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행주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주대교는 경기도 고양시와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1978년 구 행주대교가 개통되었으며, 이후 교통량 증가로 인해 신행주대교가 건설되었다. 신행주대교는 1992년 붕괴 사고를 겪었으나 복구 공사를 거쳐 1995년 개통되었다. 1996년에는 제2신행주대교가 건설되어 2000년 개통되었고, 현재 신행주대교는 서울 방면, 제2신행주대교는 고양 방면으로 이용된다. 1992년 신행주대교 붕괴 사고는 공사 기간 단축을 위한 무리한 작업 진행과 설계 및 시공 과정의 허술함으로 발생했으며, 800m 구간의 상판, 교각, 주탑이 붕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재난 - 남해 창선대교 붕괴사고
    1992년 남해군 창선교에서 교각 붕괴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교통이 두절되자 정부는 신규 교량 건설을 결정하고 책임자를 처벌했으며, 현재는 새로운 창선대교가 건설되었다.
  • 2000년 완공된 교량 - 방화대교
    방화대교는 2000년 11월 21일 개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일부이자 한강의 26번째 다리이다.
  • 2000년 완공된 교량 - 외레순 다리
    외레순 다리는 덴마크 코펜하겐과 스웨덴 말뫼를 연결하는 다리와 해저터널 구조물로, 인공섬 페베르홀름을 중간 지점으로 1995년 착공, 1999년 완공되어 2000년 개통되었으며, 양국 간 경제 및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으나 난민 위기 이후 국경 통제가 강화되기도 했다.
행주대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행주대교
한자 표기幸州大橋
로마자 표기Haengju daegyo
위치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
횡단한강
총 길이1,460m
14.5m (신, 3차선)
폭 (구)10m (구)
교량 정보 (신행주대교)
공식 명칭신행주대교
구조사장교
착공일1987년 10월
개통일1995년 5월 19일
교량 정보 (제2신행주대교)
공식 명칭제2신행주대교
구조거더교
착공일1996년
개통일2000년 12월 16일
교량 정보 (구행주대교)
공식 명칭구행주대교
구조거더교
착공일1975년 7월 5일
완공일1978년 7월 22일
폐쇄일2000년 12월
총 길이 (구)1,200m
도로 정보
종류일반 국도
연결 도로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방향남북
기점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종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
관리
신행주대교 & 제2신행주대교서울지방국토관리청
구행주대교서울특별시청
기타
행주대교 (2005년)

2. 역사

1978년 7월 22일 구 행주대교가 개통되었다. 그러나 교량 폭이 좁아 교통난이 발생하자, 1987년 신 행주대교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1992년 7월 31일 붕괴 사고로 개통이 지연되었다. 이후 복구 공사를 거쳐 1995년 5월 19일 개통되었다. 1996년 9월에는 제2신 행주대교 공사가 착공되어 2000년 12월 16일 개통되었다.

날짜사건
1978년 7월 22일구 행주대교 개통
1987년신 행주대교 공사 착공
1992년 7월 31일신 행주대교 붕괴, 개통 지연
1995년 5월 19일신 행주대교 정식 개통
1996년 9월제2신 행주대교 공사 착공
2000년 12월 16일제2신 행주대교 개통


2. 1. 구행주대교 건설 (1978)

최초의 행주대교는 경인고속도로통일로를 연결하기 위한 도로 공사(현 국도 제39호선)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1978년 7월 22일 준공되었고, 11월 21일 국도 제39호선이 완공되었다.[5] 이 다리와 도로 개통으로 경인고속도로에서 통일로로 가는 거리가 20km, 소요 시간은 당시 기준으로 약 1시간으로 줄었다.[5] 그러나 교량 폭이 10m 정도인 왕복 2차선의 비좁은 다리였다. 이후 행주대교 남북단으로 일산신도시중동신도시가 들어서면서 교통량이 증가하여 교통난이 발생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행주대교를 건설하였다.

2. 2. 신행주대교 건설과 붕괴 사고 (1987-1995)

1978년 7월 22일 개통된 구 행주대교는 폭 10m, 왕복 2차선으로 좁아 일산신도시중동신도시 건설 등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통난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700억의 사업비를 들여 사장교 형태의 신행주대교 건설이 추진되었다.[5] 1987년 착공하여 1992년 말 개통 예정이었으나, 1992년 여름 건설 중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재건설에 3년이 더 소요, 1995년 5월에 개통되었다.[5]

1987년 10월, 총 사업비 4600억을 투입하여 폭 14.5m(3차선), 총길이 1,460m 규모의 신행주대교(당시 명칭 제2행주대교)를 착공하였다.[6] 1992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1992년 7월 31일 붕괴 사고로 개통이 지연되면서 일산·중동 신도시 개발에 따른 수도권 교통망 확충 계획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6] 이후 복구 공사를 거쳐 1995년 5월 19일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 구 행주대교는 고양 방면 승용차 전용 일방통행으로, 신행주대교는 고양 방면 1차선, 서울 방면 2차선으로 운영되었다.[7]

날짜사건
1987년신행주대교 공사 착공
1992년 7월 31일신행주대교 붕괴, 개통 지연
1995년 5월 19일신행주대교 정식 개통


2. 3. 제2신행주대교 건설 (1996-2000)

1996년 신행주대교와 구 행주대교 사이 공간에 제2신행주대교(가칭 제3행주대교)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 공사비 691억을 투입하여 1996년 9월에 착공, 2000년 12월 16일 통행을 시작하였고 12월 28일에 정식 개통되었다.[8] 이 다리가 완공되면서 신행주대교는 서울 방면으로만, 제2신행주대교는 고양 방면으로만 이용하게 되었으며, 구 행주대교는 이 다리 개통과 함께 폐쇄되었다.[9]

3. 구조 및 특징

1987년 10월, 서울 서부 외곽지역의 교통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기존 폭 10m (왕복 2차선)의 구행주대교에 이어 새로운 다리(당시 명칭 '''제2행주대교''')를 착공하였다.[6] 총 사업비 460억을 투입해 폭 14.5m (3차선), 총길이 1,460m로 건설하여 1992년에 개통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92년 7월 31일에 발생한 신행주대교 붕괴로 개통이 지연되면서, 일산·중동 신도시 개발에 따른 수도권 교통망 확충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이후 복구 작업을 거쳐 1995년 5월 19일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구 행주대교와 함께 사용되었는데, 고양 방면으로 1차선, 서울 방면으로 2차선을 배정하고 구 행주대교는 고양방면 승용차 전용 일방통행으로 운영되었다.[7]

1996년에는 신행주대교와 구행주대교 사이 공간에 '''제2신행주대교'''(가칭 '''제3행주대교''')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 공사비 691억을 투입하여 1996년 9월에 착공, 2000년 12월 16일에 통행을 시작하였고 12월 28일에 정식 개통되었다.[8] 이 다리가 완공되면서 신행주대교는 서울 방면으로만, 제2신행주대교는 고양 방면으로만 이용하게 되었으며, 구 행주대교는 이 다리 개통과 함께 폐쇄되었다.[9]

4. 붕괴 사고 상세

1992년 7월 31일 붕괴 사건


1992년 7월 31일, 새로 건설 중이던 신행주대교가 붕괴하였다.[10] 이 사고는 공사 기간 단축을 위한 무리한 작업 진행, 설계 및 시공 과정의 문제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된다.

4. 1. 사고 원인 분석

사고 원인은 공사 기간 단축을 위한 무리한 작업 진행과 설계 및 시공 과정의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탑 주변에 교각이 견디기 힘든 무게인 110톤에 달하는 콘크리트 사장재 4개를 설치하고 작업을 진행하면서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상판과 교각이 무너진 것이다.[11]

조사 결과, 교량 상판 이음새 부분의 설계 및 시공이 허술했던 점이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밝혀졌다. 신행주대교는 연속압출공법과 콘크리트 사장재공법을 함께 적용했는데, 이 과정에서 이음면의 전단내하력(외부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힘)을 면밀히 검토하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 특히 4번째 임시 교각 남쪽 상판은 가장 큰 하중을 받는 부분으로, 상판을 요철 형태로 연결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설계를 맡은 한국종합기술과 시공 업체인 벽산건설이 이를 무시했다. 이로 인해 사장재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져 내려 800m 구간의 상판, 교각, 주탑이 연속적으로 붕괴되는 결과를 초래했다.[12]

4. 2. 사고 경과 및 피해

1992년 7월 31일 오후 6시 59분경, 행주대교의 주탑 2개 중 하나가 부러지면서 두 주탑 사이의 상판 약 800m가 내려앉았다. 이로 인해 주탑 양 바깥쪽의 상부 구조물 전체가 주탑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밀리며 교각과 함께 붕괴하였다. 사고 당시 작업이 끝나 인부들이 현장에서 철수한 시간이었기 때문에 인명 피해는 없었다.[13]

이 사고로 서울지방국토관리청장 등 3명이 직위해제되었다.[13] 복구 공사에서는 당초 설계의 미비점을 보완하였고, 콘크리트 사장재를 케이블 사장재로 변경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사하중을 경감시켰다. 또한 사장교 구간을 연속 PSC 박스거더에서 강합성 교량으로 변경하여 재사용 주탑의 부담을 줄였다. 기초 파일도 복구 부분에서는 All Casting 공법 현장타설 말뚝을 사용하도록 했으며, 교각에 격벽을 추가하고 단면도 증가시켰다.[14] 이 교량 건설과 함께 추진되던 구 행주대교의 확장 공사는 무기한 보류되었다.[15]

사고 당시 건설을 맡았던 벽산건설은 이 사고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게 되었으며, 현재 과징금 등을 모두 납부한 상태이다.

4. 3. 사고 이후 변화

1992년 7월 31일 신 행주대교 붕괴 사고 이후, 복구 공사 과정에서 설계상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시공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콘크리트 사장재를 케이블 사장재로 변경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교량의 무게를 줄였다. 또한 사장교 구간을 연속 PSC 박스거더에서 강합성 교량으로 변경하여 주탑의 부담을 줄였고, 기초 파일도 All Casting 공법 현장타설 말뚝을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교각에는 격벽을 추가하고 단면도 증가시켰다.[14] 이 사고로 서울지방국토관리청장 등 3명이 직위해제되었다.[13]

5. 통과 도로

행주대교는 다음과 같은 도로들이 통과한다.

6. 사진 자료


  • -|]]
  • -|]]

참조

[1] 백과사전 행주대교 http://terms.naver.c[...] Naver 2017-12-02
[2] 뉴스 경인고속도로~통일로 연결 2차선 포장 개통 총연장 22km 57억원 투입 http://newslibrary.n[...] 1978-11-21
[3] 뉴스 신행주대교 착공 7년5개월만에 19일 개통 http://news.naver.co[...] Yonhap News Agency 1995-05-18
[4] 뉴스 제2 신행주대교 16일 개통 http://news.joins.co[...] 2000-12-13
[5] 뉴스 京仁高速(경인고속)도로~統一路(통일로)연결 2車線(차선)포장 개통 總延長(총연장)22km(km) 57억원投入(투입)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8-11-21
[6] 뉴스 제2 행주대교 내달 着工(착공)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7-09-08
[7] 뉴스 신행주대교 착공 7년5개월만에 19일 개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05-18
[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9호 http://gwanbo.mois.g[...] 2001-01-16
[9] 뉴스 [수도권] 제2신행주대교 다음달 16일 전면 개통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0-11-30
[10] 뉴스 신행주대교 붕괴사고 http://imnews.imbc.c[...] MBC 뉴스데스크 1992-07-31
[11] 뉴스 新幸州大橋 건설중 붕괴...공정 82%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2-07-31
[12] 뉴스 新행주대교 붕괴원인은 상판이음새 결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2-10-09
[13] 뉴스 서울지방국토관리청장 등 3명 직위해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2-08-01
[14] 백과사전 행주대교 https://terms.naver.[...]
[15] 뉴스 기존 행주대교 확장공사 입찰취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2-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