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덴마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덴마크)는 1455년 덴마크의 국왕 크리스티안 1세의 아들로 태어나 1481년 덴마크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는 1483년 노르웨이 국왕으로 즉위했고, 1497년에는 스웨덴의 왕위에 올랐으나 1501년 퇴위당했다. 한스는 칼마르 동맹 복원을 추진하고 덴마크 해군을 창설하는 등 내치에 힘썼으며, 151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3년 사망 - 제임스 4세
제임스 4세는 스코틀랜드의 국왕으로, 군사력 강화, 예술 후원 등 스코틀랜드 르네상스에 기여했으나 잉글랜드와의 플로든 전투에서 전사했다. - 1513년 사망 - 제2대 레녹스 백작 매슈 스튜어트
제2대 레녹스 백작 매슈 스튜어트는 15세기 스코틀랜드 귀족이며, 엘리자베스 해밀턴과 결혼하여 자녀를 두고, 그의 가문은 아들 존 스튜어트를 통해 이어져 제임스 6세의 혈통으로 이어진다. - 칼마르 동맹 - 크리스토페르 3세
크리스토페르 3세는 1440년부터 덴마크, 1441년부터 스웨덴, 1442년부터 노르웨이의 국왕을 겸하며 칼마르 동맹을 통치했으나 귀족 세력과의 권력 균형 속에서 제한적인 권력을 행사했고 후사 없이 사망하여 칼마르 동맹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 칼마르 동맹 - 크리스티안 1세
크리스티안 1세는 올덴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국왕을 지냈으며 슐레스비히 공작과 홀슈타인 백작을 겸했고 코펜하겐 대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나 칼마르 동맹 재건 시도는 실패했다. - 1455년 출생 - 폐비 윤씨
조선 성종의 왕비였던 폐비 윤씨는 질투심과 후궁을 해하려 했다는 의혹 등으로 폐위되어 사사되었으며, 그녀의 죽음은 갑자사화의 원인이 되어 조선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55년 출생 - 김응기
김응기는 조선 시대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예조판서와 좌의정을 역임했으며, 갑자사화로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이후 재등용되어 요직을 거치고 1519년에 사망하여 시호는 문대이다.
한스 (덴마크)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덴마크 국왕 (더 보기...) |
통치 기간 | 1481년 5월 21일 – 1513년 2월 20일 |
대관식 | 1483년 5월 18일 코펜하겐 성모 교회 |
대관식 유형 | 덴마크 군주 대관식 |
선임자 | 크리스티안 1세 |
후임자 | 크리스티안 2세 |
칭호 (2) | 노르웨이 국왕 (더 보기...) |
통치 기간 (2) | 1483년 – 1513년 2월 20일 |
대관식 (2) | 1483년 7월 20일 니다로스 대성당 |
선임자 (2) | 크리스티안 1세 |
후임자 (2) | 크리스티안 2세 |
칭호 (3) | 스웨덴 국왕 (더 보기...) |
통치 기간 (3) | 1497년 10월 6일 – 1501년 8월 |
대관식 (3) | 1497년 11월 26일, 스톡홀름 |
선임자 (3) | 칼 8세 |
후임자 (3) | 크리스티안 2세 |
배우자 | 크리스티나 폰 작센 (1478년 결혼) |
자녀 | 크리스티안 2세 엘리자베트,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비 프란시스코 야코프 다키아인 (추정) |
자녀 링크 | #Issue (그 외...) |
왕가 | 올덴부르크 |
아버지 | 크리스티안 1세 |
어머니 | 도로테아 폰 브란덴부르크 |
출생일 | 1455년 2월 2일 |
출생지 | 올보르 성, 올보르 |
사망일 | 1513년 2월 20일 (57세) |
사망지 | 올보르 성, 올보르 |
매장지 | 성 크누트 대성당, 오덴세 (1807년부터)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2. 생애
한스는 1455년 2월 2일 올보르의 올보르후스 성에서 크리스티안 1세와 브란덴부르크의 도로테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1478년 작센의 크리스티나와 결혼하여 슬하에 5명의 자녀를 두었다.
1481년 아버지 크리스티안 1세가 사망하자 덴마크 왕위를 계승했고, 1483년에는 코펜하겐과 트론헤임에서 각각 덴마크와 노르웨이 국왕 대관식을 치렀다.[6] 1497년 스톡홀름에서 스웨덴 국왕 대관식을 치르며 스웨덴의 요한 2세가 되었다.[6]
한스는 칼마르 동맹 복원을 통해 북유럽 지역을 통합하려 했다. 이를 위해 러시아와 정치적 협력 관계를 맺는 등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6] 1495년 칼마르에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평의회를 소집하려 했으나 기함이 침몰하고 스웨덴 섭정과의 회담이 결렬되어 실패했다.[8][9] 1497년 스웨덴을 정복하고 왕위에 올랐지만, 1500년 디트마르셴 정복에 실패하고 1501년 스웨덴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어려움을 겪었다.[10]
1509년 네덜란드의 중재로 스웨덴 왕위 복위가 결정되었으나, 스톡홀름 귀환이 허락되지 않아 실제 복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내적으로는 덴마크 상인을 지원하고 평민을 관리로 등용하는 정책을 펼쳤으며, 덴마크 해군을 창설했다.[8][9]
1513년 2월 20일 올보르에서 사망하여 오덴세에 안치되었으며,[14] 왕위는 아들 크리스티안 2세가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
한스는 1455년 2월 2일 올보르에 위치한 올보르후스 성에서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1세와 그의 아내 브란덴부르크의 도로테아 사이에서 셋째 아들이자 생존한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478년에 작센의 크리스티나와 결혼했고 슬하에 5명의 자녀를 두었다. 1482년부터 1513년까지는 자신의 동생인 프레데리크 1세와 함께 슐레스비히 공작, 홀슈타인 공작을 역임했다.2. 2.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왕
1481년 5월 21일에 아버지 크리스티안 1세가 사망하자 덴마크의 국왕으로 즉위했으며, 1483년 5월 18일 코펜하겐에서 덴마크 국왕 대관식을 치렀다.[6] 같은 해 7월 20일에는 트론헤임에서 노르웨이 국왕 대관식을 거행하며 노르웨이 국왕으로도 즉위했다.[6] 1497년 10월 6일 스웨덴의 요한 2세 국왕으로 즉위했고, 11월 26일 스톡홀름에서 스웨덴 국왕 대관식을 치렀다.[6]1458년, 아버지 크리스티안 1세는 노르웨이 국가 평의회에 자신이 사망하면 장남인 요한을 노르웨이의 다음 왕으로 선출할 것을 약속하게 했다. 스웨덴에서도 비슷한 선언이 있었다. 1467년, 요한은 덴마크에서 왕위 계승자로 추대되었다. 요한은 노르웨이가 세습 왕국이었던 옛 지위에 따라 노르웨이 왕위의 "계승자"라는 칭호를 사용했지만, 노르웨이 평의회는 이를 즉시 인정하지 않았다. 크리스티안 왕이 1481년 5월 사망하자 요한의 덴마크 왕위는 이의 없이 계승되었으나, 노르웨이에서는 국가 평의회가 왕권을 차지하며 공위 시대가 시작되었다. 노르웨이 왕위에 대한 경쟁 후보는 없었지만, 평의회는 노르웨이의 주권 왕국으로서의 지위를 보여주고자 했다. 1483년 1월 13일 할름스타드에서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평의회 간 회의가 예정되었고, 요한을 왕으로 선출하기 위한 조건 (håndfæstning)이 마련되었다. 스웨덴 평의회는 불참했지만, 노르웨이와 덴마크 평의회는 요한의 통치 조건이 포함된 공동 선언을 발표하고 그를 왕으로 선출했다. 이후 스웨덴도 이 문서를 받아들여 요한을 왕으로 인정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요한은 통치 초기에 균형 정책을 펼쳤다. 외교적 수단으로 스웨덴 섭정 스텐 스투레의 지위를 약화시키려 노력했고, 러시아의 이반 3세와 정치적 협력을 맺은 최초의 덴마크 왕이 되었다. 1493년 조약 이후, 이반 3세는 노브고로드에서 무역하는 모든 한자 동맹 상인들을 투옥하고 러시아-스웨덴 전쟁 (1496–1499)을 촉발했다. 한자 동맹 도시들은 덴마크 사략선들의 비밀 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한자 동맹의 지위는 무역로 변화와 북유럽 해군 국가들의 반대로 인해 쇠퇴하고 있었다.
요한의 국내 정책은 덴마크 상인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과 평민들을 관리나 의원으로 널리 기용한 것이 특징이며, 이는 귀족들을 분노하게 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영구적인 덴마크 해군을 설립한 것으로, 이는 그의 말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리베 특권에 따라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 공국의 귀족 의회는 이전 공작의 아들들 중에서 공작을 선출해야 했다. 많은 귀족들이 요한의 동생 프레데릭을 선호했지만, 요한은 두 아들 모두 공동 공작으로 선출되도록 설득했다. 처음에는 공국을 공동 통치하기로 합의했지만, 프레데릭이 성년이 된 1490년에 공국은 분할되었다.
1495년 6월, 요한은 함대를 이끌고 스웨덴 칼마르로 항해하여 덴마크, 노르웨이 평의회와 함께 스웨덴 평의회를 만나려 했다. 그의 목표는 재건된 칼마르 동맹을 통해 북유럽 지역을 자신의 통치하에 재통일하는 것이었다.[6][7] 코펜하겐에서 칼마르로 가던 중, 요한의 기함 ''Gribshunden''이 론네비 근처에서 폭발하여 침몰했다. 요한은 당시 배에 없었기에 살아남아 칼마르로 갔지만, 스텐 스투레는 도착을 বারবার 연기했고, 요한은 8월에 지쳐 코펜하겐으로 돌아가 정상 회담을 포기했다.[8][9]
1500년 디트마르셴 정복을 위해 대규모 병력을 파병했지만, 1500년 2월 17일 헤밍슈테트 전투에서 패배했다.[10] 1501년 스웨덴 왕위에서 퇴위당했다.[10] 1509년 네덜란드 중재로 스웨덴 왕위 복위가 결정되었지만, 스톡홀름 귀환이 허락되지 않아 복위하지 못했다.
1500년 2월 17일 헤밍슈테트 전투 패배로 요한의 위신이 손상되었고, 1501년 스웨덴은 그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요한은 점점 더 격렬한 전쟁을 스텐 스투레와 그의 후계자 스반테 닐손과 벌였고, 이는 덴마크 귀족과 한자 동맹 도시, 특히 뤼벡과의 마찰을 야기했다. 1509년 네덜란드의 중재로 스웨덴은 요한을 원칙적으로 스웨덴 왕으로 인정하는 선언에 동의했지만, 그는 살아있는 동안 스톡홀름에 들어갈 수 없었고, 다시 스웨덴 왕으로 즉위하지도 못했다.
한편, 노르웨이의 반대 시도는 1506년부터 1513년 왕이 될 때까지 노르웨이 총독이었던 요한의 아들 크리스티안 왕자(후에 크리스티안 2세 왕)에 의해 억압되었다. 1510년에서 1512년 사이 요한은 스웨덴, 뤼벡과 마지막 전쟁을 벌였는데, 덴마크는 처음에는 압박을 받았지만, 스코틀랜드 바튼 형제의 도움을 받아[14] 해군 공세로 상황을 어느 정도 반전시켰다. 스웨덴에 대한 결과는 현상 유지였지만, 뤼벡은 평화로 인해 정치적, 경제적 좌절을 겪었다.
2. 3. 칼마르 동맹 복원 노력과 좌절
1481년 크리스티안 1세가 사망하자, 한스는 덴마크에서 이의 없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노르웨이에서는 왕위 계승에 공백기가 발생했다. 1483년 할름스타드에서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평의회가 회의를 열어 한스의 통치 조건을 담은 공동 선언문을 발표하고 그를 왕으로 선출했다. 이후 한스는 코펜하겐에서 덴마크 왕으로, 트론헤임에서 노르웨이 왕으로 즉위했다.한스는 통치 초기에 외교적 수단을 통해 스웨덴 섭정 스텐 스투레의 지위를 약화시키려 노력했고, 러시아와 정치적 협력을 맺었다. 1493년 조약 이후, 러시아의 이반 3세는 노브고로드에서 무역을 하는 한자 동맹 상인들을 투옥하고 러시아-스웨덴 전쟁 (1496–1499)을 촉발했다.
1495년 6월, 한스는 함대를 이끌고 스웨덴 칼마르로 항해하여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평의회를 만나 칼마르 동맹 재건을 목표로 했다.[6][7] 그러나 기함이 폭발하여 침몰하고, 스텐 스투레와의 회담이 결렬되면서 외교적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다.[8][9]
1497년 10월 6일, 한스는 군사 작전을 통해 스웨덴을 정복하고 로테브로 전투에서 스텐 스투레를 격파했다. 스텐 스투레는 항복하고 한스와 화해했으며, 한스는 스웨덴 왕으로 즉위했다.
1500년, 한스는 디트마르셴 정복을 시도했으나, 헴밍슈테트 전투에서 패배했다.[10] 이 패배로 한스의 위신은 실추되었고, 1501년 스웨덴은 그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한스는 스웨덴과의 전쟁을 계속했지만, 1509년 네덜란드의 중재로 스웨덴은 한스를 원칙적으로 스웨덴 왕으로 인정하는 선언에 동의했다. 그러나 한스는 스톡홀름에 들어갈 수 없었고, 다시 스웨덴 왕으로 즉위하지 못했다.
2. 4. 디트마르셴 정복 실패
1500년, 한스는 디트마르셴(오늘날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을 정복하려 시도했다. 덴마크 왕들은 오랫동안 이 지역을 자신들의 영토로 여겼지만, 실제로는 브레멘 대주교령의 느슨한 종주권 하에 있는 독립적인 농민 공화국이었다.[10] 1500년 1월 중순까지 한스는 잔혹하고 폭력적인 네덜란드와 동프리슬란트 용병으로 구성된 ''검은 경비대''를 고용했는데, 토마스 슬렌츠가 지휘했고, 이전에는 마그누스의 지휘 하에 있었으며, 하델른 지역의 부총독이었다.[11][12]
한스는 먼저 루넨부르크-셀레 루에 강변 빈젠과 호프테를 거쳐 엘베강의 촐렌슈피커 페리를 건너 함부르크-뤼벡의 콘도미니엄 베르게도르프와 Vierlande를 통해 동남쪽으로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13] 거기에서 ''검은 경비대''는 다시 북서쪽으로 이동하여 홀슈타인을 거쳐 디트마르셴으로 향했다. 한스는 그의 동생 프레데릭과 함께 검은 경비대를 동원하여 대규모 작전을 수행했지만, Wulf Isebrand의 지휘를 받는 디트마르시안들은 저지대 지역의 제방을 열어 좁은 주요 도로를 침수시킨 후 헴밍슈테트 전투에서 경비대의 대부분을 함정에 빠뜨렸다. 이로써 디트마르셴의 자유 농민을 봉건주의에 복종시키려는 한스의 시도는 당분간 끝났다.
1500년 2월 17일 헴밍슈테트 전투에서의 패배는 한스의 위신을 손상시켰다.[6]
2. 5. 외교 정책
요한은 통치 초기에 외교적 수단을 통해 스웨덴 섭정 스텐 스투레의 지위를 약화시키려 노력했고, 새로운 동맹을 모색했는데, 그는 러시아와 정치적 협력을 맺은 최초의 덴마크 왕이었다.[6] 1493년 조약 이후, 러시아의 이반 3세는 노브고로드에서 무역을 하는 모든 한자동맹 상인들을 투옥하고 러시아-스웨덴 전쟁 (1496–1499)을 촉발했다. 한자동맹 도시들은 덴마크 사략선들의 비밀 전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한자동맹의 지위는 무역로의 변화와 북유럽 해군 국가에서 한자동맹에 대한 반대가 커짐에 따라 서서히 쇠퇴하고 있었다.[7]1495년 6월, 요한은 함대를 이끌고 스웨덴 칼마르로 항해하여 덴마크와 노르웨이 평의회와 함께 스웨덴 평의회를 만나 그의 통치하에 북유럽 지역을 재통일, 즉 재건된 칼마르 연합을 이루고자 했다.[8][9] 코펜하겐에서 칼마르로 가는 도중, 요한의 기함, ''Gribshunden''은 론네비 근처에서 폭발하여 침몰했다. 요한은 당시 배에 탑승하지 않아 살아남아 칼마르로 계속 갔지만, 스텐 스투레는 그의 도착을 반복적으로 연기했고, 요한은 8월에 지쳐 코펜하겐으로 돌아가 정상 회담을 포기했다.[10][11]
1497년 10월 6일, 요한은 짧고 효과적인 군사 작전을 통해 스웨덴을 정복하여 스웨덴 귀족의 대부분을 얻음으로써 그의 지위를 약화시킨 후 로테브로 전투에서 스텐 스투레를 격파했다. 스텐은 스톡홀름에서 요한 왕에게 항복하고 그와 화해했다. 요한은 스웨덴 왕으로 즉위했고, 스텐은 왕 아래 스웨덴에서 최고 권력의 자리에 올랐다.[12]
1500년에는 디트마르셴을 정복하기 위해 대규모 병력을 파병했지만 1500년 2월 17일에 일어난 헴밍슈테트 전투에서 디트마르셴의 소작농들에게 패배하고 만다.[13] 헴밍슈테트 전투에서의 패배는 요한의 위신을 손상시켰고, 1501년 스웨덴은 그를 왕으로 거부했다.[14] 요한은 점점 더 격렬한 전쟁을 스텐 스투레와 그의 후계자 스반테 닐손과 벌였고, 이 갈등은 덴마크 귀족과 한자동맹 도시, 특히 뤼벡과의 마찰을 의미했다. 1509년에는 네덜란드의 중재로 스웨덴 왕위 복위가 결정되었지만 스톡홀름으로 귀환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웨덴의 국왕으로 복위하지 못했다.[15]
한편, 노르웨이의 반대 시도는 1506년부터 1513년 왕이 될 때까지 노르웨이의 총독이었던 요한의 아들 크리스티안 왕자(후에 크리스티안 2세 왕)에 의해 억압되었다. 1510년에서 1512년 사이에 왕은 스웨덴과 뤼벡과 마지막 전쟁을 벌였는데, 덴마크는 처음에는 매우 압박을 받았지만, 스코틀랜드 앤드루 바튼의 도움을 받아[16] 해군 공세를 통해 상황을 어느 정도 반전시켰다. 스웨덴에 관한 결과는 현상 유지였지만, 뤼벡은 평화로 인해 실제 정치적, 경제적 좌절을 겪었다.[17]
2. 6. 내치
한스 왕은 통치 초기에 균형 정책을 펼쳤다. 외교를 통해 스웨덴 섭정 스텐 스투레의 세력을 약화시키려 했고, 러시아와 정치적 협력을 맺은 최초의 덴마크 왕이 되었다. 1493년 조약 이후, 러시아의 이반 3세는 노브고로드에서 무역하는 한자 동맹 상인들을 투옥하고 러시아-스웨덴 전쟁 (1496–1499)을 일으켰다. 한자 동맹 도시들은 덴마크 사략선들의 공격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한자 동맹의 지위는 무역로 변화와 북유럽 해군 국가들의 반대로 인해 점차 쇠퇴하고 있었다.[6][7]한스 왕의 국내 정책은 덴마크 상인들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고, 평민들을 관리나 의원으로 등용하는 것이 특징이었는데, 이는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덴마크 해군을 창설한 것으로, 이는 그의 말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8][9]
리베 특권에 따르면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 공국의 귀족 의회는 이전 공작의 아들들 중에서 공작을 선출해야 했다. 많은 귀족들이 한스 왕의 동생인 프레데릭을 선호했지만, 한스 왕은 두 사람 모두 공동 공작으로 선출되도록 설득했다. 처음에는 공동 통치에 합의했지만, 프레데릭이 성년이 되자(1490년) 공국은 분할되었다.
1495년 6월, 한스는 함대를 이끌고 스웨덴 칼마르로 항해하여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평의회를 만나 북유럽 지역을 재통일(칼마르 동맹 재건)하려 했다. 그러나 기함인 ''Gribshunden''이 론네비 근처에서 폭발하여 침몰했고, 스텐 스투레와의 회담도 결렬되었다.[8][9]
1500년, 한스 왕은 Dithmarschen (오늘날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정복을 시도했다. 토마스 슬렌츠가 지휘하는 네덜란드와 동프리슬란트 용병으로 구성된 ''검은 경비대''를 고용하여 대규모 작전을 수행했지만, Wulf Isebrand가 이끄는 디트마르시안들에게 헴밍슈테트 전투에서 패배했다.[10][11][12]
1500년 2월 17일 헴밍슈테트 전투 패배로 위신이 실추되자, 1501년 스웨덴은 한스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한스는 격렬한 전쟁을 벌였고, 이 갈등은 덴마크 귀족 및 뤼벡을 비롯한 한자 동맹 도시들과의 마찰을 야기했다. 1509년, 네덜란드의 중재로 스웨덴은 한스를 원칙적으로 스웨덴 왕으로 인정했지만, 그는 스톡홀름에 들어갈 수 없었고, 다시 스웨덴 왕으로 즉위하지도 못했다.
1510년에서 1512년 사이에 한스 왕은 스웨덴, 뤼벡과 마지막 전쟁을 벌였다. 덴마크는 초기에 압박을 받았지만, 스코틀랜드 바튼 형제의 도움을 받아[14] 해군 공세를 통해 상황을 어느 정도 반전시켰다. 스웨덴과의 관계는 현상 유지를 유지했지만, 뤼벡은 평화로 인해 정치적,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한스는 "평민의 왕"으로 불리며 소박한 인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냉철한 현실주의자이자 정치적 계산에 능한 인물이었다. 그는 프랑스의 루이 11세나 잉글랜드의 헨리 7세와 비견되기도 한다.
2. 7. 죽음
1513년 2월 20일 올보르에 있는 올보르후스 성에서 말에서 떨어진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오덴세에 안치되었다.[14]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위는 아들인 크리스티안 2세가 승계받았다.왕비 작센의 크리스티나(Christina)는 여생을 오덴세의 수녀원에서 보냈으며, 유명한 독일 조각가 클라우스 베르크에게 웅장한 매장 예배당을 의뢰하여 1521년 사망 후 자신과 남편을 그곳에 안치했다. 베르크가 1515년에서 1525년 사이에 국제 고딕 양식으로 조각한 제단화는 덴마크의 국보 중 하나이다. 세 부분 각각은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금박을 입혔다. 이 제단화는 종교 개혁의 우상 파괴 열풍 속에서도 왕가의 매장과 관련되어 살아남았다. 국왕 요한과 크리스티나 여왕의 아들인 국왕 크리스티안 2세는 그의 부인 오스트리아의 이사벨라와 함께 왕가 예배당에 안장되었다. 1807년, 이전 프란체스코회 교회는 철거되었고, 베르크의 제단화와 여섯 구의 왕족 시신은 같은 오덴세에 있는 성 카누테 성당으로 옮겨졌다.


3. 가족 관계
1478년, 요한은 작센 선제후 에른스트와 엘리자베트의 딸인 작센의 크리스티나와 결혼했다.[16]
요한과 크리스티나 사이에는 다섯 자녀가 있었다.:[17]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한스 | 1479년 | 1480년 | 어린 나이에 사망 |
에른스트 | 1480년 | 1480년 | 어린 나이에 사망 |
크리스티안 2세 | 1481년 7월 1일 | 1559년 1월 25일 |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왕. 자녀가 있음. |
엘리자베트 | 1485년 6월 24일 | 1555년 6월 10일 | 1502년 요아힘 1세 네스토르,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와 결혼. 자녀가 있음. |
프란시스 | 1497년 7월 15일 | 1511년 4월 1일 |
1599년의 ''올덴부르기쉬 크로니콘(Oldenburgisch Chronicon)''은 요한에게 야콥이라는 아들이 더 있었다고 언급한다. 예르겐 니보 라스무센은 이 인물이 멕시코에서 선교사로 활동한 프란체스코회 수사인 야코부스 데 다키아 (1484–1566)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18]
요한은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 에델레 예른스셰그 (1512년 사망)와 관계를 가졌다.[19]
참조
[1]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7, c.1415-c.15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5-21
[2]
문서
De første Konger af den Oldenburgske slægt
https://archive.org/[...]
Reitzels, Köpenhamn
1874
[3]
웹사이트
Hans (konge af Danmark og Norge samt Sverige)
https://denstoredans[...]
2024-02-22
[4]
웹사이트
Hans
https://sok.riksarki[...]
1969-1971
[5]
서적
Kings and rulers of Sweden : a pocket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Vincent Publications
1995
[6]
논문
A STATE THAT FAILED?: On the Union of Kalmar, Especially its Dissolution
http://www.tandfonli[...]
2006-12-06
[7]
논문
Purse of medieval silver coins from royal shipwreck revealed by X-ray microscale Computed Tomography (µCT) scanning
https://www.scienced[...]
2022-06-01
[8]
논문
Interim Report on Gribshunden (1495) Excavations: 2019–2021
https://brill.com/vi[...]
2024-01-31
[9]
서적
Missiver fra Kongerne Christiern I's og Hansʹs tid.
Gad: Selskabet for Udgivelse af Kilder til Dansk Historie
1912
[10]
문서
Das Land Hadeln bis zum Beginn der frühen Neuzeit
Landschaftsverband der ehem. Herzogtümer Bremen und Verden
1995
[11]
문서
Johann III., Erzbischof von Bremen
[12]
문서
Die Konsolidierung des Erzstiftes unter Johann Rode
Landschaftsverband der ehem. Herzogtümer Bremen und Verden
1995
[13]
문서
Johann III., Erzbischof von Bremen
[14]
문서
Letters of James IV
SHS
1953
[15]
웹사이트
Hans · Konge af Danmark · Norge fra 1481–1513 og Sverige 1497–1501
http://www.danskekon[...]
2010-07-01
[16]
서적
Kings and rulers of Sweden : a pocket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Vincent Publications
1995
[17]
서적
Broder Jakob den Danske, kong Christian II's yngre broder
https://slaegtsbibli[...]
Odense universitetsforlag
1986
[18]
서적
Broder Jakob den Danske, kong Christian II's yngre broder
Odense universitetsforlag
1986
[19]
웹사이트
Edele Jernskæg
https://biografiskle[...]
2011-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