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코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픽코마는 2016년 4월에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 재팬의 웹툰 플랫폼으로, 주로 다음 웹툰과 카카오페이지의 웹툰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유료로 제공한다. '기다리면 무료'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했으며, 일본 현지 출판 만화의 전자책 서비스도 제공한다. 2018년 자체 만화 대상 '픽코마 어워드'를 창설했고, 2021년 카카오 픽코마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했다. 유럽과 북미 시장 진출을 발표하고 프랑스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으나, 수익성 악화로 인해 2024년 9월 30일 픽코마 유럽 서비스를 종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설 투고 사이트 - 카카오페이지
카카오페이지는 2010년 설립된 콘텐츠 플랫폼으로, 웹툰 및 웹소설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콘텐츠 제작자가 직접 판매하고 수익을 분배하며, 현재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페이지 컴퍼니이다. - 소설 투고 사이트 - 픽시브
프로그래머가 구상하여 2007년 9월에 시작된 픽시브는 일러스트 투고 및 열람을 중심으로 사용자 간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일러스트 특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 웹 만화 연재처 - 카카오페이지
카카오페이지는 2010년 설립된 콘텐츠 플랫폼으로, 웹툰 및 웹소설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콘텐츠 제작자가 직접 판매하고 수익을 분배하며, 현재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페이지 컴퍼니이다. - 웹 만화 연재처 - 네이버 웹툰
네이버 웹툰은 2004년 네이버에서 시작된 온라인 만화 서비스로, 세로 스크롤 방식과 요일별 연재 시스템을 통해 웹툰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만화를 대중화하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다양한 미디어 믹스 콘텐츠를 제작하는 세계적인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 카카오 - 다음
다음은 1995년 설립되어 검색, 커뮤니티,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4년 카카오와 합병 후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다. - 카카오 -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는 2014년 카카오톡 연동으로 시작하여 송금 기능을 제공하는 간편결제 서비스이며, 금융 서비스로 확장되어 카카오페이 주식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픽코마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개발사 | 카카오 Piccoma Corp. |
출시일 | 2016년 4월 |
운영체제 | iOS Android |
사용 언어 | 일본어 프랑스어 |
장르 | 웹툰 만화 |
웹사이트 | Piccoma 공식 웹사이트 |
2. 서비스
2016년 4월 서비스를 시작한 픽코마는 초기 일반적인 전자책 구매 방식에서 나아가, 카카오페이지의 성공 모델인 '기다리면 무료'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사용자가 개별 챕터를 구매하거나 일정 시간(주로 24시간)을 기다리면 콘텐츠 일부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1], 픽코마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되었다[10].
픽코마는 주로 다음 웹툰과 카카오페이지의 웹툰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며[2], 2018년 3분기부터는 일본, 한국, 중국의 오리지널 웹툰도 서비스하기 시작했다[3]. 이는 일본 현지 출판 만화에 주력하는 네이버의 LINE 망가와 차별화되는 점이다. 또한, 픽코마는 만화뿐 아니라 소설 전자책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픽코마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장르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장르 |
---|---|
만화 | 연애, 호러·미스터리, 드라마, 판타지, 이면 사회·언더그라운드, 액션, 미식가, 스포츠, 일상, 독점·선행, TL, BL |
소설 | 노벨 |
대한민국의 IT 기업 카카오의 일본 법인인 카카오 재팬은 픽코마를 출시했으며, 서비스의 성공에 힘입어 2021년 11월 11일 사명을 '카카오픽코마'로 변경했다[9]. 네이버의 라인 주식회사(현 A홀딩스) 출신인 김재용 대표는 한국의 '기다리면 0엔' 모델과 카카오페이지 인기 작품의 현지화 전략을 통해 픽코마를 일본 시장 점유율 선두 서비스로 이끌었다[10].
2018년에는 자체 만화상인 '픽코마 어워드(ピッコマ AWARD)'를 창설하여 매년 우수 작품을 선정하고 있다[5][11].
2021년 11월, 픽코마는 유럽 및 북미 시장 진출 계획을 발표하고, 같은 해 9월 프랑스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6][12]. 2022년 3월 17일 프랑스어 서비스를 시작했으나[7], 수익성 문제로 해외 사업부를 축소하기로 결정하면서 2024년 5월 27일 유럽 운영 중단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24년 9월 30일부로 프랑스 내 앱과 웹사이트 서비스가 영구 종료될 예정이다[8].
2. 1. 한국 웹툰의 인기
픽코마는 주로 다음 웹툰과 카카오페이지의 웹툰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유료로 서비스한다. 이는 일본 현지 출판 만화의 전자책 서비스에 주력하는 네이버 웹툰의 LINE 망가와 차별화되는 점이다. LINE 망가의 주력 작품이 기존 일본 출판 만화인 반면, 픽코마는 번역된 한국 웹툰을 핵심 콘텐츠로 삼는다.특히 모회사인 카카오가 한국에서 운영하는 카카오페이지의 인기 작품을 적극적으로 현지화하여 일본 시장에 투입하는 전략은 픽코마가 업계 최고 수준의 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이러한 한국 웹툰 중심의 서비스는 일본 독자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는 픽코마 성공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2. 2. 픽코마 어워드 (ピッコマ AWARD)
2018년에는 자체적인 만화 대상 '픽코마 어워드(ピッコマ AWARD)'를 창설하여 매년 우수한 작품을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역대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회차 | 부문 | 수상작 정보 |
---|---|---|
제1회 (2018년) | RAINBOW상 | 『사역소』 (아즈미 키시) |
AURORA상 | 『복수의 독고』 (원작: Meen, 작화: Baekdoo) | |
STAR상 | 『코이조라 슬픈 사랑 이야기』 (원작: 미카, 작화: 하다 이부키) | |
제2회 (2019년) | LUNA상 | 『약속의 네버랜드』 (원작: 시라이 카이우, 작화: 데미즈 포스카) |
IGNIS상 | 『DAYS』 (야스다 츠요시) | |
AQUA상 | 『방패 용사의 성공담』 (저자: 아네코 유사기, 원작: 아네코 유사기, 캐릭터 원안: 미나미 세이라) | |
ARBOR상 | 『OUT』 (원작: 이구치 타츠야, 만화: 미즈타마 코토) | |
AURUM상 | 『몽키 피크』 (원작: 시나사카 코우지, 작화: 쿠메다 아키히로) | |
TERRA상 | 『버려진 황비』 (만화: iNA, 원작: Yuna) | |
SOL상 | 『복수의 독고』 (원작: Meen, 작화: Baekdoo) | |
제3회 (2020년) | LUNA상 | 『귀멸의 칼날』 (고토게 코요하루) |
IGNIS상 | 『나 혼자만 레벨업』 (글: Chugong, 각색: h-goon, 그림: DUBU(REDICE STUDIO)) | |
AQUA상 | 『오늘도 거절당하고 있습니다~섹스리스·해러스먼트 아내 일기~』 (포레포레 미) | |
ARBOR상 | 『종말의 발키리』 (원작: 우메무라 신야, 구성: 후쿠이 타쿠미, 작화: 아지치카) | |
AURUM상 | 『외과의 엘리제』 (원작: yuin, 만화: mini) | |
TERRA상 | 『LV999의 마을 사람』 (원작: 호시즈키 코네코, 캐릭터 원안: 후미, 만화: 이와모토 켄이치) | |
SOL상 | 『극도 고교생』 (원작: lee hoon young, 작화: kim eui kwon) | |
제4회 (2021년) | LUNA상 | 『주술회전』 (아쿠타미 게게) |
IGNIS상 | 『나 혼자만 레벨업』 (Chugong/D&C MEDIA) (노벨) | |
AQUA상 | 『최강의 왕님, 두 번째 인생은 무엇을 할까?』 (원작: TurtleMe, 작화: Fuyuki23/Tapas Media) (SMARTOON) | |
ARBOR상 | 『공작 부인의 50가지 찻잎 레시피』 (작화: Antstudio, 원작: Lee Jiha/Samyang C&C) (SMARTOON) | |
AURUM상 | 『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하겠다~』 (만화: 후지카와 유카, 원작: 리후진나 마고노테, 캐릭터 원안: 시로타카) | |
TERRA상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 (후세/밋츠바) (노벨) | |
SOL상 | 『어시스턴트』 (코바야시 유고) | |
LUX상 | 『만능 시녀 코니 비레』 (햐쿠나나카테이/krage/J퍼블리싱) (노벨) | |
VENTUS상 | 『갓 오브 블랙필드』 (글: 운, 그림: SIN, 원작: 무장/Toyou's Dream) (SMARTOON) | |
제5회 (2022년) | LUNA상 | 『도쿄 리벤저스』 (와쿠이 켄) |
IGNIS상 | 『거미입니다만, 문제라도?』 (저자: 바바 오키, 일러스트: 테루 류지) | |
AQUA상 | 『아빠, 이 결혼 싫어요!』 (작화: Roal, 글: yuri, 원작: Hong Heesu) | |
ARBOR상 | 『4000년 만에 귀환한 대마도사』 (만화: kd-dragon(REDICE STUDIO), 각색: 후지츠보, 원작: 낙하산) | |
AURUM상 | 『2분의 1 부부』 (만화: 쿠로사와 아키요, 원작: 나츠카와 유키노) | |
TERRA상 | 『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하겠다~』 (리후진나 마고노테, 일러스트: 시로타카) | |
SOL상 | 『도굴왕』 (만화: 3B2S, 원작: SAN.G, 각색: Yuns(REDICE STUDIO)) | |
LUX상 | 『버려진 황비』 (Yuna) | |
VENTUS상 | 『고요한 돈』 (닛타 타츠오) | |
제6회 (2023년) | 만화 부문 | 『시골뜨기 아저씨, 검성으로~그냥 시골 검술 사범이었는데, 크게 된 제자들이 나를 놓아주지 않는 건~』 (만화: 사토 가즈키, 원작: 사가자키 시게루·나베시마 테츠히로) |
『극한 부부』 (키즈키 아키라+사토 난키) | ||
『뱀에게 시집간 딸』 (후시아시쿠모) | ||
SMARTOON 부문 | 『악녀는 모래시계를 되돌린다』 (만화: Antstudio, 원작: SANSOBEE) | |
『이번 생은 제가 당주가 되겠습니다』 (만화: Mon, Antstudio, 원작: Kim Roah) | ||
『템빨~아이템의 힘~』 (만화: Team Argo, 원작: Saenal) | ||
노벨 부문 | 『책벌레의 하극상』 (카미츠키 미야) | |
『진실한 사랑을 찾았다고 해서 약혼 파기되었으니, 복연을 강요해도 이제 와서는 이미 늦었습니다!』 (아야토 유메) | ||
『악역의 엔딩은 죽음뿐』 (Gwon Gyeoeul) |
앱 내의 "독점 배포" 태그로 확인할 수 있다. 일부 작품은 애니메이션화되거나 일본 내에서 서적화되기도 한다. 애니메이션화된 작품에는 '*' 표시가 있으며, 일본 내에서 서적화된 작품은 '''굵은 글씨'''로 표시한다. 서적화된 작품의 출판사는 주로 KADOKAWA사의 미디어 팩토리 브랜드의 MFC 레이블(주로 남성향), 동사의 FLOS COMIC 레이블(주로 여성향), 이치진샤의 카라풀 해피니스 레이블(주로 여성향)[13]이다.
3. 픽코마 독점 배포 작품
배포가 종료된 작품도 있으며, 일부 작품은 앱 버전과 웹 버전의 제공 여부가 다를 수 있다.
4. 해외 진출 및 철수
픽코마는 2021년 9월 프랑스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며 해외 시장 공략을 준비했다.[6] 같은 해 11월에는 유럽과 북미 지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임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6][12] 이후 2022년 3월 17일, 번역된 웹툰과 만화 콘텐츠를 포함한 픽코마 프랑스어 서비스가 시작되었다.[7]
그러나 유럽 시장에서의 운영은 어려움을 겪었다. 2024년 5월 27일, 픽코마 유럽은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모든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8] 이에 따라 2024년 9월 30일을 기점으로 픽코마 유럽 서비스는 영구적으로 종료될 예정이며, 프랑스 내 앱과 웹사이트 역시 더 이상 접속할 수 없게 된다.[8] 이는 수익성이 낮은 해외 사업부를 정리하기 위한 결정이었다.[8]
참조
[1]
뉴스
Kakao Counts on Japan's Manga Love to Break Through Oversea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8-02-20
[2]
웹사이트
As manga goes digital via smartphone apps, do paper comics still have a place?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8-02-20
[3]
웹사이트
Kakao Japan ramps up manga content via smartphone app
https://asia.nikkei.[...]
[4]
웹사이트
On the 11th of this month, Kakao Japan changed the name to "Kakao Pickcoma"
https://www.kakaocor[...]
Kakao Corp.
[5]
웹사이트
【イベントレポート】新サービス「ピッコマTV」など発表、マンガ原作のドラマやアニメを中心に配信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22-02-26
[6]
웹사이트
カカオ「欧州と北米攻略を強化」...仏市場でピッコマを展開
https://japan.mk.co.[...]
[7]
웹사이트
Kakao's Piccoma goes live in France
https://koreajoongan[...]
2022-03-18
[8]
웹사이트
Kakao to close European webtoon platform after failing to read the market
https://koreajoongan[...]
2024-10-01
[9]
뉴스
株式会社カカオジャパン 商号変更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eb.archive.[...]
2021-10-22
[10]
웹사이트
漫画王国・日本を漫画で魅了した…カカオジャパン代表の成功秘訣
https://japanese.joi[...]
2021-10-31
[11]
뉴스
新サービス「ピッコマTV」など発表、マンガ原作のドラマやアニメを中心に配信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0-05-24
[12]
웹사이트
カカオ「欧州と北米攻略を強化」...仏市場でピッコマを展開
https://japan.mk.co.[...]
2021-12-05
[13]
웹사이트
一迅社の新レーベル「カラフルハピネス」創刊!担当編集が語る、現代社会に「悪女」や「やり直し」が求められる理由 - コミックナタリー 特集・インタビュー
https://natalie.mu/c[...]
2024-05-24
[14]
간행물
【ピッコマ】約1000万人の読者データから選出!「ピッコマAWARD 2019」受賞作品決定!
https://prtimes.jp/m[...]
株式会社カカオジャパン
2020-05-24
[15]
뉴스
ピッコマ読者が選ぶ“絶対に面白い作品”は?「ピッコマAWARD」今年の受賞作を発表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0-05-24
[16]
웹사이트
約1,400万人が選ぶ“絶対に面白い作品”へ贈る賞「ピッコマAWARD 2021」発表!
https://prtimes.jp/m[...]
2021-10-06
[17]
웹사이트
約1,600万人が選ぶ“絶対に面白い作品”への賞「ピッコマAWARD 2022」
https://prtimes.jp/m[...]
2023-05-13
[18]
뉴스
「ピッコマAWARD 2023」今年の受賞作は?「片田舎のおっさん、剣聖になる」など9作品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09-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카카오는 어떻게 어닝 서프라이즈를 거뒀나 – 바이라인네트워크
모두의 예상 깬 카카오 ‘어닝서프라이즈’…역대 분기 최대 실적에 ‘깜짝’
“카카오, 2분기 양호한 실적에 AI 기대감”…목표가↑
‘4년간 환골탈태’ 네이버웹툰의 반란은 어떻게 성공했나 – 바이라인네트워크
허리띠 조여 영업이익 지킨 카카오, 내년 목표는 ‘전국민 AI 생활화’ 서비스 출시 – 바이라인네트워크
카카오, ‘카톡-AI 핵심 축으로’ 비상 경영에도 거침없는 질주(종합) – 바이라인네트워크
덩달아 관심 쏠린 카카오엔터-픽코마 “여러 요인 종합해 상장 시기 검토” – 바이라인네트워크
고른 성장 카카오, 1분기 실적 뜯어보기(일문일답 포함) – 바이라인네트워크
손실 폭 줄인 리디, “상수리 나무 아래” 덕 봤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게임도 제쳤다…카카오 ‘픽코마’ 일본 소비자 지출 연간 1위 – 바이라인네트워크
카카오 실적을 사업별로 뜯어보자 (일문일답 전문 포함) – 바이라인네트워크
돈 잘 버는 카카오는 언제?(종합) – 바이라인네트워크
영업익 반토막 카카오, 어떤 회복 전략 짰나 – 바이라인네트워크
[주간 리포트] 위믹스를 둘러싼 각자의 이해관계 – 바이라인네트워크
네이버와 카카오의 효자 종목, 웹툰 – 바이라인네트워크
‘튼튼한 카카오로’ 4분기 보수적 전망…톡채널 핵심 열쇠 – 바이라인네트워크
카카오의 '오픈링크'는 정말 메타버스일까? – 바이라인네트워크
카카오가 오픈채팅 기반의 '오픈링크'를 통해 메타버스 전략을 펼치며, 웹툰, 3D 아바타 기술 등을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 공략을 시도하고, 수익 모델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픽코마, 지난해 웹툰 유료 이용 1등 찍었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카카오, ‘국민 밉상’ 이미지 탈출할까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