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토목공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토목공학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물리적,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공학 분야로, 구조, 재료 과학, 지리, 지질학, 토양, 수문학, 환경 과학, 역학,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하위 분야를 포함한다. 고대 이집트, 인더스 문명, 메소포타미아 등에서 기원했으며, 18세기 '토목 공학'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현재는 구조공학, 지반공학, 수공학, 환경공학, 교통공학, 측량 및 지형정보공학, 도시계획 및 설계 등 다양한 세부 분야로 나뉘어 발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목공학 - 마추 픽추
    페루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마추픽추는 15세기 잉카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80년간 사용된 후 버려진 유적으로, 1911년 하이럼 빙엄 3세에 의해 세상에 알려진 후 "잉카의 잃어버린 도시"라 불리며 세계적인 관광 명소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토목공학 - 환경공학
    환경공학은 인류가 환경 조건을 수정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하수도 시스템에서 비롯되어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와 함께 독립된 학문 분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계되어 있다.
토목공학
개요
분야공학
하위 분야구조공학
지반공학
수자원공학
교통공학
건설관리
환경공학
관련 학문물리학
수학
화학
지질학
기상학
역학
수리학
재료역학
토질역학
상세 정보
정의사회 기반 시설의 설계, 건설, 유지 관리를 다루는 공학 분야
주요 역할공공 및 민간 부문의 사회 기반 시설 프로젝트 계획
설계
건설
운영
관련 직업구조공학자
건설 엔지니어
교통 엔지니어
지반공학 엔지니어
수자원 엔지니어
환경 엔지니어
건설 관리자
역사고대 문명부터 현대 사회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오랜 역사를 가짐
주요 목표안전하고 효율적인 사회 기반 시설 제공
지속 가능한 개발
공공의 이익 증진

2. 역사

토목공학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류는 생존을 위해 안전한 삶의 터전을 마련하고자 토목기술을 발전시켜 왔으며, 문명의 발상과 더불어 운하와 육지의 길을 만들고, 식수와 농업용수를 확보하는 등 문명 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고대에는 이집트의 피라미드, 중국만리장성, 로마 제국도로와 수도교 등 인상적인 구조물들이 건설되었으며, 한국에서도 고조선 시대 강화도의 삼랑성 축조나 삼국시대 도로 개통 기록[35] 등 고대부터 토목 기술이 발전해왔음을 보여주는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토목공학은 인류의 삶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다른 공학 분야 발전의 모태가 되었다. 근대 토목공학은 유럽에서 군사 기술이 민간으로 전파되면서 체계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프랑스에서는 공병대 창설과 전문 교육기관 설립이 이루어졌고, 영국에서는 존 스미턴(John Smeaton)이 군사 공학(military engineering)과 구분되는 민간 공학 분야를 '토목공학(civil engineering)'으로 명명하고[37], 1818년 영국토목학회가 설립되면서 근대적 학문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토목'이라는 용어는 산업화 과정에서 학문을 받아들이며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에는 주로 흙, 돌, 나무 등을 재료로 사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명명된 것으로 보이나, 현대에는 강철, 신소재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므로 '시민공학' 또는 '사회기반공학' 등으로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 최초의 토목공학과는 1939년 한양대학교의 전신인 동아공과학원에 개설되었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토목공학은 생존을 위한 안전한 터전을 마련하고 문명 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고대 사회에서는 운하와 도로를 건설하고, 식수 및 농업용수를 확보하는 데 토목기술이 활용되었다. 또한, 지배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기념물을 세우거나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어 시설을 구축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토목 공학은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리적 및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학문으로, 그 역사는 물리학수학에 대한 이해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토목 공학은 구조, 재료 과학, 지리, 지질학, 토양, 수문학, 환경 과학, 역학,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하위 분야를 포괄하며 발전해왔다.[6]

고대 및 중세 시대에는 대부분의 건축 설계와 건설을 석공이나 목수와 같은 장인들이 수행했으며, 이들의 역할은 점차 건축가로 발전했다. 관련 지식은 주로 길드를 통해 전수되었고, 기술 발전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기존의 구조물, 도로, 기반 시설 등은 반복적으로 건설되었으며 규모의 확장 역시 점진적인 양상을 보였다.[7] 현대 이전까지는 토목공학과 건축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없었고, 엔지니어와 건축가라는 용어는 종종 혼용되었다.[9]

고대 문명에서는 인상적인 토목 구조물들이 건설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700년~2500년경 피라미드가 건설되었는데, 이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구조물 건설 사례 중 하나이다. 이란에서는 3000년 이상 된 카나트라는 지하 관개 수로 시스템이 만들어졌으며, 그 길이는 71km 이상인 것도 있다.[10] 고대 그리스에서는 기원전 447년~438년 익티노스가 설계한 파르테논 신전이 세워졌다. 로마 제국은 뛰어난 토목 기술을 바탕으로 제국 전역에 걸쳐 아피아 가도(기원전 312년경)와 같은 도로망과 수도교(퐁 뒤 가르는 기원전 19년경 건설), 항구, 교량, 댐 등을 건설했다. 중국에서는 진 시황제의 명령으로 기원전 220년경 만리장성이 건설되기 시작했다.[11]

퐁 뒤 가르는 로마 시대의 수도교이다 [기원전 19년경 건설].


치첸이트사는 후기 고전 시대의 마야인이 건설한 멕시코의 대규모 콜럼버스 이전 도시였다. 북동쪽 열주 신전은 떨어진 곳에서 빗물을 모아 이전 세노테로 보내는 수로를 덮고 있다.


한국에서도 고대부터 토목 기술이 발전했다. 고조선 시대에는 강화도에 삼랑성이 축조되었으며,[35] 삼국시대 신라에서는 아달라이사금 3년(서기 156년)에 계림령 도로(현재의 문경새재 오솔길로 추정)를, 동왕 5년(서기 158년)에는 죽령 도로(영주-단양 간 고갯길로 추정)를 개통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남아있다.[35] 고대 스리랑카에서는 제타바나라마야와 같은 거대한 탑파와 광대한 관개 시설이 건설되었으며, 마야 문명치첸이트사 역시 뛰어난 토목 기술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토목 공학 문제에 대한 초기 과학적 접근 사례로는 기원전 3세기 아르키메데스의 연구를 들 수 있다. 그는 부력의 원리인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발견하고 아르키메데스의 나사와 같은 실용적인 장치를 고안했다. 7세기 인도의 수학자 브라마굽타는 힌두-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여 토목 공사에서의 굴착량(부피)을 계산하는 산술 방법을 활용했다.[8]

2. 2. 근대

근대의 토목공학은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 군대의 축성술이 민간으로 전파되면서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프랑스에서는 루이 14세 시대에 기술자 조직인 공병대가 창설되었는데, 이는 근대 최초의 조직화된 토목기술자 집단으로 평가받는다. 프랑스 공병 사관들은 수학을 기반으로 한 과학적인 기술 교육을 받았으며, 군사 공사뿐만 아니라 국민을 위한 공공사업에도 참여하면서 토목 기술이 민간 부문으로 확산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1747년에는 파리에 프랑스 국립토목공학학교인 국립 도로교통학교 (L'école des Ponts et Chausséesfra)가 설립되어 전문적인 교육이 시작되었다.[36][12]

존 스미턴, "토목 공학의 아버지"


영국에서는 1760년경 존 스미턴(John Smeaton)이 군사 공학(military engineering)과 구분되는 민간 분야의 공학을 지칭하기 위해 '토목공학(civil engineering)'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3][11] 그는 에디스톤 등대를 건설한 인물로 유명하다.[3][11] 1771년, 스미턴과 동료들은 스미토니안 토목 기사 협회(Smeatonian Society of Civil Engineers)를 결성했다. 이 모임은 초기에는 비공식적인 사교 모임의 성격이 강했지만, 전문 기술 분야 리더들의 교류 장이 되었다.[37] 이때부터 토목 기술자를 토목기사(civil engineer), 관련 기술 분야를 토목공학(civil engineering)이라 부르게 되었다.[37]

이후 1818년에는 런던에 영국토목학회(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가 설립되었고,[13] 1820년 저명한 공학자 토마스 텔포드가 초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이 학회는 1828년 왕립 헌장을 받아 토목공학을 전문 분야로 공식 인정받게 되었다. 당시 헌장에서는 토목공학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자연의 위대한 힘의 원천을 인간의 사용과 편의를 위해, 국가의 생산과 교통의 수단으로, 대외 및 국내 무역 모두에 적용하여, 도로, 교량, 수도교, 운하, 강 항해 및 국내 교류 및 교환을 위한 부두 건설, 그리고 항구, 항만, 방파제 및 등대 건설, 그리고 상업 목적으로 인공 동력에 의한 항해술, 기계의 건설 및 적용, 그리고 도시 및 마을의 배수에 적용하는 기술[14]


이로써 서구의 근대 토목공학이 학문 및 전문 분야로서의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2. 3. 현대



현대 이전까지 토목공학과 건축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었으며, 엔지니어와 건축가라는 용어는 동일한 직업을 가리키는 지역적 차이에 불과하여 종종 혼용되었다.[9]

18세기에 들어서면서 군사공학과 구별되는 민간 분야의 공학을 지칭하기 위해 '토목공학(civil engineering)'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4] 1747년 프랑스에서는 세계 최초의 토목공학 교육 기관인 국립 도로교통학교(École Nationale des Ponts et Chaussées)가 설립되었으며, 이후 스페인 등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유사한 학교들이 세워졌다.[12] 최초로 자신을 '토목 기사(civil engineer)'라고 칭한 인물은 에디스톤 등대를 건설한 존 스미턴이다.[3][11] 1771년, 스미턴과 동료들은 스미토니안 토목 기사 협회(Smeatonian Society of Civil Engineers)를 결성했다. 이는 비공식적인 저녁 식사 모임으로 시작했지만, 전문 기술 분야의 리더들이 모여 기술적인 논의를 나누는 초기 형태의 학회였다.

1818년에는 런던에 토목 기사 협회(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가 설립되었고,[13] 1820년 저명한 엔지니어 토마스 텔포드가 초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이 협회는 1828년 왕립 헌장(Royal Charter)을 받아 토목공학을 전문 분야로 공식 인정받았다. 헌장에서는 토목공학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자연의 위대한 힘의 원천을 인간의 사용과 편의를 위해 활용하는 기술로서, 국가 내부 교류와 외부와의 무역을 위한 도로, 교량, 수도교, 운하, 강 항해 및 부두 건설, 그리고 항구, 항만, 방파제, 등대 건설과 항해를 위한 인공 동력 기계의 제작 및 적용, 도시와 마을의 배수 등을 포함한다.[14]

미국 최초의 사립 토목공학 교육 기관은 1819년 알덴 파트리지(Alden Partridge) 대위가 설립한 노리치 대학교(Norwich University)였다.[15] 미국 최초의 토목공학 학위는 1835년 렌슬러 폴리테크닉 대학교(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에서 수여되었고,[16][17] 여성에게 수여된 최초의 토목공학 학위는 1905년 코넬 대학교(Cornell University)에서 노라 스탠턴 블래치(Nora Stanton Blatch)에게 주어졌다.[18]

19세기 초 영국에서는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철도 시스템이 성장하면서 더 많은 전문 엔지니어가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울리치 왕립 군사 학교(Royal Military Academy, Woolwich)에서 담당하던 군사공학과 구분되는 새로운 토목공학 교육 과정이 생겨났다. 1838년 킹스 칼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에 토목 공학 및 광업 학과가 설립되었고, 1839년에는 푸트니(Putney)에 사립 토목 공학 대학(College for Civil Engineers)이 세워졌다. 1840년에는 글래스고 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에 영국 최초의 공학 교수가 임명되었다.

일본에서는 '토목(土木)'이라는 용어가 메이지 시대에 정부 조직 명칭으로 사용되면서 정착하기 시작했다. 1869년(메이지 2년) 민부성 산하에 '토목사'가 설치되어 "도로, 교량, 제방 등을 건설하는 일"을 담당하게 되었다.[33][34] 이와 동시에 공공 건축물은 영선사가 맡게 되면서 토목과 건축의 업무가 분리되었다. 1877년(메이지 10년)에는 현재 국토교통성의 전신인 토목국이 설치되었다. 오늘날 일본의 사전 다이지린에서는 토목을 "모든 산업, 경제, 사회 등 인간 생활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를 건설하고 유지·정비하는 활동"으로 정의하며, 단순한 건설 공사를 넘어 사회 자본 정비 자체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한다.

현대 일본에서 다루는 토목공학과 건축학의 범위는 외국과 다소 차이가 있다. 외국에서는 교량 등 토목 구조물의 디자인도 건축(architecture) 분야에서 담당하는 경우가 있지만, 일본에서는 구조물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 토목공학과 건축학이 나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일본에서는 건축가가 구조 계산을 하거나 건축학자가 생활 환경 연구를 수행하는 반면, 구조를 다루는 토목 기술자가 디자인을 학습하고 수행하기도 한다.

영어권의 'civil engineering'은 현대 일본어의 '토목공학'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그 유래는 다르다. 'engineer'라는 단어는 과거 '공병'을 의미했으나, 1771년 영국의 기계 기술자 존 스미턴이 군사 분야와 구분하기 위해 '민간의'라는 의미를 가진 'civil'을 붙여 사용한 것이 시초로 여겨진다. 하지만 현대에는 이러한 유래에 따른 구분 의식은 거의 희미해졌으며, 'mechanical engineering'(기계 공학)이나 'electrical engineering'(전기 공학)처럼 특정 기술 분야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즉, 현대의 'civil engineering'은 단순히 비군사 기술 전체를 의미하기보다는, 군사 시설 건설에도 적용될 수 있는 공공 시설 건설 기술 분야를 포괄하는 의미로 쓰인다.

이러한 구분은 프랑스의 교육 시스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과거 프랑스에서는 그랑제콜에콜 폴리테크니크를 졸업하고 토목 분야 최고 학교인 퐁 제 쇼세를 마친 기술자들이 주로 관청이나 군 공병 부대에서 일했고, 에콜 상트랄 출신자들은 주로 민간 기업으로 진출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메이지 시대 일본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기술을 배우는 학문 분야로서 '토목'이 자리 잡게 된 배경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

3. 세부 분야

토목공학은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리적 및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광범위한 전문 분야로[6], 여러 전문 하위 분야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토목 기술자는 측량 기사 및 다른 전문 토목 기술자들과 협력하여 성토, 배수, 포장, 상하수도 서비스, , 전기 및 통신 공급 등 다양한 사회 기반 시설의 설계, 시공, 유지 관리를 담당한다. 때로는 특정 토지의 용도를 다른 용도로 변경하는 부지 개발에 집중하기도 한다.

토목공학의 주요 세부 분야는 다음과 같다. 각 분야는 더욱 세분화된 연구 주제를 가지며, 해당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기술자들이 실무를 담당한다.


  • 구조공학: 건물, 교량, 터널 등 구조물의 설계 및 해석[29]
  • 지반공학: 흙과 암반의 공학적 특성 연구 및 기초, 옹벽 설계[25][26]
  • 수공학: 댐, 하천, 항만 등 물 관련 시설의 계획, 설계, 관리
  • 환경공학: 상하수도 처리, 폐기물 관리, 환경 오염 방지 및 복원
  • 교통공학: 도로, 철도, 공항 등 교통 시설의 계획, 설계, 운영
  • 측량학 및 지형정보공학: 지형 측량 및 공간 정보 분석
  • 도시계획 및 도시공학: 도시 기반 시설의 계획, 설계, 관리
  • 건설공학: 건설 프로젝트의 계획, 실행, 관리
  • 지진공학: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24]
  • 재료공학: 건설 재료의 특성 연구 및 개발
  • 해안공학: 해안 지역 관리 및 보호


이 외에도 재료나 구조물의 고장 원인을 분석하는 사고조사 공학, 토목 시스템 전체를 최적화하는 시스템 공학[30][31] 등 다양한 전문 분야가 존재하며, 각 분야는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사회 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3. 1. 구조공학

각종 건설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과재 하중, 재료의 무게, 바람, 수압, 지진 등)에 대한 역학적 특성 및 거동을 연구한다. 구조공학은 다음과 같은 세부 분야를 포함한다.

'''지진공학'''

구조물의 내구성을 판단하기 위해 엔지니어가 수행한 지진 충돌 테스트


지진공학은 위험한 지진 노출을 견딜 수 있도록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을 포함하며, 구조공학의 하위 분야이다. 지진공학의 주요 목표는[24] 흔들리는 지반에서 구조물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가능한 지진의 결과를 예측하며, 건축 법규에 따라 지진 시 내진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조물을 설계, 건설 및 유지하는 것이다.

'''구조 공학'''

부르즈 할리파 건설 과정 애니메이션


얕은 기초 건설 예시


구조 공학은 건물, 교량, , 고가도로, 터널, 바다의 유전 및 가스전을 포함한 해상 구조물, 항공기 구조 및 기타 구조물의 구조 설계 및 구조 해석과 관련이 있다. 여기에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과 해당 하중으로 인해 구조물 내에서 발생하는 힘과 응력을 식별한 다음, 해당 하중을 성공적으로 지지하고 저항하도록 구조물을 설계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하중은 구조물의 자중, 기타 고정 하중, 활하중, 이동 (차륜) 하중, 풍하중, 지진 하중, 온도 변화로 인한 하중 등이 될 수 있다. 구조 기술자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설계된 구조물을 설계하고 설계된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사용 가능''해야 함). 일부 하중 조건의 특성으로 인해 구조 공학 내에서 풍공학 및 지진 공학을 포함한 하위 분야가 등장했다.[29]

설계 고려 사항에는 가구 또는 자중과 같은 정적 하중 또는 바람, 지진, 군중 또는 차량 하중과 같은 동적 하중, 또는 임시 건설 하중 또는 충격과 같은 일시적인 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강도, 강성 및 안정성이 포함된다. 다른 고려 사항으로는 비용, 시공성, 안전성, 미학 및 지속 가능성이 있다.

수도권 외곽 방수로의 조압 수조


구조공학 내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과제에 대해 더욱 세분화되어 있으며, 해당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기술자들이 실무를 담당한다. 각 분야 내에서도 계획, 조사, 측량, 해석, 설계, 시공, 유지 관리, 적산, 방재, 환경 등 각 테마별로 종사자가 나뉜다.

3. 2. 지반공학

지반공학은 토목공학의 한 분야로, 주 재료인 암석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이 구조물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흙을 쌓거나 지반을 파내는 공사에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토류구조물의 설치 및 설계에 관해서도 다룬다.[38]

건축물을 지을 때, 그 밑의 지반이 건물의 무게를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지반이 약하면 건물이 기울거나 내려앉아 무너질 위험이 있으므로, 건축 공사에 앞서 지반조사를 통해 지반의 성질을 면밀히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토질역학기초공학 지식을 활용하여 지반을 단단하게 만드는 보강 공사를 시행한다. 아무리 튼튼하게 지은 구조물이라도 불안정한 지반 위에서는 제 기능을 할 수 없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옹벽이나, 경사진 언덕을 깎거나 흙을 쌓아 평탄하게 만든 부지 등도 지반공학 기술이 적용된 사례이다. 도시는 평탄한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경사지나 심지어 수직에 가까운 절벽 위에 건물이 들어서는 경우도 있다. 만약 이러한 지형의 지반이 불안정하여 무너진다면, 아래쪽에 사는 사람들에게 큰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토목 기술자들은 지반공학 지식을 활용하여 토압(흙이 구조물을 미는 힘)을 계산하고, 이를 견딜 수 있는 옹벽을 설치하거나 땅을 적절한 경사로 깎아낸 뒤 사면안정공법을 적용하여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우리가 보는 많은 건물, 교량, 도로 등이 오랜 시간과 날씨 변화에도 불구하고 제자리를 지킬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지반공학 기술 덕분이다.

공기, 토양, 물, 공극의 무게와 부피를 나타내는 토양의 상 다이어그램


지형의 높낮이 차이가 있는 곳에 단지를 조성할 때, 옹벽을 얼마나 높게 쌓을지, 어떤 구조로 만들지, 옹벽 외에 다른 대안은 없는지 등을 고민하며, 안전하게 토압을 견디면서도 활용 가능한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토목 기술자의 중요한 역할이다. 지반조사는 공사 예정 구역의 지질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시간과 비용의 제약 때문에 모든 지점을 상세히 조사하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반공학에서는 현장의 실제 상황이 매우 중요하므로, 반드시 적절한 기준과 예산에 맞춰 지반조사를 실시한 후에 설계나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 지반공학은 단지 조성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건축물 및 토목 구조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필수적이다. 공중에 떠 있는 구조물이 아닌 이상, 지상이나 물속에 건설되는 모든 구조물은 결국 지반 위에 세워지므로 지반공학적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지반공학은 주로 암석을 다루며, 특히 흙의 거동을 연구하는 토질역학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흙은 외부에서 힘(응력)을 받으면 그 전단 강도(미끄러짐에 저항하는 힘), 단단한 정도(강성), 부피 등이 변하는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특성을 보인다.[25] 또한, 같은 지역이라도 위치에 따라 흙의 성질이 다를 수 있어 예측이 어렵다. 이러한 흙의 가변성과 토질 조사의 한계는 토질 기술자에게 큰 어려움으로 작용한다.[25][26] 따라서 지반공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질학자, 지질 공학 전문가, 토양 과학 전문가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는 경우가 많다.[27]

지반공학과 관련된 주요 연구 및 실무 분야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될 수 있다.

3. 3. 수공학

수공학은 유체(주로 물) 및 에너지 자원을 이용하여 , 해양, 항만, 하천, 플랜트 및 수자원 시스템과 같은 각종 기간 시설물을 계획, 설계, 시공, 유지 관리하는 토목공학의 한 분야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각 분야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 수리학: 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과 수송에 관한 학문이다. 파이프라인 수송, 수도 네트워크, 배수 시설(교량, , 수로, 암거, 제방, 우수관) 및 운하의 설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수리학 기술자는 유체 압력, 유체 정역학, 유체 역학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이러한 시설을 설계한다. 관(pipe) 내부 흐름이나 개수로(하천, 수로 등) 흐름과 같이 다양한 조건에서의 물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둔다.

스코틀랜드의 팰커크 휠. 수리학 원리가 적용된 운하 시설물이다.

  • 수문학: 지구상 물의 순환, 분포, 특성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특히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강우량을 파악하고, 특정 지역의 물 수지(water balance)를 분석하며, 하천의 유출량 등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수자원 관리 및 홍수 예방 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 수자원공학: 물(천연 자원)의 효율적인 수집, 관리, 보존 및 이용에 관련된 분야이다. 수문학, 환경 과학, 기상학, 보존, 자원 관리의 원리를 통합하여 지하수(대수층) 및 지표수(호수, 강, 하천) 자원의 양과 질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자원 공학 기술자는 시설로 유입, 통과 또는 유출되는 물의 양과 내용을 예측하기 위해 지구의 매우 작은 지역부터 매우 넓은 지역까지 분석하고 모델링한다. 그러나 시설의 실제 설계는 다른 엔지니어에게 맡겨질 수 있다. 수문학 및 통계학 지식을 바탕으로 예상 홍수량 등을 산정하여 , 하천, 보, 배수시설 등 각종 수공 구조물의 적정 규모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후버 댐. 수자원 공학의 대표적인 예시로, 수력 발전, 용수 공급, 홍수 조절 등 다목적 수자원 관리에 기여한다.

  • 하천공학: 하천과 그 주변 시설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를 다루는 학문이다. 하천의 흐름 특성을 이해하고 제방, 호안, 보 등 관련 구조물을 설계하여 홍수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치수(治水) 기능과,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등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수질을 관리하는 이수(利水) 기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하천 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 해안및항만공학: 해안 지역 관리 및 항만 시설의 설계, 건설, 운영에 관한 학문이다. 해안공학은 파랑, 조류, 해수면 상승 등 자연 현상으로부터 해안 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방파제, 호안, 방조제 등의 구조물을 설계하고, 해안 침식을 방지하며 해안 환경을 관리하는 것을 다룬다.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해안 방어와 해안 보호라는 용어가 각각 홍수 및 침식에 대한 방어를 의미한다. 해안 방어가 더 전통적인 용어이지만, 해안 관리도 인기를 얻고 있다. 항만공학은 선박의 안전한 접안, 하역, 정박을 위한 부두, 안벽, 방파제 등 항만 시설물의 계획 및 설계에 중점을 둔다.

오스터스헬데 방조제, 네덜란드의 폭풍 해일 방어벽. 해안 공학 기술이 적용된 대표적인 구조물이다.

3. 4. 환경공학

물 오염으로 오염된 개울


환경공학은 상하수도 수질, 대기, 폐기물 등의 합리적인 관리를 통해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 공간을 유지하고 보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 분야이다. 과거에는 위생공학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의 환경공학은 위생공학이 다루던 범위를 넘어 유해 폐기물 관리 및 환경 복원과 같은 더욱 폭넓은 주제를 포함한다. 공중 보건 공학이나 환경 보건 공학이라는 용어도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환경공학은 주로 화학적, 생물학적, 열적 폐기물의 처리, 물과 공기의 정화, 그리고 폐기물 처리 과정이나 사고로 인해 오염된 지역의 환경 복원을 다룬다. 주요 연구 및 실무 주제로는 오염 물질의 이동 경로 추적, 정수 처리, 하수 처리, 대기 오염 관리, 고체 폐기물 처리, 재활용, 유해 폐기물 관리 등이 있다. 환경 기술자들은 오염을 줄이고, 녹색 공학 및 산업 생태학 원칙을 적용하며, 특정 사업 계획이 환경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토목공학, 특히 상하수도 분야는 환경공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우리가 수도꼭지를 틀었을 때 깨끗한 물이 적절한 수압으로 나오는 것은 토목공학과 환경공학 기술이 합쳐진 결과이다. 멀리 떨어진 강이나 댐에서부터 도시까지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토목 기술자들이 설계하고 건설한 복잡한 상수도 관망, 펌프 시설, 취수원(하천, 저수지, 지하수 등), 그리고 정수 시설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만들기 위한 원수는 도시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저수지나 하천에서 얻는다. 이러한 취수원을 '수원'이라고 부르며, 많은 국가에서는 이를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수질 오염을 막기 위해 특정 활동을 제한한다.

대규모 주택 단지를 개발할 때는 각 가정에 적절한 수압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목 설계자들이 관망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리 계산을 수행한다. 특히 고층 아파트가 많은 한국의 경우, 초기 설계 단계에서부터 적정 수압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압과 유량을 계산하고, 적합한 종류의 수도관을 어디에 설치할지 결정하는 데에는 수리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도시의 상수도망과 연결하는 경우에는 관련 기관과의 협의 및 다양한 설계 기준과 법규 검토가 요구된다. 상수도관은 한번 땅에 묻으면 교체하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초기 설계와 시공의 완성도가 매우 중요하다.

사용한 물을 효율적으로 모아 하수 처리장으로 보내고, 정화하여 방류하는 과정 역시 중요하다. 이 과정에도 수리학적 지식이 사용된다. 하수는 단순히 생활 오수뿐만 아니라 빗물과 지하수도 포함한다. 하수 시설의 규모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해 예상 강우량을 추정한다. 만약 예상 강우량이나 홍수량을 잘못 예측하여 하수관로나 처리 시설의 용량이 부족하면, 장마철 등에 도시 침수가 발생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시설 규모를 과도하게 설계하면 불필요한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정한 규모의 하수 시설을 계획하고 건설하는 것은 토목공학(수공학, 상하수도 공학) 분야의 중요 과제라 할 수 있다.

환경공학과 관련된 주요 하위 분야는 다음과 같다.

3. 5. 교통공학

사람과 화물을 합리적으로 수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시설의 계획, 설계, 운용 및 관리를 다루는 분야이다. 교통공학은 활기찬 공동체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사람과 물품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여기에는 도로, 운하, 고속도로, 철도 시스템, 공항, 항만 및 대중 교통을 포함하는 교통 인프라의 설계, 건설 및 유지 관리가 포함된다. 또한 교통 설계, 교통 계획, 교통 공학, 도시 공학의 일부 측면, 대기 이론, 포장 공학,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및 인프라 관리도 다룬다.

교통공학은 다음과 같은 하위 분야를 포함한다.

연구 분야는 다양한 과제에 따라 더욱 세분화되며, 해당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기술자들이 실무를 담당한다. 각 분야 내에서는 계획, 조사, 측량, 해석, 설계, 시공, 유지 관리, 적산, 방재, 환경 등 각 주제별로 역할이 나뉜다.

도로, 철도, 공항 등 사람이나 물건의 이동과 관련된 구조물의 설계 및 계획 방법에 대한 학문이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다.

3. 6. 측량 및 지형정보공학

측량학과 지형정보공학은 지형의 측량, 노선 설계를 비롯하여 지구 및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물들의 정보를 탐측, 해석하고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측량학은 토탈 스테이션, 레벨, GPS 측량기 등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여 실제 지형의 위치, 길이, 면적, 방위각 등을 정밀하게 측정한다.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는 토목 공사의 설계와 시공에 필수적인 도면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1]

지형정보공학은 지도와 다양한 공간 데이터를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

측량은 측량 기사가 지구 표면 또는 그 근처에서 특정 지점의 위치나 지형의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과정이다. 레벨 및 측량기와 같은 전통적인 측량 장비는 각도의 차이, 수평 및 수직 거리, 경사 거리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전자 거리 측정(EDM), 토탈 스테이션, GPS 측량, 레이저 스캐닝 기술 등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측량 장비를 상당 부분 대체하고 있다.[2] 측량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지도의 형태로 변환되어 지구 표면의 모습을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정보는 토목공학 기사, 건설업자, 부동산 중개인 등이 각각 설계, 시공, 거래 등의 목적으로 활용한다. 구조물을 건설할 때는 각 요소의 크기를 정하고, 부지 경계 및 인접 구조물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2]

EDM 설정을 위해 삼각대 수평 맞추기


측량은 별도의 자격과 면허 제도를 갖춘 독립적인 전문 분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토목공학 기사 역시 측량 및 지도 제작의 기본 원리와 지리 정보 시스템(GIS)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2] 측량 기사는 건설 공사가 시작되기 전에 철도, 노면 전차 선로, 고속도로, 일반 도로, 파이프라인, 항만 등 다양한 사회 기반 시설의 경로를 설정하고 배치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2]

=== 토지 측량 ===

EDM을 통해 살펴보기


미국, 캐나다, 영국 및 대부분의 영연방 국가에서는 토지 측량을 별개의 독립적인 전문 분야로 간주한다. 토지 측량 기사는 엔지니어로 분류되지 않으며, 자체적인 전문가 협회와 면허 요건을 가지고 있다. 면허를 소지한 토지 측량 기사의 전문 서비스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필요하다.[3]

  • 경계 측량: 법적인 설명을 바탕으로 특정 토지 구획의 경계를 설정하는 작업.
  • 구획 계획: 더 큰 토지 구획 내부에 새로운 경계선이나 도로 등을 표시하기 위해 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는 도면 또는 지도.


이 두 가지 모두 일반적으로 지적 측량의 범주에 속한다. 토지 측량 기사는 토지의 지표면 위와 아래에 존재하는 중요한 지질학적 특징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한다.[3]

BLM 지적 측량 표지 (1992년 애리조나주, 산 자비에르)


=== 건설 측량 ===

건설 측량은 주로 전문 기술자에 의해 수행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계획이나 도면은 법적인 효력을 갖지 않는다. 건설 측량 기사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담당한다.[3]

  • 공사가 진행될 현장의 기존 상태(지형, 기존 건물, 기반 시설, 필요한 경우 지하 매설물 등)를 측량한다.
  • "측설" 또는 "설정" 작업: 도로, 건물 등 새로운 구조물의 건설을 안내하기 위한 기준점과 표식을 현장에 설치한다.
  • 건설 과정 중에 구조물이 정확한 위치에 세워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 준공 측량: 건설 프로젝트가 완료된 후, 계획된 사양에 따라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측량이다.


측량 및 지형정보공학 분야는 다루는 과제의 성격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다. 따라서 각 세부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기술자들이 실무를 담당하게 된다. 또한, 각 분야 내에서도 계획, 조사, 측량, 해석, 설계, 시공, 유지 관리, 적산, 방재, 환경 등 특정 주제에 따라 종사자들이 나뉘어 전문성을 발휘한다. 주요 연구 및 실무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측량학
  • 원격 탐사 (GIS, GPS)

3. 7. 도시계획 및 설계

혼합 용도 부지 계획 초안


''부지 개발''(site development) 또는 ''부지 계획''(site planning)은 특정 부지의 계획 및 개발 잠재력에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는 건축 허가 관련 문제와 환경 영향 평가로 인한 잠재적 영향을 고려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28]

영국 브리스틀의 이 로터리는 차량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멕시코시티 차풀테펙 공원의 호수. 도시 공학은 공원 및 녹지 공간 조성과 관리도 다룬다.


''도시 공학''(urban engineering)은 도시 기반 시설과 관련된 토목공학의 한 분야이다. 여기에는 도로, 보도, 수도관, 하수도, 가로등, 생활 폐기물 관리 및 처리 시스템의 설계, 건설, 유지 관리가 포함된다. 또한, 제설 작업 등에 사용되는 소금이나 모래와 같은 대량 자재 보관 시설, 도시 공원 및 자전거 기반 시설 조성도 도시 공학의 영역이다. 지하 공공 시설 네트워크의 경우, 전기 및 통신 서비스의 지역 배포망을 위한 토목 구조물(도관, 맨홀 등) 설계 및 시공도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폐기물 수거 시스템이나 대중교통 버스 노선망의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연구도 진행한다.

도시 공학은 다른 토목 공학 전문 분야와 일부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주로 도시 내 다양한 기반 시설 네트워크와 서비스 간의 조정을 중요하게 다룬다. 이는 해당 시설들이 동시에 건설되고 동일한 지방 자치 단체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도시 공학자는 또한 대형 건물, 산업 플랜트, 대학 캠퍼스 등 개별 부지 내의 토목 공사(예: 진입로, 주차장, 상수도 공급, 폐수 처리, 부지 배수 등)를 설계하기도 한다.

도시 계획 및 설계와 관련된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3. 8. 기타 분야

토목공학의 연구 분야는 다양한 과제에 따라 더욱 세분화되며, 해당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기술자들이 실무를 담당한다. 각 분야 내에서도 계획, 조사, 측량, 해석, 설계, 시공, 유지 관리, 적산, 방재, 환경 등 다양한 주제별로 역할이 나뉜다.
토목공학이 포괄하거나 관련성이 높은 학술 분야
토목공학과 함께 발전하거나 파생된 학술 분야

4. 재료

재료 과학은 토목 공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재료의 기본적인 특성을 연구하며, 콘크리트 및 혼합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세라믹, 알루미늄강철과 같은 강한 금속, 그리고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및 탄소 섬유를 다룬다.

재료 공학은 보호 및 예방 (페인트 및 마감재)을 포함한다. 합금은 두 종류의 금속을 결합하여 원하는 특성을 가진 다른 금속을 생성한다. 응용 물리학 및 화학의 요소들을 통합한다. 최근 나노과학 및 나노기술에 대한 언론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재료 공학은 학문 연구의 선두에 서게 되었다. 또한 법정 공학 및 고장 분석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 구조역학 (구조설계) - 건설공학
  • 재료공학
  • 교량공학
  • 포장공학
  • 소일 네일링(Soil nailing영어): 지반에 못을 박아 보강하는 공법.
  • 지오신세틱스(Geosynthetics영어): 토목 용도의 고분자 재료를 사용한 것의 총칭.
  • * 지오텍스타일(Geotextile영어): 고분자로 만들어진 천 모양의 물건.
  • * 지오폼(Geofoam영어): 발포 스티롤이나 폴리스티렌 등을 사용한 블록. 경량 성토 등에서 사용한다.
  • *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영어): 막 모양의 시트. 폐기물 처리장, 저수지 등에서 지면을 덮는 차수 시트 등에 사용된다.
  • * 지오콤포지트(Geocomposite영어): 두 개 이상의 지오신세틱스 제품으로 만들어진 제품. 차수 시트와 투과(여과)하는 시트의 조합 등.
  • * 지오셀(Cellular confinement영어): 토사를 넣는 박스를 갖춘 플라스틱 용기. 강 등의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토사 붕괴 대책 등에 사용된다.

5. 윤리

대한토목학회가 제정한 “토목인의 윤리강령”은 다음과 같다.[39]

조항내용
1사회복지에 공헌한다.
2자질향상과 기술발전에 진력한다.
3기술자로서 양심과 명예를 존중한다.
4안전을 최우선시 한다.
5환경보전에 최선을 다한다.
6제 법규와 기준을 준수한다.
7기술적 불합리를 적극적으로 개선한다.



토목 기술자는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교육 과정을 통해 토목공학 학위를 취득하며, 이러한 전문성은 윤리적인 업무 수행의 기초가 된다. 대부분 국가의 전문 기술사 인증 기관은 모든 회원이 준수해야 하는 윤리 강령을 유지하고 있다.[22]

엔지니어는 업무 수행 시 다른 당사자와의 관계에서 계약법을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다. 만약 엔지니어의 작업 결과물에 문제가 발생하여 실패할 경우, 과실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형사 처벌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23] 또한, 엔지니어의 작업은 건축 법규 및 환경법을 포함한 여러 관련 법규와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6. 관련 단체

대한민국 수립 후 자주적으로 국토를 건설하자는 취지로 토목인들이 단합하여 일시 조선공업기술연맹 산하 토목부를 구성하였다가, 1945년 10월 조선토목기술협회를 결성하여 토목공학의 발전과 토목기술의 향상을 위하여 활동하였으나, 한국전쟁으로 그 활동이 미약해졌다. 1951년 12월 23일에 피난지인 부산광역시에서 토목인들이 다시 결속하여 토목기술자의 유일한 단체로서 대한토목학회를 설립하였다.

다음은 토목공학과 관련된 주요 국제 단체 목록이다.


  • 미국 토목 학회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 캐나다 토목 공학회 (Canadian Society for Civil Engineering)
  • 영국 토목 엔지니어 측량사 협회 (Chartered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ing Surveyors)
  • 나이지리아 엔지니어 규제 위원회 (Council for the Regulation of Engineering in Nigeria)
  • 지진 공학 연구소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 호주 엔지니어 협회 (Engineers Australia)
  • 유럽 국립 공학 협회 연맹 (European Federation of National Engineering Associations)
  • 국제 컨설팅 엔지니어 연맹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onsulting Engineers)
  • 인도 지반 공학회 (Indian Geotechnical Society)
  • 영국 토목 기술자 협회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 영국 구조 기술자 협회 (Institution of Structural Engineers)
  • 공학 연구소 (Institute of Engineering) (네팔)
  • 국제 토질 및 지반 공학회 (International Society of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 방글라데시 기술자 협회 (Institution of Engineers, Bangladesh)
  • 인도 기술자 협회 (Institution of Engineers (India))
  • 아일랜드 기술자 협회 (Institution of Engineers of Ireland)
  • 교통 기술자 협회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 일본 토목 학회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 파키스탄 엔지니어 위원회 (Pakistan Engineering Council)
  • 필리핀 토목 기술자 협회 (Philippine Institute of Civil Engineers)
  • 교통 연구 위원회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and Heritage of Civil Engineering https://live.asce.or[...]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7-08-08
[2] 웹사이트 What is Civil Engineering https://ice.org.uk/c[...]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2022-01-14
[3] 웹사이트 What is Civil Engineering? https://whatiscivile[...] Canadian Society for Civil Engineering 2007-08-08
[4] 백과사전 Civil engineering https://britannica.c[...] 2007-08-09
[5] 웹사이트 Working in the Public Sector Versus Private Sector for Civil Engineering Professionals https://engineeringm[...] Engineering Management Institute 2019-06-05
[6] 뉴스 So what does a civil engineer do, exactly? https://www.theguard[...] 2013-08-08
[7] 웹사이트 Lecture Notes in Structural Engineering http://ceae.colorado[...] University of Colorado 2007-11-02
[8] 서적 Algebra: with Arithmetic and mensuration https://archive.org/[...]
[9] 서적 The Architecture of the Itali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1986
[10] 서적 Ancient Water Technologies Springer 2010
[11] 서적 Engineering Your Future Great Lakes Press
[12] 서적 Memoria sobre el estado de las obras públicas en España en 1856 presentada al excmo. sr. Ministro de Fomento por la Dirección General de Obras Públicas https://books.google[...] National Press
[13]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www.ice.org.[...]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2015-12-02
[14] 웹사이트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website http://www.ice.org.u[...] 2007-12-26
[15] 웹사이트 Norwich University Legacy Website http://www.norwich.e[...] 2008-12-15
[16] 간행물 Amos Eaton was Right! 1997-01
[17] 웹사이트 RPI Timeline http://www.lib.rpi.e[...] 2007-09-14
[18] 백과사전 Nora Stanton Blatch Barney https://www.britanni[...] 2010-10-08
[19] 웹사이트 Cite Postgrad http://www.uel.ac.uk[...]
[20] 웹사이트 Why Should You Get Licensed? http://www.nspe.org/[...] 2007-08-11
[21] 웹사이트 Engineers Act http://www.canlii.or[...] 2007-08-11
[22] 웹사이트 Ethics Codes and Guidelines http://onlineethics.[...] 2007-08-11
[23] 잡지 Singapore's Circle Line criminal trial started http://www.nce.co.uk[...] 2013-11-16
[24] 서적 Earthquake Engineering Handbook CRC Press 2003
[25] 서적 Fundamentals of Soil Behavior John Wiley and Sons 1993
[26] 서적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Taylor & Francis 2003
[27] 웹사이트 Geotechnical/Geological Engineering https://www.ausimm.c[...] The Australasian Institute of Mining and Metallurgy 2018-05-30
[28] 웹사이트 Site Development and Planning https://nobis-group.[...] 2020-09-07
[29] 서적 Introduction to Design for Civil Engineers Spon 2003
[30] 서적 Introduction to Civil Engineering Systems: A Systems Perspective to the Development of Civil Engineering Facilities https://www.wiley.co[...] John Wiley 2014
[31] 서적 Doing it Differently: Systems for Rethinking Infrastructure ICE Publications
[32] 웹사이트 土木学会とは http://www.jsce.or.j[...] 土木学会 2008-03-19
[33] URL https://www.jstage.j[...]
[34] URL https://committees.j[...]
[35] 서적 한국토목사
[36]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Ⅰ-2 일상생활의 구조 下 까치
[37] 서적 The Civilized Engineer 글램북스
[38] 서적 토질역학 구미서관 2010
[39] 간행물 공학단체의 윤리강령에 관한 비교분석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