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토번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토번 전쟁은 8세기 후반부터 9세기 초까지 팔라 제국과 토번 제국 간에 벌어진 일련의 군사적 충돌을 의미한다. 토번 제국이 북인도로 진출하면서 팔라 제국과 충돌했으며, 네팔 지역을 놓고 양국의 영향력 경쟁이 벌어졌다. 다르마팔라 시기에는 토번 측 기록의 신빙성 문제와 다르마팔라의 군사 원정, 네팔 정복 등이 있었고, 데바팔라 시기에는 펀자브 지역에서의 승리와 히말라야 지역으로의 세력 확장이 나타났다. 몽히르 동판과 데바팔라의 비문은 이러한 갈등과 정복 활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라 제국이 참전한 전쟁 - 삼자 투쟁
삼자 투쟁은 8세기부터 10세기까지 북인도에서 구르자라-프라티하라, 팔라, 라슈트라쿠타 세 왕조가 카나우지 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벌인 권력 다툼으로, 북인도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 벵골의 중세사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벵골의 중세사 - 찬드라 왕조
찬드라 왕조는 370년 드베나찬드라에 의해 건국되어 밀교 불교의 중심지로 번영하며 동남아시아 전파에 기여하고 해상 무역을 통해 여러 나라와 교류했으나, 9세기 고빈다찬드라 왕 시대에 촐라 왕조의 침략으로 멸망한 벵골 지역의 왕조이다.
팔라-토번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팔라-토번 전쟁 | |
분쟁 | 팔라-토번 전쟁 |
날짜 | 8~9세기 |
장소 | 네팔 펀자브 히말라야산맥 티베트 |
결과 | 팔라 제국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팔라 제국 |
교전국 2 | 토번 |
지휘관 및 지도자 | |
팔라 제국 | 다르마팔라 데바팔라 |
토번 | 트리송데첸 렐파첸 |
2. 배경
8세기 후반, 토번 제국이 북인도로 진출하면서 팔라 제국과 충돌하게 되었다. 토번 측 기록에는 팔라 제국을 정복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벵골 측 문헌에는 관련 기록이 없어 역사적 신빙성은 낮다. 네팔 지역 또한 팔라 제국과 토번 제국의 영향력 경쟁 지역이었다.
2. 1. 토번 제국의 북인도 진출
토번 기록에는 이 시기 북인도 침공이 언급되어 있다. 두 명의 역대 토번 첸포가 강가사가르까지 이 지역을 정복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확실한 증거는 없으며 현존하는 벵골 문헌에도 이에 대한 언급이 없다. 하지만 토번인들이 북인도로 건너와 팔라 제국을 불안하게 만들었을 가능성은 있다.[4][1]일부 토번 기록에는 다르마팔라 및 데바팔라와 동시대에 존재했던 토번 첸포들이 이들에게 정복당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역사적 증거는 없다.[4][1][3]
토번 기록 외에도 데바팔라의 비문에도 팔라 제국과 토번 간의 갈등이 언급되어 있다.[8][9] 또한 네팔에도 다르마팔라가 네팔을 정복한 비슷한 전승이 있으며,[5] 다르마팔라의 네팔 정복 주장은 데바팔라의 비문에 의해 뒷받침된다.[7]
데바팔라의 몽히르 동판에 따르면, 그의 세력은 빈디야산맥과 캄보자에 이르렀으며 캄보자는 토번과 동일시되었다.[2]
2. 2. 네팔을 둘러싼 갈등
토번 기록에는 이 시기 북인도 침공이 언급되어 있다. 두 명의 역대 토번 첸포가 강가사가르까지 이 지역을 정복했다고 전해지나, 확실한 증거는 없으며 현존하는 벵골 문헌에도 이에 대한 언급이 없다. 하지만 토번인들이 북인도로 건너와 팔라 제국을 불안하게 만들었을 가능성은 있다.[4][1]일부 토번 기록에는 다르마팔라 및 데바팔라와 동시대에 존재했던 토번 첸포들이 이들에게 정복당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역사적 증거는 없다.[4][1][3]
토번 기록 외에도 데바팔라의 비문에도 팔라 제국과 토번 간의 갈등이 언급되어 있다.[8][9] 네팔에는 다르마팔라가 네팔을 정복했다는 전승이 있으며,[5] 다르마팔라의 네팔 정복 주장은 데바팔라의 비문에 의해 뒷받침된다.[7]
데바팔라의 몽히르 동판에 따르면, 그의 세력은 빈디야산맥과 캄보자에 이르렀으며 캄보자는 토번과 동일시되었다.[2]
3. 다르마팔라 시기의 갈등 (8세기 후반)
팔라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왕 다르마팔라는 토번과의 갈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R.C. Majumdar는 다르마팔라가 토번의 지배를 받던 네팔의 왕위를 장악했다는 전승을 언급하며, 다르마팔라의 키다라 및 네팔 원정이 토번의 공격성과 연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5]
3. 1. 토번 측 기록의 신빙성 문제
티베트 사료들은 다르마팔라가 토번에 굴복하여 토번 통치자들 일부가 팔라 제국 영토를 정복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역사적 타당성이 부족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부족하다.[3]토번 사료에서 흐리-스롱-브다-브탄산(트리송데첸)과 그의 아들 무-티그-브탄산포(무틱 첸포)가 인도를 정벌하여 강가사가르에 도달하고 다르마팔라의 항복을 받았다는 내용이 역사적 진실을 담고 있다면, 다르마팔라의 아들 데바팔라가 토번에 맞서 싸워 토번군을 격퇴함으로써 잃어버린 위신을 어느 정도 되찾았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4]
3. 2. 다르마팔라의 군사 원정
다르마팔라는 일련의 군사작전에서 승리하여 패권을 확립했다. 기록에 따르면, 다르마팔라의 군대는 이 원정 기간 동안 케다라와 고카르나 등 여러 성지를 방문했다고 한다.[6] 다르마팔라의 네팔 정복과 네팔에서의 성공적인 원정은 데바팔라의 뭉게르 비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7]4. 데바팔라 시기의 갈등 (9세기 초)
다르마팔라의 아들 데바팔라는 팔라 제국의 세력을 더욱 확장하며 토번과의 갈등을 이어갔다. 몽히르 동판 교부금은 서문에서 데바팔라의 펀자브 지역에서의 승리를 암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오히려 티베트계 제후국에 대한 군사적 침략에 대한 언급일 수 있다.[8]
4. 1. 데바팔라의 펀자브 지역 진출
몽히르 동판은 데바팔라가 펀자브 지역에서 승리했음을 암시한다.[8] 이는 티베트계 제후국에 대한 군사적 침략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다.[8] 데바팔라의 비문은 그의 정복이 히말라야까지 확장되었다고 자랑하고 있으며,[8][9] 데바팔라는 당시 토번 첸포에게 복종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네팔 군주와 충돌했다.[9]4. 2. 히말라야 지역으로의 세력 확장
데바팔라의 비문에는 그의 정복이 히말라야까지 확장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8][9] 데바팔라는 당시 토번의 첸포에게 복종했을 가능성이 높은 네팔 군주와 충돌했다.[9]참조
[1]
서적
History of Ancient Bengal (R. C. Majumdar)
https://archive.org/[...]
1971
[2]
서적
Dynastic History Of Magadh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77
[3]
서적
The Age Of Imperial Kanauj
http://archive.org/d[...]
1955
[4]
서적
Land of Two Rivers: A History of Bengal from the Mahabharata to Mujib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1-07-19
[5]
서적
History of Ancient Bengal (R. C. Majumdar)
http://archive.org/d[...]
1971
[6]
서적
History of Indian Nation :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K.K. Publications
2022-02-20
[7]
서적
Pages of the Forgotten Past
https://books.google[...]
Joshi Research Institute
1998
[8]
서적
Ancient India, History and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94
[9]
서적
Research in Arunachal, 1951-1976: Proceedings of the Silver Jubilee Seminar, with Supplement
https://books.google[...]
The Directorate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