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머 (우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머(HAMMER)는 NASA가 소행성 탐사 및 지구 방위 연구를 위해 개발한 개념 모델로, 소행성 궤도 변경을 위한 우주선이다. 이 연구는 특히 지름 246m, 1.15기가톤의 위력을 가진 소행성 베누(101955 Bennu)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운동량 충격체 또는 핵폭발체를 탑재한 우주선을 사용하여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NASA, JPL, 칼텍, ULA, 미 육군, 미 해군, 미 공군 등 다양한 기관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성 방어 - 니어 슈메이커
    존스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최초의 로봇 소행성 탐사선인 NEAR 슈메이커는 지구 근접 소행성 433 에로스를 탐사하며 크기, 형태, 질량, 밀도, 구성, 지표 및 내부 구조, 자기장 정보를 수집하고 소행성 마틸다에 대한 근접 통과 관측을 수행하여 16만 장 이상의 이미지와 과학 데이터를 얻었으며, 소행성 궤도를 도는 최초의 탐사선이 되어 태양계 형성 연구에 기여했다.
  • 행성 방어 - 근지구 천체
    근지구 천체는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가 태양에서 1.3 천문 단위 이내에 있는 모든 태양계 소천체를 의미하며, 소행성 또는 혜성일 수 있고 지구와 충돌 위험에 따라 잠재적으로 위험한 천체로 분류되기도 한다.
  • 소행성 탐사선 - 니어 슈메이커
    존스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최초의 로봇 소행성 탐사선인 NEAR 슈메이커는 지구 근접 소행성 433 에로스를 탐사하며 크기, 형태, 질량, 밀도, 구성, 지표 및 내부 구조, 자기장 정보를 수집하고 소행성 마틸다에 대한 근접 통과 관측을 수행하여 16만 장 이상의 이미지와 과학 데이터를 얻었으며, 소행성 궤도를 도는 최초의 탐사선이 되어 태양계 형성 연구에 기여했다.
  • 소행성 탐사선 - 뉴 허라이즌스
    뉴 허라이즌스는 NASA의 뉴 프런티어 계획 탐사선으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며 명왕성의 표면, 지형, 대기 등을 조사하고 카이퍼 벨트 천체 아로코스의 근접 관측을 통해 초기 태양계 형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했으며, 플루토늄-238을 동력원으로 2030년대까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해머 (우주선)
명칭
이름해머
다른 표기Hyper-velocity Asteroid Mitigation Mission for Emergency Response, HAMMER (긴급 대응을 위한 초고속 소행성 완화 임무)
일반 정보
관리 기관NASA (미국 항공우주국)
계약 기관ULA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
미 육군
임무 유형궤도 탐사
충돌 탐사
접근 천체101955 베누
목표 천체101955 베누
승무원무인
제조 기관JPL (제트 추진 연구소)
비용
개발 비용알 수 없음
발사 비용알 수 없음
물리적 특징
중량8t
크기알 수 없음
전장알 수 없음
전폭알 수 없음
전고알 수 없음
전력 시스템
전력알 수 없음
전력원태양
배터리
궤도 정보
궤도알 수 없음
궤도 고도알 수 없음
궤도 진입일알 수 없음
접근 통과일알 수 없음
근지점알 수 없음
원지점알 수 없음
경도알 수 없음
주기알 수 없음
장반경알 수 없음
이심률알 수 없음
경사각알 수 없음
근일점 위치알 수 없음
승교점 경도알 수 없음
위성의 위치알 수 없음
통신
트랜스폰더알 수 없음
대역폭알 수 없음
탑재체 및 성능
탑재체알 수 없음
해상도알 수 없음
임무 정보
발사일알 수 없음
발사체알 수 없음
발사장소알 수 없음
착륙일알 수 없음
착륙 장소알 수 없음
이동 거리알 수 없음
임무 기간알 수 없음
임무 종료알 수 없음
추락일알 수 없음
추락 장소알 수 없음
기타 정보
탐사선 문양알 수 없음
소속 프로그램알 수 없음
이전 임무알 수 없음
이후 임무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2. 관련 기관 및 지원

해머(HAMMER) 프로젝트와 같은 소행성 탐사 및 지구 방위 연구에는 다양한 기관의 지원과 협력이 필수적이다. 주요 관련 기관은 NASA, JPL, ULA, 칼텍, 미 육군, 미 해군, 미 공군 등이며, 각 기관의 구체적인 역할과 기여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국제 협력 기관

소행성 충돌과 같은 잠재적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가 및 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지구 방위 분야에서는 여러 연구 기관, 대학, 정부 기구 등이 참여하여 소행성 탐지, 추적, 궤도 변경 기술 개발 등에 힘쓰고 있다. 주요 참여 기관들은 다음과 같다.

2. 1. 1. NASA (미국 항공우주국)

NASA는 소행성 탐사 및 지구 방위 연구를 주도하는 미국의 핵심 기관이다.

2. 1. 2. JPL (제트 추진 연구소)

JPLNASA 산하의 주요 연구 개발 센터 중 하나로, 칼텍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JPL은 다양한 행성 탐사 및 지구 과학 임무를 설계하고 운영하며, 특히 소행성 탐사와 같은 심우주 탐사 임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임무 수행을 위해 ULA와 같은 발사 서비스 제공 업체나 미 육군, 미 해군, 미 공군 등 여러 기관과 협력하기도 한다.

2. 1. 3. 칼텍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칼텍미국의 명문 사립 대학으로, NASA 산하의 JPL 운영에 참여하며 소행성 연구 등 우주 과학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2. 2. 미국 정부 기관

NASA는 미국의 우주 개발 및 연구를 총괄하는 핵심 기관으로, 소행성 위협 평가 및 대응 기술 개발을 주도한다. 해머 프로젝트와 같은 행성 방어 임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JPL은 칼텍이 NASA를 위해 운영하는 연구 개발 센터이며, 특히 무인 우주 탐사선 설계, 개발, 운영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소행성 탐사 및 연구에 기여한다. 칼텍은 JPL 운영 외에도 기초 과학 연구와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관련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2. 2. 1. ULA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는 미국의 로켓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해머와 같은 소행성 탐사 임무에 필요한 발사체를 제공할 수 있다.

2. 2. 2. 미 육군

미 육군소행성 충돌 시뮬레이션 및 대응 전략 연구에 참여한다.

2. 2. 3. 미 해군

미 해군은 해머(HAMMER)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우주 감시 시스템 운영 및 소행성 궤도 추적에 기여하고 있다.

2. 2. 4. 미 공군

미 공군

3. 소행성 베누 (101955 Bennu) 연구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구 근접 소행성101955 베누를 해머(HAMMER) 개념 모델링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운동량 충격체와 핵폭발체를 이용한 대응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4][5][7]

3. 1. 베누의 특징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해머(HAMMER) 개념 모델링 연구는 101955 베누 소행성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4][5] 베누는 직경 약 246m, 1.15 기가톤의 잠재적 파괴력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4][5] 현재 베누는 지구로부터 약 약 86904360.00km 떨어진 거리에서 시속 63,000마일의 속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6]

3. 2. 대응 방안 연구

NASA는 101955 베누와 같은 소행성지구 충돌 위협에 대비하여 해머(HAMMER) 개념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4][5] 이 연구에서는 접근하는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두 가지 현실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하나는 운동량 충격체를 탑재한 우주선을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핵폭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7]

3. 2. 1. 운동량 충격체

NASA은 101955 베누 소행성을 해머 개념 모델링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4][5] 베누는 직경 246m, 1.15 기가톤의 위력을 가진 소행성으로,[4] 지구로부터 5,400만 마일 떨어진 곳에서 시속 63,000마일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6]

이 연구에서는 접근하는 소행성을 궤도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한 현실적인 두 가지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그중 하나는 운동량 충격체를 탑재한 우주선을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핵폭발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7]

3. 2. 2. 핵폭발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해머(HAMMER) 개념 모델링 연구에서 접근하는 소행성을 처리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응 방안 중 하나로 핵폭발체를 탑재한 우주선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7] 이 연구는 직경 246m, 1.15 기가톤의 위력을 가진 101955 베누 소행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4][5] 베누는 지구로부터 약 8690만km 떨어진 곳에서 시속 63,000마일로 태양을 공전하고 있다.[6] 핵폭발체 외에 운동량 충격체를 이용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되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Nasa draws up plans for huge spacecraft to blow up doomsday asteroid https://www.telegrap[...] 2018-03-15
[2] 웹사이트 Government Scientists Have A Plan For Blowing Up Asteroids With A Nuke https://www.buzzfeed[...] 2018-03-07
[3] 웹사이트 NASA building 'HAMMER' spacecraft to save Earth from cataclysmic asteroid impact https://www.mirror.c[...] 2018-03-16
[4] 웹사이트 NASA Designs HAMMER Spacecraft to Deflect or Nuke Dangerous Asteroids https://www.extremet[...] 2018-03-09
[5] 웹사이트 Government Scientists Have A Plan For Blowing Up Asteroids With A Nuke https://www.buzzfeed[...] 2018-03-07
[6] 웹사이트 NASA May Build 'HAMMER' Spacecraft To Blow Up Earth-Bound Asteroid https://www.ndtv.com[...] 2018-03-16
[7] 간행물 Options and uncertainties in planetary defense: Mission planning and vehicle design for flexible response
[8] 웹인용 Nasa draws up plans for huge spacecraft to blow up doomsday asteroid https://www.telegrap[...] 2018-03-15
[9] 웹인용 Government Scientists Have A Plan For Blowing Up Asteroids With A Nuke https://www.buzzfeed[...] 2018-03-07
[10] 웹인용 NASA building 'HAMMER' spacecraft to save Earth from cataclysmic asteroid impact https://www.mirror.c[...] 2018-03-16
[11] 웹인용 Nasa draws up plans for huge spacecraft to blow up doomsday asteroid https://www.telegrap[...] 2018-03-15
[12] 웹인용 Government Scientists Have A Plan For Blowing Up Asteroids With A Nuke https://www.buzzfeed[...] 2018-03-07
[13] 웹인용 NASA building 'HAMMER' spacecraft to save Earth from cataclysmic asteroid impact https://www.mirror.c[...] 2018-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