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르 볼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르 볼그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민족으로, 그 이름은 여러 가지로 해석되며 "가죽을 가진 사람들", "자루의 사람들", "늪의 사람들" 등으로 불린다. 레보르 가발라 에렌에 따르면, 네메드인의 후손으로 그리스에서 노예 생활을 하다가 아일랜드로 건너와 다섯 개의 주로 나뉘어 통치했다. 투아하 데 다난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그들은 코노트로 쫓겨났거나 아일랜드에서 도망친 것으로 전해진다. 피르 볼그는 실제 역사 속 벨가에족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일랜드의 기원 설화를 보여주는 신화적인 존재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피르 볼그 |
---|
2. 명칭
"피르 볼그"(Fir Bholg 또는 Firbolgs)는 자료에 따라 "가죽을 가진 사람들"[1], "가죽 부대의 민족"[2], "늪의 사람들"[3]로 설명된다. 피르는 게일어로 영어의 "men"에 해당하는 단어이며, 볼그는 그들이 숭배하는 신 빌그(Builg)[4], 습지[5], 번개[6] 등 여러 설이 있다.
피르 볼그는 9세기 문헌인 《브리튼인의 역사》에 처음 언급되며, 여기서는 부일크(''Builc'')라고 불린다.[20] 그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모이 투라 전투"와 《에린 침략의 서》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서 피르 볼그는 네메드의 후예라고 한다. 네메드는 피르 볼그보다 앞서 에린에 살았던 민족이었는데, 서른 명만 남기고 모조리 죽게 되었다. 이들 서른 명은 에린을 탈출해 도망쳤는데, 이들 중 한 무리는 "세계의 북쪽"으로, 한 무리는 브리튼으로, 한 무리는 그리스로 갔다고 한다. 세계의 북쪽으로 간 자들은 투어허 데 다넌이 되었고, 그리스로 간 자들은 피르 볼그가 되었다. 《에린 침략의 서》에 따르면 피르 볼그는 그리스인들의 노예가 되어 점토 배낭을 옮기는 일을 해야 했다고 하며, 여기서 "배낭의 남자"라는 뜻으로 "피르 볼그"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모이 투라 전투"에서는 그들이 바위투성이의 척박한 땅에 살도록 강요당했으나 엄청난 양의 흙을 쏟아붓는 개간 끝에 비옥한 땅으로 만들어 살았다고 한다. 230년 동안의 노예 생활(또는 압제) 끝에 그들은 이스라엘인들이 이집트를 탈출했을 때와 같은 때 그리스를 탈출했다. 피르 볼그는 이베리아반도를 향해 항해했고 이어 에린 땅에 닿았다고 한다.
"피르 볼그"라는 이름은 초기 문헌에서 "자루의 사람들"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9] 아일랜드어 단어 'fir'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bolg/bolc'는 배, 자루, 주머니, 풀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쿠노 마이어와 R. A. 스튜어트 맥칼리스터는 이 이름이 'Fir i mBolgaib'에서 유래되었으며, 문자 그대로 "(헐렁한) 바지를 입은 사람들"을 의미하는 "바지를 입는 사람들"이라는 용어에서 유래되었고, 이는 "하위 계층"에 대한 경멸적인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9] 맥칼리스터는 이 표현이 《레보르 가발라》가 쓰여질 시점에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저자들이 자루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 그 의미를 이해하려 했다고 제안한다.[9] 또한, 이 이름이 원래 전투의 분노로 "불룩한" 또는 "부어오른" 사람들을 의미했다는 주장도 있다.[10]
또한 그들은 콜카 오이도카(어둠의 사람들), 콜카 드위브나(밤의 사람들)라고도 불린다.[7]
3. 신화
피르 볼그에는 다섯 명의 영주가 있었기에 에린 땅을 다섯 개로 나누었다.
이들 영주는 지고왕의 위를 만들고 이후 37년 동안 아홉 명의 지고왕이 에린을 다스렸다. 최후의 피르 볼그 지고왕인 오하드 막 에르크는 완벽한 성군의 표본이었다고 한다.
37년 뒤, 투어허 데 다넌이 에린에 도착했다. 데 다난의 왕 누아다는 피르 볼그에게 에린의 절반을 달라고 요구했으나, 피르 볼그의 왕 오하드는 거부했다. 이에 두 세력은 발가탄(Balgatan) 고개에서 4일 밤낮을 맞붙으니 이것이 모이 투라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피르 볼그의 장사인 스렝이 누아다에게 일기토를 신청했다. 칼을 한 번 휘두름으로써 스렝은 누아다의 오른팔을 잘라냈다. 하지만 피르 볼그는 끝내 패배했고, 그들의 왕 오하드는 모리안에게 살해당했다. 스렝이 분투하여 겨우 완전한 멸족만은 면할 수 있었다.[21]
일부 문헌에서는 피르 볼그는 에린 땅에서 도망친다고 한다.[22] 또 다른 문헌에서는 데 다난이 피르 볼그에게 에린 땅의 4분의 1을 내주었고, 피르 볼그는 코노트에서 살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로 피르 볼그는 신화에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23] 아란 제도에 있는 Dún Aonghasa|둔 옹가스영어[19]는 그들이 만든 요새라고 전해진다.
4. 해석
이 이름은 '벨가에족'에서 유래되었고 관련이 있을 수 있다.[10] 벨가에족은 북부 갈리아에 살던 부족 집단이었다. 일부 학자들은 저자들이 실제 집단인 벨가에족을 본따 허구의 종족인 피르 볼그의 이름을 지었다고 제안한다. T. F. 오라힐리는 피르 볼그 또는 부일그가 에린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들이 벨가에족과 관련이 있으며 기원전 5세기경 아일랜드에 정착했다고 믿었다.[11] 하지만 오라힐리의 이론은 역사가들과 고고학자들에 의해 이의가 제기되었으며, 더 이상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2][13]
존 라이스와 R. A. 스튜어트 맥칼리스터는 피르 볼그가 또 다른 모습의 포모리안(포모이레)이라고 제안한다.[14] 맥칼리스터는 피르 볼그가 포모리안에 의해 괴롭힘을 받지 않은 유일한 정착 집단이라고 언급한다.[9] 투아하 데는 인간인 피르 볼그와 초자연적인 포모리안을 상대로 두 번의 유사한 마그 투이레드 전투를 벌인다. 피르 볼그는 포모리안을 두 번째 전투로 이끈다.[9] 포모리안은 자연의 해롭거나 파괴적인 힘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투아하 데는 성장과 문명의 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5][16]
여러 자료에서 "피르 볼그"는 "가죽을 가진 사람들", "가죽 부대의 민족", "늪의 사람들" 등으로 설명된다. '피르'는 게일어로 영어의 "men"에 해당하는 단어이며, '볼그'는 그들이 숭배하는 신 빌그(Builg), 습지, 번개 등 여러 설이 있다.
또한 피르 볼그는 콜카 오이도카(어둠의 사람들), 콜카 드위브나(밤의 사람들)라고도 불린다. 이들은 완전한 전설 속 민족이 아니라, 현실 역사의 일부가 전설로 반영된 존재이다. 광의의 피르 볼그 중 일부인 게리온족은 레인스터의 어원인을 가리킨다고 여겨진다. 또한, 피르 볼그의 일족인 필 도난은 브리튼의 과 관계가 있다. 얀 브레키리안은 피르 볼그를 "벨기에인"으로, 필 게리온을 "갈리아인"으로 보았으며, 프랭크 딜레이니는 "피르 볼그"라는 호칭과 대륙 켈트족인 "벨가에인"과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5. 피르 볼그의 군주
참조
[1]
웹인용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https://sulis.ucc.ie[...]
John Carey (Celticist)
2021-04-26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Medieval Literature in Britai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7
[3]
서적
The Mammoth Book of Celtic Myths and Legends
Constable & Robinson
2002
[4]
문서
Koch
[5]
문서
Squire
[6]
서적
Celtic Gods and Heroes
Dover Publications
2000
[7]
문서
Carey
[8]
문서
Koch
[9]
웹사이트
Online Index to the Lebor Gabála Érenn (Book of Invasions) based on R.A.S. Macalister's translations and notes: O - P
https://celt.ucc.ie/[...]
2008
[10]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11]
서적
Early Irish History and Mythology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46
[12]
서적
Ulster: An Illustrated History
Batsford Books
1989
[13]
서적
The Celtic Realms: History and Civilization
Weidenfeld & Nicolson
1967
[14]
간행물
Ériu, Volumes 39–41
Royal Irish Academy
1988
[15]
서적
The Religion of the Ancient Celts
The Floating Press
2009
[16]
서적
A Guide to Irish Mythology
Irish Academic Press
1996
[17]
문서
the Gaileoin, the Fir Bolg and the Fir Domnann
[18]
문서
케스ィル
[19]
문서
Dún Aonghasa
[20]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21]
서적
The Mammoth Book of Celtic Myths and Legends
Constable & Robinson
2002
[22]
문서
Koch
[23]
문서
Squire Celtic Myth and Legend
[24]
웹인용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http://www.ucc.ie/ac[...]
1994
[25]
문서
Carey
[26]
문서
Koch
[27]
서적
Early Irish History and Mythology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4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