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산업표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산업표준(KS)은 대한민국의 산업 전반에 걸쳐 제품, 방법, 전달 표준을 규정하는 국가표준이다.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표준화는 일제강점기 미터법 채택, 광복 후 농산물 검사법 제정 등을 거쳐 발전했다. 1961년 공업표준화법 제정 이후 한국공업규격(KS)으로 시작하여, 200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KS는 제품의 형상, 치수, 품질 등을 규정하는 제품표준, 시험, 분석, 검사 방법 등을 규정하는 방법표준, 용어, 기술, 단위 등을 규정하는 전달표준으로 구성된다. KS는 자율 인증 제도를 기반으로 하지만, 국민 안전과 건강을 위해 필요한 경우 강제 인증 제도를 운영하기도 한다. 산업 전반의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기호와 대분류, 중분류로 체계적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산업 규격 - 국가기술표준원
    국가기술표준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기관으로, 국가표준 및 산업표준화 정책 수립, 제품 안전 및 품질 관리, 적합성평가, 계량·측정에 관한 정책 수립 등을 담당하며 1883년 분석시험소 설치를 기원으로 여러 개편을 거쳐 201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인증 마크 - CE 마크
    CE 마크는 유럽 연합의 안전, 건강, 환경 보호 관련 법규 준수를 나타내는 마크로, 유럽 경제 지역 내에서 자유로운 유통을 가능하게 하며, 제조자는 해당 EU 지침 및 규정 준수를 보증한다.
  • 인증 마크 - 울마크
    울마크는 국제 양모 사무국에서 개발한 순수 양모 제품 인증 상표로, 양모의 품질을 보증하고 섬유 시장에서 양모의 위상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한국산업표준
KS 표준 정보
명칭한국산업표준
영어 명칭Korean Industrial Standards
약칭KS
종류산업 표준
국가대한민국
주관 기관산업통상자원부
관리 기관국가기술표준원
제정 기관한국표준협회
목적산업 표준화
특징대한민국의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표준
관련 법률산업표준화법
상세 내용
개요'한국산업표준(韓國産業標準,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은 산업표준화법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고시하는 대한민국의 산업 표준이다.'
인증 제도'KS마크 표시인증제도는 한국산업표준 이상의 품질을 가진 제품임을 인증하는 제도이다. KS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생산설비, 품질관리체계, 제품 품질 등에 대한 심사를 거쳐야 한다.'
분야기계
전기
금속
화학
섬유
식품
건설
서비스
정보 기술
표준 번호 체계'KS A 0001: 표준의 분야 및 순서를 나타내는 기호와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예: KS A는 서비스, KS B는 기계, KS C는 전기, KS D는 금속, KS E는 광업, KS F는 건설, KS G는 고무, KS H는 의료 용품, KS K는 섬유, KS L은 요업, KS M은 일용품, KS P는 펄프·종이, KS R은 수송 기계, KS S는 생활 용품, KS W는 수도, KS X는 정보 기술)'

2. 역사

한국산업표준(KS)의 역사는 대한민국 산업 발전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시기주요 내용
220년~240년삼국시대 도량형 제도 실시[2]
14세기조선 토지제도 실시, 측우기 발명[2]
1926년 2월조선 도량형령 발표, 미터법 채택[2]
1949년 8월농산물 검사법 제정, 철도 등 공공사업 자체 표준화[2]
1959년 9월병참 물품 표준서 제정
1961년 9월공업표준화법 제정, 상공부 표준국 설치
1963년“한국공업규격” 실시, IEC, ISO 가입
1973년 1월공업진흥청 개청
1977년 12월통일 단순화 명령제도 도입
1982년 12월KS 표시허가 외국 시장 개방
1992년 12월산업표준화법으로 개정, “한국산업규격” 제정[2]
2008년 5월 26일“한국산업규격”을 “한국산업표준”(KS)으로 명칭 변경[2]


2. 1. 고대 및 중세

삼국시대인 220년~240년에 도량형 제도를 실시하여 농경 문화가 정착되었다.[2] 14세기에는 토지제도가 실시되어 농지 측량에 를 사용하고, 측우기를 발명하여 농업을 과학화하는 등 국가 표준 제도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2]

2. 2. 일제강점기 및 광복 이후

1926년 2월 조선 도량형령 발표로 미터법이 채택되었다.[2] 1949년 8월에는 농산물 검사법이 제정되어 농산물의 중량, 등급, 포장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졌고, 철도 등 공공사업에서도 자체적인 표준화가 시작되었다.[2]

2. 3. 산업화 시대


  • 1959년 9월: 병참 물품 표준서가 제정되었다.
  • 1961년 9월: 공업표준화법이 제정되었고, 11월에는 상공부 표준국이 설치되었다.
  • 1963년: "한국공업규격"이 실시되었고, IEC, ISO 국제기구에 가입하였다.
  • 1973년 1월: 공업진흥청이 개청되면서 표준화가 확대되었다.
  • 1977년 12월: 통일 단순화 명령제도가 도입되었다.
  • 1982년 12월: KS 표시허가가 외국 시장에 개방되었다.

2. 4. 현대

1992년 12월, 공업표준화법을 산업표준화법으로 개정하여 국가표준 범위를 신소재, 신기술, 정보처리 등 전 산업분야로 확대하고, "한국산업규격"을 제정하였다.[2] 2008년 5월 26일, 산업표준화법 전면 개정에 따라 "한국산업규격"을 "한국산업표준"(KS)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

3. 구성

한국산업표준(KS)은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된다.


  • 제품표준: 제품의 형상, 치수, 품질 등을 규정한다.
  • 방법표준: 시험, 분석, 검사 및 측정 방법, 작업 표준 등을 규정한다.
  • 전달표준: 용어, 기술, 단위, 수열 등을 규정한다.

3. 1. 제품표준

제품의 형상, 치수, 품질 등을 규정한 것이다.

3. 2. 방법표준

시험·분석·검사 및 측정 방법, 작업 표준 등을 규정한 것이다.

3. 3. 전달표준

용어·기술·단위·수열 등을 규정한 것이다.

4. 법적 지위

KS 제도는 제조자가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시행하는 자율 인증이다.[1] 법률에 따라 반드시 인증받아야 제조, 수입, 유통, 판매가 가능한 KC 인증과는 다르다.[1]

5. 분류 체계

기호대분류중분류
A기본기본일반, 방사선(능)관리, 가이드, 인간공학, 신인성관리, 문화, 사회시스템, 기타
B기계기계일반, 기계요소, 공구, 공작기계, 측정계산용기계기구·물리기계, 일반기계, 산업기계, 농업기계, 열사용기기·가스기기, 계량·측정, 산업자동화, 기타
C전기전기전자일반, 측정·시험용 기계기구, 전기·전자재료, 전선·케이블·전로용품, 전기 기계기구, 전기응용 기계기구, 전기·전자·통신부품, 전구·조명기구, 배선·전기기기, 반도체·디스플레이, 기타
D금속금속일반, 원재료, 강재, 주강·주철, 신동품, 주물, 신재, 2차제품, 가공방법, 분석, 기타
E광산광산일반, 채광, 보안, 광산물, 운반, 기타
F건설건설일반, 시험·검사·측량, 재료·부재, 시공, 기타
G일용품일용품일반, 가구·실내장식품, 문구·사무용품, 가정용품, 레저·스포츠용품, 악기류, 기타
H식료품식품일반, 농산물가공품, 축산물가공품, 수산물가공품, 기타
I환경환경일반, 환경평가, 대기, 수질, 토양, 폐기물, 소음진동, 악취, 해양환경, 기타
J생물생물일반, 생물공정, 생물화학·생물연료, 산업미생물, 생물검정·정보, 기타
K섬유섬유일반, 피복, 실·편직물·직물, 편·직물제조기, 산업용 섬유제품, 기타
L요업요업일반, 유리, 내화물, 도자기·점토제품, 시멘트, 연마재, 기계구조 요업, 전기전자 요업, 원소재, 기타
M화학화학일반, 산업약품, 고무·가죽, 유지·광유, 플라스틱·사진재료, 염료·폭약, 안료·도료잉크, 종이·펄프, 시약, 화장품, 기타
P의료의료일반, 일반의료기기, 의료용설비·기기, 의료용 재료, 의료용기·위생용품, 재활보조기구·관련기기·고령친화용품, 전자의료기기, 기타
Q품질경영품질경영 일반, 공장관리, 관능검사, 시스템인증, 적합성평가, 통계적기법 응용, 기타
R수송기계수송기계일반, 시험검사방법, 공통부품, 자전거, 기관·부품, 차쳬·안전, 전기전자장치·계기, 수리기기, 철도, 이륜자동차, 기타
S서비스서비스일반, 산업서비스, 소비자서비스, 기타
T물류물류일반, 포장, 보관·하역, 운송, 물류정보, 기타
V조선조선일반, 선체, 기관, 전기기기, 항해용기기·계기, 기타
W항공우주항공우주 일반, 표준부품, 항공기체·재료, 항공추진기관, 항공전자장비, 지상지원장비, 기타
X정보정보일반, 정보기술(IT) 응용, 문자세트·부호화·자동인식, 소프트웨어·컴퓨터그래픽스, 네트워킹·IT상호접속, 정보상호기기·데이터 저장매체, 전자문서·전자상거래, 기타


참조

[1] 웹인용 KS표준이란? http://www.ksa.or.kr[...] 2012-06-03
[2] 웹인용 표준화의역사 http://www.standard.[...] 2012-06-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