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희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희순은 1889년 한성부 왕십리에서 태어나 대한제국 궁녀로 입궐하여 덕수궁 주방 나인이 되었다. 경복궁과 창덕궁에서 주방 상궁으로 고종과 순종의 음식을 담당했으며, 1965년까지 순정효황후를 모셨다. 1957년에는 《이조궁정요리통고》를 황혜성과 공저로 출간했고,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요리를 가르쳤으며, 제자로는 황혜성 등이 있다. 《이조궁정요리통고》는 다양한 궁중 요리 조리법을 담은 책으로, 궁중 요리를 국가 무형 유산으로 지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저술가 - 손병희
손병희는 조선 말 동학의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종교인, 독립운동가로서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3·1 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인내천 사상을 강조했다. - 대한제국의 저술가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김소희 (국악인)
김소희는 심청가를 통해 판소리에 입문하여 송만갑에게 사사하고 남원 천향제에서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은 후 이화정선과 함께 활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후 국악원을 설립하고 대학에서 한국음악 강사로 활동하며 국악 전파 및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명창이다.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장주원
장주원은 대한민국의 옥공예 장인으로, 전통 기법을 계승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한국 옥공예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한국 요리 연구가 - 이정섭
이정섭은 양정고와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요리 연구가로, 영화, 드라마, 뮤지컬, 마당놀이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특히 드라마에서의 인상적인 역할과 요리 책 출간을 통해 대중에게 친숙한 인물이다. - 한국 요리 연구가 - 백종원
백종원은 더본코리아 대표이사로 다수의 외식 프랜차이즈를 성공시킨 외식 사업가이자, '백설명'이라는 별명으로 요리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며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한 방송인이다.
한희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韓熙順 尙宮 |
출생일 | 1889년 |
출생지 | 한성부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사망일 | 1972년 1월 5일 (84세) |
활동 기간 | 1901년 ~ 1972년 |
소속 | 前 숙명여자대학교 특임대우교수 |
직업 | 한국 궁중 요리 연구가 인간문화재 저술가 대학 교수 前 대한제국 조선 상궁내인 |
주요 작품 | 공저서 《이조궁정요리통고(李朝宮廷料理通攷)》 |
배우자 | 無 |
2. 생애
한희순은 대한제국 고종 26년인 1889년 한성부 왕십리에서 태어났다. 1901년 13세의 나이로 궁녀로 입궐하여 덕수궁 주방의 나인이 되었다. 이후 경복궁과 창덕궁에서도 일했으며, 주방 상궁으로서 고종과 순종의 음식을 담당했다. 이 직책으로 1965년까지 순종의 순정효황후를 모셨다.[2]
1955년부터 1967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에 특임대우교수로 출강하여 요리를 가르쳤다. 1957년에는 《이조궁정요리통고》(이조궁정요리통고|李朝宮廷料理通攷한국어)를 공저로 출간하였다. 제자로는 황혜성, 염초애 등이 있다.[2]
1957년에는 황혜성과 함께 《이조궁정요리통고》(李朝宮廷料理通攷)를 공동으로 출간하였다. 1955년부터 1967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특임대우교수로 출강하며 요리를 가르쳤다. 제자로는 황혜성, 염초애 등이 있다.
3. 학술 및 교육 활동
3. 1. 《이조궁정요리통고》
한희순은 1957년 《이조궁정요리통고》(이조궁정요리통고|李朝宮廷料理通攷한국어)를 다른 이들과 함께 펴냈다. 이 책은 다양한 궁중 요리 조리법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쇠고기 요리 49가지, 돼지고기 또는 노루고기 요리 8가지, 닭고기 또는 생 꿩고기 요리 14가지, 조개 또는 생선 요리 39가지, 채소 또는 해산물 요리 88가지, 곡물 요리 52가지, 디저트 49가지의 조리법이 담겨 있으며, 두부 만드는 법과 기본적인 양념 만드는 법도 수록되어 있다.[1] 《이조궁정요리통고》는 궁중 요리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
참조
[1]
웹사이트
이조궁정요리통고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
서적
열두첩 수라상으로 차린 세월
https://www.worldcat[...]
조선일보사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