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은 이탈리아 피렌체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1870년 개관하여 에트루리아 유물과 로마 유물을 중심으로 소장품을 갖추었다. 메디치 가문과 로렌 가문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우피치 미술관, 이집트 유물 등을 추가하며 규모를 확장했다. 이집트 컬렉션은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며, 아레초의 키메라, 연설가 동상, 프랑수아 항아리 등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현재는 빌라 코르시니 아 카스텔로에 별관을 운영하며, 연구 및 교육 활동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렌체의 박물관 - 다반차티 궁전
다반차티 궁전은 14세기 중엽 다비치 가문이 세운 피렌체의 궁전으로, 여러 가문을 거쳐 1838년 다반차티 가문 소유가 되었다가 골동품 수집가 엘리아 볼피에게 매각되어 사설 박물관으로 개방되었고, 현재는 이탈리아 정부가 매입하여 운영하다가 보수 공사를 거쳐 부분적으로 재개장했다. - 피렌체의 박물관 - 스트로치 궁전
스트로치 궁전은 필리포 스트로치 1세가 의뢰하여 1489년에 짓기 시작한 피렌체의 르네상스 건축물로, 루스티카 양식, 조화로운 비례미, 페로 장식으로 유명하며 현재는 연구 기관 및 문화 예술 행사 공간으로 사용된다. - 에트루리아 -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경 서방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26자에서 시작하여 에트루리아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라틴 문자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 에트루리아 - 에트루리아어
에트루리아어는 기원전 1세기경 이탈리아에서 사용된 고대 언어로, 그리스 알파벳에서 유래한 티레니아어족에 속하지만, 많은 비문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해독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법과 어휘가 미스터리로 남아있으며, 라틴어에 영향을 주었다.
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박물관 정보 | |
이름 | 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 |
원어 이름 | Museo archeologico nazionale di Firenze |
![]() | |
위치 |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렌체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광장 9 B |
유형 | 고고학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좌표 | 43° 46′ 34.46″ N, 11° 15′ 44.16″ E |
2. 역사
1870년, 이탈리아의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참석한 가운데, 파엔차 가(via Faenza)의 ''체나콜로 디 풀리뇨''(Cenacolo di Fuligno) 건물에서 박물관이 개관했다. 당시에는 에트루리아 유물과 로마 유물만 소장하고 있었다. 소장품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부지가 필요하게 되었고, 1880년 박물관은 현재의 건물로 이전되었다.
소장품의 최초 기반은 메디치 가문과 로렌 가문의 가문 소장품이었으며, 1890년까지 우피치 미술관으로부터 여러 차례 이관을 받았다(우피치 미술관이 이미 소장하고 있던 대리석 조각품 소장품 제외). 이집트 유물관은 18세기 전반에 피에르 레오폴드 데 토스칸의 소장품 일부와, 같은 대공이 1828년-1829년에 이폴리토 로셀리니와 샹폴리옹 (최초로 상형 문자를 해독한 사람)이 이끈 탐험대의 다른 부분으로 처음 형성되었다. 1887년에는 에트루리아에 관한 새로운 지형 박물관이 추가되었지만, 1966년의 홍수로 파괴되었다.
2. 1. 설립 초기
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은 1870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참석한 가운데 파엔차 거리에 있는 체나콜로 디 풀리뇨(Cenacolo di Fuligno)라는 건물에서 개관하였다. 당시에는 소장품이 에트루리아와 로마 시대의 유물로만 이뤄졌었다. 점차 소장품이 늘어나며, 새로운 장소가 필요해졌고 1880년에 현재 건물로 옮겨졌다.박물관의 소장품 최초 기반은 메디치 가문과 로렌 가문의 가문 소장품이었으며, 1890년까지 우피치 미술관에서 여러 차례 소장품들이 옮겨지기도 했다. 이집트관은 토스카나 대공의 컬렉션의 일부와 1828–29년에 이뤄진 탐험을 통해서 또 일부 그리고 이폴리토 로셀리니와 샹폴리옹 등이 주도한 탐험에서 얻은 것들로 18세기 전반기에 형성된 것이다.
2. 2. 확장과 이전
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은 1870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참석한 가운데 파엔차 거리에 있는 체나콜로 디 풀리뇨(Cenacolo di Fuligno)라는 건물에서 개관하였다. 당시에는 에트루리아와 로마 시대의 유물로만 이뤄졌었다. 점차 소장품이 늘어나며, 새로운 장소가 필요해졌고 1880년에 현재 건물로 옮겨졌다.박물관 소장품의 최초 기반은 메디치 가문과 로트링겐 가문의 가문 소장품이었으며, 1890년까지 우피치 미술관에서 여러 차례 소장품들이 옮겨졌다. 이집트관은 토스카나 대공의 컬렉션의 일부와 1828–29년에 이뤄진 탐험을 통해서 또 일부 그리고 이폴리토 로셀리니와 샹폴리옹 등이 주도한 탐험에서 얻은 것들로 18세기 전반기에 형성된 것이다.
2. 3. 이집트 컬렉션의 형성
피렌체 지역의 첫 이집트 유물 컬렉션은 18세기부터 거슬러 올라가는 메디치 컬렉션이었다. 19세기에, 토스카나 대공 레오폴도 2세는 현재 이집트 박물관에 소장된 유물들의 수집을 시작했다. 프랑스의 샤를 10세와 함께, 그는 1828년부터 1829년까지 학술 탐험대의 재정을 지원하였다. 이 탐험대는 신성문자를 해독해낸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이 이끌었다. 샹폴리옹의 친구이자 제자인 이폴리토 로셀리니는 이 탐험 기간 이탈리아의 이득을 대표하였으며, 이후 이탈리아 이집트학의 아버지가 되었다.많은 유물들이 발굴 및 현지 상인들로부터 매입을 통해 이 탐험 기간에 수집되었다. 복귀하면서, 이 유물들은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 그리고 피렌체의 이집트 박물관에 균등하게 분배되었다.
2. 4. 20세기 이후
피렌체 컬렉션은 개인 및 학술 단체들의 기부 등으로 계속 커졌다. 특히, 피렌체 파피루스 학회는 1934년에서 1939년까지 이뤄진 이집트 탐사에서 얻은 유물들을 기부했다. 이 유물들은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콥트 미술 및 기록물로 이뤄진 컬렉션 중 하나로 평가 되도록 기여했다.3. 주요 소장품
wikitext
2006년에 에트루리아 전시실의 구성을 재검토하고 재정비했다. 또한 2006년에는 1966년의 홍수로 훼손된 2000점 이상의 유물에 대한 40년이나 지연된 복원 작업이 수행되었다.
- 아레초의 키메라 - 1553년 메디치 요새 건설 중 아레초에서 발견됨
- 연설가 ("웅변가") 동상, 토가를 입은 에트루리아 미술의 남자를 묘사한 실물 크기의 청동 조각 (기원전 1세기)
- 장례 조각상 마테르 마투타 (기원전 460–450년) (키안치아노 테르메로 반환됨)
- 라에르티아 세이안티의 석관 (기원전 2세기)
- 아마존의 석관 (기원전 4세기)
페사로의 "이돌리노"(idolino)"는 146cm 높이의 청년의 청동상으로, 고대 그리스 원본을 로마 시대에 복제한 것이다. 1530년 10월 페사로 시내에서 조각난 채로 발견되었다. "리보르노의 토르소"(torso di Livorno)는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 원본을 복제한 것이다. 수탉 조각상, 이른바 "갈로 트레보니아노"(Gallo Treboniano)는 3세기 말 작품이다. 아레초의 미네르바(Minerva of Arezzo)는 기원전 4세기의 프락시텔레스(Praxiteles)의 그리스 조각상을 로마 시대에 청동으로 복제한 것이다.
고대 도자기의 방대한 컬렉션은 2층의 수많은 진열장이 있는 넓은 방에 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꽃병들은 에트루리아 시대의 무덤에서 출토되었으며, 특히 아테네(대부분의 꽃병이 제작된 곳)를 포함하여 그리스와의 문화적, 상업적 교류를 보여주는 증거이며, 기원전 4세기부터 현재까지의 시기에 속한다.
가장 중요한 꽃병은 도공 에르고티모스와 화가 클레이티아스가 서명한 기원전 570년경의 거대한 흑색상 크라테르이다. 이 꽃병은 1844년 키우시 도로의 ''폰테 로텔라''에 있는 에트루리아 무덤에서 발견한 고고학자의 이름을 따서 프랑수아 항아리라고 명명되었으며, 양면에 일련의 그리스 신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 외 주목할 만한 유물은 다음과 같다.
- 메이디아스 화가(기원전 550–540년)가 서명한 적색상 히드리아
- 리틀 마스터스(기원전 560–540년)의 컵, 작은 조각상 스타일에서 유래
- 아폴로와 아폴리노 밀라니 조각상(기원전 6세기, 박물관에 기증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명명)
- 운동선수 토르소(기원전 5세기)
- 헬레니즘 시대의 거대한 말 머리(메디치의 리카르디 궁전에 처음 전시된 곳을 따서 메디치 리카르디 머리로 알려짐), 기마상 조각의 파편으로, 도나텔로와 베로키오가 파도바와 베네치아에 있는 두 개의 유명한 기마 기념비를 제작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
복도에 전시된 두 개의 고졸기 대리석 쿠로이
이집트 유물 컬렉션은 이집트 박물관(Egyptian Museum)으로 알려져 있으며, 토리노 이집트 박물관(Museo Egizio)에 이어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이집트 유물 컬렉션을 자랑한다.[2][1]
3. 1. 에트루리아 컬렉션
에트루리아실은 2006년에 재구성되었다. 1966년 홍수로 피해를 입은 2,000점이 넘는 유물들에 대한 복원 작업이 40년 만인 2006년에 이루어졌다.- 아레초의 키메라 – 1553년 아레초에서 메디치 가문의 요새를 건설하던 중 출토되었다. 이 유물은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행동하는 양심'을 연상시킨다.
- 아르링가토레(아울레 메텔레) (연설가) - 토가를 착용한 에트루리아인을 묘사한 실제 크기 동상 (기원전 1세기)
- 마테르 마투타 (기원전 460년–450년, 키안차노테르메로 반환)
- 라에르티아 세이안티 사르코파구스 (기원전 2세기)
- 아마존 사르코파구스 (기원전 4세기)
3. 2. 로마 컬렉션
페사로의 이돌리노는 고전 시기 그리스 조각상의 로마 시대 복제품으로, 1530년 10월 페사로 중심지에서 조각으로 발견된 146cm 높이의 젊은 사내를 묘사한 동상이다. 토르소 디 리보르노는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 조각상을 모방한 것이다. 갈로 트레보니아노는 3세기 말에 제작된 수탉 조각상이다. 아레초의 미네르바는 프락시텔레스가 만든 기원전 4세기의 그리스 조각상을 모방한 로마 시대 동상이다.3. 3. 그리스 컬렉션
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의 그리스 컬렉션은 2층의 넓은 방에 전시되어 있으며, 여러 보관함에 고대 도자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이 도자기들은 대부분 에트루리아 무덤에서 출토된 것으로, 그리스, 특히 아테네와의 문화적, 상업적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이 유물들은 기원전 4세기 이후의 것들로 추정된다.이 컬렉션에서 가장 중요한 유물은 기원전 570년경에 제작된 프랑수아의 단지이다. 이 대형 흑화 크라테르는 도공 에르고티모스와 채색공 클레이티아스가 제작하였으며, 1844년 키우시의 폰테 로텔라(fonte Rotella)에 있는 무덤에서 고고학자 프랑수아에 의해 발견되었다. 항아리 양면에는 그리스 신화의 이야기들이 정교하게 묘사되어 있어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다른 주요 유물로는 채색공 메이디아스가 채색한 적화 토기 히드리아(기원전 550–540년), 세밀화 화풍으로 유명한 작은 거장들의 잔(기원전 560년–540년)이 있다.
또한, 박물관에 유물을 기증한 이의 이름을 따 명명된 '아폴론'과 '아폴리노 밀라니'(기원전 6세기), 운동선수의 토르소(기원전 5세기), 헬레니즘풍의 말 머리 조각(메디치 리카르디의 머리로도 알려짐) 등이 있다. 이 말 머리 조각은 기마상의 파편으로, 도나텔로와 베로키오의 기마상 기념비 제작에 영감을 주었다.
회랑에는 고졸기 그리스 시대의 대리석 쿠로스 두 개가 전시되어 있다.
3. 4. 이집트 컬렉션
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의 이집트 컬렉션은 '이집트 박물관'으로 불리며, 토리노 이집트 박물관 다음으로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2][1] 14,000점이 넘는 유물들이 9개 전시실과 2개 창고에 보관되어 있으며, 전시된 유물들은 상당한 복원을 거쳤다. 스키아펠리가 고안한 옛 분류 체계는 시대 및 지리적 성격을 띠는 새로운 분류 체계로 대체되었다.컬렉션은 선사 시대부터 콥트 시대까지의 유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비, 미라, 우샤브티, 애뮬럿, 여러 시대의 동상 등 뛰어난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아멘호테프 3세 재위 시기의 동상들, 이집트 제18왕조 시대의 전차,[2] 세티 1세 무덤의 기둥, 타하르카 왕의 유모였던 톄스라페레트의 매장 부속품 일부, 신약 파피루스 (파피루스 2, 파피루스 65) 등은 주목할 만한 유물이다.
4. 전시 구성
4. 1. 상설 전시
4. 2. 특별 전시
4. 3. 별관
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의 별관은 피렌체 인근에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진 빌라 코르시니 아 카스텔로에 마련되어 있으며, 고대 로마와 에트루리아 시대의 조각품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5. 연구 및 교육 활동
5. 1. 연구 활동
5. 2. 교육 활동
6. 한국과의 연관성
6. 1. 고고학 분야 교류
6. 2. 유물 보존 및 복원 기술 교류
6. 3. 박물관 운영 및 전시 교류
참조
[1]
서적
Wagen
Wiesbaden
1986
[2]
서적
Wagen
Wiesbaden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