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리시찬드라 메로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리시찬드라 메로트라는 표현론과 반단순 리 군에 대한 조화해석 분야에 기여한 인도 출신의 수학자이다. 그는 1947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63년부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로 재직했다. 1954년 미국 수학회 콜 상, 1974년 인도 국립 과학 아카데미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메달을 수상했으며, 1977년 파드마 부샨을 받았다. 1983년 아르망 보렐의 60번째 생일을 기리는 학회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칸푸르 출신 - 아탈 비하리 바지파이
아탈 비하리 바지파이는 세 차례 인도 총리를 역임하며 경제 개혁, 파키스탄 관계 개선, 핵실험 등을 추진한 힌두 민족주의 정치인으로 인도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칸푸르 출신 - 푸남 딜론
푸남 딜론은 1978년 미스 영 인디아로 데뷔하여 영화와 텔레비전, 연극 무대에서 활동한 인도 배우이자, 인도 인민당 소속 정치인이자 메이크업 밴 사업을 운영하는 사업가이다. - 인도의 물리학자 -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는 양자역학, 특히 입자 통계 분야에 기여한 인도의 물리학자로,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개념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정수 스핀을 가진 기본 입자는 보손이라 명명되었다. - 인도의 물리학자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는 인도 출신의 미국 천체물리학자이며, 백색 왜성의 질량 한계를 계산한 공로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항성 구조, 블랙홀 이론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 인도의 수학자 -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는 양자역학, 특히 입자 통계 분야에 기여한 인도의 물리학자로,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개념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정수 스핀을 가진 기본 입자는 보손이라 명명되었다. - 인도의 수학자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는 인도 출신의 미국 천체물리학자이며, 백색 왜성의 질량 한계를 계산한 공로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항성 구조, 블랙홀 이론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하리시찬드라 메로트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하리시찬드라 메로트라 |
로마자 표기 | Harish-Chandra Mehrotra |
출생일 | 1923년 10월 11일 |
출생지 | 영국령 인도 제국 칸푸르 |
사망일 | 1983년 10월 16일 |
사망지 |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
국적 | 미국 |
학력 | |
모교 | 알라하바드 대학교 (석사, 1943년) 인도 과학원 케임브리지 대학교(박사, 1947년) |
박사 지도 교수 | 폴 디랙 |
경력 | |
근무 기관 | 인도 과학원 하버드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타타 기초 연구소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연구 분야 및 업적 | |
분야 | 수학 물리학 |
주요 업적 | 하리시-찬드라의 c-함수 하리시-찬드라의 특성 공식 하리시-찬드라 준동형 사상 하리시-찬드라 동형 사상 하리시-찬드라 모듈 하리시-찬드라의 정칙성 정리 하리시-찬드라의 슈바르츠 공간 하리시-찬드라 변환 하리시-찬드라의 Ξ 함수 |
수상 및 업적 | |
수상 | 왕립 학회 회원 콜 상 (대수학, 1954년)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메달 |
2. 생애
하리시찬드라는 인도 칸푸르에서 태어나 알라하바드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963년부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로 재직했다. 1969년부터 심근 경색을 앓기 시작하여, 1983년 아르망 보렐의 60번째 생일을 기념하는 학회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하였다.[10]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23-1947)
하리시찬드라 메로트라는 인도 칸푸르의 크샤트리아 카스트 가족 출신으로, 아버지는 토목공학자 찬드라키쇼르(चंद्रकिशोरhi, Chandrakishore영어)였다.알라하바드 대학교에서 1943년 물리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인도 과학원에서 물리학을 연구했다. 1945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유학하여 폴 디랙의 지도를 받으며, 볼프강 파울리의 강의를 들었다. 이 과정에서 파울리의 연구 실수를 지적하며 그와 평생 친구가 되었고, 점차 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8]
2. 1. 1. 학력
연도 | 학교 | 학과 | 학위 |
---|---|---|---|
1938년~1943년 | 알라하바드 대학교 | 수학 | 이학석사 |
1945년~1947년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수학 | 이학박사 |
하리시찬드라 메로트라는 인도 칸푸르에서 태어났다.[7] B.N.S.D. 칼리지, 칸푸르와 알라하바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8] 1947년 폴 디랙의 지도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로렌츠 그룹의 무한한 기약 표현"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4]
2. 2. 학문적 경력 (1947-1983)
1947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폴 디랙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볼프강 파울리의 강의를 듣기도 했다. 1963년부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로 재직하였다.2. 3. 죽음
메로트라는 1969년부터 심근 경색을 앓기 시작했다.[10] 1970년과 1982년에 각각 두 번째와 세 번째 심장 마비를 겪었다.[10] 그 후 신체 능력이 저하되기 시작했고, 1983년에 네 번째 심장 마비가 발생하여 대부분 병상에 눕게 되었고 고립되었다.[10] 1983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수학자 아르망 보렐의 60번째 생일을 기리기 위해 열린 학회 다음 날, 마지막 심장 마비로 사망하였다.[10]3. 학문적 업적
하리시찬드라는 표현론과 반단순 리 군에 대한 조화해석 분야에 기여했다. 다음은 그의 주요 논문 및 저서이다.
제목 | 출판사 | 출판년도 | ISBN | 기타 |
---|---|---|---|---|
반단순 리 군 위의 오토모픽 형식(Automorphic Forms on Semisimple Lie Groups) | 슈프링거-페어라크 | 1968 | 978-3-540-04232-7 | 수학 강의 노트(Lecture Notes in Mathematics) 62권, 10.1007/BFb0098434, 0232893, 118891017 |
환원 p-진 군 위의 조화 해석(Harmonic Analysis on Reductive p-adic Groups) | 슈프링거-페어라크 | 1970 | 978-3-540-05189-3 | 수학 강의 노트(Lecture Notes in Mathematics) 162권, 10.1007/BFb0061269, 0414797 |
논문집. 제1권 1944–1954.(Collected papers. Vol. I. 1944–1954.) | 슈프링거-페어라크 | 1984 | 978-0-387-90782-6 | 726025 |
논문집. 제2권 1955–1958.(Collected papers. Vol. II 1955–1958.) | 슈프링거-페어라크 | 1984 | 978-0-387-90782-6 | 726025 |
논문집. 제3권 1959–1968.(Collected papers. Vol. III 1959–1968.) | 슈프링거-페어라크 | 1984 | 978-0-387-90782-6 | 726025 |
논문집. 제4권 1970–1983.(Collected papers. Vol. IV 1970–1983.) | 슈프링거-페어라크 | 1984 | 978-0-387-90782-6 | 726025 |
환원 p-진 군 위의 허용 불변 분포(Admissible invariant distributions on reductive p-adic groups) | 미국 수학 학회 | 1999 | 978-0-8218-2025-4 | 대학교 강좌 시리즈(University Lecture Series) 16권, 1702257, 10.1090/ulect/016 |
4. 수상 및 영예
그는 국립 과학원 회원이자 왕립 학회 회원이었다.[2] 1954년 미국 수학회에서 콜 상을 수상했고, 1974년 인도 국립 과학 아카데미에서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메달을 받았다. 1981년에는 예일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인도 정부는 이론 물리학 및 수학 연구소인 하리쉬-찬드라 연구소를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로버트 랭글랜즈는 하리쉬-찬드라의 전기에서 그가 1958년 필즈 메달 후보로 고려되었지만, 부르바키와 가깝다고 여겨져 후보에서 제외되었다고 썼다.
1977년에 파드마 부샨을 수상했다.[9]
5. 기타
인도 정부는 그의 이름을 따서 이론 물리학 및 수학 연구소인 하리쉬-찬드라 연구소를 설립했다. 칸푸르의 V.S.S.D. 대학교 수학과는 매년 그의 생일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이 행사에는 다양한 단과 대학, 연구소의 학생 및 교수진의 강연, 하리쉬-찬드라 연구소 방문 등이 포함된다. 로버트 랭글랜즈는 하리쉬-찬드라가 1958년 필즈상 후보로 고려되었으나, 니콜라 부르바키와의 연관성 때문에 제외되었다고 언급했다.[2] 그는 또한 1977년에 파드마 부샨을 수상했다.[9]
참조
[1]
문서
A Biographical Memoir
http://www.nasonline[...]
[2]
학술지
Harish-Chandra. 11 October 1923 – 16 October 1983
[3]
서적
Creators of Mathematical and Computational Scie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11-11
[4]
문서
MathGenealogy
[5]
문서
MacTutor Biography
[6]
학술지
Harish-Chandra (1923–1983)
[7]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Harish-Chandra
http://www.hri.res.i[...]
[8]
웹사이트
Harish-Chandra - Biography
http://www-history.m[...]
[9]
웹사이트
Padma Awards
http://mha.nic.in/si[...]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5-07-21
[10]
문서
A Biographical Memoir
http://www.nasonline[...]
[11]
저널
Harish-Chandra. 11 October 1923-16 October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