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커크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커크선은 스코틀랜드의 철도 노선으로, 1842년 에든버러-글래스고 철도로 개통되어 스코틀랜드 최초의 도시 간 철도가 되었다. 이후 북영국철도, 런던 노스이스턴철도를 거쳐 영국철도에 흡수되었다가 민영화 이후 스콧레일이 운영하고 있다. 에든버러 웨이벌리 역과 글래스고 퀸 스트리트 역을 잇는 이 노선은 15분에서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렌지, 크로이, 폴커크 하이, 폴몬트, 린리스고, 헤이마켓을 포함한 여러 역에 정차한다. 1984년 폴몬트 철도 사고와 2020년 선로 침수 사고와 같은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커크선 | |
|---|---|
| 노선 정보 | |
| 이름 | 글래스고-에든버러 경유 폴커크선 |
![]() | |
| 노선 종류 | 일반 철도 |
| 철도 시스템 | 내셔널 레일 |
| 상태 | 운영 중 |
| 위치 | 스코틀랜드 |
| 기점 | 글래스고 퀸스트리트역 |
| 종점 | 에든버러 웨이벌리역 |
| 역 수 | 9개 |
| 소유자 | 네트워크 레일 |
| 운영자 | 스코트레일 |
| 차량 | 영국 철도 385계 |
| 전철화 | 교류 25kV 50Hz |
![]() | |
| 지도 상태 | expanded |
| 상자 너비 | auto |
| 노선 정보 (상세) | |
![]() | |
| 폴커크선 | |
| 노선 종류 | 인터시티 |
| 상태 | 운영 중 |
| 국가 | 스코틀랜드 |
| 경유 도시 | 글래스고 폴커크 에든버러 |
| 기점 | 글래스고 퀸스트리트역 |
| 종점 | 에든버러 웨이벌리역 |
| 소유자 | 네트워크 레일 |
| 운영자 | 아벨리오 스콧레일 |
| 차량 | 영국 철도 385계 |
| 영업 거리 | 47¼마일 (76.0㎞) |
| 개통일 | 1842년 2월 2일 |
| 최종 개통일 | 1848년 2월 22일 |
| 전철화 | 교류 25000V 50㎐ |
| 역 목록 | |
| 주요 역 | 글래스고 퀸스트리트역 비숍브릭스역 렌지역 크로이역 폴커크 하이역 폴몬트역 린리스고역 헤이마켓역 에든버러 웨이벌리역 |
2. 역사
1842년 2월 2일 에든버러-글래스고 철도 회사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이는 스코틀랜드 최초의 도시간 철도였다.[7] 이후 이 노선은 북영국철도의 핵심 구성요소가 되었다.[8] 북영국철도는 1923년 런던 노스이스턴철도에 다른 철도회사와 동일하게 1949년 영국철도에 흡수통합됐다가 영국철도 민영화로 인해 스콧레일로 분할되어 현재에 이른다.
구체적으로, 1842년 2월 2일 에든버러-글래스고 철도로 개통되면서 스코틀랜드 최초의 도시 간 철도가 되었다.[1]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를 사용하여 운행하였다. 이후 노스 브리티시 철도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되었으며,[2] 1923년에는 런던 노스이스턴철도에 합병되었다.
1949년 국유화되어 영국철도(British Railways)에 흡수 통합되었다.[4] 1952년 영국교통위원회 보고서 검토 결과에 따라 1957년 디젤동차 127계와 126형 1956년분이 반입돼 운행을 시작했다.[4] 1971년에는 다중제어 기능이 있는 파랑별 종류의 증기기관차로 바뀌었다. 최고속도 140㎞/h의 25계·27계·37계 열차가 앞뒤로 달린 가운데 마크 2 객차가 객실로 운영되는 PP동차 형태였다. 시간이 지나며 운영 차량은 27계로 고정됐다.[4]
1979년, 영국철도 관계자는 노후화된 철도 차량 교체에 합의하고 디젤 전동차인 47/4계 12대를 47/7계로 번호를 바꿔 마크 3 객차와 함께 도입하기로 하였다. 47/7계는 시분할 다중화 기술을 통해 개방형 표준조종식객차(DBSO)와 결합해 PP 기능을 그대로 지원했다. 최고속도도 160㎞/h로 향상되었다. 이 시기 인터시티가 퀸스트리트와 런던 킹스크로스/London King's Cross영어, 웨스트 카운티의 역들을 이으면서, 노선 내에서 인터시티 125가 사용되었다. 당시 열차는 30분 간격으로 헤이마켓, 폴커크 하이만 정차했으며, 첨두시간대에는 비숍브릭스, 렌지, 크로이에도 열차가 정차했다. 주일에는 폴커크 그래엄스톤/Falkirk Grahamston영어으로 열차가 우회하기도 했다.[4]
1984년, 폴몬트 철도 사고로 인해 13명이 사망하고 61명이 부상당했다. 이 사고는 푸시-풀 열차의 안전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4]
1980년대 후반, 영국 철도가 그레이트 이스턴 메인 라인을 전철화하면서, DBSO 세트는 158형 4량 및 6량 편성으로 교체될 예정이었지만, 납품 지연과 그레이트 이스턴 메인 라인에 차량을 투입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156형이 잠시 사용된 후 파 노스 라인에 투입되었다.
1990년대 영국철도 민영화 이후 스콧레일(ScotRail)이 노선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1999년 170계 디젤동차가 도입되었고, 이후 운행 상의 문제로 156계나 158계, 다른 동력 열차가 투입되는 경우도 있었다.
2010년대 들어 노선에 전화(電化)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17년 12월 380계 전동차가, 2018년 7월에는 385계 전동차가 도입되었다. 2018년 10월부터는 일부 장거리 노선에 신43계(HST) 열차가 투입되기 시작했다.
2. 1. 초기 역사 (1842년 ~ 1949년)
1842년 2월 2일 에든버러-글래스고 철도로 개통되면서 스코틀랜드 최초의 도시 간 철도가 되었다.[1]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를 사용하여 운행하였다. 이후 노스 브리티시 철도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되었으며,[2] 1923년에는 런던 노스이스턴철도에 합병되었다.2. 2. 영국철도 시대 (1949년 ~ 1990년대)
1949년 국유화되어 영국철도(British Railways)에 흡수 통합되었다.[4] 1952년 영국교통위원회 보고서 검토 결과에 따라 1957년 디젤동차 127계와 126형 1956년분이 반입돼 운행을 시작했다.[4] 1971년에는 다중제어 기능이 있는 파랑별 종류의 증기기관차로 바뀌었다. 최고속도 140㎞/h의 25계·27계·37계 열차가 앞뒤로 달린 가운데 마크 2 객차가 객실로 운영되는 PP동차 형태였다. 시간이 지나며 운영 차량은 27계로 고정됐다.[4]1979년, 영국철도 관계자는 노후화된 철도 차량 교체에 합의하고 디젤 전동차인 47/4계 12대를 47/7계로 번호를 바꿔 마크 3 객차와 함께 도입하기로 하였다. 47/7계는 시분할 다중화 기술을 통해 개방형 표준조종식객차(DBSO)와 결합해 PP 기능을 그대로 지원했다. 최고속도도 160㎞/h로 향상되었다. 이 시기 인터시티가 퀸스트리트와 , 웨스트 카운티의 역들을 이으면서, 노선 내에서 인터시티 125가 사용되었다. 당시 열차는 30분 간격으로 헤이마켓, 폴커크 하이만 정차했으며, 첨두시간대에는 비숍브릭스, 렌지, 크로이에도 열차가 정차했다. 주일에는 으로 열차가 우회하기도 했다.[4]
1984년, 폴몬트 철도 사고로 인해 13명이 사망하고 61명이 부상당했다. 이 사고는 푸시-풀 열차의 안전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4]
1980년대 후반, 영국 철도가 그레이트 이스턴 메인 라인을 전철화하면서, DBSO 세트는 158형 4량 및 6량 편성으로 교체될 예정이었지만, 납품 지연과 그레이트 이스턴 메인 라인에 차량을 투입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156형이 잠시 사용된 후 파 노스 라인에 투입되었다.
2. 3. 민영화 이후 (1990년대 ~ 현재)
1990년대 영국철도 민영화 이후 스콧레일(ScotRail)이 노선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1999년 170계 디젤동차가 도입되었고, 이후 운행 상의 문제로 156계나 158계, 다른 동력 열차가 투입되는 경우도 있었다.2010년대 들어 노선에 전화(電化)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17년 12월 380계 전동차가, 2018년 7월에는 385계 전동차가 도입되었다. 2018년 10월부터는 일부 장거리 노선에 신43계(HST) 열차가 투입되기 시작했다.
3. 운행
스콧레일은 에든버러 웨이벌리와 글래스고 퀸 스트리트 간 여객 서비스를 운영한다. 폴커크선 전 구간은 전철화되어 있으며, 주로 가 운행된다.[3]
스콧레일이 운행하는 폴커크선은 첨두시간(Peak time)에는 15분 간격, 비첨두시간(Off-peak time)에는 30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된다.[3] 모든 열차는 글래스고 퀸 스트리트, 폴커크 하이, 폴몬트, 린리스고, 헤이마켓, 에든버러 웨이벌리에 정차한다.[3]
일부 열차는 크로이에 추가로 정차하며, 일부는 비숍브릭스와 렌지에 추가 정차한다.[3]
| 역 이름 | 영어 이름 | 패턴 | 접속역 · 접속노선 | 소재지 |
|---|---|---|---|---|
| 글래스고 퀸스트리트 | Glasgow Queen Street | ● | 서 하이랜드선, 하이랜드본선, 던디선, 북 클라이드선, 컴버널드선, 메리힐선, | 글래스고 시 글래스고 |
| 렌지 | Lenzie | ○ | 동 던바턴셔 렌지 | |
| 크로이 | Croy | ◎ | 크로이선 | 북 라나크셔 크로이 |
| 폴커크 하이 | Falkirk High | ● | 폴커크 폴커크 | |
| 폴몬트 | Polmont | ◎ | 던블레인선, 컴버널드선 | 폴커크 폴몬트 |
| 린리스고 | Linlithgow | ◎ | 북 클라이드선 | 서 로시안 린리스고 |
| 헤이마켓 | Haymarket | ● | 쇼츠선, 북 베릭선, 파이프선, 크로스컨트리, 아반티 웨스트코스트, 트랜스펜나인 고속, | 에든버러시 헤이마켓 |
| 에든버러 웨이벌리 | Edinburgh Waverley | ● | 런던 노던이스턴, 이스트코스트 트레인, 칼레도니안 슬리퍼, 크로스컨트리, 보더 철도, 15px 에든버러 트램 | 에든버러시 올드 타운 |
글래스고에서 렌지를 거쳐 크로이역 전까지는 크로이선과 노선을 공유한다. 폴커크를 지나 폴몬트역부터는 던블레인선, 컴버널드선과 합류한다. 린리트고를 지나 헤이마켓역에서는 다수의 노선과 합류하여 종점인 에든버러 웨이벌리역까지 운행한다.
3. 1. 운행 간격 및 정차역
스콧레일이 운행하는 폴커크선은 첨두시간(Peak time)에는 15분 간격, 비첨두시간(Off-peak time)에는 30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된다.[3] 모든 열차는 글래스고 퀸 스트리트, 폴커크 하이, 폴몬트, 린리스고, 헤이마켓, 에든버러 웨이벌리에 정차한다.[3]일부 열차는 크로이에 추가로 정차하며, 일부는 비숍브릭스와 렌지에 추가 정차한다.[3] 크로이 전까지는 크로이선과 노선을 공유하며, 폴몬트부터는 던블레인선, 컴버널드선과 합류한다.[9][10] 헤이마켓에서는 다수의 노선과 합류하여 종점까지 이동한다. 과거에는 비숍브릭스에 정차했으나, 현재는 크로이선으로 정차역이 변경되었다.
| 역 이름 | 영어 이름 | 패턴 | 접속역 · 접속노선 | 소재지 |
|---|---|---|---|---|
| 글래스고 퀸스트리트 | Glasgow Queen Street | ● | 서 하이랜드선, 하이랜드본선, 던디선, 북 클라이드선, 컴버널드선, 메리힐선, 뷰캐넌 스트리트역 | 글래스고 시 글래스고 |
| 렌지 | Lenzie | ○ | 동 던바턴셔 렌지 | |
| 크로이 | Croy | ◎ | 크로이선 | 북 라나크셔 크로이 |
| 폴커크 하이 | Falkirk High | ● | 폴커크 폴커크 | |
| 폴몬트 | Polmont | ◎ | 던블레인선, 컴버널드선 | 폴커크 폴몬트 |
| 린리스고 | Linlithgow | ◎ | 북 클라이드선 | 서 로시안 린리스고 |
| 헤이마켓 | Haymarket | ● | 쇼츠선, 북 베릭선, 파이프선, 크로스컨트리, 아반티 웨스트코스트, 트랜스펜나인 고속, 에든버러 트램 | 에든버러시 헤이마켓 |
| 에든버러 웨이벌리 | Edinburgh Waverley | ● | 런던 노던이스턴, 이스트코스트 트레인, 칼레도니안 슬리퍼, 크로스컨트리, 보더 철도, 15px 에든버러 트램 | 에든버러시 올드 타운 |
3. 2. 운행 노선
글래스고에서 렌지를 거쳐 크로이역 전까지는 크로이선과 노선을 공유한다. 폴커크를 지나 폴몬트역부터는 던블레인선, 컴버널드선과 합류한다. 린리트고를 지나 헤이마켓역에서는 다수의 노선과 합류하여 종점인 에든버러 웨이벌리역까지 운행한다.4. 역 목록
현재 폴커크선 전 노선은 스콧레일이 운행하고 있다.[9] 매 15분마다 글래스고와 에든버러로부터 셔틀열차가 출발한다. 모든 열차는 헤이마켓과 폴커크 하이에 정차하며, 크로이에 정차하거나, 폴몬트, 린리스고에 정차하는 패턴으로 나뉘어 운행한다. 일요일에는 열차 간격이 30분 간격으로 줄어든다.[9]
노선 자체는 크로이 전까지는 크로이선과 노선을 공유하며, 폴몬트부터는 던블레인선, 컴버널드선과 합류한다. 헤이마켓에서 다수의 노선과 합류해 종점까지 이동한다. 원래 비숍브릭스역에 정차했으나 꽤 오래전부터 크로이선으로 정차역을 넘겼다. 에든버러 공원역도 컴버널드선으로 옮겼으나 달메니 앞에 3각선이 생기면 에든버러공항 연계를 위해 에든버러 게이트웨이 우회 계통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9]
| 역 이름 | 영어 이름 | 영업거리[9] | 실거리[10] | 패턴 | 접속역 · 접속노선 | 소재지 | |
|---|---|---|---|---|---|---|---|
| 글래스고 퀸스트리트 | Glasgow Queen Street | ―― | ―― | ● | ■ 서 하이랜드선 | ■ 하이랜드본선 | ■ 던디선 ■ 북 클라이드선 | ■ 컴버널드선 | ■ 메리힐선 뷰캐넌 스트리트역 | 글래스고 시 글래스고 | |
| 렌지 | Lenzie | 6¼마일 (10.0㎞) | 6.20마일 (10.06㎞) | ○ | 동 던바턴셔 렌지 | ||
| 크로이 | Croy | 11½마일 (18.5㎞) | 11.40마일 (18.51㎞) | ◎ | ■ 크로이선 | 북 라나크셔 크로이 | |
| 폴커크 하이 | Falkirk High | 21¾마일 (35.0㎞) | 21.63마일 (35.06㎞) | ● | 폴커크 카운실 | 폴커크 | |
| 폴몬트 | Polmont | 25마일 (40.2㎞) | 25마일 (40.23㎞) | ◎ | ■ 던블레인선 | ■ 컴버널드선 | 폴몬트 | |
| 린리스고 | Linlithgow | 29¾마일 (47.9㎞) | 29.56마일 (47.80㎞) | ◎ | ■ 북 클라이드선 | 서 로시안 린리스고 | |
| 헤이마켓 | Haymarket | 46마일 (74.0㎞) | 46.02마일 (74.07㎞) | ● | ■ 쇼츠선 | ■ 북 베릭선 | ■ 파이프선 ■ 크로스컨트리 | ■ 아반티 웨스트코스트 ■ 트랜스펜나인 고속 | 에든버러 트램 | 에든버러시 에든버러 | 헤이마켓 |
| 에든버러 웨이벌리 | Edinburgh Waverley | 47¼마일 (76.0㎞) | 47.21마일 (76.06㎞) | ● | ■ 런던 노던이스턴 | ■ 이스트코스트 트레인 ■ 칼레도니안 슬리퍼 | ■ 크로스컨트리 ■ 보더 철도 | 15px 에든버러 트램 | 올드 타운 | |
폴커크 선이 운행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5. 교통사고
1984년 7월 30일, 소의 다리가 철도 대차에 부딪혀 발생한 폴몬트 탈선사고로 인해 13명이 사망하고 61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로 인해 PP동차의 안전성에 대한 논의가 발생하였다[11].
2020년 8월 12일, 강우로 인해 폴몬트 역 앞 유니언 운하가 범람해 폴커크 하이 - 폴몬트간 하부 선로가 300m가량 침몰되었다[5][12]. 이 사고로 인해 폴커크선 열차는 퀸스트리트 - 까지 운행하고, 그 이하는 대체운송했다. 복원 공사 기간 1㎞ 구간 선로가 새로 놓였으며[14], 9월 14일부터 - 웨이벌리까지 운행을 복원한 이후[13] 9월 21일부터 전선 복구하였다[14].
5. 1. 폴몬트 탈선사고 (1984년)
1984년 7월 30일, 폴몬트 탈선사고로 13명이 사망하고 61명이 부상당했다.[11] 이 사고는 선로에 있던 소와 열차가 충돌하여 발생했으며, 소의 다리가 철도 대차에 끼어 열차가 탈선한 것으로 조사되었다.[4] 이 사고로 PP동차의 안전성에 대한 논의가 발생하였다.[11]5. 2. 2020년 선로 침수 사고
2020년 8월 12일, 강우로 인해 폴몬트 역 앞 유니언 운하가 범람하여 폴커크 하이-폴몬트 간 하부 선로 300m가량이 침수되었다.[5][12] 이 사고로 폴커크선 열차는 폴커크 그래엄스톤까지만 운행하고, 그 이하는 대체 운송했다. 복원 공사 기간 동안 1km 구간의 선로가 새로 놓였으며,[14] 9월 14일부터 리린스고 - 웨이벌리 간 운행이 재개되었고,[13] 9월 21일부터 전 구간 운행이 복구되었다.[14]참조
[1]
간행물
1983
[2]
간행물
1990
[3]
웹사이트
Timetables
https://www.scotrail[...]
[4]
뉴스
"'Push pull' trains to be altered after death crash inquiry / Call for safer trains after derailment in Scotland"
The Guardian
1985-02-22
[5]
뉴스
Edinburgh-Glasgow rail main line faces two-month flood damage closure
https://www.scotsman[...]
jpimedia
2021-02-27
[6]
뉴스
ScotRail posts video showing progress to repair Edinburgh to Glasgow railway line
https://www.edinburg[...]
jpimedia
2021-02-27
[7]
서적
The Origins of the Scottish Railway System: 1722-1844
https://archive.org/[...]
John Donald Publishers Ltd
1983-03-04
[8]
서적
Encyclopaedia of British Railway Companies
https://archive.org/[...]
Sparkford: Patrick Stephens Ltd
1990-02-19
[9]
웹인용
Electronic national rail timetable
https://www.networkr[...]
네트워크레일
2021-06-06
[10]
서적
Railway track diagrams. Book 1, Scotland & Isle of Man
TRACKMaps
2017-11
[11]
뉴스
'Push pull\' trains to be altered after death crash inquiry / Call for safer trains after derailment in Scotland'
1985-02-22
[12]
뉴스
Weeks of disruption expected for Falkirk rail passengers following storm damage
jpimedia
2021-02-27
[13]
뉴스
ScotRail launches new Edinburgh to Linlithgow service on damaged Glasgow express line
https://www.edinburg[...]
MGN Ltd
2021-02-27
[14]
뉴스
Flood-Damaged Edinburgh-Glasgow Line to Reopen
https://railway-news[...]
2021-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