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게오르크 데멜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게오르크 데멜트는 독일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다. 그는 1989년 볼프강 파울과 함께 이온 트랩 기술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데멜트는 독일 육군 복무 후 괴팅겐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고 듀크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55년 워싱턴 대학교 교수가 되어 이온 트랩 연구를 지속했으며, 1976년 최초의 지오늄 원자를 만들고 단일 원자 사진을 촬영하는 등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2002년 은퇴 후 201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괴를리츠 출신 - 미하엘 발라크
    미하엘 발라크는 동독 출신으로 2000년대를 대표하는 독일 축구 선수로서, 유럽 주요 클럽에서 활약하며 분데스리가와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경험했고 독일 국가대표팀 주장을 역임하며 2002년 월드컵 준우승 등을 달성했으나 주요 국제 대회 우승 없이 은퇴했다.
  • 괴를리츠 출신 - 옌스 예레미스
    독일의 은퇴한 축구 선수 옌스 예레미스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디나모 드레스덴, TSV 1860 뮌헨을 거쳐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전성기를 보내며 분데스리가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에 기여했고, 독일 국가대표로 월드컵에도 참가했다.
  • 브레슬라우 대학교 동문 -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는 독일의 화학자로, 고압 및 고온 화학 공정 기술 개발, 특히 베르기우스법을 통한 합성 연료 생산과 목재 가수분해를 통한 산업용 설탕 생산 기술 개발에 기여하여 193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지만, 후기 연구의 어려움과 전쟁 후 상황으로 아르헨티나에서 생을 마감했다.
  • 브레슬라우 대학교 동문 - 막스 보른
    독일의 이론물리학자 막스 보른은 양자역학의 확률 해석을 확립하고 보른-오펜하이머 근사를 개발했으며, 결정 격자 동역학 연구에 기여했고, 나치 박해를 피해 망명 후 핵무기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
  • 워싱턴 대학교 교수 - 더글러스 노스
    더글러스 노스는 미국의 경제사학자이자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선구자로, 199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재산권, 거래비용, 제도의 역할과 경제 성장 간의 관계 연구, 역사적 맥락에서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한 경제사 연구에 기여했고, 국제 신제도경제학회를 공동 설립하는 등 경제학, 특히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정치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워싱턴 대학교 교수 - 노먼 라이스
    노먼 라이스는 시애틀 최초의 흑인 시장으로서, 시애틀 시의회 의원과 시장을 역임하며 1990년대 닷컴 버블 시대 시애틀 도심 재개발을 주도하고, 이후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여러 상을 수상한 미국의 정치인이자 시민 운동가이다.
한스 게오르크 데멜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스 게오르크 데멜트
한스 게오르크 데멜트
이름한스 게오르크 데멜트
출생1922년 9월 9일
출생지괴를리츠, 독일
사망2017년 3월 7일
사망지시애틀, 워싱턴주, 미국
국적독일, 미국
학문 분야
분야물리학
연구 기관워싱턴 대학교
듀크 대학교
모교괴팅겐 대학교
박사 학위 제자데이비드 와인랜드
알려진 업적이온 트랩 개발
전자 g-인자 정밀 측정
페닝 트랩
레이저 냉각
도플러 냉각
핵 사중극 공명
수상
수상 내역국가 과학 훈장 (1995년)
노벨 물리학상 (1989년)
럼퍼드 상 (1985년)
훔볼트 상 (1974년)
데이비슨-저머 상 (1970년)
기타

2. 생애

괴를리츠에서 태어났다. 10세에 베를린의 그라우엔 클로스터 김나지움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으며, 1940년 졸업 후 독일 국방군에 자원 입대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와 물리학 공부를 병행하다 벌지 전투에 참전, 미군의 포로가 되었다.

1946년 석방되어 괴팅겐 대학교에서 물리학 공부를 재개, 1950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5][6] 1952년 미국으로 건너가 듀크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1955년부터 워싱턴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이온 트랩 연구에 매진했다.[6] 이 연구는 198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2002년 워싱턴 대학교에서 은퇴했으며,[6] 2017년 3월 7일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9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9][10][1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괴를리츠에서 태어났다. 10세에 장학금을 받고 베를린의 그라우엔 클로스터 김나지움 (라틴어 학교)에 입학했다.[5] 1940년 김나지움을 졸업한 후 독일 국방군 육군에 자원 입대하였다. 1943년 군의 명령으로 브로츠와프 대학교(당시 브레슬라우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1년간 공부한 후 다시 군에 복귀하여 벌지 전투에 참전했다가 미군의 포로가 되었다.

1946년 포로 수용소에서 석방된 후 괴팅겐 대학교에서 물리학 공부를 다시 시작했다. 그는 전쟁 전의 낡은 라디오를 수리하고 물물교환하여 생계를 유지했다. 같은 대학교에서 1948년 석사 학위를, 1950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전후 학업 및 연구 활동

1946년 미군 포로 수용소에서 석방된 후, 데멜트는 괴팅겐 대학교로 돌아가 물리학 공부를 재개했다. 그는 전쟁 전 구형 라디오를 수리하고 물물 교환하여 생활비를 충당했다.[5] 1948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50년 같은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6]

1952년, 그는 듀크 대학교의 박사후 연구원으로 초청받아 미국으로 이주했다.[5][6] 1955년 워싱턴주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 대학교의 조교수가 되었고, 1958년 부교수, 1961년 정교수로 승진했다.[6]

워싱턴 대학교 재직 중에도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1955년에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의 조지 볼코프 연구실에서 첫 번째 전자 충격 튜브를 만들었고,[7] 편광된 원자와 자유 전자의 상자성 공명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 1960년대에는 데멜트와 그의 학생들이 수소와 헬륨 이온의 분광학을 연구했다. 1973년에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이온 트랩 연구를 계속한 데이비드 와인랜드와 함께 전자를 마침내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1976년에 최초의 지오늄 원자를 만들었으며, 이후 1980년대까지 R. S. 반 다이크와 함께 이를 사용하여 전자와 양전자의 정확한 자기 모멘트를 측정했다. 이 연구는 그의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1979년에는 단일 원자의 첫 번째 사진을 찍은 팀을 이끌었다. 데멜트는 2002년 10월 은퇴할 때까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이온 트랩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6]

2. 3. 워싱턴 대학교 교수 재직

1955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 위치한 워싱턴 대학교의 조교수로 임용되었다.[6] 이후 1958년에는 부교수로, 1961년에는 정교수로 승진하였다.[6]

워싱턴 대학교 재직 중에도 연구 활동을 활발히 이어갔다. 1955년에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의 조지 볼코프 연구실과 협력하여 첫 번째 전자 충격 튜브를 만들었다.[7] 또한 편광된 원자와 자유 전자의 상자성 공명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 1960년대에는 학생들과 함께 수소 및 헬륨 이온의 분광학 연구에 집중했다. 이온 트랩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여, 1973년에는 훗날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연구를 이어간 데이비드 와인랜드와 함께 전자를 성공적으로 분리해냈다.

1976년에는 최초의 지오늄 원자를 만들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1980년대까지 R. S. 반 다이크와 함께 전자와 양전자자기 모멘트를 매우 정밀하게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 성과는 훗날 그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1979년에는 단일 원자를 최초로 촬영한 연구팀을 이끌었다. 데멜트는 이온 트랩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다가 2002년 10월 워싱턴 대학교에서 은퇴하였다.

2010년 5월, 시애틀에서 열린 특별 행사에서 스웨덴의 빅토리아 공주로부터 워싱턴주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8]

2. 4. 개인사

그는 이르가르트 라소우와 결혼하여 아들 게르트를 두었으나, 이후 이혼했다. 아들 게르트 역시 먼저 세상을 떠났다. 1989년 데멜트는 의사인 다이아나 던도어와 재혼했다.

데멜트는 2017년 3월 7일,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9][10][11]

3. 수상 및 영예


  • 1970년 데이비슨-거머상을 받았다.
  • 1985년 럼퍼드상을 받았다.
  • 1989년 볼프강 파울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1990년 미국 업적 학회 골든 플레이트상을 받았다.[12]
  • 1995년 국가 과학 훈장을 받았다.[13]

참조

[1] 웹사이트 Dr. Hans Dehmelt's Obituary - The Co-op Funeral Home of People's Memorial http://funerals.coop[...]
[2] 뉴스 Berühmter Görlitzer Physiker ist tot http://www.sz-online[...] DDV 2017-03-16
[3] 뉴스 Hans Dehmelt, Nobel Laureate for Isolating Electrons,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17-04-09
[4] 웹사이트 Nobel Prize in Physics 1989. Press release http://nobelprize.or[...]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08-04-08
[5] 간행물 Hans Dehmelt, Nobel Laureate for Isolating Electrons,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17-04-09
[6] 뉴스 Hans Dehmelt — Nobel laureate and UW professor emeritus — has died at age 94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2017-03-21
[7] 웹사이트 Hans G. Dehmelt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017-03-15
[8] 웹사이트 Crown Princess Victoria of Sweden honors local Nobel Laureates - Seattle's Big Blog http://blog.seattlep[...] 2017-03-15
[9] 뉴스 King County deaths http://www.seattlepi[...] 2017-03-13
[10] 웹사이트 Hans Dehmelt's Obituary on The Seattle Times http://www.legacy.co[...]
[11] 웹사이트 Physicist Hans Dehmelt, the first UW professor to win a Nobel Prize, dies http://www.seattleti[...] 2017-03-23
[12]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13] 웹사이트 The President's National Medal of Science: Recipient Details https://www.nsf.gov/[...] 2017-03-15
[14] 문서 Frans Michel Penningにちなんで命名された。
[15] 웹인용 Dr. Hans Dehmelt's Obituary - The Co-op Funeral Home of People's Memorial http://funerals.coop[...] 2017-06-11
[16] 뉴스 Berühmter Görlitzer Physiker ist tot http://www.sz-online[...] DDV 2017-03-16
[17] 웹인용 Hans Dehmelt, Nobel Laureate for Isolating Electrons,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17-04-09
[18] 웹인용 Nobel Prize in Physics 1989. Press release http://nobelprize.or[...]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1989-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