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이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첵》은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역설계 엔지니어 마이클 제닝스가 경쟁사 기술을 분석하고 재현하는 일을 하다가 기억 삭제를 받은 후 겪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제닝스는 3년간의 장기 프로젝트를 완료한 후 거액의 보수를 약속받지만, 기억을 삭제당하고, 이후 의문의 물건들이 담긴 봉투를 받게 된다. 그는 봉투 속 물건들을 이용하여 FBI에서 탈출하고, 자신이 미래를 예측하는 기계를 만들었고, 그 기계가 인류를 파멸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제닝스는 기계를 파괴하고 미래를 바꾸기 위해 얼컴에 잠입하여 기계를 부비 트랩하고 파괴한다. 영화는 벤 애플렉, 아론 에크하트, 우마 서먼 등이 출연했으며, 평론가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립 K. 딕 원작의 영화 작품 - 컨트롤러 (영화)
    2011년 개봉한 영화 《컨트롤러》는 운명을 조종하는 비밀 조직 '조정국'의 존재를 알게 된 상원 의원 후보 데이비드 노리스와 발레리나 엘리즈 셀러스의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맷 데이먼과 에밀리 블런트가 주연을 맡았으며 개인의 자유 의지와 운명의 갈등, 비밀 조직의 음모 등을 특징으로 한다.
  • 필립 K. 딕 원작의 영화 작품 - 마이너리티 리포트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2002년 스티븐 스필버그가 감독한 SF 영화로, 2054년 범죄 예측 시스템의 책임자가 살인 혐의로 지목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자유 의지, 사생활 침해 등의 주제를 다룬다.
  • 오우삼 감독 영화 - 첩혈가두
    첩혈가두는 1967년 홍콩을 배경으로 살인 사건에 휘말린 세 친구가 베트남으로 도피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오우삼 감독의 액션 드라마로, 전쟁과 사회 혼란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 파괴, 우정과 배신, 욕망을 다루고 있으며 양조위, 장학우 등이 출연했다.
  • 오우삼 감독 영화 - 첩혈속집
    1992년 오우삼 감독이 연출하고 주윤발과 양조위가 주연을 맡은 첩혈속집은 범죄 조직에 잠입한 경찰과 그를 돕는 형사의 이야기를 스타일리시한 액션으로 그려낸 홍콩 액션 영화로,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비디오 게임으로도 제작되었다.
  • 기억 조작을 소재로 한 영화 -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2021년 개봉한 영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은 마블 스튜디오와 소니 픽처스가 공동 제작하고 콜롬비아 픽처스가 배급한 슈퍼히어로 영화로, 스파이더맨의 정체가 밝혀진 후 닥터 스트레인지의 도움으로 상황을 해결하려다 멀티버스가 열리면서 다른 차원의 스파이더맨 빌런들이 나타나 혼란이 가중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 기억 조작을 소재로 한 영화 - 미스터 노바디
    미스터 노바디는 2092년 마지막 인간인 네모 노바디가 최면을 통해 기억하는 9세, 15세, 34세의 삶을 교차하며 부모의 이혼, 세 여자와의 관계를 통해 무한한 삶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영화이다.
페이첵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Paycheck
감독존 우
제작존 데이비스
테렌스 창
마이클 해켓
존 우
각본딘 조가리스
원작필립 K. 딕의 "보수"
음악존 파월
촬영제프리 L. 킴벌
편집크리스토퍼 라우즈
케빈 스티트
제작사파라마운트 픽처스
드림웍스
데이비스 엔터테인먼트
라이언 록 엔터테인먼트
배급사파라마운트 픽처스 (미국 및 캐나다)
드림웍스 (국제)
개봉일2003년 12월 25일
상영 시간119분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6천만 달러
흥행 수익1억 1724만 8958달러
출연
주연벤 애플렉
아론 에크하트
우마 서먼
폴 지아마티
콜름 피오레
조 모턴
마이클 C. 홀

2. 줄거리

가까운 미래, 역설계 엔지니어 마이클 제닝스는 극비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기억을 삭제당한다. 제닝스는 친구 쇼티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엔지니어링 지식을 제거하는 기억 삭제 시술을 받는다.[1] 이후, 제닝스는 대학 룸메이트이자 기술 회사 얼컴의 CEO인 제임스 레스릭으로부터 3년 동안의 장기 프로젝트를 제안받고, 그 대가로 회사 주식을 받기로 한다.[1]

프로젝트 완료 후, 제닝스는 9200만달러 가치의 주식을 포기하고 의문의 물건들이 담긴 봉투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1] 제닝스는 봉투 속 물건들을 단서 삼아 자신이 미래를 예측하는 기계를 만들었고, 그 기계가 인류를 파멸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1] 그는 얼컴에서 미래 예측 기계를 만들고, 문제가 생길 경우를 대비해 자신에게 물건들을 담은 봉투를 보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1]

얼컴의 레스릭은 제닝스가 만든 기계를 사용하려 하지만, 제닝스가 떠난 후 기계가 오프라인으로 전환되도록 조작되었다는 것을 발견한다.[1] 레스릭은 제닝스가 생물학자 레이첼 포터 박사와 연인 관계였고, 카페에서 그녀를 만나는 비밀 메시지를 남겼다는 것을 알게 된다.[1] 레스릭은 부하를 보내 제닝스에게 봉투를 넘기도록 하지만, 진짜 포터가 나타나 제닝스를 구출한다.[1]

제닝스와 포터는 봉투에 있는 우표의 미세 사진 이미지가 미래의 신문 헤드라인을 보여주는 것을 발견한다. 사진에는 얼컴의 기계가 국제적인 갈등과 미국의 선제 핵 공격을 초래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1] 그들은 기계를 파괴하기로 결심한다.

제닝스와 포터는 얼컴에 잠입하여 기계에 접근하고, 제닝스는 기계가 몇 분 안에 파괴되도록 부비 트랩을 설치한다.[1] 그는 기계를 마지막으로 사용하여 FBI 요원에게 총을 맞는 자신을 보지만, 봉투에서 나온 시계 덕분에 총알을 피하고 레스릭이 대신 총에 맞아 사망한다.[1] 제닝스가 설치한 부비 트랩이 터지면서 기계는 파괴된다.[1]

이후, 제닝스, 포터, 쇼티는 시골로 이사한다. 제닝스는 봉투에서 나온 포춘 쿠키 메시지를 기억하며 9000만달러 짜리 당첨 복권을 발견한다.[1]

3. 등장인물

영화 페이첵에는 주요 등장인물 외에도 다양한 조연들이 등장하여 극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크리스타 앨런''' - 홀로그램의 여성 역
  • '''크리스토퍼 케네디''' - 닥터 스티븐 역
  • '''피터 프리드먼''' - 브라운 법무장관 역
  • '''이바나 밀리체비치''' - 마야/레이첼 역: 레이첼의 대역
  • '''윌리엄 데커''' - 정부의 물리학자 역
  • '''조앤''' - 은행 직원 역
  • '''칼럼 키스 레니''' - 주드 역: 경비원

3. 1. 주요 등장인물


  • '''마이클 제닝스''' (벤 애플렉 분): 역설계 엔지니어로, 극비 프로젝트 참여 후 기억을 잃는다. 자신이 남긴 단서를 통해 진실을 추적한다.
  • '''제임스 레스릭''' (아론 에크하트 분): 제닝스의 대학 동기이자 기술 회사 얼컴의 CEO. 제닝스에게 극비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 '''레이첼 포터''' (우마 서먼 분): 생물학자로, 제닝스와 함께 진실을 파헤치고 미래를 바꾸기 위해 노력한다.
  • '''존 울프''' (콜름 피오 분): 레스릭의 오른팔이다.
  • '''쇼티''' (폴 지어마티 분): 제닝스의 친구이다.
  • '''클레인 요원''' (마이클 C. 홀 분)
  • '''닷지 요원''' (조 모턴 분)
  • '''브라운 법무장관''' (피터 프리드먼 분)
  • '''마야/레이첼''' (이바나 밀리체비치 분)
  • '''리타 던''' (캐스린 모리스 분)

3. 2. 조연


  • '''콜름 피오''' - 존 울프 역: 레스릭의 오른팔이자 비서. 아군도 망설임 없이 죽이는 극악무도한 인물이다.
  • '''폴 지아마티''' - 쇼티 역: 제닝스의 절친한 친구.
  • '''마이클 C. 홀''' - 클레인 요원 역: FBI 요원.
  • '''조 모턴''' - 닷지 요원 역: FBI 요원.
  • '''캐서린 모리스''' - 리타 던 역: 여성 변호사. 제닝스와 연인 관계였음을 시사한다.

4. 제작

1996년, 필립 K. 딕의 단편 소설 "페이첵"의 영화화 판권이 캐러밴 픽처스에 판매되었다.[2] 존 우가 감독으로 선정되기 전, 브렛 래트너캐서린 비글로우가 감독 후보로 거론되었다.[2][3] 맷 데이먼에게 마이클 제닝스 역이 제안되었으나, 기억상실증 소재의 영화를 또 찍고 싶지 않아 거절했다.[4]

5. 평가

시네마스코어에서 조사한 관객들은 이 영화에 A+에서 F까지의 등급 중 B− 등급을 부여했다.[7]

벤 애플렉은 《Gigli》, 《데어데블》, 그리고 이 영화에서의 연기로 최악의 남자배우상을 수상했다.[14] 그는 왜 트로피를 받지 못했는지 질문했고, 일주일 후 《래리 킹 라이브》에서 라즈베리상을 생방송으로 받았고 즉시 부쉈다.[14] 부서진 트로피는 이베이에서 판매되었는데, 다음 해 시상식장 대여료를 충당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가격이었다.[15]

5. 1. 비평가 반응

로튼 토마토에서는 15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페이첵》에 27%의 긍정적인 평가와 평균 평점 4.7/10점을 주었다. 이 사이트의 평론가들은 "딕의 단편 소설은 흥미로운 전제를 가지고 있지만, 오우삼 감독은 이를 의미 없는 추격전, 총격전, 폭발로 축소시켰다"는 평에 동의했다.[5] 메타크리틱에서는 34명의 평론가를 바탕으로 가중 평균 점수 43/100점을 받아 "평가 혼조"를 보였다.[6]

The A.V. Club의 스콧 토비아스는 이 영화를 "영리한 스릴러"라고 칭찬하며 "오우삼 감독의 훌륭한 타이밍과 리듬 감각"을 높이 평가했다.[8] Film Threat의 크리스 바르산티 또한 《페이첵》을 "꽤 오랫동안 나온 영화 중 더 유능하고 안심할 수 있는 액션 영화 중 하나"라고 호평했다.[9]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4개 중 2개를 주며 "영화를 즐겼다"면서도, "액션과 플롯 잠재력을 위해 [필립 K. 딕의 소설]을 활용했지만, 실제로 발전시키지는 못했다"고 평가했다.[10] Film Threat의 K. J. 도턴은 이 영화를 "존 우 라이트"라고 부르며 "그의 이전 작품보다 열등한 작품의 중성화된 변형"이라고 혹평했다.[11] 제임스 베라디넬리는 이 영화에 별 4개 중 1.5개를 주며 "부진한 연기, 무의미한 각본, 영감을 얻지 못한 연출이 포함된 형편없는 영화"라고 비판했다.[12]

영화의 반응에 대해 존 우 감독은 "《페이첵》은 SF 요소가 많지 않아 괜찮았다. 앨프리드 히치콕 스타일의 영화, 즉 총격전보다는 서스펜스와 스릴에 더 중점을 둔 영화를 만들려고 했지만, 불행히도 각본이 그렇게 쓰이지 않았다. 서스펜스에 잘 맞지 않았고, 내가 원했던 히치콕 스타일대로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적어도 벤 애플렉과 함께 작업하는 것은 좋았다"고 말했다.[13]

5. 2. 수상 내역

벤 애플렉은 영화 《페이첵》에서의 연기로 골든 라즈베리상 최악의 남자배우상을 수상했으며, 《Gigli》와 《데어데블》에서도 수상했다.[14] 그는 왜 트로피를 받지 못했는지 질문했고, 일주일 후 《래리 킹 라이브》에서 라즈베리상을 생방송으로 받았고 즉시 부쉈다.[14] 부서진 트로피는 다음 해 시상식장 대여료를 충당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가격으로 이베이에서 판매되었다.[15]

6. 한국어 더빙

6. 1. SBS 성우진 (2005년 11월 5일)

6. 2. TV 아사히 버전 (2008년 3월 16일)

배역배우TV 아사히 버전
마이클 제닝스벤 애플렉쿠스노키 타이텐
지미 레스릭아론 에크하트테라소마 마사키
레이첼 포터우마 서먼혼다 타카코
쇼티폴 지아마티우시야마 시게루
존 울프콜럼 피오르사사키 카츠히코
에이전트 도지조 모턴이와사키 히로시
에이전트 클라인마이클 C. 홀키노시타 히로유키
마야이와나 밀세비치이시즈카 리에
기타사사키 토시, 타마가와 사키코, 와타나베 미노루, 코야나기 요코, 야나기사와 마유미, 오노 아츠시, 와타나베 히데오, 타키 토모후미, 나라 토루, 콘도 히로무, 카와나 마치코, 쿠와바라 케이이치
연출키무라 에리코
번역키시다 케이코
조정야마모토 카즈토시
효과사운드 박스
제작도호쿠 신샤


  • TV 아사히 버전: 첫 방송 2008년 3월 16일 『일요 명화 극장』

7. 기타

오우삼 감독의 영화답게 비둘기가 등장하고, 멕시칸 스탠드오프 장면이 나오는 등 감독 특유의 연출 스타일을 엿볼 수 있다.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연출에 대한 오마주가 곳곳에 담겨 있다. 이전의 존 우 영화 주인공과는 달리, 주인공이 적을 죽이지 않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마이클이 평범한 기술자이며 살인을 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감독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존 우 영화의 묘미라고 할 수 있는 폭력 묘사는 상당히 절제된 작품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aycheck https://www.boxoffic[...] 2021-12-20
[2] 뉴스 Ratner collecting his 'Paycheck' https://variety.com/[...] Variety 2021-07-19
[3] 웹사이트 Woo eyes Par 'Paycheck' https://variety.com/[...] 2024-05-31
[4] 웹사이트 Affleck thanks Damon for 'Paycheck' role http://www.upi.com/A[...]
[5] 웹사이트 Paycheck (2003) http://www.rottentom[...] Fandango 2012-01-21
[6] 웹사이트 Paycheck Reviews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20-09-12
[7] 웹사이트 PAYCHECK (2003) B- https://www.cinemasc[...]
[8] 웹사이트 Review by Scott Tobias https://www.avclub.c[...] The Onion 2004-01-05
[9] 웹사이트 Review by Chris Barsanti http://www.filmthrea[...]
[10] 웹사이트 Paycheck movie review & film summary (2003) https://www.rogerebe[...] 2003-12-24
[11] 웹사이트 Review by K. J. Doughton http://www.filmthrea[...]
[12] 웹사이트 Review by James Berardinelli http://preview.reelv[...]
[13] 간행물 John Woo on John Woo: My Hits -- and Misses https://ew.com/galle[...] 2009
[14] 웹사이트 Affleck Refuses Razzie on 'Larry King' https://people.com/c[...] 2004-03-17
[15] 웹사이트 The Razzies: A brief history https://ew.com/artic[...]
[16] 웹사이트 Paycheck (2003)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