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간선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간선 철도는 1849년 제안된 헬싱키-야나칼라-투르크하우타 간 철도 건설 계획에서 시작되었다. 1856년 알렉산드르 2세의 명령에 따라 철도 건설이 추진되었고, 1862년 헬싱키-해멘린나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핀란드 전역으로 철도망이 확장되어, 탐페레, 세이내요키, 오울루, 로바니에미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이 건설되었다. 현재 핀란드의 주요 간선 철도로는 헬싱키-리히매키 선, 리히매키-탐페레 선, 탐페레-세이내요키 선, 포얀마 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철도 - 수도권 단거리교통
수도권 단거리교통은 헬싱키를 중심으로 핀란드 남부 지역을 운행하는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 1886년 통근 열차 운행을 시작하여 마틴라악소 선 건설 등 꾸준히 발전해 왔으며, 현재 다양한 노선과 차량이 운행되고 에스포 도시 철도 연장 계획 등도 추진되고 있다. - 186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헬싱키-리히매키선
헬싱키-리히매키선은 헬싱키에서 출발하여 케라바를 거쳐 리히매키로 이어지는 핀란드 장거리 열차의 핵심 노선으로, 주요 장거리 열차와 헬싱키 통근 열차가 운행된다. - 186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베스트라 스탐바난
베스트라 스탐바난은 스톡홀름과 예테보리를 잇는 스웨덴의 주요 간선 철도로, 1862년 개통 이후 교통 혁명을 가져왔으며 복선화, 전철화, 고속화 작업을 거쳐 현재 X2000 고속 열차가 운행 중이고 스톡홀름 시내 구간의 병목 현상 해소를 위한 지하 노선 건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핀란드의 간선 철도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핀란드 간선 철도 |
다른 이름 | fi (핀란드어) sv (스웨덴어) |
노선 종류 | 철도 노선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위치 | 핀란드 |
시작점 | 헬싱키 |
종착점 | 오울루 |
노선 길이 | 810km |
소유주 | 핀란드 교통 인프라 관리청 |
선로 수 | 4개 (헬싱키-키퇴마, 아이놀라-푸롤라 구간) 2개 (키퇴마-아이놀라, 푸롤라-리엘라흐티, 포흐요이스-로우코-라푸아, 코콜라-위리비에스카 구간) 1개 (리엘라흐티-포흐요이스-로우코, 라푸아-코콜라 구간) |
노선 번호 | 3, 7 |
개통 및 폐쇄 | |
개통일 | 1862년 3월 17일 (헬싱키-해멘린나 구간) |
2. 역사
핀란드의 첫 철도는 1849년 3월 20일에 제안되었다. 당시 알프레드 스테른발(Alfred Stjernvall)은 헬싱키-야나칼라-투르크하우타를 잇는 철도를 제안하였다. 제안 당시에는 말이 끄는 철도를 제시하였고, 1851년 헬싱키-해멘린나 간의 궤도 설치를 위한 조사가 완료되었다. 1853년 3월 해멘린나 시에서는 시에 살고 있던 귀족과 함께 헬싱키로 가는 철도를 자체적으로 부설하려고 하였으나, 이 안은 거절되었다. 철도 건설은 1853년-1856년 사이에 있었던 크림 전쟁으로 지연되었다.
1856년 3월 알렉산드르 2세가 핀란드를 방문하였을 때 내륙 운송을 강화할 것을 명령하였다. 이 과정에서 철도 건설이 고려되었으며, 1851년 당시의 계획이 높은 지지를 얻었다. 1856년 11월 왕실 위원회에서 결정안이 채택되었고, 12월에 내각의 지지를 얻었다. 알렉산드르 2세는 1857년 3월 4일 최종적으로 승인하였다.
1862년 1월 일부 구간이 완공되었고, 1862년 1월 31일 오전 11시에 해멘린나에 첫 열차가 도착하였다. 시험 운행 당시 30명의 승객을 태웠다. 같은 해 2월에는 열차 요금과 시간표가 공개되었고, 3월 17일에 정식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 날은 현재 VR 그룹의 창립 기념일이다. 1859년 영국에서 증기 기관차 4량을 주문하였고, 부분적으로 핀란드에서 조립되었다. 4량의 이름은 각각 일마리넨/Ilmarinenfi, 알루타르/Alutarfi, 레민캐이넨/Lemminkäinenfi, 수오미/Suomifi이다. 최고 속도는 80km/h이며, 전장 14.3미터이다. 모든 기관차는 1910년 초에 해체되었다.
2. 1. 초기 제안 및 건설 (1849년 ~ 1862년)
1849년 3월 20일 알프레드 스테른발(Alfred Stjernvall)이 헬싱키-야나칼라-투르크하우타 간 철도를 제안하였다. 초기에는 말이 끄는 철도를 제안하였으며, 1851년 헬싱키-해멘린나 간 궤도 설치 조사가 완료되었다. 1853년 3월 해멘린나 시에서 헬싱키행 철도를 자체 부설하려 하였으나 거절되었고, 크림 전쟁(1853년-1856년)으로 인해 철도 건설이 지연되었다.1856년 3월 알렉산드르 2세는 핀란드 방문 시 내륙 운송 강화를 명령하면서 철도 건설이 고려되었고, 1851년 계획이 지지를 얻었다. 1856년 11월 왕실 위원회 결정안이 채택되었고, 12월 내각의 지지를 거쳐 1857년 3월 4일 알렉산드르 2세가 최종 승인하였다.
1862년 1월 일부 구간이 완공되어, 1월 31일 오전 11시 해멘린나에 첫 열차가 도착하였다. 시험 운행에는 30명의 승객이 탑승하였다. 2월에는 열차 요금과 시간표가 공개되었고, 3월 17일 정식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이날은 현재 VR 그룹의 창립 기념일이다. 1859년 영국에서 증기 기관차 4량을 주문하여 핀란드에서 부분 조립하였다. 기관차 이름은 각각 일마리넨(Ilmarinen), 알루타르(Alutar), 레민캐이넨(Lemminkäinen), 수오미(Suomi)이다. 이 기관차들의 최고 속도는 80km/h, 전장 14.3미터이며, 1910년 초에 모두 해체되었다.
2. 2. 노선 확장 (1862년 ~ 현재)
헬싱키-해멘린나 간 철도 노선이 1862년에 개통된 이후, 핀란드 전역으로 철도망이 확장되었다. 1876년에는 해멘린나-탐페레, 토이알라-투르쿠 구간이 개통되었고, 1882년에는 탐페레-하파매키-세이내요키 노선이, 1883년에는 세이내요키-바사 노선이 개통되었다. 1885년에는 세이내요키-코콜라, 1886년에는 코콜라-오울루-투이라-토필라 노선이 개통되었다.이후 북쪽으로 노선이 연장되어, 1909년에는 투이라-케미-로바니에미 구간이, 1932년에는 로바니에미-케미얘르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1년에는 탐페레-파르카노-세이내요키를 잇는 노선이 개통되어 포얀마선의 일부 구간이 단축되었다.
3. 노선
핀란드의 주요 간선 철도는 다음과 같다.
- 헬싱키-리히매키 선
- 리히매키-탐페레 선
- 탐페레-세이내요키 선
- 포얀마 선 (세이내요키-오울루)
참조
[1]
서적
Helsinki: A Cultural History
Interlink Books
2014
[2]
웹사이트
Tulihevonen saapui ensi kerran Hämeenlinnaan 150 vuotta sitten
https://yle.fi/uutis[...]
Yle
2012-01-31
[3]
웹사이트
What is Suomirata?
https://suomirata.fi[...]
Suomirata
2022-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