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이센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이센 총리는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을 보좌하는 최고 재상직으로, 1848년 프로이센 란트타크가 설립된 이후 란트타크를 주재했다. 독일 통일 이후에는 독일 제국의 재상이 겸임했으며,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는 주 정부 수반 역할을 수행했다. 1932년 프로이센 쿠데타 이후 실질적인 권한을 잃었고, 나치 독일 시기에는 형식적인 직함으로 남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에 의해 프로이센과 함께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주총리 -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바이에른주의 주총리는 1650년부터 존재해 온 바이에른 자유주의 정부의 수반으로, 시대에 따라 추밀원 수상, 외무장관, 각료평의회 주석, 자유주 총리 등의 명칭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독일 연방 공화국 수립 이후 기독교사회연합 소속 인사가 주로 맡아 왔다.
  • 프로이센의 정치 - 철혈 연설
    철혈 연설은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군비 확장과 힘을 통한 문제 해결을 주장하며 "현 시대의 대문제 해결은 연설이나 다수결이 아닌 철과 피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라고 역설한 1862년 연설이다.
  • 프로이센의 총리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19세기 후반 독일 통일의 주역인 프로이센 왕국 출신 정치가로, 철혈 정책을 통해 독일 제국을 건설하고 초대 총리가 되어 강력한 국가를 건설했지만, 국내 정책과 외교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프로이센의 총리 - 프란츠 폰 파펜
    프란츠 폰 파펜은 독일의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독일 제국 시기 군인과 외교관으로 활동하다 정계에 입문하여 총리를 지냈으나 실각 후 아돌프 히틀러의 권력 장악에 기여했으며 나치 정권 하에서 부총리, 대사를 역임했고,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탈나치화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프로이센의 총리
기본 정보
오토 폰 비스마르크
최장수 재임 오토 폰 비스마르크 (1862년 9월 23일 – 1873년 1월 1일, 1873년 11월 9일 – 1890년 3월 20일)
직책장관-대통령
해당 정부프로이센
스타일해당 없음
유형해당 없음
지위해당 없음
약칭해당 없음
구성원해당 없음
보고 대상프로이센 국왕
프로이센 의회
임명권자해당 없음
임기해당 없음
설립1848년 3월 19일
최초 임명자아돌프 하인리히 폰 아르님-보이첸부르크
마지막 임명자헤르만 괴링
폐지1945년 4월 23일
후임해당 없음
계승해당 없음
비공식 명칭해당 없음
대리해당 없음
급여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각주해당 없음
관저
위치베를린
전임
직책프로이센 수석 장관
프로이센의 정치
관련 항목융커
프로이센 육군
독일 참모본부
1932년 프로이센 쿠데타
제국 총독 법
해체

2. 프로이센 총리 목록

프로이센 왕국(1702년~1918년)과 프로이센 자유주(1918년~1947년)의 총리 목록이다.

1871년 독일 통일 이후 1918년~1919년 독일 혁명까지 프로이센 장관 총리 직은 일반적으로 독일 제국의 재상이 겸임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이 두 직책을 처음으로 겸임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프로이센 자유주에서는 장관 총리가 주 정부의 수장 역할을 했다. 그러나 1932년 프로이센 쿠데타 이후, 그리고 나치 독일이 1935년 ''국가 원수 법''을 통해 프로이센을 국가로 해체하면서 이 직책은 실질적인 의미를 잃었다. 결국, 이 직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에 의해 프로이센과 함께 폐지되었다.

초상이름재임 기간정당
취임퇴임재임 기간
style="background:;" |
아돌프 하인리히 폰 아르님-보이첸부르크 백작1848년 3월 19일1848년 3월 29일1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고트프리트 루돌프 캄파우젠1848년 3월 29일1848년 6월 20일83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루돌프 폰 아우어스발트1848년 6월 25일1848년 9월 8일75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에른스트 폰 프퓔1848년 9월 21일1848년 11월 1일41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브란덴부르크 백작1848년 11월 2일1850년 11월 6일2년 4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오토 테오도어 폰 만토이펠 남작1850년 12월 9일1858년 11월 6일7년 332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의 카를 안톤 공작1858년 11월 6일1862년 3월 12일3년 126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아돌프 추 호엔로에-잉엘핑겐 공작1862년 3월 17일1862년 9월 23일19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오토 폰 비스마르크 공작1862년 9월 23일1873년 1월 1일10년 10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알브레히트 폰 론 백작1873년 1월 1일1873년 11월 9일312일무소속
style="background:;" |--오토 폰 비스마르크 공작1873년 11월 9일1890년 3월 20일16년 131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레오 폰 카프리비 백작1890년 3월 20일1892년 3월 22일2년 2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보토 추 오일렌부르크 백작1892년 3월 22일1894년 10월 26일2년 218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클로드비히 추 호엔로에-실링스퓌르스트 공작1894년 10월 29일1900년 10월 17일5년 354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베른하르트 폰 뷜로 공작1900년 10월 17일1909년 7월 14일8년 27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테오발트 폰 베트만 홀베크1909년 7월 14일1917년 7월 13일8년무소속
style="background:;" |
게오르크 미하엘리스1917년 7월 14일1917년 11월 1일11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게오르크 폰 헤르틀링 백작1917년 11월 1일1918년 9월 30일333일중앙당
style="background:;" |
막시밀리안 폰 바덴 공작1918년 10월 3일1918년 11월 9일37일무소속



'''정당:'''

|SPD|border=1px solid #AAAAAA}}

|USPD|border=1px solid #AAAAAA}}

|중앙당|border=1px solid #AAAAAA}}

|NSDAP|border=1px solid #AAAAAA}}

|없음|border=1px solid #AAAAAA}}

초상이름재임 기간정당
취임퇴임재임 기간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style="background:;" |
파울 히르쉬1918년 11월 12일1920년 3월 27일1년 136일독일 사회민주당
style="background:;" |
하인리히 슈퇴벨1918년 11월 12일1919년 1월 9일58일독립 사회민주당
style="background:;" |
오토 브라운1920년 3월 27일1921년 4월 21일1년 25일독일 사회민주당
style="background:;" |
아담 슈테거발트1921년 4월 21일1921년 11월 5일198일중앙당
style="background:;" |--오토 브라운1921년 11월 5일1925년 2월 18일3년 105일독일 사회민주당
style="background:;" |
빌헬름 마르크스1925년 2월 18일1925년 4월 6일47일중앙당
style="background:;" |--오토 브라운1925년 4월 6일1932년 7월 20일7년 105일독일 사회민주당
rowspan="2" style="background:;" |
프란츠 폰 파펜국가판무관136일무소속
1932년 7월 20일1932년 12월 3일
rowspan="2" style="background:;" |
쿠르트 폰 슐라이허국가판무관56일무소속
1932년 12월 3일1933년 1월 28일
rowspan="2" style="background:;" |프란츠 폰 파펜국가판무관70일무소속
1933년 1월 30일1933년 4월 10일
rowspan="2" style="background:;" |
아돌프 히틀러국가지사2년나치당
1933년 1월 30일1935년 1월 30일
나치 독일 시대
rowspan="4" style="background:;" |
헤르만 괴링장관-대통령12년 13일나치당
1933년 4월 10일1945년 4월 23일
국가지사10년 83일
1935년 1월 30일1945년 4월 23일


2. 1. 프로이센 왕국 시대 (1702년 ~ 1848년)

프로이센 왕국 시대에, 장관 총리는 국왕의 최고 재상 역할을 했으며, 1848년에 설립된 프로이센 입법부인 란트타크를 주재했다.

  • 1702–1711: 요한 카시미어 콜베 폰 바르텐베르크
  • 1711–1728: Heinrich Rüdiger von Ilgen|하인리히 뤼디거 폰 일겐de
  • 1728–1739: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그룸브코프
  • 1739–1749: Heinrich von Podewils|하인리히 폰 포데빌스 (정치인)de
  • 1749–1753: 게오르크 디틀로프 폰 아르님-보이첸부르크
  • 1749–1777: 카를 빌헬름 핀크 폰 핀켄슈타인 백작
  • 1777–1802: 프리드리히 안톤 폰 하이니츠
  • 1786–1798: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아르님-보이첸부르크
  • 1802–1804: 크리스티안 하인리히 쿠르트 폰 하우그비츠 백작 (1기)
  • 1804–1806: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 백작 (1기)
  • 1806: 크리스티안 하인리히 쿠르트 폰 하우그비츠 백작 (2기)
  • 1806–1807: Karl Friedrich von Beyme|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임de
  • 1807: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 백작 (2기)
  • 1807–1808: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카를 vom und zum 슈타인 남작
  • 1808–1810: 카를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알렉산더 추 도나-슐로비텐 백작
  • 1810–1822: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 공작 (3기)
  • 1822–1823: Otto Carl Friedrich von Voß|오토 폰 포스de
  • 1823–1841: 카를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빌리히 운트 로툼 백작
  • 1841–1848: Ludwig Gustav von Thile|루트비히 구스타프 폰 틸레de

2. 2. 프로이센 왕국 시대 (1848년 ~ 1918년)

프로이센 왕국 시대에, 장관 총리는 국왕의 최고 재상 역할을 했으며, 1848년에 설립된 프로이센 란트타크를 주재했다. 1871년 독일 통일 이후 1918년~1919년 독일 혁명까지 프로이센 장관 총리 직은 일반적으로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재임 기간을 시작으로 독일 제국의 재상이 겸임했다.

초상이름재임 기간정당
취임퇴임재임 기간
style="background:;" |아돌프 하인리히 폰 아르님-보이첸부르크 백작1848년 3월 19일1848년 3월 29일1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고트프리트 루돌프 캄파우젠1848년 3월 29일1848년 6월 20일83일무소속
style="background:;" |루돌프 폰 아우어스발트1848년 6월 25일1848년 9월 8일75일무소속
style="background:;" |에른스트 폰 프퓔1848년 9월 21일1848년 11월 1일41일무소속
style="background:;"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브란덴부르크 백작1848년 11월 2일1850년 11월 6일2년 4일무소속
style="background:;" |오토 테오도어 폰 만토이펠 남작1850년 12월 9일1858년 11월 6일7년 332일무소속
style="background:;"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의 카를 안톤 공작1858년 11월 6일1862년 3월 12일3년 126일무소속
style="background:;" |아돌프 추 호엔로에-잉엘핑겐 공작1862년 3월 17일1862년 9월 23일19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오토 폰 비스마르크 공작1862년 9월 23일1873년 1월 1일10년 10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알브레히트 폰 론 백작1873년 1월 1일1873년 11월 9일312일무소속
style="background:;" |--오토 폰 비스마르크 공작1873년 11월 9일1890년 3월 20일16년 131일무소속
style="background:;" |레오 폰 카프리비 백작1890년 3월 20일1892년 3월 22일2년 2일무소속
style="background:;" |보토 추 오일렌부르크 백작1892년 3월 22일1894년 10월 26일2년 218일무소속
style="background:;" |클로드비히 추 호엔로에-실링스퓌르스트 공작1894년 10월 29일1900년 10월 17일5년 354일무소속
style="background:;" |베른하르트 폰 뷜로 공작1900년 10월 17일1909년 7월 14일8년 27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테오발트 폰 베트만 홀베크1909년 7월 14일1917년 7월 13일8년무소속
style="background:;" |게오르크 미하엘리스1917년 7월 14일1917년 11월 1일110일무소속
style="background:;" |게오르크 폰 헤르틀링 백작1917년 11월 1일1918년 9월 30일333일중앙당
style="background:;" |막시밀리안 폰 바덴 공작1918년 10월 3일1918년 11월 9일37일무소속


2. 3. 프로이센 자유주 시대 (1918년 ~ 1945년)

프로이센 자유국 시대에 장관 총리는 바이마르 공화국 동안 주 정부의 수장 역할을 했다. 그러나 1932년 프로이센 쿠데타 이후, 그리고 나치 독일이 1935년 ''국가 원수 법''을 통해 프로이센을 국가로 해체하면서 이 직책은 정치적 후원 직함 외에는 실질적인 의미를 잃었다. 결국, 이 직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에 의해 프로이센과 함께 폐지되었다.

2. 3. 1.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초상이름재임 기간정당
취임퇴임날짜
style="background:;" |파울 히르쉬1918년 11월 12일1920년 3월 27일독일 사회민주당
style="background:;" |하인리히 슈퇴벨1918년 11월 12일1919년 1월 9일독립 사회민주당
style="background:;" |오토 브라운1920년 3월 27일1921년 4월 21일독일 사회민주당
style="background:;" |아담 슈테거발트1921년 4월 21일1921년 11월 5일중앙당
style="background:;" |--오토 브라운1921년 11월 5일1925년 2월 18일독일 사회민주당
style="background:;" |빌헬름 마르크스1925년 2월 18일1925년 4월 6일중앙당
style="background:;" |--오토 브라운1925년 4월 6일1932년 7월 20일독일 사회민주당
rowspan="2" style="background:;" |프란츠 폰 파펜국가판무관rowspan="2"|무소속
1932년 7월 20일1932년 12월 3일
rowspan="2" style="background:;" |쿠르트 폰 슐라이허국가판무관rowspan="2"|무소속
1932년 12월 3일1933년 1월 28일
rowspan="2" style="background:;" |프란츠 폰 파펜국가판무관rowspan="2"|무소속
1933년 1월 30일1933년 4월 10일
rowspan="2" style="background:;" |아돌프 히틀러국가지사rowspan="2"|나치당
1933년 1월 30일1935년 1월 30일


2. 3. 2. 나치 독일 시대

프로이센 쿠데타 이후, 나치 독일이 1935년 프로이센을 국가로 해체한 후(''국가 원수 법'') 프로이센 장관 총리 직책은 정치적 후원 직함 외에는 실질적인 의미를 잃었다.

초상이름재임 기간정당
취임퇴임날짜
나치 독일 시대의 프로이센 자유주의 국가의 장관-대통령
style="background:;"헤르만 괴링1933년 4월 10일1945년 4월 23일나치당


3. 프로이센 총리직의 폐지

프로이센 자유국 시대에 장관 총리는 바이마르 공화국 동안 보다 전통적인 의회 역할에서 주 정부의 수장이었다. 1932년 국가 정부에 의한 인수(''프로이센 쿠데타'') 이후, 그리고 나치 독일이 1935년 프로이센을 국가로 해체한 후(''국가 원수 법'') 이 직책은 정치적 후원 직함 외에는 실질적인 의미를 잃었다. 결국, 이 직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에 의해 프로이센과 함께 폐지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