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메트로 11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메트로 11호선은 프랑스 파리 지하철 노선 중 하나로, 1935년 샤틀레-포르트 데 릴라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24년 로니-부아-페리에까지 연장되었다. 이 노선은 고무차륜 방식을 최초로 도입했으며, 1956년부터 1999년까지 MP 55형, 이후 MP 59형 차량을 사용하다가 2023년부터 MP 14형으로 교체되었다. 2024년 6월 13일 로니-부아-페리에 연장을 통해 RER E선과의 연계성을 강화했으며, 11호선은 샤틀레에서 로니-부아-페리에까지 약 24분 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2. 연혁
2. 1. 초기 건설과 개통 (1922년 ~ 1935년)
1922년 12월, 파리시 의회는 시 북동부의 교통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하철 노선 신설을 결정하였다. 이 노선은 벨빌 지구의 삭도와 북동부 지역의 여러 버스 노선을 대체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샤틀레에서 레퓌블리크를 거쳐 포르트 데 릴라에 이르는 노선으로 규정되었다.[1]
1931년 9월에 착공되었으나 좁은 도로 지하에서의 굴착과 기반이 허약한 지상의 일부 건축물들로 인해 공사는 난항을 겪었다. 또한 생 마르탱 운하와 파리 순환 철도라는 장애물로 인해 주르댕과 텔레그래프 두 역은 파리 메트로에서 가장 깊은 지하 20m에 만들어졌다. (30년 먼저 생 마르탱 운하와 교차하게 건설된 2호선이 고가로 운하를 넘어갔던 것에 비하면 기술이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1]
1935년 4월 28일, 샤틀레∼포르트 데 릴라 구간이 개통되었다.[1]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고무 타이어 도입 (1937년 ~ 1956년)
1922년 12월, 파리시 의회는 시 북동부의 교통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벨빌 지구의 삭도와 북동부 지역의 여러 버스 노선을 대체하는 새로운 지하철 노선 신설을 결정하였다. 이 노선은 샤틀레에서 레퓌블리크를 거쳐 포르트 데 릴라에 이르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1]
1931년 9월에 착공되었으나 좁은 도로 지하에서의 굴착과 기반이 허약한 지상의 일부 건축물들로 인해 공사는 난항을 겪었다. 또한 생 마르탱 운하와 파리 순환 철도라는 장애물로 인해 주르댕 역과 텔레그라프 역은 파리 메트로에서 가장 깊은 지하 20미터에 건설되었다. 이는 30년 먼저 생 마르탱 운하를 고가로 넘어갔던 2호선에 비해 기술이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1935년 4월 28일, 샤틀레와 포르트 데 릴라 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37년 2월 17일에는 포르트 데 릴라에서 메리 데 릴라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1944년 5월 12일부터 1945년 3월 5일까지는 파리가 나치 도이칠란트에 점령되어 영업이 중지되었고, 역 구내는 군수공장 등으로 사용되었다.
1954년에는 소음 저감 등의 목적으로 RATP는 MP 51형 차량으로 시험을 거듭한 끝에 11호선을 최초의 고무 타이어 궤도로 개조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1952년부터 1956년까지 La voie navette가 독립 노선으로써 영업했다. 약 2년에 걸쳐 공사가 이루어졌고, 1956년에 완료되어 MP 55형 차량이 투입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고무차륜 철도 차량에 대한 실험은 193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고무차륜 장비는 가속 및 감속 성능이 뛰어나 노선의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잦고 간격이 좁은 정거장이 있는 지하철 노선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또한 이 기술은 소음과 진동을 줄여준다.
1950년에는 4ton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지름이 1m 미만인 바퀴를 갖춘 금속 보강재가 있는 최초의 타이어가 시장에 출시되었다. RATP는 프로토타입인 MP 51을 사용하여 1951년 셔틀 트랙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1952년 4월 13일부터 일반인들은 매일 오후 셔틀을 이용할 수 있었으며, 1956년 5월 31일까지 테스트를 계속 진행했다.[1]
테스트 결과가 성공적으로 입증되자, RATP는 이 새로운 기술을 실제 규모의 2차 노선에서 시험하기 위해, 상당히 짧고 구불구불하며 경사가 매우 심한 특징을 가진 11호선에 이 기술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노선을 고무차륜 방식으로 개조하는 공사가 주로 야간에 진행되어 노선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했다. 다만 저녁에는 운행 시간이 한 시간 줄었다. 네 가지 타이어 트랙 설치 방식이 시도되었는데, 한 가지는 변경 작업을 최대한 제한하여 트랙을 지지하는 자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트랙 지지대의 탄성이 더 이상 쓸모없다는 점을 이용하여, 정확한 트랙 기하학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자갈 다짐 작업을 정기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활용하는 것이었다.
T-레이아웃은 아조베 베어링 부품을 자갈 위에 놓인 침목 헤드에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이었고, D-레이아웃은 콘크리트 블록 또는 기초 래프트에 주조된 블록에 베어링 부품을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I-레이아웃은 유사하지만 자갈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방식이었고, S-레이아웃은 역에서 채택되어 아조베 베어링 부품이 기초 래프트에 주조된 콘크리트 벽에 놓이는 방식이었다. 이 마지막 배열은 트랙의 외관과 유지 보수를 개선하고, 중앙 구덩이의 존재로 인해 사람과 관련된 사고(트랙으로의 우발적 추락 또는 자살)의 심각성을 줄였다.[1]
1956년 10월 1일부터 1957년 11월까지 노선에는 새로운 MP 55 세트가 장착되어, 이전의 스프라그 세트를 교체했으며, 마지막 스프라그 세트는 1957년 10월 11일에 노선을 완전히 떠났다. 최초의 고무차륜 열차는 1956년 11월 8일에 개통되었고, 11호선의 새로운 운행은 1956년 11월 13일 상업 운행 첫날에 시작되었다. 그 후 노선의 이전 열차는 새로운 세트가 인도되면서 점차적으로 2호선으로 이전되어, 1958년 6월 열차를 4량에서 5량으로 늘렸다. 잉여 장비로 인해 29대의 동력차와 37대의 객차가 운행 중단되었으며, 대부분 1908년과 1909년에 제작되었다.[1]
1967년에는 노선에 중앙 제어 센터와 자동 열차 운행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며, 이는 파리 네트워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MP 55 세트는 1982년부터 1999년까지 점차적으로 퇴역하여 4호선에서 운행되던 MP 59 세트로 교체되었다. 11호선은 2021년 6월 1일 바뇨레에 새로운 중앙 제어 센터가 설치될 때까지 그 이후로 큰 발전을 보지 못했다.[2]
차량의 설계와 노선의 가파른 경사로 인해 11호선은 4호선과 함께 파리 네트워크에서 가장 더운 노선 중 하나이다.[3]
2. 3. 현대화와 차량 교체 (1999년 ~ 2024년)
1999년 1월, 노후화된 MP 55형 차량이 퇴역하고 모든 차량이 MP 59형으로 교체되었다.[1] 이후 2023년 6월 1일부터 MP 59 차량을 MP 14CC 차량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1] 2024년 5월 23일에는 MP 59 차량의 공식 퇴역식이 거행되었으며,[1] 2024년 6월 12일 마지막 MP 59 열차가 운행을 중단하면서,[1] 11호선의 모든 열차는 MP 14형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3. 노선 특징
파리 메트로 11호선은 고무차륜 방식으로 전환된 최초의 노선이다. 고무차륜 장비는 가속 및 감속 성능이 뛰어나 노선의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잦고 간격이 좁은 정거장이 있는 11호선에 특히 적합했다. 또한 이 기술은 소음과 진동을 줄여준다.
1950년에는 4ton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금속 보강재가 있는 최초의 타이어가 출시되었다. RATP는 프로토타입인 MP 51을 사용하여 1951년 셔틀 트랙에서 테스트를 진행했고, 결과가 성공적이자 11호선을 고무차륜 방식으로 개조하기로 결정했다.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노선 개조 작업이 진행되었다.
1956년 10월 1일부터 1957년 11월까지 이전의 스프라그 세트를 대체하는 새로운 MP 55 세트가 장착되었다. 최초의 고무차륜 열차는 1956년 11월 8일에 개통되었고,[1] 1956년 11월 13일부터 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
1967년에는 파리 네트워크에서 처음으로 중앙 제어 센터와 자동 열차 운행 시스템이 11호선에 설치되었다.
차량 설계와 노선의 가파른 경사로 인해 11호선은 4호선과 함께 파리 네트워크에서 가장 더운 노선 중 하나이다.[3]
3. 1. 차량
1999년까지 파리 메트로 최초의 양산형 고무타이어 차량인 MP 55형이 운행되었다. 현재는 후속 차량인 MP 59형이 Mc-T-M-Mc의 4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장차 MP 09(MF 2000형의 고무 타이어 장비 형태)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고무차륜 철도 차량에 대한 실험은 193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고무차륜 장비는 가속 및 감속 성능이 뛰어나 노선의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잦고 간격이 좁은 정거장이 있는 지하철 노선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또한 이 기술은 소음과 진동을 줄여준다.
1950년에는 4ton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지름이 1m 미만인 바퀴를 갖춘 금속 보강재가 있는 최초의 타이어가 시장에 출시되었다. RATP는 프로토타입인 MP 51을 사용하여 1951년 셔틀 트랙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테스트 결과가 성공적이자, RATP는 이 새로운 기술을 실제 규모의 2차 노선에서 시험하기 위해 11호선을 선택했다. 11호선은 상당히 짧고 구불구불하며 경사가 매우 심한 특징을 가졌다.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노선을 고무차륜 방식으로 개조했다.
1956년 10월 1일부터 1957년 11월까지 노선에는 새로운 MP 55 세트가 장착되어, 이전의 스프라그 세트를 교체했다. 마지막 스프라그 세트는 1957년 10월 11일에 노선을 완전히 떠났다.[1] 최초의 고무차륜 열차는 1956년 11월 8일에 개통되었고,[1] 11호선의 새로운 운행은 1956년 11월 13일 상업 운행 첫날에 시작되었다. 그 후 노선의 이전 열차는 새로운 세트가 인도되면서 점차적으로 2호선으로 이전되어, 1958년 6월 열차를 4량에서 5량으로 늘렸다.
1967년에는 노선에 중앙 제어 센터와 자동 열차 운행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며, 이는 파리 네트워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MP 55 세트는 1982년부터 1999년까지 점차적으로 퇴역하여 4호선에서 운행되던 MP 59 세트로 교체되었다.[2]
차량의 설계와 노선의 가파른 경사로 인해 11호선은 4호선과 함께 파리 네트워크에서 가장 더운 노선 중 하나이다.[3]
Mairie des Lilas에서 Rosny-Bois-Perrier로 노선이 연장되면서, 대부분의 역은 개조되었으며, 새로운 접근 지점도 만들어졌다. 미래의 5량 MP 14 지하철 열차를 수용하기에는 샤틀레 역의 후면 야드가 너무 짧아서 건물 아래의 제한된 공간에서 확장해야 했다.[4]
파리 지하철 11호선은 고무차륜 방식으로 전환된 최초의 노선으로, 1956년 10월부터 1999년 1월까지 MP 55가 운행되었다. 그 후 4호선에서 개조된 MP 59 차량으로 대체되었다. MP 55 차량과 현재의 MP 59 차량은 모두 4량으로 구성되었다. 6호선의 MP 73 차량 1대가 11호선에서 운행되고 있다.
일드프랑스 모빌리테에 따르면, 로니-수-부아 연장 개통 시기에 맞춰 11호선의 차량을 MP 14 시리즈로 교체할 계획이었다. 새로운 열차는 현재 차량과 동일한 방식으로 운전자가 운전하지만, 5량으로 구성되며 객실 간 통로가 개방될 것이다.[36][37]
2018년 2월에 20개 열차를 처음 주문했고, 2021년 7월에 19개 열차를 추가로 주문했다.[38] 생산은 2020년 말에 시작되었으며, 2021년 여름에 시험 운행을 했다.[38]
2023년 6월, 새로운 MP 14 CC(수동 운전)가 투입되어 매주 화요일마다 4개의 새로운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으며, 월요일 일몰에 로니-수-부아 정비창으로 이전되어 퇴역할 4개의 MP 59 차량과 교체되었다. 20개의 새로운 MP 14-수동 운전 열차가 2023년 여름까지 투입될 예정이며, 로니-부아-페리에 연장으로 인해 2024년 봄까지 19개의 새로운 열차가 추가로 투입될 필요가 있었다.[39]
MP 59의 공식적인 마지막 운행은 2024년 5월 23일에 진행되었다. 하지만 마지막 열차는 2024년 6월 12일에 인출되었다. 1956년부터 MP 55형이, 1999년부터 2024년까지는 4호선 등에서 운용되던 MP 59형이 운행되었다. 현재는 모든 차량이 MP 14형이다.
4. 역 목록
역 | 이미지 | 코뮌 | 개통일 | 환승 노선 | 거리 (km) |
---|---|---|---|---|---|
샤틀레 | ![]() | 파리 (1구, 4구) | 1935년 4월 28일 | 1호선, 4호선, 7호선, 14호선, A선, B선, D선 (샤틀레 레 알 역) | 0.0 |
오텔 드 빌 | ![]() | 파리 (4구) | 1935년 4월 28일 | 1호선 | 0.3 |
랑뷔토 Centre Georges Pompidou|조르주 퐁피두 센터프랑스어 | ![]() | 파리 (3구, 4구) | 1935년 4월 28일 | 0.8 | |
아르 에 메티에 | ![]() | 파리 (3구) | 1935년 4월 28일 | 3호선 | 1.3 |
레퓌블리크 | ![]() | 파리 (3구, 10구, 11구) | 1935년 4월 28일 | 3호선, 5호선, 8호선, 9호선 | 1.9 |
공쿠르 Hôpital Saint-Louis|생 루이 병원프랑스어 | ![]() | 파리 (10구, 11구) | 1935년 4월 28일 | 2.5 | |
벨빌 | ![]() | 파리 (10구, 11구, 19구, 20구) | 1935년 4월 28일 | 2호선 | 3.0 |
피레네 | ![]() | 파리 (19구, 20구) | 1935년 4월 28일 | 3.6 | |
주르댕 | ![]() | 파리 (19구, 20구) | 1935년 4월 28일 | 3.9 | |
플라스 데 페트 | ![]() | 파리 (19구) | 1935년 4월 28일 | 7bis선 | 4.2 |
텔레그라프 | ![]() | 파리 (19구, 20구) | 1935년 4월 28일 | 4.7 | |
포르트 데 릴라 | ![]() | 파리 (19구, 20구) | 1935년 4월 28일 | 3bis선, T3b | 5.3 |
메리 데 릴라 | ![]() | 레 릴라 | 1937년 2월 17일 | 6.1 | |
세르주 갱스부르 | ![]() | 레 릴라 | 2024년 6월 13일 | 6.9 | |
로맹빌-카르노 | ![]() | 로맹빌, 누아지르섹 | 2024년 6월 13일 | 8.0 | |
몽트뢰유-오피탈 | ![]() | 몽트뢰유, 누아지르섹 | 2024년 6월 13일 | 9.3 | |
La Dhuys|라 뒤프랑스어 | ![]() | 몽트뢰유, 로스니수부아 | 2024년 6월 13일 | 10.1 | |
Coteaux-Beauclair|코토 보클레르프랑스어 | ![]() | 누아지르섹, 로스니수부아 | 2024년 6월 13일 | 10.6 | |
로스니-부아-페리에 | ![]() | 로스니수부아 | 2024년 6월 13일 | E선 | 11.9 |
5. 장래 계획
2013년 3월 6일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수정 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11호선을 누아지-샹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번째 계획이 발표되었다. 이는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프로젝트의 일부로 간주되지만, 목표 달성 여부는 불확실하다. 두 번째 연장이 시작되면 11호선 전체를 자동화할 예정이었다.[40]
5. 1. 연장 구간 (2024년 개통)
SDRIF에 따르면 RER E호선의 로니-부아-페리에역까지 약 5km를 연장할 계획이 있었다. 연장 구간 역의 이름은 모두 가칭으로, 다음과 같다.- '''Quartier des Sentes'''
- '''Place Carnot'''
- '''Montreuil Hôpital'''
- '''Boissière'''
- '''Rosny-Bois-Perrier''' (RER E 접속)


로맹빌, 누아지르섹, 몽트뢰유, 로니-수-부아 시와 센생드니 의회는 마리 데 릴라역에서 로니-부아-페리에역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이 연장은 6km 더 운행하여 12분 만에 도착하며, RATP에 따르면 샤틀레에서 로니-부아-페리에까지 전체 여정은 24분이 소요되며, 기존에는 55분이 걸렸다.[28][7]
이 연장을 통해 RER E와의 상호 연결은 물론, 파리에서 로니 2 쇼핑 센터까지 지하철을 이용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새로운 역 중 하나인 로맹빌-카르노역은 또한 향후 T1 트램의 남쪽 연장선과 연결되며, 새로운 종착역은 발 드 퐁트네에 위치하게 된다. 15호선 동쪽 프로젝트는 11호선 연장 이후 개통될 예정이며, 로니-부아-페리에역에도 역이 생겨 이 역에서 추가적인 연결이 가능해질 것이다.[8] 모든 새로운 역은 교통 약자를 위한 접근성을 갖추었으며, 새로운 차량인 MP 14가 이번에 투입될 예정이며,[9] 5량으로 구성될 것이다(기존 4량에서 변경).
2000-2006 국가-지역 계획 계약(''Contrat de plan État-région'', CPER)에 의해 자금을 지원받은 RATP 연구에 따르면, 이 연장으로 인해 11호선의 승객 수가 매일 68,7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0] 2010년에 시작된 공청회에서는 이 프로젝트의 비용을 8.2억유로로 추산했으며, 차량 교체에 1.4억유로, 기존 역의 개보수에 약 1억유로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했다.[11] 2015년 10월 7일에 STIF에서 승인한 협약에서는 연장을 위해 10.84억유로의 자금 요구 사항을 설정했다(일드프랑스 지역 5.03억유로, SGP 3.53억유로, 국가 2.144억유로, 센생드니 6400만유로). 여기에 기존 역의 개조에 2.14억유로(RATP 7300만유로, 파리 시 6100만유로, 지역 5600만유로, 국가 2400만유로)와 일드프랑스 모빌리테가 차량 교체를 위해 1.51억유로를 더해야 한다.[12]
일드프랑스 지역은 이 프로젝트를 2008년 9월 25일 일드프랑스 지역 의회에서 채택한 일드프랑스 지역 마스터 플랜(''Schéma directeur de la région Île-de-France'', SDRIF)에 포함시켰다. 2007-2013 CPER 프로젝트는 노선 연장에 대한 연구 비용으로 1000만유로를 투입할 계획이며,[13] 이로써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STIF는 2009년 12월 9일에 목표 및 주요 특성에 대한 파일을 공개했다.[15] 2010년 9월 6일부터 2010년 10월 8일까지 공청회가 실시되었으며,[11] 그 결과는 2011년 2월 초에 발표되었다.
STIF 의회는 2011년 2월 9일에 공청회 결과를 승인했다. 누아지르섹의 론도 지구를 개방하고 로니-수-부아에 있는 두 개의 고등학교와 도무스, 로니 2 쇼핑 센터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경로 2가 선호되었다. 또한 이 지역의 "합의된 개발 구역"(''zone d'aménagement concerté'', ZAC)의 개발을 촉진할 것이다. 따라서 연구는 이 경로에만 집중할 것이다. 또한 선출된 공무원과 주민들은 프로젝트의 단계적 접근 방식에 단호히 반대했다. 그 결과 STIF는 작업을 단일 단계로 수행할 계획이었다. 공청회는 2013년 9월 16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36][19] 공청회 위원회는 유보 없이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했다.[20] 이 프로젝트는 2014년 5월 28일에 공공 유용성을 인정받았다.[21] 2015년에 시작된 준비 작업을 거쳐, 구조 작업은 2016년 말에 시작될 예정이었으며 노선은 2023년까지 개통될 예정이었다.[22] 건설은 2016년 12월 10일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24][25]
연장의 일환으로 기존 역이 개발되었으며, 새로운 접근 지점이 만들어졌다. ''마리 데 릴라'' 역과 ''포르트 데 릴라'' 역에는 교통 약자를 위한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포르트 데 릴라와 로니-부아-페리에 사이의 11호선 모든 역은 이제 접근 가능하다.[26]
미래의 세르주 갱스부르 역 기슭에서 2016년 5월 말에 선출된 공무원들에게 작업 구덩이가 공개되었다. 작업은 새로운 라 뒤이 역에서 레 릴라까지 3km 터널을 굴착하는 것으로 계속되었으며, 다른 1.5km 구간은 로니 2 쇼핑 센터를 우회하여 개방된 상태로 건설되었다.[27]
첫 번째 구간의 굴착 작업은 임프레니아가 이끄는 그룹이 NGE, Demathieu Bard, Pizzarotti로 구성된 컨소시엄의 파트너와 협력하여 수주했다.
2018년 8월, A86은 미래의 코토 보클레르역과 로니-부아-페리에역 사이의 도로 아래에 설치될 1773ton의 엔지니어링 구조물을 미끄러뜨리기 위해 로니-수-부아와 노장쉬르마른 사이에서 일주일 동안 교통이 통제되었다.[28] 2019년 6월, 연장 개통이 공식적으로 2023년으로 연기되었다.[29] 2019년 9월 20일, RATP는 레 릴라와 로니-수-부아 사이의 터널 굴착을 시작한 11호선 역무원 소피아 아말루의 이름을 따서 터널 보링 머신 '소피아'의 이름을 지었다.[30] 2021년 7월 16일, 출구 지점인 세르주 갱스부르 역에 도착했다.[31]
2023년 2월, 일드프랑스 모빌리테는 연장 작업을 가속화하기 위해 2023년 7월부터 8월까지 매주 일요일 노선을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연장의 서비스 시작은 2024년 봄으로 연기되었다.[32][33] 연장은 한 달 전에 발표된 대로 2024년 6월 13일에 개통되어 서비스가 시작되었다.[34][35]
참조
[1]
웹사이트
Inauguration du métro sur pneus
http://www.ina.fr/vi[...]
Institut national de l'audiovisuel
1956-11-08
[2]
뉴스
19 MP14 supplémentaires
http://transportpari[...]
2021-07-09
[3]
웹사이트
Y a-t-il un coup de chaud dans le métro parisien?
https://www.20minute[...]
20 minutes
2010-07-08
[4]
웹사이트
Métro: quatre prolongements qui avancent (quand même)
http://transportpari[...]
2019-11-13
[5]
웹사이트
Métro ligne 11: les quais de votre station Châtelet fermés
http://www.ratp.fr/d[...]
RATP
2019-03-06
[6]
뉴스
Ligne 11 du métro: la station Châtelet vient de rouvrir
http://www.leparisie[...]
2019-12-31
[7]
웹사이트
Prolongement du métro ligne 11: le ripage du tunnel à Rosny, une étape clé des travaux
http://www.ville-les[...]
Île-de-France Mobilités
2018-08-10
[8]
웹사이트
Avis favorable et unanime pour la ligne 15 est
https://www.societed[...]
Société du Grand Paris
2016-10-06
[9]
웹사이트
Découvrez à quoi ressembleront les nouvelles rames de la Ligne 14 du métro à Paris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France
2016-05-30
[10]
웹사이트
La Ligne 11, aujourd'hui et demain
http://www.ville-les[...]
Municipality of Les Lilas
[11]
웹사이트
Coût et financement
http://www.prolongem[...]
Prolongementligne11est.fr
[12]
웹사이트
Un investissement de près de 1,3 milliard d'euros
http://prolongementl[...]
Prolongementligne11est.fr
[13]
웹사이트
Contrat de plan État-région Île-de-France 2007-2013
http://www.iledefran[...]
2007-03-23
[14]
웹사이트
Site municipal de Romainville - Métro: un nouveau pas vers l'ouverture du chantier
http://www.ville-rom[...]
Ville de Romainville
[15]
간행물
Prolongement de la ligne 11, Une démarche novatrice
http://www.stif.org/[...]
STIF
2018-12-09
[16]
웹사이트
Dossier de concertation
http://www.ratp.fr/f[...]
RATP
[17]
웹사이트
De Hôpital à Rosny-Bois-Perrier - Tracé 1
http://www.prolongem[...]
Prolongementligne11est.fr
[18]
웹사이트
De Hôpital à Rosny-Bois-Perrier - Tracé 2
http://www.prolongem[...]
Prolongementligne11est.fr
[19]
뉴스
Ligne 11 : enquête publique le 16 septembre
http://www.leparisie[...]
2013-08-30
[20]
웹사이트
Rapport de la commission d'enquête publique sur le prolongement de la ligne 11
http://www.ville-rom[...]
Romainville
[21]
뉴스
Le prolongement de la ligne 11 de Mairie des Lilas à Rosny-Bois-Perrier déclaré d'utilité publique
http://www.stif.org/[...]
Île-de-France Mobilités
2014-06-13
[22]
웹사이트
Prolongement ligne 11 calendrier
https://www.iledefra[...]
Île-de-France Mobilités
[23]
웹사이트
IDF : accord sur le financement de la Ligne 11 du métro
http://www.mobilicit[...]
MobiliCites.com
2015-09-15
[24]
웹사이트
Les travaux de prolongement de la ligne 11 du métro ont commencé en IDF
https://www.challeng[...]
Challenges
2016-12-10
[25]
웹사이트
Début des travaux pour le prolongement de la ligne 11 du métro
http://www.batiactu.[...]
Batiiactu.com
2016-12-12
[26]
웹사이트
L'adaptation et la modernisation des stations {{!}} Prolongement Ligne 11 Est
http://prolongementl[...]
prolongementligne11est.fr
[27]
웹사이트
Les Lilas: un premier puits sur le chantier de la ligne 11
http://www.leparisie[...]
2016-05-25
[28]
웹사이트
Prolongement du métro ligne 11 du métro à l’Est parisien: le ripage du tunnel à Rosny : une étape clé des travaux
https://www.iledefra[...]
Île de France Mobilités
2018-08-10
[29]
뉴스
Le prolongement du M11 fait son trou
https://via93.tv/le-[...]
2019-06-07
[30]
웹사이트
Prolongement de la ligne 11 : le tunnelier inauguré, six nouvelles stations de métro en 2023
https://france3-regi[...]
2019-09-20
[31]
웹사이트
Le tunnelier Sofia a terminé sa course après 15 mois de creusement
https://mobile.twitt[...]
2021-07-16
[32]
웹사이트
Ligne 11 du métro : début des essais pour les nouvelles rames
https://www.iledefra[...]
2023-02-14
[33]
웹사이트
Ligne 11: le prolongement jusqu'à Rosny-sous-Bois reporté au printemps 2024
https://94.citoyens.[...]
2023-02-17
[34]
웹사이트
RATP: la ligne 11 du métro relie enfin Rosny-sous-Bois
https://actu.fr/soci[...]
2024-06-13
[35]
웹사이트
Ligne 11: le prolongement jusqu'à Rosny-sous-Bois sera inauguré le 13 juin
https://www.francebl[...]
France Bleu
2024-05-24
[36]
간행물
Le prolongement de la ligne 11 du métro à Rosny-Bois-Perrier à l’enquête publique en 2013
http://www.stif.org/[...]
STIF
2013-02-13
[37]
웹사이트
Le métro parisien passe au bleu
http://beta.leparisi[...]
2018-12-11
[38]
웹사이트
Alstom to build 19 more rubber-tyred metro trains for Paris
https://www.railjour[...]
2021-07-09
[39]
웹사이트
Grand Paris : la ligne 11 du métro fait sa révolution en s’équipant (enfin) de rames neuves
https://www.leparisi[...]
2023-07-09
[40]
뉴스
Nouveau Grand Paris» : l'Etat engage 27 milliards pour le métro parisien
http://www.lesechos.[...]
Les Echos
2013-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