는데, 그는 이 기념비에 관한 짧은 묘사 및 지역 전설들을 기록했다.[15]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는 1882–1895년 사이에 Grigore Tocilescu, O. Benford, G. Niemann이,[16] 1909년에는 George Murnu, 1911년에는 Vasile Parvan가 연구를 중단하기도 했으며,[8] 1935–1945년 사이에는 Paul Nicorescu, 1945년에는 Gheorghe Stefan와 Ioan Barnea가 연구를 진행했다. 1968년부터 이 지역은 루마니아 학술원 관할하에서 연구가 이뤄졌다.[9]
4. 2. 20세기 연구
1837년, 오스만 제국에 고용되어 도브루자 지역의 전략적 지점을 탐사하기 위해 파견된 프로이센 장교 네 명이 최초로 발굴 조사를 실시했다. 이 고문단은 하인리히 물바흐(Heinrich Muhlbach),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피셔(Friedrich Leopold Fischer), 카롤 빙케올벤도르프(Carol Wincke-Olbendorf), 헬무트 폰 몰트케로 이뤄졌으며, 터널을 파 기념비 가운데에 도달하려 했으나 발견된 것은 없었다.[15][8] 본 대학교의 C. W. Wutzer가 이 기념비를 방문하여 짧은 묘사 및 지역 전설들을 기록하기도 했다.[15]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는 1882년–1895년 사이에 Grigore Tocilescu, O. Benford, G. Niemann이 연구했고,[16][9] 1909년에는 게오르게 무르누, 1911년에는 바실레 파르반이 연구를 진행했다. 1935년부터 1945년 사이에는 파울 니코레스쿠가, 1945년에는 게오르게 스테판과 이오안 바르네아가 연구를 이어갔다. 1968년부터는 루마니아 학술원의 감독하에 유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4. 3. 1977년 복원
트로파에움 트라이아니는 1977년에 이론상의 복원으로서 재건되었다.[14]1837년, 오스만 제국에 고용되어 도브루자 지역의 전략적 상황을 연구하기 위해 파견된 네 명의 프로이센 장교들이 최초로 발굴 조사를 실시했다.[8]
기념물은 1882년부터 1895년 사이에 조사되었고,[9] 1909년에는 게오르게 무르누, 1911년에는 바실레 파르반, 1935년부터 1945년 사이에는 파울 니코레스쿠, 1945년에는 게오르게 스테판과 이오안 바르네아가 연구했다. 1968년부터는 루마니아 학술원의 감독하에 유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5. 키비타스 트로파엔시움 (Civitas Tropaeensium)
6. 현대적 의의
6. 1. 한국과의 연관성
참조
[1]
웹사이트
Tropaeum Traiani
https://cimec.ro/id-[...]
[2]
서적
Das Siegesdenksmal von Adamclisi: Tropaeum Traiani
1965
[3]
서적
A Handbook of Roman Art
Phaidon
1983
[4]
웹사이트
Tropaeum Traiani
http://cimec.ro/Arhe[...]
[5]
웹사이트
Tropaeum Traiani
https://cimec.ro/id-[...]
[6]
간행물
Danubian Papers
Bucuresti
1971
[7]
간행물
M. Cornelius Nigrinus a fost în anii 85-89 guvernatorul Moesiei, iar apoi al Moesiei Inferior
1973
[8]
서적
Grigore G. Tocilescu si "Cestiunea Adamclisi" Pagini din Istoria Arheologiei Romanesti
[9]
웹사이트
Cimec
http://www.cimec.ro/[...]
[10]
웹사이트
1900 Years since the Inauguration of Tropaeum Trajani from Adamclisi - 10 lei silver 2009 - Romanian Coins
http://romaniancoins[...]
[11]
서적
Das Siegesdenksmal von Adamclisi: Tropaeum Traiani
1965
[12]
웹인용
Tropaeum Traiani
http://cimec.ro/Arhe[...]
[13]
웹인용
1900 Years since the Inauguration of Tropaeum Trajani from Adamclisi - 10 lei silver 2009 - Romanian Coins
http://romaniancoins[...]
[14]
웹사이트
https://archive.org/[...]
[15]
서적
Grigore G. Tocilescu si "Cestiunea Adamclisi" Pagini din Istoria Arheologiei Romanesti
[16]
웹사이트
Cimec
http://www.cimec.r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