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펜테이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펜테이션은 테트레이션 다음이자 헥세이션 이전의 초연산으로, 반복적인 테트레이션으로 정의된다. 펜테이션은 두 숫자 a와 b에 대해 a를 b-1번 자신에게 테트레이션하는 이항 연산이다. 초연산 표기법으로는 a[5]b로 나타낼 수 있으며, 크누스 윗 화살표 표기법(a ↑↑↑ b), 컨웨이 체인 화살표 표기법(a → b → 3) 등 다양한 표기법이 존재한다. 펜테이션은 결합 법칙이 성립하지 않아 계산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계산한다. 펜테이션은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숫자를 생성하며, 애커만 함수와 관련이 있다. "펜테이션"이라는 용어는 1947년 루벤 굿스타인이 만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큰 수 - 나유타
    나유타는 불교 경전에서 큰 수를 비유하는 산스크리트어 유래 수의 단위로, 산학계몽에 처음 등장하여 시대에 따라 크기 정의가 변화했으며 현대에는 특정 수치를 나타내는 단위로도 쓰인다.
  • 큰 수 - 구골플렉스
    구골플렉스는 1 뒤에 구골(10100)개의 0이 붙는 매우 큰 수로, 1940년 밀튼 시로타가 명명했으며, 칼 세이건은 십진법으로 완전히 쓰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추정했다.
  • 거듭제곱 - 지수 함수
    지수 함수는 양의 상수 *a*를 밑으로 하는 *y = ax* 형태의 함수이며, 특히 자연로그의 역함수인 *ex*는 다양한 정의와 응용을 가지며 복소수로 확장될 수 있다.
  • 거듭제곱 - 반감기
    반감기는 어떤 양이 원래 값의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방사성 붕괴, 화학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방사성 동위원소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 이항연산 - 뺄셈
    뺄셈은 두 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산으로, 덧셈의 역연산이며, 피감수에서 감수를 빼는 연산으로 차를 구하고, 반교환법칙과 결합 법칙은 성립하지 않으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이항연산 - 나눗셈
    나눗셈은 하나의 수를 다른 수로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기본적인 산술 연산이다.
펜테이션
일반 정보
명칭펜테이션 (pentation)
다른 명칭하이퍼-5 (hyper-5)
정의
연산a↑↑↑b 또는 a(5)b
설명'테트레이션(tetration)을 반복하는 연산, 즉 거듭제곱을 반복하는 연산이다. 펜테이션은 초거듭제곱(superexponentiation) 또는 하이퍼-5 연산이라고도 불린다.'
특징펜테이션은 교환 법칙과 결합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예시
계산 예시2↑↑↑3 = 2↑↑(2↑↑2) = 2↑↑(2^2) = 2↑↑4 = 2^(2^(2^2)) = 2^16 = 65536
큰 수펜테이션은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함수이므로, 작은 값으로도 매우 큰 수를 만들 수 있다.
관련 연산
하이퍼 연산 계열덧셈(addition) → 곱셈(multiplication) → 거듭제곱(exponentiation) → 테트레이션(tetration) → 펜테이션 → 헥세이션(hexation)
활용
용도매우 큰 수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2. 정의

펜테이션은 테트레이션 다음이자 헥세이션 이전의 초연산(매번 이전 연산을 기반으로 하는 무한 수열의 산술 연산)이다. 펜테이션은 반복적인(반복된) 테트레이션으로 정의된다(오른쪽 결합을 가정). 이는 테트레이션이 반복적인 오른쪽 결합 지수 연산인 것과 유사하다.[1] 펜테이션은 두 숫자 ''a''와 ''b''로 정의되는 이항 연산이며, 여기서 ''a''는 ''b − 1''번 자신에게 테트레이션된다.

초연산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대괄호 [] 안의 숫자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펜테이션과 테트레이션에 대한 초연산 표기법을 사용하여, 2[5]3은 2를 두 번 자신에게 테트레이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2[4](2[4]2)를 의미한다. 이는 2[4](2^2)=2[4]4=2^{2^{2^2}}=2^{2^4}=2^{16}=65,536.으로 축소될 수 있다.

3. 표기법

펜테이션은 표준적인 표기법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 여러 방법으로 표기된다. 크누스 윗 화살표 표기법으로는 a \uparrow \uparrow \uparrow b 또는 a \uparrow^{3}b로, 컨웨이 체인 화살표 표기법으로는 a\rightarrow b\rightarrow 3으로,[5] 초연산 표기법으로는 a[5]b로 나타낸다.[3][4] 이 밖에 {_{b}a}와 같은 표기법도 제안되었으나, 더 높은 초연산으로 확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6]

다음은 펜테이션의 여러 가지 표기법을 정리한 표이다.

명칭표기
크누스 윗 화살표 표기법a \uparrow\uparrow\uparrow n ,~ a \uparrow^3 n
컨웨이 체인 화살표 표기법a \rightarrow n \rightarrow 3
초연산 표기a [5] n ,~ H_5(a, n)
\operatorname{hyper}(a, 5, n) ,~ \operatorname{hyper5}(a, n)
바우어스의 배열 표기법\lbrace a,b,3 \rbrace
하이퍼 E 표기법[10]E(a)1\#1\#n


4. 계산 순서

테트레이션과 마찬가지로 펜테이션은 결합 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계산 순서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계산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하는 경우는 5계 하이퍼 연산 a {_{ (5) }} n이 된다.

5. 성질

펜테이션 a[5]b는 현재 ''a'' > 0 및 ''b'' ≥ −2인 정수 ''a''와 ''b'' 값과 몇 가지 고유하게 정의될 수 있는 다른 정수 값에 대해서만 정의된다. 다음의 자명한 경우(항등식)를 갖는다.[7]


  • 1[5]b = 1
  • a[5]1 = a


또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7]

  • a[5]2 = a[4]a
  • a[5]0 = 1
  • a[5](-1) = 0
  • a[5](-2) = -1
  • a[5](b+1) = a[4](a[5]b)


위에 표시된 자명한 경우 외에, 펜테이션은 매우 빠르게 극도로 큰 숫자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기존 표기법으로 작성할 수 있는 숫자를 생성하는 비자명한 경우는 몇 개 없으며, 아래에 모두 나열되어 있다.[7]

수식설명
2[5]242[4]2 = 2^2 = 4
2[5]365,5362[4]4 = 2^{2^{2^2}} = 2^{16} = 65,536
2[5]4\approx \exp_{10}^{65,533}(4.29508)높이가 65,536인 거듭제곱탑
2[5]5\approx \exp_{10}^{2[4]65,536-3}(4.29508)높이가 2[4]65,536인 거듭제곱탑
3[5]27,625,597,484,9873[4]3 = 3^{3^3} = 3^{27} = 7,625,597,484,987
3[5]3\approx \exp_{10}^{7,625,597,484,986}(1.09902)높이가 7,625,597,484,987인 거듭제곱탑
3[5]4\approx \exp_{10}^{3[4]7,625,597,484,987-1}(1.09902)높이가 3[4]7,625,597,484,987인 거듭제곱탑
4[5]2\approx \exp_{10}^3(2.19)4^{4^{4^4}} = 4^{4^{256}} (10153개 이상의 자릿수를 가진 숫자)
5[5]2\approx \exp_{10}^4(3.33928)5^{5^{5^{5^5}}} = 5^{5^{5^{3125}}} (10102184개 이상의 자릿수를 가진 숫자)


6. 예시

펜테이션은 매우 빠르게 극도로 큰 숫자를 생성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7]

x x \uparrow^3 2 x \uparrow^3 3 x \uparrow^3 4
11
24 (컨웨이의 연쇄 표기법에서 \lim_{x\to 0}\left(2 \uparrow^{\frac{1}{x}} 2\right)=\lim_{x\to 0}\left(2 \rightarrow 2\rightarrow\frac{1}{x}\right)=4이기 때문)65,536\exp_{10}^{65533}(4.29508)
37,625,597,484,987\exp_{10}^{7,625,597,484,986}(1.09902)
4\exp_{10}^3(2.19) (10153개 이상의 자릿수를 가진 숫자)
5\exp_{10}^4(3.33928) (10102184개 이상의 자릿수를 가진 숫자)


7. 역사

"펜테이션"이라는 단어는 1947년 루벤 굿스타인이 penta- (5)와 반복 연산의 합성어에서 만들었다. 이는 그의 하이퍼 연산에 대한 일반적인 명명 체계의 일부이다.[2]

8. 아커만 함수와의 관계

애커만 함수의 변형된 값의 표에서 네 번째 행의 값으로 펜테이션 함수의 값을 얻을 수 있다. A(n,m)이 초기 조건 A(1,n)=anA(m,1)=a로 애커만 재귀 A(m-1,A(m,n-1))로 정의된다면, a[5]b=A(4,b)이다.[7]

참조

[1] 간행물 Algorithm 93: General Order Arithmetic 1961-06
[2] 간행물 Transfinite ordinals in recursive number theory
[3] 간행물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Coping with finiteness
[4] 간행물 Knuth's iterated powers
[5] 서적 The Book of Numb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6] 웹사이트 Tetration.org - Tetration http://www.tetration[...] 2022-09-12
[7] 간행물 Ackermann functions and transfinite ordinals
[8] 간행물 Algorithm 93: General Order Arithmetic 1962-06
[9] 간행물 Transfinite ordinals in recursive number theory
[10] 웹사이트 One to Infinity: A Guide to the Finite https://sites.google[...]
[11] 간행물 Ackermann functions and transfinite ordinals
[12] 저널
[13]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