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펠렐리우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렐리우섬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태평양 전쟁의 격전지였으며, 펠렐리우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일본군 보병 제2, 제15연대가 괴멸되었으며, 섬에는 미군과 일본군 양측의 유해, 전차, 항공기, 파괴된 함선 등 전쟁 유적이 남아있다. 현재 섬은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있으며, 관광지로도 활용되고 있다. 2015년 아키히토 천황과 미치코 황후가 방문하여 위령비를 참배했다. 펠렐리우섬은 비정기편 선박과 항공기 외에도 정기 선박편이 운행되며, 펠렐리우 비행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펠렐리우주 - 펠렐리우 전투
    펠렐리우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병대와 육군이 필리핀 탈환 작전의 일환으로 팔라우 제도 펠렐리우 섬에서 일본군과 벌인 전투로, 일본군의 완강한 저항과 새로운 방어 전술,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미군에게 큰 어려움과 막대한 사상자를 안겨주며 전략적 가치에 비해 과도한 희생을 치렀다는 논란이 있다.
  • 팔라우의 섬 - 바벨다오브섬
    바벨다오브섬은 팔라우 공화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팔라우의 수도인 응게룰무드가 위치하고, 응게르첼추스산과 여러 폭포, 호수가 있으며, 10개의 주가 섬에 포함되어 있고, 팔라우 고유종 조류의 서식지이다.
  • 팔라우의 섬 - 말라칼섬
    말라칼섬은 팔라우에 위치한 섬으로, 팔라우 최고의 항만 시설을 갖추고 코롤섬과 육교로 연결되어 다이빙 및 여행 업체의 거점 역할을 하며, 에코 파라다이스 FM의 송신소가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펠렐리우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섬 이름페리렐리우섬
원어 이름펠렐리우섬
이미지
지도
위치태평양
군도팔라우 제도
국가팔라우
펠렐리우주
최대 도시클루클루베드
지리
면적약 13 km2
높이50m
최고점우무르브로골산
최고점 높이75m
인구 통계
인구 (2000년)571명
인구 밀도44명/km2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에서 가장 치열한 펠렐리우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이 전투로 일본군 보병 제2, 제15연대가 괴멸되었다.[2] 섬 곳곳에는 전투의 흔적과 현지 민간인 전몰자 묘원이 남아있다. 오늘날 섬의 식생은 전투로 소실된 후 다시 자라난 것이다.

아키히토 천황과 미치코 황후는 2015년 팔라우를 방문하여 섬 남단에 있는 일본국 정부 설치 위령비 "서태평양 전몰자의 비"를 방문했다.[3]

2. 1. 제2차 세계 대전 펠렐리우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에서 가장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던 펠렐리우 전투가 일어난 곳이다. 일본군은 보병 제2, 제15연대가 괴멸되었다.[2] 섬에서 결전을 벌인 미군의 유해와 전차, LVT, 제로센 등의 항공기, 파괴되어 정박 중인 함선과 상륙용 주정, 군인이 가지고 있던 물병, 헬멧 등이 섬 곳곳에 있으며, 현지 민간인 등의 전몰자 묘원이 있다. 오늘날 섬의 식생은 전투로 인해 소실된 후 재생된 것이며,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있다.

아키히토 천황과 미치코 황후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70주년인 2015년 4월 8일부터 9일까지 팔라우를 방문했을 때, 섬의 남단에 일본국 정부가 1985년에 설치한 위령비 "서태평양 전몰자의 비"를 방문했다.[3]

2. 2. 전투의 흔적과 평화 기념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에서 가장 치열한 전투였던 펠렐리우 전투가 일어난 곳이다. 일본군 보병 제2, 제15연대가 괴멸되었다. 섬에서 전투를 벌인 미군의 유해와 전차, LVT, 제로센 등의 항공기, 파괴되어 정박 중인 함선과 상륙용 주정, 군인이 가지고 있던 물병, 헬멧 등이 섬 곳곳에 남아있으며, 현지 민간인 등의 전몰자 묘역도 있다.[2] 오늘날 섬의 식생은 전투로 소실된 후 다시 자라난 것으로,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있다.

아키히토 천황과 미치코 황후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70주년인 2015년 4월 8일부터 9일까지 팔라우를 방문했을 때, 섬 남단에 일본국 정부가 1985년에 설치한 위령비 "서태평양 전몰자의 비"를 방문했다.[3]

3. 교통

비정기편 선박이나 항공기 외에도 일주일에 두 번 정도 선박 정기편이 운행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이 정비한 펠렐리우 비행장이 이용되고 있다. 항구는 북부에 있지만, 수심이 얕아서 소형 배만 기항할 수 있다. 일본은 항만 정비를 위해 무상 자금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4]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북쪽에 있던 가도부스 섬과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전투로 유실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4. 관광

팔라우에서도 손꼽히는 다이빙 명소로 알려진 펠렐리우섬 북서쪽 해역은 가도부스섬 등과 가깝다. 섬에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전적지와 전몰자 묘원 등이 남아있어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다. 섬 중앙부에는 펠렐리우 신사가 있다.

5. 갤러리

펠렐리우섬 메인 스트리트 (2010년 3월 27일 촬영)


펠렐리우섬 내 교회 (2010년 3월 27일 촬영)


펠렐리우섬에 유기된 95식 경전차 (2010년 3월 27일 촬영)

참조

[1] 서적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小学館
[2] 문서 なお、同時期に南西の[[アンガウル島]]でも[[アンガウルの戦い]]が行われている。
[3] 뉴스 皇室:パラオ・ペリリュー島 両陛下の訪問を歓迎 https://web.archive.[...] 2014-12-12
[4] 웹사이트 パラオの「ペリリュー州北港整備計画」に対する無償資金協力について https://www.mofa.go.[...] 外務省 2014-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