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드루 드 소자 올스테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드루 드 소자 올스테잉은 포르투갈의 귀족이자 정치가로, 1781년 토리노에서 태어났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 바욘 회의에서 나폴레옹에게 반대하며 명성을 얻었고, 빈 회의와 파리 조약에 전권 대사로 참여하여 포르투갈의 국익을 위해 활동했다. 브라질 망명 정부에서 외무 장관을 역임했으며, 자유주의 혁명 당시 주앙 6세의 귀국을 권고했다. 1823년 외무 대신으로 임명되었으나, 헌법 초안이 국왕의 승인을 받지 못해 투옥되기도 했다. 이후 런던 주재 대사로 복귀했고, 미겔 1세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여 영국으로 망명, 이후 포르투갈 내전에서 자유주의 세력을 지원했다. 1834년 포르투갈 초대 총리를 역임했으며, 1842년과 1846년에도 총리를 지냈다. 1810년 에우제니아 프란시스카 자비에르 텔레스 다 가마와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페드루 드 소자 올스테잉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페드루 드 소자 올스테잉 |
출생일 | 1781년 5월 8일 |
출생지 | 토리노, 사르데냐 왕국 |
사망일 | 1850년 10월 12일 (향년 69세) |
사망지 | 리스본, 포르투갈 왕국 |
배우자 | 에우제니아 프란시스카 자비에르 텔레스 다 가마 (1810년 6월 4일 결혼, 1848년 4월 20일 사별) |
자녀 | 15명 |
![]() | |
공직 | |
직함 | 포르투갈 총리 |
임기 시작 | 1846년 5월 20일 |
임기 종료 | 1846년 10월 6일 |
군주 | 마리아 2세 및 페르난두 2세 |
이전 | 테르세이라 공작 |
다음 | 살다냐 공작 |
임기 시작 2 | 1842년 2월 7일 |
임기 종료 2 | 1842년 2월 9일 |
군주 2 | 마리아 2세 및 페르난두 2세 |
이전 2 | 주아킴 안토니우 드 아기아르 |
다음 2 | 테르세이라 공작 |
임기 시작 3 | 1834년 9월 24일 |
임기 종료 3 | 1835년 5월 4일 |
군주 3 | 마리아 2세 |
이전 3 | 벤투 페레이라 두 카르무 (사실상) |
다음 3 | 린야레스 백작 |
직함 2 | 상원 의장 |
임기 시작 4 | 1842년 7월 10일 |
임기 종료 4 | 1850년 10월 12일 |
군주 4 | 마리아 2세 및 페르난두 2세 |
이전 4 | 자신 (상원 의장) |
다음 4 | 길례르미 엔리케스 드 카르발류 |
임기 시작 5 | 1834년 8월 14일 |
임기 종료 5 | 1836년 6월 4일 |
군주 5 | 마리아 2세 |
이전 5 | 카다발 공작 |
다음 5 | 마누엘 두아르트 레이탕 (상원 의장) |
직함 3 | 상원 의장 |
임기 시작 6 | 1840년 2월 17일 |
임기 종료 6 | 1842년 1월 1일 |
군주 6 | 마리아 2세 및 페르난두 2세 |
이전 6 | 마누엘 두아르트 레이탕 |
다음 6 | 자신 (상원 의장) |
임기 시작 7 | 1839년 5월 2일 |
임기 종료 7 | 1840년 1월 11일 |
군주 7 | 마리아 2세 및 페르난두 2세 |
이전 7 | 마누엘 두아르트 레이탕 |
다음 7 | 마누엘 두아르트 레이탕 |
장관 직책 | |
1820–1821 | 전쟁부 |
1823–1825 | 외무부 |
1832–1832 | 내무부 |
1835–1835 | 외무부 |
1842년 2월 | 외무부 |
1846–1846 | 재무부 |
1846년 5월 | 법무부 (대행) |
1846년 5월 | 내무부 |
1846–1846 | 내무부 |
대사 직책 | |
1809–1812 | 스페인 |
1816–1820 | 영국 |
1825–1827 | 영국 |
2. 초기 생애 및 경력
페드루 드 소자 올스테잉은 1781년 토리노에서 포르투갈 귀족 가문인 드 소자 가문의 일원으로 태어났으며, 칼라리즈의 영주였다. 그의 성씨에 포함된 '홀스타인'은 부계 쪽 할머니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베크 가문의 마리아 안나 레오폴디네 공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그의 삼촌인 Frederico Guilherme de Sousa Holstein은 포르투갈령 인도의 총독을 지냈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외교관으로서의 경력을 시작했으며, 나폴레옹 전쟁 시기를 거치며 포르투갈의 주요 정치 및 외교 무대에서 활동하게 된다.
2. 1. 나폴레옹 전쟁 시기 활동
나폴레옹 1세에 맞서 스페인 독립 전쟁이 벌어지던 중, 1808년 바욘 회의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페드로는 "포르투갈인은 프랑스 황제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발언하여 명성을 얻었다. 1814년에는 빈 회의에 포르투갈 전권 대사로 파견되어, 스페인에게 빼앗긴 올리벤사 지역의 반환을 주장했다. 이듬해인 1815년에는 파리 회의에도 참석하여 포르투갈의 입장을 대변했다.2. 2. 브라질 망명 정부와의 관계
런던 주재 대사를 거쳐 브라질 망명 정권의 외교 문제 담당 국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820년 포르투갈 본토에서 왕실의 귀환을 요구하는 자유주의 혁명이 일어나자, 브라질에 망명 중이던 주앙 6세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귀국을 권유했다.1823년에는 파르멜라 후작 작위를 받았고, 귀국한 주앙 6세에 의해 외무 대신 및 신헌법 제정 위원회의 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가 주도하여 만든 헌법은 지나치게 자유주의적이라는 이유로 왕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또한 돈 미겔을 비롯한 반동 세력에게 위험 인물로 간주되어 1824년 투옥되기도 했다. 석방된 후 국무 대신을 거쳐 다시 런던 대사로 돌아갔다.
1828년, 돈 미겔이 왕위를 찬탈하며 포르투갈 내전이 발발하자, 페드로는 포르투에서 반대 세력에 가담했으며, 이후 동료들과 함께 영국으로 망명했다. 당시 브라질의 황제이자 마리아 2세의 아버지인 페드루 1세는 페드로를 자신의 딸 마리아 2세의 후견인으로 임명했다. 페드로는 마리아 2세의 대사로서 영국 정부를 상대로 외교 활동을 펼쳤다. 1830년에는 아조레스 제도의 테르세이라 섬에서 마리아 2세 여왕의 섭정으로 임명되었으며, 1832년 페드루 1세가 직접 섭정을 맡게 되자 외무 대신으로서 런던에서 돈 미겔에 맞서는 활동을 이어갔다.
2. 3. 헌법 제정 및 정치적 갈등
1823년, 파르멜라 후작 작위를 받았으며, 주앙 6세에 의해 외무 대신 및 신헌법 제정 위원회의 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가 주도하여 완성한 헌법 초안은 지나치게 자유주의적이라는 평가를 받아 왕의 승인을 얻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은 돈 미겔 왕자를 비롯한 반동 세력에게 위험 인물로 간주되는 결과를 낳았고, 결국 1824년에는 투옥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후 석방되어 국무 대신 직을 맡았으며, 다시 런던 주재 대사로 돌아갔다.3. 포르투갈 내전 (자유주의 전쟁)
1828년, 미겔 1세가 포르투갈의 왕위를 찬탈하자, 팔멜라는 포르투에서 반대파에 가담하였다. 그러나 자유주의 세력의 저항은 실패로 돌아갔고, 팔멜라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영국으로 망명길에 올라야 했다. 같은 해 6월, 포르투로 돌아가려던 시도인 ''벨파스타다'' 역시 실패로 끝났다. 당시 런던에는 팔멜라처럼 망명한 포르투갈 귀족들이 많았으며, 이들은 어려운 생활을 이어갔다. 그레빌은 1828년 8월 16일 자신의 일기에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1]
”에스테르하지 공작은 오늘 밤 팔멜라가 매일 저녁 20명에서 30명의 동포들과 식사를 하는데, 런던에는 수백 명의 최고의 가문 출신들이 완전히 빈털터리로 있다고 말했다.”
미겔 1세 정권은 팔멜라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그의 재산을 몰수하는 등 탄압을 가했다. 하지만 브라질의 황제이자 마리아 2세의 아버지인 페드루 1세는 팔멜라를 정당한 여왕 마리아 2세의 후견인으로 임명하였다. 팔멜라는 영국 궁정에서 마리아 2세의 대사 역할을 수행하며 자유주의 세력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1830년, 팔멜라는 아소르스 제도의 테르세이라 섬에 마리아 2세를 위한 망명 정부 성격의 섭정을 세웠다. 이 시기에 그는 영국 해군 장교 출신인 찰스 네이피어 선장을 만나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고, 자유주의 세력의 해군 지휘관으로 영입했다. 이는 이후 내전의 향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3. 1. 페드루 1세의 섭정
1832년 페드루 1세가 직접 섭정을 맡게 되자, 팔멜라는 외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런던에서 미겔 1세에 대항하는 활동을 펼쳤다.1833년에는 찰스 네이피어와 함께 용병 증원군을 이끌고 포르투로 항해했다. 당시 페드루 1세는 포르투에서 포위된 상태였으며, 팔멜라는 이 상황을 타개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그는 네이피어 및 테르세이라 공작과 함께 알가르브 원정에 참여했다.
3. 2. 내전 종식
1833년, 팔멜라는 용병 증원을 이끌고 찰스 네이피어와 함께 포르투로 항해하여 포위된 페드루 1세를 지원했다. 이후 네이피어 및 테르세이라 공작과 함께 알가르브 원정에 참여했다.[1] 찰스 네이피어가 이끈 자유주의 함대가 생빈센트 곶 해전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전세는 페드루 1세에게 유리하게 기울었다. 이 승리 덕분에 페드루 1세는 리스본을 점령하고 내전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할 수 있었다.[1] 내전이 종식된 후, 팔멜라는 공직에서 물러났다.[1]4. 입헌군주제 하의 정치 활동
포르투갈 내전에서 마리아 2세를 지지하는 자유주의 세력이 승리한 후, 포르투갈에는 새로운 입헌군주제가 수립되었다. 페드루 드 소자 올스테잉은 이 새로운 체제 하에서 초대 총리로 임명되어 1834년 9월 24일부터 1835년 5월 4일까지 정부를 이끌었다.
이후에도 그는 두 차례 더 총리직을 맡았다. 1842년 2월에는 소위 '사육제 내각'이라 불리는 정부에서 단 이틀간 총리로 재임했으며, 1846년에는 3월부터 10월까지 다시 총리를 역임했다. 이 세 번째 총리 재임 기간은 마리아 다 폰테 혁명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였다.
5. 결혼과 자녀
1810년 6월 4일, 페드루 드 소자 올스테잉은 에우제니아 프란시스카 자비에르 텔레스 다 가마(1798–1848)와 결혼하여 슬하에 15명의 자녀를 두었다.
5. 1. 자녀 목록
1810년 6월 4일, 페드루 드 소자 올스테잉은 에우제니아 프란시스카 자비에르 텔레스 다 가마(1798–1848)와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이름 | 생몰년 | 비고 |
---|---|---|
알렉상드르 드 소자 올스테잉 | 1812–1832 | 초대 칼하리즈 백작 |
에우제니아 드 소자 올스테잉 | 1813–1884 | 결혼을 통해 미나스 후작부인 |
이자벨 드 소자 올스테잉 | 1816–1819 | |
도밍고스 드 소자 올스테잉 | 1818–1864 | 아버지의 뒤를 이어 제2대 파멜라 공작 |
마누엘 드 소자 올스테잉 | 1819–1837 | |
마리아 아나 드 소자 올스테잉 | 1821–1844 | |
마리아 조제 드 소자 올스테잉 | 1822–1834 | |
테레사 드 소자 올스테잉 | 1823–1885 | 결혼을 통해 알카소바스 백작부인 |
호드리고 드 소자 올스테잉 | 1824–1840 | 파멜라 후작 |
카타리나 드 소자 올스테잉 | 1826–1885 | 결혼을 통해 갈베이아스 백작부인 |
아나 로자 드 소자 올스테잉 | 1828–1864 | |
페드루 드 소자 올스테잉 | 1830–1830 | |
프란시스쿠 드 보르자 드 소자 올스테잉 | 1838–1878 | 초대 소자 올스테잉 후작 |
토마스 드 소자 올스테잉 | 1839–1887 | 초대 세심브라 후작 |
필리페 드 소자 올스테잉 | 1841–1884 | 초대 몬팔림 후작 |
참조
[1]
서적
A Journal of the Reigns of King George IV and King William IV
Longmans Green & Co
1874
[2]
서적
주머니 속의 유럽사
2004
[3]
서적
행복한 빛깔을 지닌 나라
2003
[4]
서적
주머니 속의 유럽사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