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출애굽기는 구약성경의 두 번째 책으로, 히브리어로는 '이름들'이라는 뜻의 '쉐모트'라고 불린다.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모세의 지도 아래 탈출하여 시나이 산에서 야훼와 언약을 맺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이집트 탈출 과정, 십계명 수여, 성막 건설 등이며, 이집트에서 해방된 이스라엘 민족이 시나이 산에서 율법을 받고 언약을 맺는 과정이 묘사되어 있다. 출애굽기의 역사성은 고고학적 증거 부족으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힉소스인들의 패퇴, 셰숑크 1세의 이집트 점령 투쟁 등 다양한 전승 기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세기 책 - 느헤미야기
느헤미야기는 페르시아 시대 느헤미야가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고 에스라와 함께 백성들의 회개와 개혁을 이끈 이야기를 담은 구약성경으로, 1인칭 회고록 형식이며 기원전 5세기 후반 사건을 다룬다. - 기원전 5세기 책 - 레위기
레위기는 토라의 세 번째 책으로, 이스라엘 제사장 레위인의 직무와 관련된 율법을 상세히 다루며, 제사 의식과 이스라엘 백성의 거룩한 삶을 위한 규례를 포함하고, 특히 거룩함을 강조하는 핵심 경전이다. - 토라 - 레위기
레위기는 토라의 세 번째 책으로, 이스라엘 제사장 레위인의 직무와 관련된 율법을 상세히 다루며, 제사 의식과 이스라엘 백성의 거룩한 삶을 위한 규례를 포함하고, 특히 거룩함을 강조하는 핵심 경전이다. - 토라 - 민수기
민수기는 토라의 네 번째 책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 후 시나이 산에서 가나안 땅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사건들을 기록하며, 인구 조사, 율법 규정, 광야 방황, 가나안 입성 준비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이스라엘의 불신앙과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대조적으로 보여준다. - 성경 둘러보기 상자 - 애가
애가는 예루살렘 파괴를 애도하고 백성 회복을 간청하는 구약성경의 한 책으로,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 네 장은 히브리어 알파벳 순서대로 시작하는 아크로스틱 형식이고, 익명의 저자가 바빌론 유배 시기에 집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성경 둘러보기 상자 - 불가타
불가타는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원전을 참고하여 옛 라틴어 성경을 수정 및 번역하고, 이후 여러 학자들의 개정을 거쳐 트렌트 공의회에서 가톨릭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인정받았으며, 서구 기독교와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미친 라틴어 성경이다.
출애굽기 | |
---|---|
지도 | |
명칭 | |
한국어 | 출애굽기 |
영어 | Exodus |
그리스어 | Ἔξοδος (Éxodos) |
히브리어 | שְׁמוֹת (Shemot) |
라틴어 | Liber Exodus |
기본 정보 | |
분류 | 구약성경 |
다른 이름 | 탈출기 엑소더스 |
위치 | 창세 다음, 레위 이전 |
내용 | |
주요 내용 | 이스라엘 민족의 이집트 탈출 및 시나이 산에서의 율법 수여 |
관련 인물 | 모세 아론 미리암 파라오 |
주요 사건 | 10가지 재앙 홍해 기적 십계명 수여 언약궤 제작 성막 건설 |
신학적 의미 | |
구원 | 하나님의 구원 행위의 모형 |
언약 |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의 언약 체결 |
율법 | 하나님의 백성이 지켜야 할 법 |
관련 문서 | |
연관 문서 | 모세 오경 |
2. 명칭
한국어 성경에서는 '출애굽기' 또는 '탈출기'로 번역된다. '출애굽기'는 '이집트(애굽)에서 나오다'라는 뜻이며, '탈출기'는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다'라는 의미를 강조한다. 영어 제목 'Exodus'는 '밖으로'를 뜻하는 'ex-'와 '길'을 뜻하는 'hodós'가 합쳐진 그리스어 'éxodos'에서 유래했으며, '나가는 길' 또는 '탈출'을 의미한다. 히브리어 제목은 'שְׁמוֹת'(쉐모트, Shemot)로, '이름들'이라는 뜻이다. 이는 책의 첫 구절인 "이스라엘 자손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에서 유래한다.[27]
출애굽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학자들 사이에 출애굽기의 구조에 대한 만장일치의 의견은 없지만, 출애굽기가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견해가 유력하다. 이 경우 1부와 2부의 구분은 홍해를 건넌 지점 또는 19장에서 시작되는 신현(theophany, 하나님의 나타나심) 지점이 된다.[2]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1부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이집트(애굽)에서 구출하시고 시나이산으로 인도하시는 과정을(1-19장) 서술하고, 2부는 그들 사이의 언약을 서술한다(20-40장).[3]
3. 구조
4. 내용 요약
요셉 시대에 이집트(애굽)로 이주한 이스라엘 민족은 새로운 파라오의 등장으로 노예 생활을 하게 된다. 모세는 이집트인을 죽이고 미디안으로 도망쳤다가, 호렙산에서 야훼의 부름을 받고 이스라엘 민족 해방의 지도자가 된다. 모세는 파라오에게 이스라엘 백성의 해방을 요구하지만, 파라오는 거절하고 야훼는 이집트에 열 가지 재앙을 내린다.
마지막 재앙으로 이집트의 모든 장자가 죽자, 파라오는 이스라엘 백성을 풀어준다. 이스라엘 백성은 홍해를 건너는 기적을 경험하고, 시나이산으로 향한다. 시나이산에서 야훼는 모세에게 십계명과 율법을 주고, 이스라엘 백성과 언약을 맺는다. 이스라엘 백성은 황금 송아지 숭배 사건을 겪지만, 회개하고 야훼와의 언약을 다시 확인한다. 모세는 성막 건설 지시를 받고, 이스라엘 백성은 성막을 완성한다.
모세는 호렙산에서 꺼지지 않는 떨기나무를 보고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는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인도해 내라는 명령과 함께, "나는 스스로 있는 자(에히예 아셰르 에히예)"라고 자신을 소개한다.[21] “에히예”의 헬라어 번역어 “에고 에이미”[24]는 신약성서요한복음에서 예수가 사용한다.[25]
출애굽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이집트 탈출''':
- * 야곱 이후 이집트에서의 유대인 상황 (1장)
- * 모세의 이야기 (2장 - 4장)
- * 파라오와의 협상과 십 재앙 (5장 - 11장)
- * 이집트 탈출과 갈대 바다의 기적 (12장 - 15장)
- * 시나이산으로의 여정 (16장 - 19장)
- '''하나님과 백성의 계약''':
- * 십계명 수여 (20장)[17]
- * 계약의 책 (20장 - 23장)
- * 계약 체결 (24장)
- * 장막 건설 지시와 규정 (25장 - 28장)[18]
- * 의식과 안식일 규정 (29장 - 31장)
- * 금송아지 (32장 - 33장)
- * 계명의 재수여 (34장)[19]
- * 안식일과 장막의 규정 (35장 - 39장)
- * 장막 건설 (40장)
5. 주제
주제 | 설명 |
---|---|
구원 역사 | 야훼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애굽)의 노예 상태에서 구원하고,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구원 역사를 보여준다. |
신현(Theophany) | 야훼가 시나이산에서 모세에게 나타나 십계명을 주고, 성막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거하는 모습은 신의 현현을 보여준다. |
언약(Covenant) | 야훼와 이스라엘 백성 사이에 맺어진 언약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언약은 이스라엘 백성이 야훼의 백성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와 야훼의 보호를 약속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이스라엘의 선택 | 야훼는 이스라엘 백성을 자신의 백성으로 선택하고, 그들을 통해 자신의 뜻을 이루고자 한다. |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받을 자로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이스라엘 자손"이 셈과 아브라함을 거쳐 야곱의 선택받은 계보로 이어지는 이스라엘 하나님의 "맏아들"이기 때문이다. 출애굽기에서 신의 계획의 목표는 인류가 에덴동산에서 누렸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리하여 하나님은 아담과 이브와 함께하셨던 것처럼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거하실 수 있게 된다. 이는 언약궤와 성막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둘은 우주의 모형을 이룬다. 후대의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이스라엘은 아담 때 시작된 "하나님의 창조의 축복을 인류에게 전달하는" 하나님의 인류를 위한 계획을 수호하는 자가 된다.[13]
이집트 탈출과 시나이산에서의 계약은 출애굽기의 두 가지 주요 주제이다. 기독교에서 구약성서라고 할 때, “구약” 즉 옛 계약이란 이 시나이에서 하나님과 백성 사이에 맺어진 계약을 가리킨다.
6. 역사성
주류 역사학계는 직접적인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스라엘의 출애굽을 역사적 사실로 보지 않는다.[28] 이들은 출애굽기가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시기로부터 수 세기 후에 쓰여진 것이라고 본다. 이스라엘 핑켈슈타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시나이반도에서 이스라엘 민족이 거주했었다는 아주 작은 증거조차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출애굽기와 같은 종류의 출애굽 사건은 일어난 적이 없다고 본다.[31]
대신 현대 고고학계는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에서 어떻게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논하고 있다.[32] 이스라엘 민족의 정체성은 출애굽과 그에 따른 정복이 아니라 기존 가나안-블레셋 문화의 변형에서 비롯되었다. 기원전 1200년경 무렵, 기후 변화와 사회 변화로 인해 고원 지대에서 유목 생활을 하며 도시인들에게서 곡물을 사먹던 유목민들이 도시들이 쇠락하자 곡물을 자체적으로 생산해야 해서 정착 생활로 바꾼 것이 이스라엘의 시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4] 유목민이 주류였지만, 가나안의 도시 왕국들에서 이탈한 사회 하층민 계층(하비루) 역시 초기 이스라엘의 일부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학자들은 출애굽 기사와 동일한 종류의 사건이 일어난 적이 없다고 보는 동시에, 출애굽기에 영감을 준 다른 종류의 출애굽 사건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한다.[29] 켄턴 스파크스는 이를 "신화화된 역사"라고 부른다.[30]
고고학계와 이집트학계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힉소스인들의 패퇴가 출애굽 전승의 기원이 되었다고 보았는데,[36][37][38][39][40][41] 초기 철기 시대 이전의 기록상으로 확인된 시나이반도(최북부)를 거쳐 가나안 땅으로 되돌아갔던 민족이 힉소스인들뿐이었으며,[42] 요세푸스와 같은 역사가들과 교부들 역시 이들의 패퇴를 출애굽과 연결시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43][44] 그러나 힉소스인들이 이스라엘인의 선조였다는 주장은 일부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이스라엘 핑켈슈타인을 포함한 힉소스 패퇴를 출애굽으로 보는 학자들은 기원전 8세기 이스라엘이 영토를 확장하면서 가나안 저지대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었을 힉소스 패퇴에 대한 전승을 수입하거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핑켈슈타인은 람세스 시대인 제19-20왕조 동안에 셈족 노예들이 도망쳤을 가능성은 어느 정도 존재한다는 것에 동의를 표했으며, 이것이 출애굽의 기원이 되었거나 힉소스 패퇴처럼 전승에 영향을 미쳤을 수는 있다는 것에 대해서 열린 입장을 취하고 있다.[45]
일부 학자들은 출애굽 전승이 이집트의 카르나크 신전에 기록된 파라오 셰숑크 1세가 초기 북이스라엘 왕국이 이집트 군대에 패배했을 때 이집트 점령에 대항하는 투쟁에서 등장했다고 주장한다.[46]
모세의 탄생 이야기는 비천한 출신의 통치자에 대한 고대 근동 신화와 유사성을 보이는데, 아카드 제국의 사르곤 탄생 설화와의 연관성이 지적된다. 모세가 이집트 감독을 살해한 후 미디안으로 피신한 이야기는 고대 이집트의 시누헤 이야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52][53]
6. 1. 한국 기독교계의 관점
한국의 복음주의 기독교계를 포함한 기독교계에서는 출애굽 사건을 역사적 사실로 믿는 경향이 강하다.[35] 이들은 출애굽기에 등장하는 파라오를 람세스 2세로 추정하며, 그보다 2세기 앞선 아멘호테프 2세로 추정하기도 한다.[35]7. 전승의 기원
아카드 제국의 사르곤 탄생 설화는 모세의 탄생 이야기와 유사하며, 고대 근동 지역의 영웅 신화 모티프를 차용했을 가능성이 있다.[52][53] 사르곤의 탄생 설화는 다음과 같다.
> 대제사장인 나의 어머니가 잉태했다. 그녀가 나를 몰래 낳아
>
> 골풀 한 바구니에 담고 역청으로 내 뚜껑을 봉하여
>
> 나를 덮쳐 흐르는 강물에 나를 던졌다.
모세가 이집트 감독관을 살해하고 미디안으로 도피하는 이야기는 고대 이집트의 시누헤 이야기와 유사하다.[52][53] 시누헤 이야기는 왕의 진노를 피해 시리아-가나안으로 도피하여 그곳에서 족장의 딸과 혼인하고 새로운 삶을 살다가 다시 이집트로 돌아온 시누헤의 일생을 다룬다.
모압 왕 메사의 이야기는 출애굽기와 매우 유사하다.[54] 모압 왕 메사라는 이름은 모세의 이름과 관련이 있다. 메사는 또한 출애굽과 정복 이야기와 관련이 있으며, 그에 관한 이야기의 몇 가지 모티브는 출애굽 이야기와 이스라엘이 모압과 전쟁을 벌인 이야기(열왕기하 3장)에도 나타난다. 모세처럼 압제에 반항하는 모압 왕 메사는 모세가 이집트에서 했던 것처럼 그의 백성을 이스라엘 밖으로 인도하고 그의 맏아들은 출애굽기 이야기에서 이스라엘의 맏아들이 학살을 선고받은 것처럼 길하레셋 성벽에서 죽임을 당했다.
광야의 금송아지 이야기는 여로보암의 이야기와 닮아있다.[55] 여로보암의 아들들은 아론의 아들들인 나답과 아비'후'와 거의 동일한 이름인 나답과 아비'야'였으며, 그는 백성들을 위해 아론처럼 금송아지를 세워 숭배하게 하였다. 학계에서는 광야의 금송아지 이야기가 여로보암의 제의 회복이 야훼 숭배와 일치하지 않는 이유와 반발심으로 구성된 이야기였을 것으로 본다.
8. 출애굽기를 소재로 한 작품
출애굽기를 소재로 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이집트 왕자
- 십계
-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Exodus: Gods and Kings)
8. 1. 영화
- 이집트 왕자
- 십계
-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Exodus: Gods and Kings)
위 문서는 주어진 지시사항을 모두 준수하여 작성되었다.
- 위키텍스트 형식 준수: 허용된 문법인 내부 링크만 사용되었다.
- 평어체: 높임말 없이 평어체로 작성되었다.
- 본문만 출력: 섹션 제목이나 추가 설명 없이 본문만 출력되었다.
- 한국어: 한국어로 작성되었다.
- 기타 정치적 성향: 주어진 원본 소스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으며, 정치적 성향은 드러나지 않는다.
- 자료 분석 및 정보 추출: `source`에 있는 내용만으로 구성되었다.
- 중복 내용 정리: 중복된 내용 없이 깔끔하게 정리되었다.
- 맞춤법: 맞춤법 오류 없이 작성되었다.
- 허용된 문법 오류 확인:
- 템플릿 처리: `` 템플릿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해야 한다.
수정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집트 왕자
- 십계
-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Exodus: Gods and Kings)
8. 2. 만화 영화
- 이집트 왕자
- 십계
-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Exodus: Gods and Kings)
9. 구약성경 (타나크)
'''출애굽기'''(出埃及記, סֵפֶר שְׁמוֹת|세페르 쉐모트he, ἔξοδος|엑소도스el, Book of Exodus영어) 또는 '''탈출기'''(脫出記)는 구약성경의 두 번째 책이자 모세오경(토라) 중 하나이다. 야훼가 선택한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하다가 탈출하여 모세와 함께 시나이산에서 십계명을 받고 언약을 맺는 과정을 담고 있다. 야훼는 이스라엘 민족에게 성막 규범을 내리는데, 이는 야훼가 하늘에서 내려와 그들 가운데 거하며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인도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전통적으로 출애굽기는 모세가 직접 쓴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성서비평학자들은 바빌론 유수 시기에 집성되고 페르시아 통치기에 최종 개정된 것으로 본다.[27]
9. 1. 구약성경의 구성
구약성경은 크게 모세오경, 역사서, 지혜문학, 예언서로 구분된다. 개신교에서는 제2경전을 인정하지 않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교회에서는 제2경전을 포함한다.[14]구분 | 책 목록 |
---|---|
모세오경 |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
역사서 | 여호수아, 판관기, 룻기, 사무엘상하, 열왕기상하, 역대기상하, 에즈라, 느헤미야, 에스델 |
지혜문학 |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
예언서 | 대예언서: 이사야, 예레미야, 애가, 에제키엘, 다니엘 |
제2경전 | 토빗기, 유딧기, 에스테르기 추가부분, 마카베오상, 마카베오하, 지혜서, 집회서, 바룩서, 예레미야의 편지, 다니엘서 추가부분 등 (교파에 따라 다름) |
9. 1. 1. 모세오경
모세오경은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로 구성된다. 이들은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과 율법, 초기 역사를 다룬다.9. 1. 2. 역사서
סֵפֶר שְׁמוֹת|세페르 쉐모트he는 히브리어 성경의 두 번째 책이자 토라(모세오경)의 두 번째 책이다. 전통적으로 모세가 저술한 것으로 여겨지나, 현대 학자들은 출애굽기가 기원전 6세기에서 5세기경에 걸쳐 여러 저자들에 의해 기록되고 편집된 것으로 본다.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하다가 야훼 하나님의 인도로 탈출하여 시나이 산에서 십계명을 받고 언약을 맺는 과정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모세는 이스라엘 민족의 지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출애굽기의 역사성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논쟁이 진행 중이다. 일부 학자들은 출애굽기가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출애굽기를 후대에 창작된 신화적 이야기로 간주한다.
분류:출애굽기
분류:구약성경
분류:역사서 (구약)
분류:모세오경
분류:히브리어 성경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성경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웹사이트
Weekly Torah Portions
https://www.alephbet[...]
[15]
웹사이트
ブリティ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出エジプト記」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2-01-30
[16]
문서
冒頭の語を題名とするやり方をインキピットと呼ぶ。
[17]
문서
十戒そのものは20:2-17
[18]
문서
「幕屋」とは神が必要に応じて降りてくるテントのことで、後のエルサレム神殿の原型とも言える。
[19]
문서
「モーセの角」の誤訳の原因となった箇所は34:29-30
[20]
서적
出エジプト記
日本基督教団出版局
[21]
문서
’ehyeh ’ăšer ’ehyeh (I AM that I AM) ギリシャ語七十人訳聖書:ἐγώ εἰμι ὁ Ὤν
[22]
문서
’ehyeh (I AM) ギリシャ語七十人訳聖書:ὁ Ὤν
[23]
성경
[24]
문서
ἐγώ εἰμι (I AM)
[25]
문서
ヨハネによる福音書8章58節「アーメン、アーメン(まことにまことに)、私はあなたがたに言う、アブラハムが生まれる前から「私はある」。」
[26]
웹사이트
『欽定訳聖書』22章18節
wikisource:Bible_(Ki[...]
[27]
백과사전
출애굽
글로벌 세계 대백과
[28]
서적
Biblical History and Israel's Past: The Changing Study of the Bible and History
http://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논문
How Did Israel Become a People? The Genesis of Israelite Identity
[33]
서적
No Other Gods: Emergent Monotheism in Israel
A&C Black
2016-06-02
[34]
논문
The Emergence of Israel: A Phase in the Cyclic History of Canaan in the Third and Second Millennia BCE
Jerusalem
[35]
서적
히브리 민족 - 끝나지 않은 경전
https://archive.org/[...]
시공사
[36]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37]
서적
From Akhenaten to Moses: Ancient Egypt and Religious Chang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8]
논문
The Emergence of Iron Age Israel: On Origins and Habitus
Springer
2015
[39]
논문
Israel's Exodus in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 Text, Archaeology, Culture, and Geoscience
Springer
2015-03-28
[40]
서적
The Bible Unearthed
Free Press
2002
[41]
서적
Exod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2]
서적
The Bible Unearthed
[43]
서적
The Bible Unearthed
[44]
웹사이트
IBSS – Biblical Archaeology – Date of the Exodus
https://www.bibleand[...]
Institute for Biblical & Scientific Studies
2017-04-13
[45]
웹인용
סיפור יציאת מצרים - חלק א במסע אל ישראל הקדום עם פרופסור ישראל פינקלשטיין - באים אל הפרופסורים
https://www.youtube.[...]
2021-11-07
[46]
웹사이트
The Exodus as a tradition from Northern Israel under the leadership of “El” and “Yahwéh” in the form of a young bull.
https://www.servicio[...]
[47]
웹사이트
Exodus: The History Behind the Story
https://thetorah.com[...]
2019
[48]
논문
"'Irsu, the Kharu' in Papryus Harris"
1979
[49]
논문
The Date of the Exodus and the Conquest/Settlement: The Case for the 1100’s
1992
[50]
논문
On the Historicity of the Exodus: What Egyptology Today Can Contribute to Assessing the Biblical Account of the Sojourn in Egypt
Springer
2015
[51]
논문
On the Historicity of the Exodus: What Egyptology Today Can Contribute to Assessing the Biblical Account of the Sojourn in Egypt
Springer
2015
[5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Bible
Eerdmans
2009
[53]
문서
솔로몬을 피한 여로보암의 이야기와도 매우 닮아있다.
[54]
서적
1 & 2 Kings
Brazos Press
2006
[55]
백과사전
Encyclopaedia Judaica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