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더스코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인더스코프는 망원경의 주 시야 내 목표 천체를 찾는 데 사용되는 보조 광학 장치이다. 1722년 존 하들리가 제작한 반사 망원경에 처음 장착되었으며, 주 망원경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십자선을 통해 목표물을 확인하도록 돕는다. 파인더스코프는 배율과 대물 렌즈의 구경을 나타내는 A×B 형태로 표기되며, 망원경형과 등배 파인더(반사 조준경)로 구분된다. 자동 도입 장치의 발달로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초보자에게 유용하며, 특히 광공해가 심한 환경에서는 망원경형 파인더가 선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학망원경 - 윌리엄 허셜 망원경
윌리엄 허셜 망원경은 스페인 라 팔마 섬 로케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에 위치한 4.2m 반사 망원경으로, 영국, 네덜란드, 스페인의 지원을 받아 아이작 뉴턴 망원경 그룹에서 운영하며 다양한 과학 장비를 통해 관측 천문학의 여러 분야에 기여한다. - 광학망원경 - 단안경
단안경은 한쪽 눈으로 보는 소형 망원경으로, 배율과 렌즈 직경으로 성능이 결정되며, 설계 시 다양한 요소와 기능이 고려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파인더스코프 | |
|---|---|
| 기본 정보 | |
| 종류 | 보조 망원경 |
| 용도 | 목표물 찾기 자동 유도 |
| 구성 요소 | |
| 대물렌즈 | 굴절 망원경 시스템 |
| 접안렌즈 | 확대 기능 제공 |
| 십자선 | 중심 정렬 지원 |
| 장착 브래킷 | 주 망원경에 부착 |
| 배율 | |
| 일반적인 배율 | 6x ~ 10x |
| 특징 | |
| 시야 | 넓은 시야 제공 |
| 용이성 | 주 망원경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 용이 |
| 자동 유도 | 자동 유도 시스템에 사용 가능 |
| 참고 자료 | |
| 관련 용어 | 망원경 굴절 망원경 반사 망원경 자동 유도 |
2. 역사
크리스티안 호이겐스는 망원경과 평행하게 작은 망원경을 설치하여 망원경으로 천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파인더의 개념을 고안했다. 1722년 존 하들리는 포물면 거울을 채용하고 구경이 크고 실용적인 뉴턴식 망원경에 실제로 파인더를 갖춘 망원경을 제작했다.
파인더스코프는 주 망원경의 광축과 평행하게 정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3개 또는 6개의 조절 나사를 사용한다.[15] 파인더스코프는 일반적으로 A×B 형태로 표기되는데, A는 배율, B는 대물렌즈의 구경(mm)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6×30 파인더는 배율 6배, 구경 30mm를 의미하며, 이는 쌍안경과 동일한 표기 형식이다.[1]
3. 기능 및 설계
아마추어 망원경에서는 6×30 파인더스코프가 최소 크기로 간주되며, 더 정밀한 관측을 위해서는 8×50 이상이 선호된다.[16] 접안렌즈에는 십자선(Reticle|레티클영어)이 새겨져 있어, 목표물을 십자선 중앙에 맞추면 주 망원경 시야에도 해당 천체가 들어오게 된다. 일반적인 파인더스코프는 소형 케플러식 망원경으로, 도립상이 보인다.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프리즘을 넣어 정립상으로 보이게 하거나, 십자선을 암시야 조명으로 비추는 파인더스코프도 있다.
3. 1. 시야 방향
대부분의 파인더스코프는 세 가지 시야 방향 중 하나를 갖는다.[1]
| 유형 | 접안렌즈 마운트 | 이미지 방향 |
|---|---|---|
| 표준형 | 직진형 | 거꾸로 뒤집힌 상태 (180도 회전) |
| 직각형 | 90도 | 반전 (거울상) |
| RACI (직각 정립상) | 90도 | 정립 |
4. 종류
파인더스코프는 크게 망원경형 파인더와 등배 파인더(Reflex Sight)로 나뉜다.
일반적인 망원경형 파인더와는 다른 형식의 파인더도 존재한다. 그중 비교적 널리 보급된 것이 "등배 파인더"이다. 배율은 1배이며, 렌즈가 없으므로 육안과 같은 밝기의 천체밖에 볼 수 없지만, 시야가 넓고 정립상으로 망원경의 방향을 알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4. 1. 망원경형 파인더
망원경형 파인더는 소형 굴절 망원경 형태의 일반적인 파인더스코프이다. 구경은 2~5cm, 배율은 5~10배 정도가 일반적이다.[1] 성운, 성단 등 희미한 천체를 관측할 때는 구경이 큰 것이 유리하다.[2]망원경형 파인더에는 쌍안경과 같은 사양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어 있다. 이 표기는 (배율) × (구경)으로 표시되며, 예를 들어 6×30으로 적혀 있다면 배율이 6배, 대물 렌즈의 구경이 30밀리미터임을 나타낸다. 6×30 파인더스코프는 일반적으로 아마추어 망원경에서 유용한 최소 크기의 확대 파인더스코프로 간주된다. 8×50 또는 그 이상의 파인더스코프가 더 선호되는데, 이는 더 희미한 천체를 관측할 수 있게 해준다.
4. 2. 등배 파인더 (Reflex Sight)
등배 파인더는 확대 기능이 없는 파인더로, 맨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시야를 제공한다. 빔 분할기를 사용하여 조준점(레티클)을 시야에 투영하는 방식이다. 밝은 별이나 행성을 찾는 데 유용하며, 빛 공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효율이 떨어진다.[3]- 도트 사이트 파인더 (Dot Sight Finder): 유리를 통해 들여다보고 그 시야에 LED나 레이저 등을 사용하여 조준용 빨간 점이나 십자선을 띄우는 방식이다.
- 텔라드(Telrad): 미국의 아마추어 천문가 스티브 쿠펠드(Steve Kufeld)가 노든 폭격 조준기의 설계 개념을 기반으로 개발한 등배 파인더의 일종이다.
가장 단순한 형태는 구멍 뚫린 파인더로, 망원경 앞뒤에 있는 금속 부품의 구멍을 통해 본 대상이 망원경의 시야에 들어온다는 것이다. 같은 방식으로, 얇은 파이프를 통해 보는 것도 있다.
5. 설치 및 조정
파인더는 주 망원경의 광축과 평행을 이루어야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다.[1] 따라서 망원경을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파인더 맞추기, 즉 파인더와 주 망원경이 같은 대상을 보도록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조정을 위한 장치도 파인더에 마련되어 있다.[2] 파인더의 접안렌즈에는 보통 십자선(Reticle|레티클영어)이 새겨져 있다. 파인더와 주 망원경의 정렬이 சரியாக 이루어졌다면, 십자선의 교점에 목표물을 위치시켰을 때 주 망원경 시야 중심에도 그 목표물이 보이게 된다.[3]
파인더는 크게 파인더 경통을 고정하는 설치부와 파인더를 주 망원경에 부착하는 파인더 다리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파인더 다리는 주 망원경의 경통이나 접안부에 부착되어 파인더를 주 망원경에 튼튼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4] 설치부에는 파인더의 방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3개 또는 6개의 작은 나사가 있다. 이 나사들에는 로렛이 달려 있다. 3개의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설치부 내경을 경통 직경에 맞추거나 O링을 넣어 설치부 자체가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한다. 6개의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쪽 3개, 뒤쪽 3개의 나사로 구성되는데, 앞쪽 나사 3개는 조여서 지지대 역할을 하고, 뒤쪽 나사 3개로 파인더의 방향을 조정한다.[5] 조정 후에는 작은 나사에 달린 록 너트를 조여 나사를 고정함으로써 파인더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6]
6. 현대적 의의 및 한계
과거에는 파인더 없이는 망원경을 사용할 수 없다고 말할 정도로 천체 망원경에 있어서 중요한 부속품이었고, 경통에 반드시 포함되어 있었다.[1] 하지만, 자동 도입 장치(GoTo)의 발전과 보급으로 인해 파인더는 필수 부속품이라고 할 수 없게 되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How to Select the Right Binocular
http://www.meade.com[...]
Meade Instruments Corporation
2013-11-15
[2]
서적
"The Backyard Astronomer's Guide"
[3]
서적
The Urban Astronomer's Guide: A Walking Tour of the Cosmos for City Sky Watcher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
[4]
웹사이트
案内望遠鏡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9-28
[5]
서적
改訂・増補 天文学辞典
地人書館
1991-09-10
[6]
간행물
An Account of a Catadioptrick Telescope, made by John Hadley, Esq; F. R. S. With the Description of a Machine contriv'd by him for the applying it to use
1723-12
[7]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Or,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Miscellaneous Literature; Enlarged and Improved
https://books.google[...]
Archibald Constable & Company
[8]
간행물
反射望遠鏡の來歴
https://hdl.handle.n[...]
1926-07-25
[9]
서적
月、星、惑星、星雲・星団、見たい天体の見方がわかる 星を楽しむ天体望遠鏡の使いかた
誠文堂新光社
2019-07-19
[10]
서적
図説・天体望遠鏡入門
立風書房
1988-09-01
[11]
웹사이트
ファインダーに書かれた数字は何ですか
https://turupura.com[...]
2021-04-22
[12]
간행물
The Telrad Finderscope Story - A Revolution in Amateur Astronomy
2007-06
[13]
웹사이트
ファインダーとは何ですか
https://turupura.com[...]
2021-04-22
[14]
웹사이트
"ε-160ED 発売のご案内"
https://www.takahash[...]
高橋製作所
2020-07-10
[15]
웹인용
How to Select the Right Binocular
http://www.meade.com[...]
Meade Instruments Corporation
2013-11-15
[16]
서적
"The Backyard Astronomer's Gui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