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무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무도는 대자연의 운동 원리를 신체 운동으로 구현하는 무술로, 삼대원리를 바탕으로 상대의 힘을 다스리는 기술을 사용한다. 오행론에 기반한 오법(타법, 호신법, 검도법, 혈법, 무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법은 자연의 기운을 상징한다. 1888년 배성전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가전으로 전승되다 1980년대 배병호에 의해 현대적인 수련 체계로 발전되었다. 현재 부산, 경상남도, 경상북도, 울산 등지를 중심으로 수련되며, 경상남도 합천에 한무종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무술 - 태권도
    태권도는 한국의 발차기 중심 무술이자 스포츠로, 1950년대 여러 무술 도장 통합 과정에서 명칭이 확립되었으며, 국제 태권도 연맹(ITF)과 세계 태권도 연맹(WT)으로 발전하여 WT 태권도는 올림픽 종목, ITF 태권도는 공산권 국가에 보급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한국의 무술 - 궁도
    궁도는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 과녁을 맞히는 한국의 전통 무예이자 스포츠이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어 고려와 조선 시대 무과 시험에 포함되었고, 현재는 대한궁도협회를 중심으로 전국 활터에서 계승되고 있다.
  • 기원별 무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기원별 무술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 무술에 관한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무술에 관한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한무도
한무도 정보
한무도 로고
한무도 로고
개요
종류무술
기원대한민국
창시자김형식
주요 기술손기술
발기술
던지기
관절 꺾기
조르기
무기술
관련 단체대한한무도협회
세계한무도연맹
역사
창시1989년, 김형식에 의해 창시됨.
발전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시범 종목 선정 추진.
2006년: 세계한무도연맹 창설.
특징
수련 내용기본 기술 (손, 발, 무기술) 연마
형 (틀) 수련
대련 (겨루기)
호신술
무기술 종류

단검

곤봉
관련 단체 정보
대한한무도협회대한민국 내 한무도 보급 및 활성화
세계한무도연맹국제적인 한무도 보급 및 교류

2. 구성

한무도는 대자연의 운동 원리를 인간의 신체 운동으로 구현하고 그 동작을 삼대원리(三大元理)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무술의 물리적 힘을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공격적인 상대의 힘을 다스린다. 즉 거센 바람에 회전하는 바람개비처럼, 휘어지는 대나무처럼, 바람을 거스르는 돛배처럼 자신은 보호하면서 상대의 힘을 이용하거나 무기력화(無氣力化)하는 것이다. 이것을 전환(轉換), 역류(易流), 심화(深和)라고 한다.

한무도의 기법은 동북아시아의 대자연을 해석하는 원리인 오행론에 오법(五法)이 배당되어 있으며, 오법에는 타법, 호신법, 검도법, 혈법, 무법이 있다.[1]

2. 1. 타법

한무도 기법은 동북아시아의 대자연을 해석하는 원리인 오행론에 다섯 가지 법(五法)이 배당되어 있으며, 이 중 타법은 봄의 기운처럼 뻗어나가는 木의 기운을 따른다.[1]

2. 2. 호신법

한무도의 기법은 동북아시아의 대자연을 해석하는 원리인 오행론에 오법(五法)이 배당되어 있으며, 오법에는 타법, 호신법, 검도법, 혈법, 무법이 있다. 호신법은 여름의 기운처럼 쉬지 않고 생장을 돋우는 火(화)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1]

2. 3. 검도법

한무도의 기법은 동북아시아의 대자연을 해석하는 원리인 오행론에 다섯 가지 법(오법)이 배당되어 있으며, 오법에는 타법, 호신법, 검도법, 혈법, 무법이 있다. 검도법은 가을의 기운처럼 멈추고 갈무리하는 金(쇠)의 기운이 배당되어 있다.[1]

2. 4. 혈법

한무도의 기법은 동북아시아의 대자연을 해석하는 원리인 오행론에 다섯 가지 법(五法)이 배당되어 있으며, 오법에는 타법, 호신법, 검도법, 혈법, 무법이 있다. 이 중 혈법은 겨울의 기운처럼 안으로 모든 것을 저장하고 새로운 힘을 북돋우는 水(물 수)의 기운을 담고 있다.[1]

2. 5. 무법

한무도의 기법은 동북아시아의 대자연을 해석하는 원리인 오행론에 다섯 가지 법(五法)이 배당되어 있으며, 오법에는 타법, 호신법, 검도법, 혈법, 무법이 있다. 타법은 봄의 기운처럼 뻗어나가는 목(木)의 기운, 호신법은 여름의 기운처럼 쉬지 않고 생장을 돋우는 화(火)의 기운, 검도법은 가을의 기운처럼 멈추고 갈무리하는 금(金)의 기운, 혈법은 겨울의 기운처럼 안으로 모든 것을 저장하고 새로운 힘을 북돋우는 수(水)의 기운, 무법은 계절의 중앙에서 생장을 조절하는 토(土)의 기운이 합하여 무(武)를 이룬다는 무에 대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1]

3. 역사

1888년 배성전이 기림사에서 수학하던 중 물려받았던 오기법(五技法)을 정리하여 한무도라 명명하였다.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널리 유포되지 못하고 가전으로 전승해오다가 1980년대 기산선생의 4대손인 배병호에 의해 일반인이 쉽게 수련할 수 있도록 현대적인 수련 체계로 발전되었다.[2] 주로 부산, 경상남도, 경상북도, 울산 등지에 수련인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경상남도 합천에 한무종가가 있다. 기산 선생의 4대손이 6대종사로 있으며 한무도를 일반인들에게 전수하고 있다.[2]

3. 1. 창시와 전승

1888년 배성전이 기림사에서 수학하던 중 물려받았던 오기법(五技法)을 정리하여 명명한 것이다.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널리 유포되지 못하고 가전으로 전승해오다가 1980년대 기산선생의 4대손인 배병호에 의해 일반인이 쉽게 수련할 수 있도록 현대적인 수련 체계로 발전되었다.[2] 주로 부산, 경상남도, 경상북도, 울산 등지에 수련인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경상남도 합천에 한무종가가 있다. 기산 선생의 4대손이 6대종사로 있으며 한무도를 일반인들에게 전수하고 있다.[2]

3. 2. 현대의 한무도

1888년 배성전이 기림사에서 수학 중 물려받았던 오기법(五技法)을 정리하여 한무도라는 이름을 붙였다.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널리 퍼지지 못하고 가문을 통해 전해져 내려오다가, 1980년대 기산선생의 4대손인 배병호에 의해 일반인이 쉽게 수련할 수 있도록 현대적인 수련 체계로 발전되었다. 주로 부산, 경상남도, 경상북도, 울산 등지에 수련 인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경상남도 합천에 한무종가가 있다. 기산 선생의 4대손이 6대 종사로 있으며 한무도를 일반인들에게 전수하고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한무도 http://hanmoodo.co.k[...] 2018-08-09
[2] 뉴스 고수를 찾아서 국제신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