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벌지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벌지 전투는 1944년 12월 16일부터 1945년 1월 25일까지 벨기에 아르덴 숲에서 독일군의 마지막 대규모 공세 작전이다. 독일군은 연합군의 보급로를 끊고 앤트워프를 탈환하여 서부 전선의 연합군을 고립시키려 했으나, 악천후와 연합군의 빠른 대응으로 실패했다. 이 전투로 연합군은 상당한 피해를 입었지만, 독일군은 결정적인 전력 손실을 겪으며 전쟁의 종말을 앞당겼다. 전투 과정에서 말메디 학살과 같은 전쟁 범죄가 발생했고, 연합군 지휘관들 간의 전략적 갈등이 드러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룩셈부르크 - 보텐플라테 작전
    보덴플라테 작전은 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이 벌지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1945년 1월 1일 연합군 공군 기지를 기습 공격한 작전으로, 전술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아군 오사 및 연합군 방어망으로 독일 공군이 큰 손실을 입어 공군력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1945년 벨기에 - 보텐플라테 작전
    보덴플라테 작전은 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이 벌지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1945년 1월 1일 연합군 공군 기지를 기습 공격한 작전으로, 전술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아군 오사 및 연합군 방어망으로 독일 공군이 큰 손실을 입어 공군력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1945년 벨기에 - 슈노뉴 학살
    슈노뉴 학살은 1944년 벌지 전투 후 벨기에 슈노뉴에서 발생한 미군의 독일군 포로 학살 사건으로, 말메디 학살에 대한 보복 심리가 작용하여 수십 명의 포로가 사살되었으며, 조지 S. 패튼 장군의 은폐 의혹과 함께 전쟁 범죄 논란을 일으켰고, 한국에서는 국가 폭력 책임 규명 문제와 연관되기도 했다.
벌지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미국 30 보병 사단 소속 군인들이 생비트에서 파괴된 M5A1
미국 117 보병 연대, 테네시 주 방위군, 30 보병 사단 소속 군인들이 생비트 탈환을 위해 진군하면서 파괴된 미국 M5A1 "스튜어트" 탱크 옆을 지나가는 모습 (1945년 1월).
시기1944년 12월 16일 – 1945년 1월 28일
장소아르덴: 벨기에, 룩셈부르크, 독일
좌표50°0′15″N 5°43′12″E
결과연합군 승리
교전 세력
연합군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나치 독일
지휘관
연합군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연합군 최고 사령관)
오마 브래들리 (12 군집단)
버나드 몽고메리 (21 군집단)
코트니 호지스 (제1군)
조지 S. 패튼 (제3군)
루이스 H. 브레레턴 (제1 연합 공수군)
독일아돌프 히틀러 (Führer und Reichskanzler)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서부 총사령관)
발터 모델 (B 군집단)
하소 폰 만토이펠 (제5 기갑군)
제프 디트리히 (제6 기갑군)
에리히 브란덴베르거 (제7군)
(제15군 사령관)
참전 부대
연합군12 군집단:


21 군집단
제1 연합 공수군
독일B 군집단:



병력 규모
연합군 (1944년 12월 16일)228,741명
483대 탱크
499대 구축전차 및 돌격포
1,921대 기타 장갑 전투 차량 (AFV)
971문 대전차포 및 포병
6개 보병 사단
2개 기갑 사단
연합군 (1944년 12월 24일)약 541,000명
1,616대 탱크
1,713대 구축전차 및 돌격포
5,352대 기타 AFV
2,408문 대전차포 및 포병
15개 보병 사단
6개 기갑 사단
1개 기갑 여단
연합군 (1945년 1월 2일)약 705,000명
2,409대 탱크
1,970대 구축전차 및 돌격포
7,769대 기타 AFV
3,305문 대전차포 및 포병
22개 보병 사단
8개 기갑 사단
2개 기갑 여단
연합군 (1945년 1월 16일)700,520명
2,428대 탱크
1,912대 구축전차 및 돌격포
7,079대 기타 AFV
3,181문 대전차포 및 포병
22개 보병 사단
8개 기갑 사단
2개 기갑 여단
독일 (1944년 12월 16일)406,342명
557대 탱크
667대 구축전차 및 돌격포
1,261대 기타 AFV
4,224문 대전차포 및 포병
13개 보병 사단 (2개 낙하산 사단 포함)
7개 기갑 사단
1개 기갑 여단
독일 (1944년 12월 24일)약 449,000명
423대 탱크
608대 구축전차 및 돌격포
1,496대 기타 AFV
4,131문 대전차포 및 포병
16개 보병 사단
8개 기갑 사단
3개 기갑 여단
독일 (1945년 1월 2일)약 401,000명
287대 탱크
462대 구축전차 및 돌격포
1,090대 기타 AFV
3,396문 대전차포 및 포병
15개 보병 사단
8개 기갑 사단
3개 기갑 여단
독일 (1945년 1월 16일)383,016명
216대 탱크
414대 구축전차 및 돌격포
907대 기타 AFV
3,256문 대전차포 및 포병
16개 보병 사단
8개 기갑 사단
2개 기갑 여단
피해 규모
연합군미국: 81,000명 (전사 8,407명, 부상 46,170명, 실종 20,905명), 탱크 800대 파괴, 항공기 약 1,000대 손실 (12월 647대 이상, 보덴플라테 작전 중 353대)
영국: 1,408–1,462+명 (전사 200–222명, 부상 969–977명, 실종 239–263명)
독일63,000~75,000+명 (미국 추정: 103,900명), 탱크/구축전차/돌격포 527–554대 손실, 항공기 약 800대 손실 (12월 최소 500대, 보덴플라테 작전 중 280대)
민간인약 3,000명 사망

2. 배경

1944년 9월 4일 영국군이 벨기에 안트베르펜을 해방했지만, 보급 거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변 독일군을 몰아내야 했기 때문에 즉시 사용하지 못했다. 그 결과 보급선이 길어져 연합군의 진격은 정지되었고 전선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9월 17일 버나드 몽고메리 장군이 마켓가든 작전을 개시하여 라인강 확보를 시도했지만, 이 작전은 지나치게 무모하여 대실패로 끝났다. 동부 전선에서도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이 폴란드 동부에서 끝나가고 있었지만, 소련군은 1944년 12월 말까지 폴란드 서부로 진격할 수 없었다.

이러한 기회를 틈타 아돌프 히틀러1940년 프랑스 전격전의 승리를 재현하고자 하는 반격 작전을 구상했다. 벨기에 아르덴 지방의 삼림 지대를 기갑부대로 돌파하여 단숨에 안트베르펜을 탈환하고, 서부 전선 북쪽의 연합군을 포위, 섬멸한다는 계획이었다. 군 수뇌부의 룬트슈테트와 발터 모델은 이 계획이 무모하다고 반대했지만 묵살되었고, 히틀러는 이 작전의 성공으로 서부 전선이 정체되고 연합군과 강화를 맺으면 동부 전선에 전력을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다른 작전안으로는 북부의 광대한 전선에 분산된 코트니 H. 호지스 장군 휘하의 미 1군을 협공하여 괴멸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는 적군 포위와 분단이 쉽고 아군의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지만, 연합군 전력의 일부를 줄이는 것 외에는 성과가 없고 전쟁의 향방을 바꿀 수 없다는 이유로 기각되었다.

작전 시기는 아르덴 숲이 안개에 휩싸이는 겨울로 정해졌다. 이미 제공권은 연합군에게 넘어갔기 때문에 항공기에 의한 격렬한 폭격으로부터 부대를 숨기기 위해서였다. 독일군은 작전에 참가할 전력으로 정예 약 20개 사단을 준비하고, 신형 티거 2 전차도 포함시켰지만, 실제로는 동부 전선에서의 피해 때문에 거의 모든 부대가 정원을 채우지 못했고, 훈련도가 낮은 국민척탄병사단까지 투입해야 할 정도였다. 군수품과 연료 부족도 심각하여 만족할 만한 양을 준비하지 못했지만, 1944년 최대치에 도달한 독일의 병기 생산량 대부분이 투입된 정예 부대에 대한 기대는 컸다.

그러나 공격을 예정대로 진행하려면 작전 도중 연합군의 보급 거점을 탈취해야 하는 등 처음부터 위험을 안고 있었다. 한 가지라도 잘못되면 작전 전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연합군 상층부는 독일군 집결 정보나 공세 징후를 보고받았지만, 독일에게는 공세에 나설 여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또한 아르덴 지방은 깊은 삼림과 산악 지대여서 기갑부대가 쉽게 통과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이 지역 방위에는 약체화된 부대를 배치했다. 이러한 판단은 훗날 통렬한 비판을 받았다. 이미 독일군 전차 부대는 1940년에 같은 지역에서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 사이를 뚫고 프랑스를 침공한 경험이 있었다.

1944년 7월 말 노르망디 돌파1944년 8월 15일 연합군의 남부 프랑스 상륙 이후, 연합군은 예상보다 빠르게 독일을 향해 진격했다. 그러나 연합군의 빠른 진격 속도는 몇 가지 군수 문제를 야기했다.


  • 병사들은 몇 주간의 지속적인 전투와 빠른 이동으로 지쳐 있었다.
  • 보급선이 극도로 늘어졌다.
  • 보급품이 위험할 정도로 고갈되었다.


1944년 12월, 미국 육군장군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서부 전선의 최고 연합군 사령관)와 그의 참모들은 아르덴 지역을 주로 미국 제1군의 휴식 지역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고, 이 지역에서의 연합군의 작전 목표는 제한적이었다.

연합군은 아르덴 선을 매우 얇게 방어했는데, 이는 지형이 방어에 유리했고 (깊은 강 계곡과 얇은 도로망을 가진 빽빽한 산악 지대), 또한 베르마흐트가 독일 국경 너머 지역을 자국 병력의 휴식 및 재정비 구역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기 때문이었다.[47]

3. 독일군의 계획

1944년 9월 중순, 히틀러는 아르덴 숲을 통과하는 공격 계획을 결정했다. 주력 부대는 서쪽으로 진격하여 뫼즈 강에 도달한 후, 북서쪽의 안트베르펜브뤼셀로 진격할 예정이었다. 신속한 이동이 가장 중요했지만, 뫼즈 강을 넘으면 해안까지 도달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작전은 연합군 첩보본부에 라인란트 방어 작전으로 오인시키기 위해 "라인을 수호하라"(Wacht am Rheinde)로 명명되었으며, 이는 독일 노래에서 따온 명칭이다.[48]

작전 투입이 결정된 4개 군은 다음과 같다.

부대지휘관역할목표
SS 6기갑군요제프 디트리히주 공격 부대, 북부 공격안트베르펜 확보[68]
5 기갑군하소 폰 만토이펠중앙 공격브뤼셀 확보[69]
7군에리히 브란덴베르거측면 지원, 남부 공격
15군최북단 배치, 미군 세력 고정 및 공격 상황 조성



공격 성공을 위해 다음 세 가지 요점이 중요했다.


  • 완전한 기습
  • 악천후 (연합군 제공권 무력화 및 보급로 확보, 폭설기)
  • 신속한 진격 (모델은 4일 내 뫼즈 강 도달 목표)


독일군은 작전 도중 연합군의 보급 거점을 탈취해야 하는 등 처음부터 위험을 안고 있었다.[70] 연합군 상층부는 독일군 집결 정보와 공세 징후를 보고받았으나, 독일에게 공세 여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또한 아르덴 지방은 깊은 삼림과 산악지대여서 기갑부대가 통과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약체화된 부대만 배치했다. 이는 1940년 독일군이 같은 지역을 통과해 프랑스를 침공했던 경험을 간과한 것으로, 전후 통렬한 비판을 받았다.[71]

히틀러는 이 작전을 통해 연합군을 분열시키고 미국과 영국이 소련과 별개로 강화 협정을 맺도록 강요할 수 있다고 믿었다.[58] 서부에서의 성공은 독일이 제트기와 같은 더 진보된 무기를 개발, 생산하고 동부에 병력을 집중할 시간을 벌어줄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연합군의 제공권 장악과 독일 공세 방해 능력 때문에 비현실적인 것으로 여겨졌다.[48]

독일 야전 지휘관들의 진격 계획 회의


몇몇 독일 고위 장교들은 공세 목표 달성 가능성에 우려를 표명했다. 모델폰 룬트슈테트는 1944년 말 독일의 부족한 자원을 고려할 때 앤트워프 점령은 너무 야심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뫼즈 강을 건너지 않는 덜 야심적인 대안 계획을 개발했다. 모델의 계획은 Unternehmen Herbstnebelde(가을 안개 작전), 폰 룬트슈테트의 계획은 Fall Martinde(마틴 계획)이었다. 두 야전 사령관은 히틀러에게 공동 "소규모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계획을 결합했지만, 히틀러는 듣지 않았다.[47] 룬트슈테트는 나중에 히틀러 작전 계획의 장점을 인정하면서도, 처음부터 "그러한 공세가 성공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았다고 증언했다.[60]

히틀러는 7월 20일 암살 미수 사건 이후 국방군에 대한 신뢰를 잃고 친위대(SS)와 그 무장 부대인 무장친위대(Waffen-SS)만을 더욱 신뢰하게 되었다. 그는 이들에게 반격을 맡겼다.[57] 그러나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SS 기갑 부대는 상당한 지휘관 사상자를 냈다. 히틀러는 공격의 핵심인 우익 측면을 최고의 SS 부대와 제프 디트리히 지휘 하의 몇몇 Volksgrenadierde 부대에게 맡겼다. 디트리히는 히틀러의 열렬한 정치적 추종자였다. 제6 기갑군의 지휘부 구성은 뚜렷한 정치적 성격을 띠었다.[58]

충성심에도 불구하고, 공세를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위임받은 독일 야전 지휘관 중 누구도 앤트워프 점령이 가능하다고 믿지 않았다. 심지어 디트리히조차도 아르덴이 기갑전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이며, 경험이 부족하고 장비가 열악한 Volksgrenadierde 병사들이 전차의 신속한 진격을 방해할 것이라고 생각했다.[53]

4. 전투의 경과

1944년 12월 23일, 날씨가 맑아지면서 연합군은 공중 폭격과 보급을 시작했다. 항공 폭격은 독일군 보급 기지에 큰 타격을 주었고, P-47 썬더볼트는 도로 위의 독일군을 공격했다. 바스토뉴에는 공중 보급으로 의약품, 식량, 담요, 탄약이 전달되었다.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외과 의사 팀이 군용 글라이더를 타고 현지에 들어가 부상자 구호에 나섰다.[1]

12월 24일, 보급선의 한계를 넘어선 독일군의 진격은 뫼즈 강 근처에서 멈췄다. 연료와 탄약 고갈이 치명적이었다. 작전 개시 이후 독일군은 무선 침묵을 해제했기 때문에 연합군 정보부는 쉽게 독일군의 위치를 파악하여 반격할 수 있었다. 이 시점에서 독일군의 손실은 파이퍼 전투단의 소모를 제외하면 경미했다. 같은 날 밤, 하소 폰 만토이펠은 작전 중지와 철수를 제안했지만, 아돌프 히틀러는 이를 거부했다.[1]

조지 S. 패튼의 제3군은 바스토뉴를 구원하기 위해 계속 전투를 벌였다. 12월 26일 16시 50분, 미국 제4 기갑 사단의 일부가 바스토뉴에 도착하여 포위를 풀었다. 1945년 1월 13일, 독일군은 바스토뉴에서 퇴각했다. 1월 23일, 독일군 사령부는 작전 중지를 결정했다. 전투는 공식적으로 1945년 1월 27일에 종료되었다.[1]

4. 1. 독일군의 초기 공세 (1944년 12월 16일 ~ 12월 25일)

1944년 12월 16일, 독일군은 벨기에 아르덴 숲을 통과해 진격을 개시했다. 끊이지 않던 악천후로 인해 연합군은 항공기를 띄울 수 없었기 때문에 독일군은 큰 도움을 받았다.[43]

갑작스러운 기습으로 허를 찔린 미들턴 장군의 미 8군은 클레르보, 호지겐 등 일부 거점에서 완강하게 저항했으나, 여단, 연대, 대대 등 고급 부대장의 전사 및 부상이 속출하여 괴멸, 포로가 되거나 포위되는 등 위급한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이 놀라움과 혼란을 틈타 벌어진 독일군의 진격은 최초 수일 동안만 계속되었을 뿐이었다. 12월 하순에 이르자, 독일군의 주력 부대는 여러 지역에서 급히 달려온 미군에 의한 강력한 저항을 만나 전진은 매우 늦어지게 되었다. 또 각 전선의 진격 속도도 큰 편차가 생겨, 속공에 성공한 부대가 포위당해 집중적인 반격을 당하는 사태가 속출했다.[43]

히틀러는 연합군이 이 사태에 대응하는 데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독일군의 대규모 공세라는 것을 인식하는 데 수일, 아이젠하워가 각국 수상과 상담하여 부대의 배치 전환을 명령하는 데 수일, 그리고 배치 전환 명령을 받은 부대가 현지에 도달하는 데 수일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이 정도 시간이 걸린다면 작전은 틀림없이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연합군의 반응은 히틀러의 예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빨랐다. 또한 아이젠하워의 결단도 빨랐다. 그는 각국 수뇌 등과 상담하지 않고, 부대의 배치 전환을 단행하고, 당시 프랑스에서 재건 중이던 101 공수사단을 바스토뉴로, 82 공수사단을 생비트로 급히 보냈다. 히틀러의 생각은 첫날부터 어긋나게 된 것이다.[43]

북부에서는 SS 6기갑군의 주력인 4,800명의 병사와 600대의 차량으로 이루어진, 요아힘 파이퍼 SS중령이 이끄는 파이퍼 전투단이 벨기에 서부로 진출했다. 12월 17일 07:00시에 그들은 뷰리겐의 미군의 연료 보급 기지를 확보하고, 서쪽으로 진격에 앞서 연료를 재보급하는 데 성공했다. 12:30분 말메디와 리누빌 사이의 고지, 보호즈 마을 근처에서 285 포병 관측 대대와 조우했다. 소규모 전투 후 미군 부대는 항복하고, 포로 약 150명이 무장 해제되어 십자로 부근 들판에 8열 횡대로 세워졌다. 이어 기관총 사격으로 최소 84명이 사살되었다.[43]

훗날 재판에서 검찰 측 기록에 의하면 기갑 부대를 지휘하던 장교의 명령에 의해 곧 1명의 전차병이 포로를 피스톨로 쏘았고, 계속해서 다른 병사들이 기관총으로 총격을 가했다고 전해진다. (다만 이 [공식 견해]에 대해선 여러 가지 모순과 의문이 남아있다)[43]

진실은 끝내 밝혀지지 않았지만, 실제 도망을 준비한 포로에 대해 위협 발포에 의해 패닉이 발생하고 뒤이어 도망치려는 포로들을 쏜 것이 아닌가 하는 설도 있다. 최후까지 아직 숨이 붙어있던 자들을 돌면서 죽인 자들도 있다고 하나, 그들은 이전에 데렌의 마을에서 미군의 폭격 앞에 희생된 벨기에 민간인의 무참한 시체를 처리하고, 또 전투 경험이 낮은 자들도 많아 미군 병사에 대한 증오에 의한 사적인 보복 가능성도 있다.[43]

전후 파이퍼 SS중령은 체포되어 말메디 학살 사건의 책임을 묻는 재판이 열려 파이퍼를 포함한 친위대 대원 43명이 사형 선고를 받았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전반적 특사로 무기 징역으로 감형되었고 56년까지 모두 석방되었다.[43]

전투는 계속되었고, 1 SS기갑사단 LSSAH 사단은 밤까지 미 99보병사단을 공격해 이들을 격파했다. 파이퍼 전투단은 스다부로에 도착했다.[43] 파이퍼는 12월 18일 스타벨롯에 들어갔으나, 미군 방어 부대의 격렬한 저항을 받았다. 미군의 배제는 어려웠기에 그는 소부대를 마을에 남기고, 트로와퐁의 다리로 향했다. 그러나 다리는 퇴각하는 연합군에 의해 파괴된 뒤였다. 파이퍼는 라 그레즈에서 스토몽으로 향했다. 파이퍼의 접근을 알아챈 미군 공병 부대는 다리를 폭파하고, 미군은 참호를 파고 전투 준비에 들어갔다.[43]

파이퍼 전투단은 독일군 주력과 단절되고, 미군이 스타부로를 탈환하자 보급에도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스토몽의 상황은 절망적이었고, 파이퍼는 라 그레즈로 후퇴해 방어 진지에서 구원 부대를 기다리기로 결정했다. 구원 부대는 연합군의 방어를 돌파하지 못했고, 12월 23일 파이퍼는 퇴각을 결정했다. 전투단은 그들의 귀중한 차량 및 전차 등의 장비를 버리고 도보로 탈출했다.[43]

생 비트의 중심부는 중요한 도로의 교차 지점이어서 폰 만토이펠과 디트리히 부대의 주요 목표였다. 방어 부대는 미군 제 7기갑사단에 제 106보병사단과 제 9기갑사단, 제 28보병사단의 일부가 합쳐져 있었다. 브루스 C 클라크 장군 지휘하의 이 부대는 독일군의 공격에 저항하여 진격을 최대한 늦추었다. 독일군은 12월 21일이 되어서 겨우 생 비트를 확보했으나, 미군의 저항은 계속되었기에 참호로 퇴각했다. 12월 23일까지 독일군은 그들의 측면을 분쇄하고, 미군은 세므강의 서쪽으로 퇴각했다. 독일 측이 계획은 12월 17일 18:00까지 생 비트를 확보하는 것이었으나, 계획의 지연으로 작전 진행에 커다란 타격을 입게 되었다.[43]

12월 19일 연합군 상급 지휘관들은 베르됭 요새의 지하 기지에서 회의를 가졌다. 아이젠하워는 패튼에게 제 3군을 북부에 대한 반격에 나서게 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패튼은 48시간 안에 가능하다고 답했다. 실제 패튼은 회의에 출석하기 전 부하에게 북부에 대한 반격을 준비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아이젠하워가 물었을 때 이미 그 일은 진행되고 있었다.[43]

12월 21일 코콧트 장군의 제26국민척탄병사단을 주력으로 한 독일군은 연합국의 방어선을 돌파하고 제일 먼저 도착하여 전주 방위 진지를 구축하여, 미 육군 제 101 공정사단 및 제 10기갑사단의 일부가 수비하던 바스토뉴를 완전히 포위했다. 수비대의 책임자였던 제 101 공정사단장 대리 안소니 맥컬리프 준장은 독일군의 항복 권고에 대해 “NUTS!”라고 답하고 부관이 그 말을 그대로 편지에 적어서 공식 회답으로 독일군에게 보낸 유명한 일화가 있다.(당시 사단장 맥스웰 D 테일러 장군은 회의 때문에 부대를 떠났었고, 사단장 대리인 맥컬리프 준장이 지휘를 맡고 있었다)[43]

독일군은 몇 군데 개별 지점에 대해 순차적으로 공격을 집중했다. 이것은 방어 측에게 공격이 격퇴되면 끊이지 않고 증원을 보내 이를 강화했으나, 한편으론 독일군의 병력 수의 이점이 사라져 버리게 되었다. 결국 독일군은 조기 바스토뉴 공략은 실패했고, 귀중한 며칠을 낭비하여 바스토뉴를 포위한 채 서쪽으로 진격해야만 했다. 남은 부대는 그 후 몇 차례 바스토뉴에 대한 공격에 나섰으나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했다.[43]

4. 2. 연합군의 반격 (1944년 12월 26일 ~ 1945년 1월 25일)

12월 18일, 파이퍼는 스타벨롯에 진입했지만 미군 방어 부대의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다. 미군을 몰아내기 어렵다고 판단한 그는 소규모 부대를 마을에 남겨두고 트로와퐁의 다리로 향했지만, 다리는 이미 퇴각하는 연합군에 의해 파괴된 후였다. 파이퍼는 라 그레즈를 거쳐 스토몽으로 이동했다. 파이퍼의 접근을 알아챈 미군 공병 부대는 다리를 폭파했고, 미군은 참호를 파고 전투 준비에 들어갔다.[1]

파이퍼 전투단은 독일군 주력과 단절되었고, 미군이 스타부로를 탈환하면서 보급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스토몽에서의 상황은 절망적이었고, 파이퍼는 라 그레즈로 후퇴하여 방어 진지에서 구원 부대를 기다리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구원 부대는 연합군의 방어를 뚫지 못했고, 12월 23일 파이퍼는 퇴각을 결심했다. 전투단은 귀중한 차량과 전차 등의 장비를 버리고 도보로 탈출했다.[1]

12월 19일, 연합군 상급 지휘관들은 베르됭 요새의 지하 기지에서 회의를 가졌다. 아이젠하워패튼에게 제3군을 북쪽으로 이동시켜 반격에 나설 수 있는지 물었고, 패튼은 48시간 안에 가능하다고 답했다. 실제로 패튼은 회의에 참석하기 전에 부하들에게 북쪽으로 반격을 준비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아이젠하워가 질문했을 때는 이미 그 일이 진행 중이었다.[1]

12월 21일, 코콧트 장군의 제26국민척탄병사단을 주력으로 한 독일군은 연합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고 가장 먼저 도착하여 방어 진지를 구축, 미 육군 제101공정사단 및 제10기갑사단의 일부가 방어하던 바스토뉴를 완전히 포위했다. 방어 책임자였던 제101공정사단장 대리 앤서니 맥컬리프 준장은 독일군의 항복 권고에 대해 “NUTS!”라고 답했고, 부관이 그 말을 그대로 편지에 적어 공식 회답으로 독일군에게 보낸 유명한 일화가 있다. (당시 사단장 맥스웰 D. 테일러 장군은 회의 때문에 부대를 떠났고, 사단장 대리인 맥컬리프 준장이 지휘를 맡고 있었다.)[1]

독일군은 여러 지점에 순차적으로 공격을 집중했다. 이는 방어 측에 지속적인 증원을 가능하게 했지만, 한편으로는 독일군의 병력 수 우위를 상쇄시켰다. 결국 독일군은 바스토뉴 조기 공략에 실패했고, 귀중한 시간을 낭비하며 바스토뉴를 포위한 채 서쪽으로 진격해야 했다. 남은 부대는 이후 몇 차례 바스토뉴를 공격했지만 방어선을 뚫지 못했다.[1]

12월 23일, 날씨가 맑아지면서 연합군은 공중 폭격과 보급을 시작했다. 항공 폭격은 독일군 보급 기지에 큰 타격을 주었고, P-47 썬더볼트는 도로 위의 독일군을 공격했다. 또한 바스토뉴에는 공중 보급으로 의약품, 식량, 담요, 탄약이 전달되었다.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외과 의사 팀이 글라이더로 현지에 들어가 부상자 구호에 나섰다.[1]

12월 24일, 보급선의 한계를 넘어선 독일군의 진격은 뫼즈 강 근처에서 멈췄다. 연료와 탄약 고갈이 치명적이었다. 작전 개시 이후 독일군은 무선 봉쇄를 해제했기 때문에 연합군 정보부는 쉽게 독일군의 위치를 파악하여 반격할 수 있었다. 이 시점에서 독일군의 손실은 파이퍼 전투단의 소모를 제외하면 경미했다. 24일 밤, 하소 폰 만토이펠은 작전 중지와 철수를 제안했지만, 히틀러는 이를 거부했다.[1]

패튼의 제3군은 바스토뉴를 구원하기 위해 계속 전투를 벌였다. 12월 26일 16시 50분, 제4기갑사단의 일부가 바스토뉴에 도착하여 포위를 풀었다. 1월 13일, 독일군은 바스토뉴에서 퇴각했다. 1월 23일, 독일군 사령부는 작전 중지를 결정했다. 전투는 공식적으로 1945년 1월 27일에 종료되었다.[1]

5. 특수 작전

오토 스코르체니 친위대 중령이 이끄는 제150 기갑여단은 미군 군복을 착용하고 영어를 구사하는 병사들이 노획한 연합군 차량과 연합군 차량으로 위장한 차량을 사용하여 적 후방 지역에 침투했다. 실제로 완벽하게 영어를 구사하고, 그곳에서 태어나 후방 지역 침투가 가능한 이는 20여 명 정도였지만, 이러한 부대의 존재는 그 행동 이상의 혼란을 발생시켰다.[116] (본대는 뫼즈 강에 놓인 다리 확보에 실패했다.) 미군 병사 군복을 착용한 독일 병사의 존재 소문은 삽시간에 퍼져나갔고, 조지 패튼 장군도 이 소문을 듣고 놀라 12월 17일 아이젠하워 장군에게 "완벽한 영어를 구사하는 독일군들이 여러 곳에 출몰하여 전화선을 절단하거나, 도로 표지판을 바꿔 아군 방어 거점에 도착할 수 없게 혼란을 주고 있다"라고 보고했다.

체포된 독일 병사는 미군 군복을 착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 그 자리에서 스파이로 간주되어 총살되었다. 제네바 조약에 따르면 군복 착용 관련 항목과 전쟁 포로 취급에 모순이 있었지만, 당시 총살은 일반적인 행위였다. 스코르체니와 부하들은 이러한 처벌을 각오하고 있었기에 미군 군복 안에 독일군 군복을 착용했다.

후방 지역에서 방해 공작 중이던 몇몇 병사들은 연합군에 체포되었으나, 이미 각오를 다진 그들은 최후까지 거짓 자백을 하여 연합군에게 혼란을 주었다. 심문 과정에서 그들은 파리에 있는 아이젠하워 유괴 및 살해가 목적이라고 답했고, 이에 아이젠하워의 호위는 대폭 증가하여 그는 사령부에서 나올 수 없게 되었다. 한편, 그들은 "부대 지휘관은 스코르체니"라고 정직하게 자백했다. 이는 정직한 답변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판단이었을 수도 있다. 현실적으로 파리에 침투하여 아이젠하워가 있는 곳에 도달하는 것은 무리한 작전이었지만, 이전까지 불가능해 보이는 작전을 성공시킨 스코르체니가 지휘하고 있었기에 연합군은 이 자백에 속아 넘어갔다.

결과적으로 후방 지역 곳곳에 검문소가 설치되어 병력과 장비 이동이 정체되었다. 야전 헌병은 미국인이라면 누구나 알 법한 질문( 미키 마우스의 여자 친구 이름, 유명 야구 경기 점수, 일리노이 주 주도 등)을 모든 병사에게 엄격하게 했다. 오마 브래들리 장군은 일리노이 주 주도를 스프링필드라고 정확하게 답했으나, 헌병은 주도를 시카고로 오인했기 때문에 짧은 시간 억류되기도 했다. (일리노이 주 최대 도시는 시카고이므로 많은 미국인이 오해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으로 '유럽에서 가장 위험한 인물'이라는 별명이 붙은 스코르체니는 이 작전이 실패했다고 말했다. 첫날 달성하려던 목적은 어느 정도 달성되었고, 부대 존재가 밝혀진 이상 작전을 고집하는 것도 의미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스코르체니는 작전을 중지시키고 제150 기갑사단 병사들을 통상 군복으로 갈아입힌 후, 일반 기갑여단으로서 전투에 투입시켰다.

슈퇴서 작전(Operation Stösser)은 고지대 펜스(link=no|Hautes Fagnes프랑스어; link=no|Hohes Vennde; ) 지역의 미국 후방에 대한 공수 작전이었다. 목표는 "바라크 미셸" 교차로였다. 이 작전은 오버스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프라이헤어 폰 데어 하이테가 지휘했으며, 독일인들은 그를 크레타 전투의 영웅으로 여겼다.[113]

이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강하엽병의 유일한 야간 강하 작전이었다. 하이테는 공격 전 준비 시간이 8일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연대를 사용할 수 없었는데, 이동 시 연합군에게 임박한 반격을 알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대신 800명 병력으로 구성된 ''전투단(Kampfgruppe)''을 받았다. 제2 공수군단은 각 연대에서 100명 병력을 지원하도록 지시받았다. 지휘관에 대한 충성심으로 하이테 부대인 제6 공수 연대에서 150명 병력이 명령을 어기고 합류했다.[113] 이들은 부대 결속력을 확립하거나 함께 훈련할 시간이 거의 없었다.

공수 작전은 완전히 실패했다. 하이테는 결국 약 300명 병력만 확보했다. 연합군에 대항하기에는 너무 적고 약했기에 교차로 점령 계획을 포기하고 임무를 정찰로 전환했다. 단 한 번의 전투에 충분한 탄약만 가지고 독일로 후퇴하여 미군 후방을 공격했다. 지친 병력 중 약 100명만이 결국 독일 후방에 도달했다.[114]

6. 한국의 관점

한국에서는 "벌지 전투"가 일반적이지만, "벌지 대작전"이라고 하는 자료도 존재한다. 이 전투를 다룬 전쟁 영화의 한국어 제목은 『벌지 대작전』으로 번역되었다.[47]

7. 전투의 결과 및 영향

1944년 12월 16일부터 1945년 1월 27일까지 벌어진 벌지 전투는 연합군과 독일군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연합군은 다수의 전력을 잃어 진공 계획을 수개월 간 늦추게 되었으나, 손실된 전력을 보충할 수 있었다.
  • 독일군은 결정적인 패배와 손실을 입어 전쟁 종결이 빨라지게 되었다.
  • 방어를 굳히지 않고 공세에 나섰던 독일군의 핵심 병력이 보급이 끊어져 궤멸당했기에, 연합군의 피해는 최소화되었다.
  • 독일은 동부전선에 군을 돌릴 여력도 없어졌기에, 소련의 진격 속도를 8일 빠르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연합군은 빠른 진격 속도와 깊은 수심의 항구 부족으로 인해 주요 보급 문제를 겪었다.[8] 앤트워프 항구는 9월 초에 점령했지만, 셸데강 하구의 독일군과 기뢰를 제거해야 했기에 11월 28일까지 작전을 시작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과 버나드 몽고메리 원수 사이에 보급품 우선 배분 문제로 의견 차이가 발생했다.

레드 볼 익스프레스라는 트럭 시스템은 최전선 부대에 보급품을 운송했지만, 벨기에 국경 근처의 최전선까지 이동하는 데 연료를 5배나 더 사용했다. 10월 초, 연합군은 주요 공세를 중단하고 보급선 개선에 집중했다.

오마 브래들리 중장과 몽고메리는 각자의 군대가 개별 진격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급품의 우선 배송을 요구했지만, 아이젠하워는 광범위한 전선 전략을 선호했다. 연합군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독일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는 혼란스러운 독일군을 일관된 방어 부대로 재편성할 수 있었다.

마켓 가든 작전은 목표의 일부만 달성했으며, 영토 획득으로 연합군의 보급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10월, 제1 캐나다군은 셸데 전투에서 싸워 앤트워프 항구를 개방했고, 그 결과 10월 말까지 보급 상황이 다소 완화되었다.

셸데 전투 이후 전선에 소강 상태가 있었지만, 독일의 상황은 여전히 ​​심각했다. 가을에도 작전이 계속되었지만, 서부의 전략적 상황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연합군은 독일로 천천히 진격하고 있었지만 결정적인 돌파구는 달성되지 않았다.

아돌프 히틀러는 1944년 9월 16일 장군들에게 반격 계획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목표는 발터 모델의 B 집단군으로 미 제1군 전선을 돌파하고, 넷째 날까지 안트베르펜과 셸데 강 서쪽 둑을 점령하는 것이었다.

히틀러는 동부 전선에서는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없다고 판단했지만, 서방 연합군을 상대로 한 공세는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믿었다. 서부에서의 성공은 독일이 더 진보된 무기를 설계하고 생산할 시간을 벌어주고, 동부에 병력을 집중할 수 있게 해줄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유럽 전역에서 연합군의 제공권 장악과 지속적인 독일 공세 작전 방해 능력 때문에 비현실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모델과 폰 룬트슈테트는 1944년 말 독일의 부족한 자원을 고려할 때 앤트워프를 목표로 하는 것은 너무 야심적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뫼즈 강을 건너지 않는, 덜 야심적인 대안 계획을 개발했지만, 히틀러는 들으려 하지 않았다.

독일 국방군의 이 공세 작전 암호명은 Unternehmen Wacht am Rheinde(라인강 방어 작전)이었으며, 독일 애국가 라인강의 경계de(Die Wacht am Rhein)에서 따온 이름이었다.

벌지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에게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였다. 미 육군 제1군과 제3군의 사상자는 75,482명(사망 8,407명, 부상 46,170명, 실종 20,905명)으로 집계되었다. 미국 육군부의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아르덴-알자스" 캠페인 전체에서 105,10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여기에는 사망 19,246명, 부상 62,489명, 포로 또는 실종 26,612명이 포함되었다.

독일 고등 사령부는 1944년 12월 16일부터 1945년 1월 25일까지 서부 전선에서 81,834명에서 98,024명의 손실을 입었다고 추정했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수치는 81,834명이다.

독일군은 완전히 기습하여 공세를 시작하고 초기에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서부 전선에서 주도권을 잡지는 못했다. 연합군 최고 사령부는 1945년 1월 초에 공세를 재개할 계획이었지만, 전선의 예상치 못한 변화로 인해 이 계획은 1945년 1월 29일까지 연기되었다.

연합군은 전투 이후 그들의 이점을 활용했다. 1945년 2월 초까지, 전선은 대략 1944년 12월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있었다. 2월 초, 연합군은 서부 전선 전체에서 공격을 시작했다.

전투에서 독일군의 손실은 특히 치명적이었다. 그들의 마지막 예비군은 소진되었고, 루프트바페(Luftwaffe)는 궤멸되었으며, 서부 전역의 잔여 병력은 지크프리트 선을 방어하기 위해 후퇴했다.

공세의 초기 성공에 대응하여, 1월 6일 윈스턴 처칠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연락하여 소련군이 동부 전선에서 독일군을 압박하도록 요청했다. 1월 12일, 소련군은 대규모 비스와-오데르 공세를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대부분의 미국 흑인 병사들은 여전히 정비 또는 지원 병과에 복무하거나 분리된 부대에 배치되었다. 벌지 전투 기간 동안 병력 부족으로 인해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처음으로 이들의 통합을 결정했다. 이것은 통합된 미국 군대로 가는 중요한 단계였다. 2,000명 이상의 흑인 병사들이 자원하여 최전선으로 갔다.

독일군은 공식적으로 이 공세를 암호명 Unternehmen Wacht am Rheinde '라인 강 감시 작전'으로 불렀고, 연합군은 이를 아르덴 반격 작전으로 지정했다. "벌지 전투"라는 문구는 전쟁 당시 뉴스 지도에서 독일 전선의 돌출부를 묘사하기 위해 당시 언론에서 만들어졌으며, 이 전투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이름이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미국 육군은 북서부 유럽 작전에 참여한 부대와 개인에게 아르덴-알자스 전역 공로 훈장 형태로 전투 공로를 수여했다.

8. 논란

제프 디트리히가 이끄는 제6 기갑군은 최북단 공격로를 이끌었다.


북부에서 제6 기갑군의 공격은 미군 제2 및 제99 보병 사단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혀 큰 피해를 입었다.[88] 요아힘 파이퍼가 이끄는 파이퍼 전투단은 로스하임 간극을 통과하는 핵심 경로를 점령해야 했지만, 독일 공병이 수리하지 못한 붕괴된 육교 때문에 진격이 지연되었다.[89] 란제라트에서 99 보병 사단의 정찰 소대와 항공 통제관은 약 500명의 독일 공수 부대원들을 저지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늦췄다.[90]

오토 스코르체니는 그리프 작전에서 미군 군복을 입은 독일군 부대를 연합군 후방에 침투시켰다.[91] 이들은 교량 점령에는 실패했지만, 혼란을 야기하여 소문이 퍼져나갔다.[92] 조지 패튼 장군도 경계했고,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장군은 독일군이 난리를 피우고 있다고 묘사했다.[93]

연합군 후방 곳곳에 검문소가 설치되어 병력과 장비 이동이 늦춰졌다.[94] 미국 군사 경찰은 병사들에게 미국 관련 질문을 했지만, 많은 병사들이 답하지 못했다.[95] 오마 브래들리 장군은 일리노이주의 수도를 잘못 알고 있는 군사 경찰에 의해 잠시 구금되기도 했다.[96]

강화된 보안으로 독일 침투자들은 어려움을 겪었고, 다수가 체포되었다.[97] 심문 중에도 허위 정보를 퍼뜨렸고, 일부는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장군 암살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98] 아이젠하워 주변 경계가 강화되었고, 그는 사령부에 갇혔다.[99] 스코르체니의 부하들은 미군 군복을 입고 체포되어 스파이로 처형되었다.[100] 스코르체니는 전쟁의 계략이라고 들었다고 말했지만, 다하우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스페인과 남아메리카로 이주했다.[101]

아돌프 히틀러영국군미군 지휘부 사이에 단층선이 존재하며, 서부 전선에 강력한 타격을 가하면 동맹이 무너질 것이라고 믿었다.[102] "라인강의 방어" 작전 계획은 은밀성과 압도적인 병력 투입을 강조했고, 독일 내 통신망 사용, 오토바이 연락병, 히틀러의 위협으로 인해 공격 시기와 규모는 울트라 암호 해독가들에게 탐지되지 않았다.[103]

정규 독일군 장교들의 암살 시도 이후, 히틀러는 나치당의 친위대(SS)와 무장 친위대만을 더욱 신뢰하게 되었고, 이들에게 반격을 맡겼다.[104] 그러나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SS 기갑 부대는 상당한 지휘관 사상자를 냈고, 쿠르트 마이어도 체포되었다.[105] 히틀러는 공격의 핵심인 우익 측면을 최고의 SS 부대와 제프 디트리히 휘하의 Volksgrenadier|국민척탄병de 부대에게 맡겼다.[106] 디트리히는 히틀러의 추종자였고, 제6 기갑군의 지휘부 구성은 정치적 성격을 띠었다.[107]

충성심에도 불구하고, 공세를 위임받은 독일 야전 지휘관들은 앤트워프 점령이 불가능하다고 믿었다.[108] 디트리히는 아르덴이 기갑전에 부적합하며, 국민척탄병 병사들이 전차의 진격을 방해할 것이라고 생각했다.[109] 실제로, 그들의 말이 끄는 포병과 로켓 부대는 기갑 부대의 장애물이 되었다.[110] 디트리히는 히틀러에게 반대했지만, 발터 모델과 하소 폰 만토이펠은 미국 제1군을 포위하는 제한적인 공세가 최선이라고 말했다.[111]

독일 참모진의 공격 계획과 조직은 훌륭했다.[112] 대부분의 부대는 탐지되지 않은 채 출발점에 도달했고, 잘 조직되고 보급을 받았지만, 연료를 위해 미국 유류 저장소를 점령하는 데 의존했다.[113] 전투가 진행되면서, 디트리히는 쌍둥이 마을에 대한 기갑 공격을 중단하고 진격 방향을 바꿨다.[114] 엘센본 능선으로의 돌격은 지원을 받지 못했고, 디트리히의 결정은 미국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115]

원수 몽고메리


장군 아이젠하워, 연합군 최고 사령관


장군 브래들리


영국군미군 고위 지휘부 사이의 분열 중 하나는 아이젠하워가 광범위한 전선으로 진격하려는 의지였다.[116] 이 견해는 앨런 브루크 원수와 몽고메리 원수의 반대에 부딪혔는데, 몽고메리는 자신의 지휘 하에 좁은 전선으로 진격하고 다른 연합군 부대는 예비대로 두는 방안을 지지했다.[117]

아이젠하워는 군사적, 정치적 현실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렸다.[118] 독일의 연합군 점령 구역은 1944년 2월에 합의되었고, 연합군이 더 빠르게 진격했더라도 상황은 바뀌지 않았을 것이다.[119] 또한 소련은 독일의 붕괴로 이득을 봤을 것이고, 일본과의 전쟁 참여는 바람직했다.[120] 연합군의 병참 체계가 좁은 전선 전략을 지원할 만큼 충분한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고,[121] 지형과 병참의 현실은 반대 논거였으며, 좁은 전선 진격이 실패했을 경우의 결과는 심각했을 것이다.[122]

프랜시스 드 갱강 소장은 전후 회고록에서 정치적, 행정적 이유로 몽고메리의 좁은 전선 전략에 반대했다고 밝혔다.[123]

몽고메리는 독일군의 공격에 대한 대응 방식에서 미국 지휘부와 의견 차이를 보였고, 그의 공개 발언은 미국 고위 지휘부에 긴장을 조성했다.[124] 프레디 드 구잉강 소장은 12월 30일에 개인적으로 의견 불일치를 완화했다.[125]

아르덴 공세가 전개되면서 독일군의 돌파구 북쪽 어깨에 위치한 미 제1군(호지스)과 미 제9군(심슨)은 인접 부대 및 브래들리의 사령부와의 통신이 두절되었다.[126] 12월 20일, 아이젠하워는 미 제1군과 제9군의 지휘권을 브래들리로부터 몽고메리에게 일시적으로 이양했다.[127] 미 제1군의 지휘권은 1945년 1월 17일에, 미 제9군의 지휘권은 1945년 4월 4일에 미 제12군 집단으로 각각 반환되었다.[128]

몽고메리는 12월 20일에 자신이 발견한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 제1군은 필사적으로 싸우고 있었다. [...] 나는 벌지의 북쪽 측면이 매우 혼란스럽다는 것을 알았다. [...]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북쪽 측면의 전투를 "하나의 전체"로 보고, 중요한 지역이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반격을 위한 예비대를 만드는 것이었다. 나는 이러한 조치를 시작했다. [...]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상황이 유지되었고, 마침내 회복되었다. 브래들리는 제3군과 함께 벌지의 남쪽 측면에서도 유사한 조치를 취했다.[129]

12월 16일에 부과된 보도 통제로 인해 몽고메리로의 지휘권 변경은 SHAEF가 이 지휘권 변경이 "세 명의 미국 장군의 실패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발표할 때까지 공개 정보가 되지 않았다.[130] 이 발표는 영국 신문과 ''스타스 앤드 스트라이프스''의 헤드라인으로 이어졌고, 이는 처음으로 전투에 대한 영국의 기여를 언급했다.[131]

몽고메리는 윈스턴 처칠에게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기자 회견을 열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했다.[132] 그의 참모 중 일부는 기자 회견이 몽고메리의 이미지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했지만, CIGS인 앨런 브루크가 승인했다.[133] 그는 몽고메리가 조언을 받아들일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었을 것이다.[134]

1월 7일 히틀러의 철수 명령이 내려진 날, 몽고메리는 존호벤에서 기자 회견을 열었다.[135] 몽고메리는 미국 군인들의 "용기와 뛰어난 전투 능력"에 대한 찬사로 시작하여, 전형적인 미국인을 "위대한 군인을 만드는 전투에서의 끈기를 가진 매우 용감한 전사"로 묘사하고, 연합군의 팀워크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아이젠하워를 칭찬하며 "팀워크는 전투에서 승리하고, 전투 승리는 전쟁에서 승리합니다. 우리 팀의 주장은 아이크 장군입니다."라고 말했다.[136]

그 후 몽고메리는 30분 동안 전투의 경과를 설명했다.[137] 연설의 끝에서 그는 "영국군 집단의 모든 가용 병력을 투입했다. 이 병력은 매우 점진적으로 투입되었다... 마침내 큰 소리와 함께 전투에 투입되었다... 따라서 당신은 어려운 타격을 입은 미국인들의 양쪽에서 싸우는 영국군의 모습을 보게 된다."라고 말했다.[138] 그는 자신이 (즉, 독일군을) "저지했고... 쫓아냈으며... 제거했다... 이 전투는 내가 지금까지 처리해 본 전투 중에서 가장 흥미롭고, 아마도 가장 흥미롭고 까다로운 전투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139]

미국 군인에 대한 긍정적인 언급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미국 군 수뇌부의 귀에는 몽고메리가 캠페인의 성공에 대한 주된 공로를 차지하고 포위된 미국인들을 구출하는 데 책임이 있다는 인상을 주었다.[140]

그의 발언은 자화자찬으로 해석되었으며, 특히 상황이 "악화되기 시작했을" 때 아이젠하워가 그에게 북쪽 지휘를 맡겼다는 주장이 그랬다.[141] 패튼과 아이젠하워는 아르덴에서 영국군과 미국군의 전투 분담에 대한 왜곡된 표현(영국군 병사 1명당 30~40명의 미국인이 참전)이며, 브래들리, 패튼 및 다른 미국 지휘관들이 한 역할을 폄하한다고 느꼈다.[142] 패튼과 몽고메리의 잘 알려진 반목을 고려할 때, 몽고메리가 아이젠하워 외에는 어떤 미국 장군의 기여도 언급하지 않은 것은 모욕적인 것으로 여겨졌다.[143] 실제로 브래들리와 그의 미국 지휘관들은 몽고메리에게 제1군과 제9군 지휘가 주어진 시점에는 이미 반격을 시작하고 있었다.[144]

몽고메리는 자신의 지휘에만 집중하며 반격이 매우 잘 진행되었다고 계속 말했지만, 1월 3일 공격을 늦춘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145] 그는 나중에 이를 북부 전선의 더 많은 준비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146] 처칠에 따르면, 패튼의 남쪽에서의 공격은 꾸준했지만 느렸고 막대한 손실을 입었으며, 몽고메리는 이러한 상황을 피하려 했다.[147] 모어록은 몽고메리가 연합군 지상군의 전체 지휘관으로서 베를린으로 가는 "단일 돌격 작전"을 지휘하는 데 몰두했고, 그에 따라 아르덴 반격을 "최소한의 노력과 자원 지출로 끝내야 하는 부차적인 일"로 취급했다고 말한다.[148]

많은 미국 장교들은 이미 몽고메리를 싫어하게 되었는데, 그들은 그를 지나치게 신중한 지휘관, 오만하며 미국인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은 발언을 서슴지 않는 인물로 보았다.[149] 그러나 1945년 1월 18일, 처칠은 의회에서 "미국군은 거의 모든 전투를 수행했다"라고 말했다.[150] 그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이야기를 할 때, 의심할 여지 없이 전쟁에서 가장 위대한 미국의 전투이며, 앞으로도 영원히 유명한 미국 승리로 여겨질 싸움에서 영국군이 과도한 몫을 주장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151]

몽고메리는 나중에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이렇게 썼다.[152] "당시의 민감한 감정 상태에서 이 회의를 여는 것 자체가 실수였을 뿐만 아니라, 내가 말한 내용은 적에 의해 교묘하게 왜곡되었다."[153] BBC 특파원 체스터 윌모트는 "그에 대한 BBC로의 나의 전보는 독일 무선에 의해 가로채졌고, 반미적 편견을 주기 위해 다시 쓰여졌으며, 당시 괴벨스의 손에 있던 아른헴 라디오를 통해 방송되었다.[154] 브래들리 사령부에서 모니터링된 이 방송은 BBC 송신으로 오인되었고, 이 왜곡된 텍스트가 소동을 일으켰다."[155]

몽고메리는 나중에 "왜곡되었든 아니든, 나는 그 기자 회견을 열지 말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156] 당시 미국 장군들의 나에 대한 감정이 너무 컸기 때문에 내가 무엇을 말하든 틀렸을 것이다.[157] 그러므로 아무 말도 하지 말았어야 했다."[158] 아이젠하워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이렇게 언급했다.[159] "몽고메리가 일부 미국 지휘관들이 얼마나 분개했는지 깨달았는지 의심스럽다.[160] 그들은 그가 자신들을 깎아내렸다고 믿었고, 상호적인 경멸과 멸시를 표명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161]

브래들리와 패튼 모두 몽고메리의 지휘권을 변경하지 않으면 사임하겠다고 위협했다.[162] 아이젠하워는 영국 부관 아서 테더의 격려를 받아 몽고메리를 해임하기로 결정했다.[163] 몽고메리와 아이젠하워의 참모장인 구잉강과 월터 스미스의 중재로 아이젠하워는 재고하게 되었고 몽고메리는 사과할 수 있었다.[164]

전쟁 후 아르덴에서 제5기갑군을 지휘했던 만토이펠은 전쟁 범죄로 재판을 받기 위해 수감되었다.[165] 이 기간 동안 그는 독일 장군의 입에 말을 넣고 "역사적 기록을 다시 쓰려고" 시도했다는 비난을 받은 영국 작가 B. H. 리델 하트와 인터뷰를 했다.[166] 통역을 통해 여러 번의 인터뷰를 진행한 후, 리델 하트는 이후 저서에서 만토이펠에게 아르덴 전투에서 몽고메리의 기여에 대한 다음 진술을 귀속시켰다.[167]

> 미국 제1군의 작전은 일련의 개별 방어 행동으로 발전했다. 상황을 회복하는 데 대한 몽고메리의 기여는 일련의 고립된 행동을 명확하고 뚜렷한 계획에 따라 수행된 일관된 전투로 전환한 것이었다. 그가 성급하고 부분적인 반격을 하지 않도록 거부한 덕분에 미국은 예비대를 모으고 독일의 돌파 확장을 좌절시킬 수 있었다.[168]

그러나 1997년에 집필한 미국 역사가 스티븐 앰브로스는 "몽고메리를 북쪽 측면의 지휘관으로 임명한 것은 전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라고 주장했다.[171] 앰브로스는 다음과 같이 썼다.[172] "승리를 지휘하기는커녕, 몽고메리는 모든 사람의 길을 막았고, 반격을 망쳤다."[173] 브래들리는 몽고메리의 "침체된 보수주의"를 아이젠하워의 명령에 따라 반격하지 못한 이유로 지목했다.[174]

블레츨리 파크(Bletchley Park)에서 F. L. 루카스(F. L. Lucas)와 피터 칼보코레시(Peter Calvocoressi)는 Hut 3 소속으로 아치볼드 나이(Archibald Nye) 장군(참모총장이 설립한 조사단의 일원)의 지시를 받아, 전투 전 울트라 정보 처리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175] 보고서는 "울트라가 좀 더 신중하게 고려되었다면 값비싼 패배를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라고 결론 내렸다.[176] "울트라 정보는 풍부하고 유익했지만, 모호함이 완전히 없지는 않았고, 잘못 해석되고 오용되었다".[177] 루카스와 칼보코레시는 "정보 참모들이 울트라가 모든 것을 알려줄 것이라고 너무 쉽게 가정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했다.[178] 잘못 해석된 징후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 쾰른 근처 라인강 서쪽 기슭에 새로운 제6 기갑군이 형성된 점.
  • '융합실' 교통 분석가들이 주목한 새로운 '스타'(신호 제어 네트워크)는 "러시아 전선에서 이동된 부대를 포함하여 [집결 지역에] 집결하는 모든 기갑 사단"을 연결했다.[179]
  • 새로운 아라도 Ar 234 제트기가 경비가 삼엄하지 않은 목표 지역을 "최우선적으로" 매일 공중 정찰을 실시한 점.
  • 집결 지역의 철도 교통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점.
  • 이탈리아 전선에서 1,000대의 트럭이 집결 지역으로 이동한 점.
  • 군대 이동의 사소한 차질에 대한 과도한 불안감은 빡빡한 시간표를 암시했다.[180]
  • 서부 전선의 루프트바페 전투기 병력이 4배로 증가한 점.[181]
  • "다가오는 공세"에 대해 언급한 베를린에서 도쿄로 보내는 일본 외교 신호 해독.[182]


SHAEF의 실패에 관해, Hut 3는 "독일군의 메시지를 수정하고 설명하는 역할을 넘어서는 것을 꺼리게 되었다.[183] 폭넓은 결론을 내리는 것은 공중 정찰을 포함한 모든 출처의 정보를 가진 SHAEF의 정보 참모들의 몫이었다."[184] 루카스와 칼보코레시는 "미국 제1군 전선에서 에펠 지역 상공에서 얼마나 많은 정찰 비행이 이루어졌는지 아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라고 덧붙였다.[185] Hut 3의 항공 고문 책임자인 E. J. N. 로즈는 당시 이 보고서를 읽고 1998년에 이를 "SHAEF와 공군성에서 정보 실패를 보여주는 매우 훌륭한 보고서"라고 묘사했다.[186] 루카스와 칼보코레시는 "아이젠하워의 사령부에서 몇몇 책임자들이 경질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들은 흔들리기만 했을 뿐이었다."[187]

비밀 정보국 국장의 보고서인 "1944년 12월 독일 공세의 징후, ULTRA 자료에서 파생, DMI에 제출"의 5부가 1944년 12월 28일에 발행되었다.[188] 복사본 2는 영국 국립 문서 보관소에 HW 13/45 파일로 보관되어 있다.[189] 이 보고서는 임박한 공세의 다양한 징후를 제시한 다음, 사후 판단의 지혜, 적의 예상 의도에 대한 고정된 관점에 얽매이는 것의 위험성, "출처"(예: ULTRA)에 대한 과도한 의존, 그리고 독일 보안의 개선에 대한 결론을 제공한다.[190] 또한 열악한 연합군 보안의 역할을 강조한다.[191] "독일군은 이번에 우리에게 그들에 대해

참조

[1] 서적 Snow and Steel: The Battle of the Bulge, 1944-45 https://www.google.c[...]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31
[2] 웹사이트 Heeresarzt 10-Day Casualty Reports per Army/Army Group, 1944 http://ww2stats.com/[...] 2018-05-29
[3] 웹사이트 Heeresarzt 10-Day Casualty Reports per Army/Army Group, 1945 http://ww2stats.com/[...] 2018-05-29
[4] 웹사이트 DMSi ACSDB report https://apps.dtic.mi[...]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23-07-25
[5] 웹사이트 Battle of the Bulge https://encyclopedia[...] 2024-04-24
[6] 문서 Axelrod|2007|p=73; Cole|1964|pp=565–567; Veterans of the Battle of the Bulge|1995|p=[ 55]
[7] 비디오 American Experience – The Battle of the Bulge
[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U.S. Army in World War II https://history.army[...] 2022-10-21
[9] 문서 Elstob|2003|p=33; Mitcham|2006|p=38; Newton|2006|pp=329–334; Parker|1991|pp=95–100
[10] 간행물 Explaining the silence surrounding Elsenborn Ridge battle http://99div.com/dir[...] 99th Infantry Division Association 2011
[11] 문서 Review and Recommendation of the Deputy Judge Advocate for War Crimes http://137.248.11.66[...] 1947-10-20
[12]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invisible soldiers of the Battle of the Bulge http://www.wereth.or[...] U.S. Wereth Memorial website 1944-06-29
[13] 웹사이트 Wereth 11 Remembered in Ceremony http://archive.defen[...] Defense.gov 2011-07-12
[14] 웹사이트 Belgian villagers remember 'Wereth 11' with memorial https://www.stripes.[...] 2021-03-25
[15] 웹사이트 Why the Bulge Didn't Break: Green Troops Grew Up Fast to Become Heroes of Hofen http://www.militaryh[...] Military History Online 2009-03-17
[16]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Ardennes http://www.belgiumto[...] Office de Promotion du Tourisme de Wallonie et de Bruxelles 2010-08-26
[17] 웹사이트 The British in the Battle of the Ardennes http://www.battleoft[...] 2002-05-06
[18] Youtube WWII 10th Armored Division in Bastogne by General McAuliffe https://www.youtube.[...]
[19] 문서 Marshall|1988|p=172|loc= [http://www.history.army.mil/books/wwii/Bastogne/bast-21.htm Chapter 21: The Relief]
[20] 웹사이트 NUTS! Revisited http://www.thedropzo[...] The Drop Zone 2010-02-23
[21] 웹사이트 World War II: Pathfinders Resupply 101st Airborne Division Troops in Bastogne Via Daring Parachute Drop http://www.historyne[...] Historynet.com 2006-06-12
[22] 서적 The Ardennes, 1944–1945 https://books.google[...] Casemate / Vaktel Forlag 2014-12-19
[23]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Monty holds a press conference http://www.history.c[...] History.com 2014-09-21
[24] Hansard War Situation And Foreign Policy https://hansard.parl[...] 1945-01-18
[25] 서적 In Pursuit of Military Excellence; The Evolution of Operational Theory Francass 1997
[26] 서적 Liddell Hart and the Weight of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2010
[27] 학술지 A Very Special Relationship: Basil Liddell Hart, Wehrmacht Generals and the Debate on West German Rearmament, 1945–1953 https://journals.sag[...] 1998
[28] 간행물 Liddell Hart and the Mearsheimer Critique: A 'Pupil's' Retrospective Strategic Studies Institute 1990
[29] 웹사이트 Ardennes-Alsace https://history.army[...] 2023-04-23
[30] 서적 Pogue's War: Diaries of a WWII Combat Historian https://www.google.c[...]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6-02-01
[31] 서적 Kriegstagebuch des Oberkommandos der Wehrmacht (Wehrmachtführungsstab) 1940–1945: 1. Januar 1944-22. Mai 1945. Eingeleitet und erläutert von P. E. Schramm. 2 v https://www.google.c[...] Bernard & Graefe 1961
[32] 웹사이트 DMSi ACSDB report https://apps.dtic.mi[...]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23-07-25
[33] 웹사이트 Heeresarzt 10-Day Casualty Reports per Army/Army Group, 1944 http://ww2stats.com/[...] 2018-05-29
[34] 웹사이트 Heeresarzt 10-Day Casualty Reports per Army/Army Group, 1945 http://ww2stats.com/[...] 2018-05-29
[35] 서적 Die Ardennen-Offensive 1944/45 https://www.google.c[...] Musterschmidt 1971
[36] 웹사이트 Battle of the Bulge ! Summary, Commanders, & Significanc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6-24
[37] 웹사이트 70th Anniversary of the Battle of the Bulge https://web.archive.[...] 2022-10-21
[38] 웹사이트 Final Campaigns, the Allies enter Germany https://bletchleypar[...] 2022-10-21
[39] 웹사이트 The Battle of Elsenborn December 1944 (Part V) https://web.archive.[...] Centre de Recherches et d'Informations sur la Bataille des Ardennes 2011-06-06
[40] 웹사이트 The Discovery Service http://discovery.nat[...] 2018-08-31
[41] 문서 UK National Archives HW 13/45, "Indications of the German Offensive of December 1944", Part C, para. 5
[42] 간행물 Units Entitled to Battle Credit http://armypubs.army[...]
[43] 서적
[44] 웹사이트 Battle of the Bulge 70 years on: Hundreds descend on Belgian forest to recreate one of the U.S. Army's bloodiest encounters with Nazi forces... complete with tanks https://www.dailymai[...] Daily Mail, 2021-05-09
[45] 웹사이트 BATTLE OF THE BULGE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21-05-07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문서 うち先鋒となったパンターとIV号戦車は35輌ずつ、ティーガーIIは20輌。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웹사이트 Malmedy Massacre Trial https://www.scrapboo[...] 2021-05-28
[90] 웹사이트 Massacre At Malmedy During the Battle of the Bulge https://www.historyn[...] Library of Congress 2021-05-28
[91] 웹사이트 Massacre at Malmédy: War Crimes Trial https://www.jewishvi[...] American-Israeli Cooperative Enterprise 2021-05-27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武装SS全史2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웹사이트 Operation Greif: When German Commandos Were Trained To Act American And Wreak Total Havoc Behind Enemy Lines https://allthatsinte[...] allthatsinteresting 2021-06-05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웹사이트 Greyhound vs. Tiger at St. Vith https://tanks-encycl[...] The Online Tank Museum 2021-06-20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163] 웹사이트 Malmedy Massacre Trial https://www.scrapboo[...] 2021-05-28
[164] 웹사이트 Justice After the 1944 Malmedy Massacre https://www.national[...] 2022-01-13
[165] 웹사이트 Malmedy Massacre Trial https://www.scrapboo[...] 2021-05-28
[166] 서적
[167] 서적
[168] 웹사이트 Siege of Bastogne: The Battle for Noville https://warfarehisto[...] 2021-05-30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웹사이트 US Commander in Bastogne : “NUTS” to Surrender https://ww2today.com[...] 2021-05-21
[179] 문서
[180] 서적
[181] 웹사이트 US Commander in Bastogne : “NUTS” to Surrender https://ww2today.com[...] 2021-05-21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웹사이트 705th Tank Destroyer Battalion http://www.11tharmor[...] 2021-05-09
[194] 서적
[195] 서적
[196] 서적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200] 서적
[201] 서적
[202] 서적
[203] 웹사이트 Ernst Barkmann(August 25, 1919) http://www.achtungpa[...] 2021-05-30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208] 웹사이트 Death of the Luftwaffe https://skeptic78240[...] 2021-05-09
[209] 서적
[210] 서적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217] 서적
[218] 서적
[219] 서적
[220] 서적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웹사이트 The National Lima Charlie Productions: A Memorial Day’s Solace https://limacharlien[...] 2020-08-02
[226] 서적
[227] 웹사이트 Surrender at Bataan Led to One of the Worst Atrocities in Modern Warfare https://www.uso.org/[...] United Service Organizations 2021-08-01
[228] 웹사이트 The Philippine Scouts on Bataan: Their Finest Hour https://www.philippi[...] PHILIPPINE SCOUTS HERITAGE SOCIETY 2021-08-01
[229] 서적
[230] 웹사이트 Battle of the Bulge 70 years on: Hundreds descend on Belgian forest to recreate one of the U.S. Army's bloodiest encounters with Nazi forces... complete with tanks https://www.dailymai[...] Daily Mail 2021-05-09
[231] 웹사이트 BATTLE OF THE BULGE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21-05-09
[232] 서적
[233]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V2 Attack on Cinema Rex https://www.the-low-[...] the low countries 2021-06-13
[234] 서적
[235] 서적 バルジの戦い 下巻 大日本絵画
[236] 서적 Yalta Transaction
[237] 서적
[238] 서적
[239] 서적
[240] 웹사이트 Luzon http://www.history.a[...]
[241] 웹사이트 ペロシ元米下院議長、欧州訪問中の転倒で手術 「順調に回復」 https://www.cnn.co.j[...] CNN 2024-12-15
[242] 뉴스 ゼレンスキー氏米議会演説の要旨 読売新聞 2022-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