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루쿠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루쿠족은 대만의 원주민 부족이다. 역사적으로 일본 통치 시대에 일본인 이주와 관련된 사건들이 있었으며, 중화민국 시대에 이르렀다. 문화적으로 삼베를 주로 사용하여 전통 의복을 제작하며, 기하학적 무늬를 통해 그들의 신념을 표현한다. 보커 코상, 천다오밍, 린위에한, 증슈친, 덴 신토쿠, 서의범 등 여러 저명한 인물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원주민 - 아미족
아미족은 타이완 원주민의 주요 부족 중 하나로, 자신들을 '팡카' 또는 '아미스'라고 부르며, 모계사회적 특징과 풍년제 등의 전통 축제를 가지고 있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유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인물들을 배출했다. - 대만 원주민 - 부눈족
부눈족은 대만 중앙산맥에 거주하며 맹렬한 전사이자 머리 사냥꾼으로 알려졌으나 일제강점기 강제 이주와 국민당 정부의 문화적 동화 정책을 겪었고, 독특한 다성 음악과 음력 달력 기반 삶, 귀 사격 축제 등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며 난터우, 가오슝, 화롄, 타이둥 현 등에 걸쳐 다섯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뉘어 거주하는 고산족이다.
| 트루쿠족 | |
|---|---|
| 기본 정보 | |
![]() | |
| 언어 | 트루쿠어 중국어 |
| 종교 | 애니미즘 기독교 |
| 관련 민족 | 기타 타이완 원주민 특히 아타얄족 및 세디크족 |
| 다른 이름 | (중국어) 타로코족 (일본어) |
| 인구 통계 | |
| 총 인구 (2020년 1월) | 32,333명 |
| 거주 지역 | 타이완 |
2. 역사
트루쿠족은 타이완 동부 화롄현 북부의 시우린향, 줘시향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본래 난터우현 런아이향에 거주하였으나, 17세기에 인구 증가와 한족 이주민 증가에 따른 경지 부족으로 화롄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이후 타이야루족의 일파로 여겨졌으나, 2004년 1월 14일 중화민국 내정부로부터 독자적인 민족으로 인정받아 타이완에서 12번째 원주민으로 인정받았다.[5]
"타로코"라는 민족명은 그들이 타로코 계곡 유역에 거주하고 있는 데서 유래한다. 현재 약 1만 8천 명에서 2만 3천 명이 존재하며, 인구 규모로는 다섯 번째로 많은 민족이다.
전통적으로 농경, 채집, 수렵을 중심으로 한 생활을 하였으며, 부계 소가족 사회로 세습적인 두목이 마을을 이끌었다.
2. 1. 정착 과정
트루쿠족은 본래 난터우현 런아이향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17세기에 인구 증가와 한족 이주민 증가에 따른 경지 부족으로 화롄 지역으로 이동했다.[5]2. 2. 일본 통치 시대
일본인의 이주가 시작되면서 타로코족과 일본 이민자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타로코족이 일본군과 싸운 신성사건(1896년), 장뇌 채취를 둘러싼 충돌로 일어난 위리사건(1906년), 타로코족이 무장봉기하여 일본군에 의해 진압된 타로코 전역(:zh:太魯閣戰爭)(1914년)이 대표적이다.[6]신성사건은 화롄강(花蓮港) 주둔 일본군이 현지 대만인 유력자 이아륭(李阿隆)의 의붓동생을 강간한 것을 발단으로 일어난 사건으로, 일본인 20여 명이 살해되었다. 위리사건에서는 장뇌 작업장에서의 임금 문제로 타로코족이 일본인 직원을 공격하여 일본인 지청장 오야마 주우로(大山十郎), 순사 아베 토라노스케(阿部虎之助), 가타구미(賀田組) 사원 야마다 카이조(山田海三), 가고시마현(鹿児島県) 출신 기타가와 테이지로(喜多川貞二郎) 등 30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수 등으로 살해되었다.[7]
2. 3. 중화민국 시대
일본 통치 시대에는 타이야루족의 일파로 여겨졌다. 그 분류는 전후에도 계승되었지만, 2004년 1월 14일 중화민국 내정부로부터 독자적인 민족으로서 인가를 받아 타이완 원주민에서 12번째 원주민으로 인정받았다.[5]이 때문에 과거 문헌에서는 현재 타로코족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을 타이야루족 또는 세덱족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3. 문화
트루쿠족의 전통 의복은 주로 삼베로 만들며, 모직과 목화도 사용된다. 부족 여성들은 방적, 표백, 날실 감기 등의 과정을 거쳐 녹색, 노란색, 빨간색, 검정색, 흰색 계열의 다양한 색상의 아마를 이용해 옷감을 짠다.[1]
남성 의복은 보통 가슴 주머니가 있는 민소매 사각형 재킷 형태이며, 흰색 저마 천에 긴 조각들을 꿰매어 만든다. 가슴 주머니와 양쪽에는 끈이 달려 있어 목 뒤와 등 뒤에서 고정한다. 추장과 전사들은 원통형 조개 장식으로 된 조개 옷을 입는다.[1]
여성 의복은 다채로운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장식된 검은색 머리 장식, 밝은 파란색 상의, 검은색 치마로 구성되며, 가슴과 허리에 두 개의 띠로 고정한다. 여성들은 종아리와 발목에 검은색 레깅스를 착용하기도 한다.[1]
지역에 따라 옷감 짜는 기법, 스타일, 질감은 다르지만, 트루쿠족은 공통적으로 기하학적 선과 마름모꼴 무늬를 사용한다. 수평선은 영적인 다리로 이어지는 길을, 다이아몬드 무늬는 조상 영혼의 경계하는 눈을 상징하며 보호를 의미한다.[1]
3. 1. 의복
트루쿠족의 전통 의복은 주로 삼베로 만들어지며, 모직과 목화도 사용된다. 의복을 만드는 과정에는 방적, 표백, 날실 감기 등 여러 단계가 포함된다. 이후 부족 여성들은 주로 녹색, 노란색, 빨간색, 검정색, 흰색 계열의 다양한 색상의 아마를 이용해 옷감을 짠다.남성 의복은 일반적으로 가슴 주머니가 있는 민소매 사각형 재킷 형태이다. 이 사각형 의복에는 긴 조각들이 흰색 저마 천에 꿰매어져 있다. 가슴 주머니 상단 가장자리 양쪽 끝에는 두 개의 끈이, 양쪽에도 각각 두 개의 끈이 달려 있어 목 뒤와 등 뒤에서 고정할 수 있다. 추장과 전사들은 원통형 조개 장식으로 장식된 조개 옷을 입는다.
여성의 일반적인 의복은 다채로운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장식된 검은색 머리 장식, 밝은 파란색 상의 및 검은색 치마로 구성되며, 가슴과 허리에 두 개의 띠로 고정된다. 또한 여성들은 종아리와 발목에 검은색 레깅스 두 개를 착용한다.
지역에 따라 기법, 스타일 및 질감에 차이가 있지만, 트루쿠족은 기하학적 선과 마름모꼴 무늬를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수평선은 영적인 다리로 이어지는 길을 상징하는 반면, 다이아몬드 무늬는 조상의 영혼의 경계하는 눈을 나타내어 보호를 의미한다.
4. 저명한 인물
- 보커 코상(Bokeh Kosang) - 배우 겸 가수
- 천다오밍(Chen Tao-ming) - 정치인
- 린위에한(Lin Yueh-han) - 축구 선수
- 증슈친(Tseng Shu-chin) - 가수
- 덴 신토쿠 - 트루쿠족 장로
- 서의범 - 배우, 영화 세데크 발레에서 화강일랑(다키스 노빈) 역을 맡음.
참조
[1]
웹사이트
Truku Introduction
https://www.cip.gov.[...]
2020-07-02
[2]
웹사이트
Truku
http://www.dmtip.gov[...]
[3]
웹사이트
Kanakanavu people
https://www.cip.gov.[...]
[4]
웹사이트
來源
http://www.apc.gov.t[...]
2010-02-00
[5]
문서
세덱족은 타로코족의 독립 후 2008년에 분리했다.
[6]
뉴스
文化部、先住民の歴史事件を調査 当事者納得の記念碑設置へ/台湾
https://web.archive.[...]
フォーカス台湾
2020-02-28
[7]
논문
隘勇線社会の医療牧羊人:井上伊之助の『生蕃記』研究
http://hatano.wor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