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작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는 1836년부터 1854년까지 작센의 국왕이었다. 그는 1797년 작센의 막시밀리안 왕자와 카롤리나 공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1830년 프랑스 7월 혁명의 영향으로 왕세자 지위를 얻었으며, 1831년 섭정으로 임명된 후 1836년 왕위에 올랐다. 초기에는 자유주의적 정책을 펼쳤으나, 1848년 혁명 이후 보수적인 입장으로 전환했다. 1842년 가터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식물학 연구에 관심을 가졌다. 1854년 마차 사고로 사망했으며, 동생 요한이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작센 국왕 -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는 카롤링거 왕조 출신으로 프랑크 황제, 동프랑크와 서프랑크의 왕을 겸하며 샤를마뉴 제국을 일시적으로 재통일했으나, 무능함과 질병, 바이킹 침략 방어 실패로 폐위되어 제국 분열을 초래했다.
  • 작센 국왕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3세 (작센)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3세는 1904년부터 1918년까지 작센 왕국의 마지막 국왕이었으며, 군 경력을 거쳐 원수까지 올랐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퇴위 후 사망했다.
  • 독일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빌헬름 뮐러
    빌헬름 뮐러는 독일의 시인이자 학자로, 슈베르트 가곡 《겨울 나그네》와 《아름다운 물레방앗간의 아가씨》의 시를 쓴 것으로 유명하며, 현실의 고뇌와 좌절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독특한 시각으로 독일 낭만주의 시대에 활동하며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루트비히 1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1세는 1786년에 태어나 1868년에 사망한 바이에른의 국왕으로서, 옥토버페스트의 기원이 된 결혼을 하고, 신고전주의 건축과 예술을 후원했으나, 1848년 혁명으로 퇴위했다.
  • 낙마사한 사람 - 움베르토 보초니
    이탈리아 미래파 화가이자 조각가인 움베르토 보초니(1882-1916)는 로마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미래파 운동에 참여하여, 역동적인 움직임과 공간을 혁신적으로 표현한 회화와 조각 작품들을 남겼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요절했다.
  • 낙마사한 사람 - 알렉산더 3세 (스코틀랜드)
    알렉산더 3세는 7세에 스코틀랜드 왕위를 계승하여 친정 기간 동안 영토를 확장하고 잉글랜드와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며 스코틀랜드의 국력 신장에 기여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 전쟁의 원인을 제공했다.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작센)
기본 정보
카를 크리스티안 포겔 폰 포겔슈타인 그림
카를 크리스티안 포겔 폰 포겔슈타인이 그린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초상화
이름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전체 이름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알베르트 마리아 클레멘스 요제프 빈첸츠 알로이스 네포무크 요한 밥티스타 니콜라우스 라파엘 페터 사베르 프란츠 데 파울라 베난티우스 펠릭스
통치
즉위1836년 6월 6일
퇴위1854년 8월 9일
이전 통치자안톤 (작센)
다음 통치자요한 (작센)
계승 순위작센 국왕
결혼
배우자마리아 카롤리네 폰 외스터라이히 (1819년 결혼, 1832년 사망)
마리아 안나 폰 바이에른 (1833년 결혼)
자녀테오도르 울리히 (사생아)
왕가
가문베틴 가문
기타
아버지막시밀리안 폰 작센 공자
어머니카롤리네 폰 파르마 공녀
출생일1797년 5월 18일
출생지필니츠, 드레스덴, 작센 선제후국, 신성 로마 제국
사망일1854년 8월 9일
사망지카뢰스텐, 오스트리아 제국
매장지드레스덴 대성당
종교로마 가톨릭교
서명

2. 생애

1819년 9월 26일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의 황녀 카롤리네 페르디난데와 결혼했다. 1833년 4월 24일 카롤리네와 사별한 후 바이에른 국왕 막시밀리안 1세의 공주 마리아 안나와 재혼했다. 그러나 두 왕비 사이에서 아이는 없었다.

1830년 9월 프랑스의 7월 혁명으로 작센에 혁명 소란이 발생하자, 아버지 막시밀리안으로부터 왕세자 지위를 물려받았다. 1831년 백부인 작센 왕 안톤에 의해 섭정으로 임명되었고, 1836년 안톤이 사망하자 왕위에 올랐다. 처음에는 헌법 제정 등 자유주의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1848년 혁명 (3월 혁명)이 발발하자 1848년 4월 28일 의회를 해산하며 태도를 바꿨다. 이는 5월 봉기를 초래했지만, 신속하게 진압되었다.

1842년 10월 영국으로부터 가터 훈장을 받았고, 1844년 6월 13일 왕립 학회 왕족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1854년 8월 9일 티롤주임스트 군 칼레스텐에서 마차 사고로 사망했다. 왕위는 동생인 요한이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

1797년 5월 18일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의 아들 막시밀리안과 그의 첫 번째 아내인 파르마 공작 페르디난도의 딸 카롤리나 사이에서 셋째로 태어났다.[1]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는 작센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가 사망하고(1827년), 안톤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아버지 막시밀리안에 이어 왕위 계승 서열 2위가 되었으나, 국정 운영에는 참여하지 않았다.[1]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 장교로 복무했으나, 군사 문제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2. 2. 작센의 공동 섭정

1830년 프랑스7월 혁명은 그해 가을 작센에서 동요를 일으켰다. 국민들은 헌법 개정을 요구했고, 국왕 안톤과 함께 국정을 수행할 젊은 섭정을 원했다.[1] 9월 1일, 막시밀리안 공은 아들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에게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고,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는 작센의 공동 섭정(Prinz-Mitregentende)으로 선포되었다.[1] 1832년 2월 2일,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는 도시에 자유 자치를 부여했고,[1] 그해 3월 17일의 칙령으로 농민들은 역과 세습적 종속에서 해방되었다.[1] 그의 인기와 자유주의적 개혁은 불만을 빠르게 종식시켰다.[1]

2. 3. 작센 국왕

1836년 6월 6일, 안톤 국왕이 사망하면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가 작센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그는 섭정 시절부터 백성들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지적인 면모로 인해 더욱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 새 국왕은 주로 신하들에게 정치적 문제 해결을 맡겼지만, 1836년 형법을 제정하여 작센의 표준화된 사법 체계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

1848년 혁명 초기에는 자유주의 내각을 임명하고 검열을 해제하며 자유주의적 선거법을 제정하는 등 자유주의적인 태도를 보였다.[1] 그러나 1848년 4월 28일, 의회를 해산하고 1849년에는 쾨니히슈타인 요새로 피신하는 등 보수적인 입장으로 선회하였다.[1] 드레스덴 5월 봉기는 프로이센군과 작센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는 복귀하였다.[1]

이후 보이스트 백작이 작센의 오스트리아 및 봉건 세력의 지도자가 되어 그의 정책을 이끌었다.[1]

2. 4. 영국 및 스코틀랜드 여행

1844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는 그의 주치의 카를 구스타프 카루스와 함께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를 비공식 방문했다. 이들은 라임 레지스에서 지역 화석 수집가이자 딜러인 메리 애닝에게 어룡 골격을 구입하는 등 자연사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공식 방문은 아니었지만,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초대로 윈저 성에 머무르며 런던, 옥스퍼드, 케임브리지 등지를 방문했다.[2]

1842년 10월 영국으로부터 가터 훈장을 수여받았고, 1844년 6월 13일 왕립 학회 왕족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2. 5. 사망

1854년8월 9일 티롤주임스트 군 칼레스텐에서 마차 사고로 사망했다. 그는 티롤 백국 여행 중 브렌뷔첼에서 사고를 당했는데, 말 앞에 넘어져 말의 발굽에 머리를 밟혔다. 1854년 8월 8일, 가스호프 노이너에서 사망했으며, 8월 16일 드레스덴의 가톨릭 궁정 교회에 안치되었다. 그의 사망 후, 왕비 마리아 안나는 사고 장소에 쾨니히스카펠레(왕의 예배당)를 세웠고, 1년 후 봉헌되었다. 마리아 에마누엘 폰 마이센 변경백을 포함한 작센 왕가의 마지막 구성원 중 일부가 예배당 옆에 묻혔다. 왕위는 동생인 요한이 계승했다.[4]

3. 결혼

1819년 9월 26일 에서 대리 결혼을 하고, 10월 7일 드레스덴에서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 프란츠 2세의 딸 마리아 카롤리네와 정식으로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3]

1833년 4월 24일 드레스덴에서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1세의 딸 마리아 안나와 재혼했으나, 이 결혼에서도 자녀는 없었다.[3]

음악가 테오도어 울리히가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의 사생아라는 설이 있다.[3]

4. 가계

작센의 막시밀리안 세습친왕과 파르마의 카롤리나의 아들이다.[1]

5. 기타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는 식물학에 조예가 깊었다.[1]

5. 1. 식물학 연구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는 여가 시간을 주로 식물학 연구에 쏟았다. 그는 여러 나라를 다니며 식물학 연구 여행을 했으며, 1837년 프라하에서 ''Flora Marienbadensis, oder Pflanzen und Gebirgsarten, gesammelt und beschrieben''를 출판했다.[1]

참조

[1] EB1911 Frederick Augustus II.
[2] 서적 The King of Saxony's Journey through England and Scotland, 1844 https://archive.org/[...] Chapman and Hall 1846
[3] 간행물 Uhlig, Theodor 2010-06-23
[4] 서적 Complete peerage of England, Scotland, Ireland,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Kingdom, extant, extinct or dormant (U to Z, appendix, corrigenda, occurrences after 1 January 1898, and general index to notes, &c.) https://archive.org/[...] George Bell & Sons
[5] 간행물 London Gazette 1842-10-22
[6] FRS Frederick Augustus II (1797 - 1854); King of Saxony 2022-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