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일로는 서울특별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에 이르는 도로이다. 1966년 의주로로 지정되어, 1972년 통일로로 명명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노선 변경과 확장을 거쳐, 2010년 의주로와 통합되었다. 서울특별시 중구, 종로구, 서대문구, 은평구,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를 경유하며, 주요 시설로는 서울역, 경찰청, 서대문 독립공원, 연신내역 등이 있다. 2010년과 2011년에 걸쳐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었으며, 부속도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통일운동 -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는 1948년 평양에서 남북한 정당 및 사회단체 대표들이 모여 단독 정부 수립 움직임에 맞서 통일 정부 수립을 논의했으나, 실질적인 성과 없이 남북 분단을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으며, 회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한국의 통일운동 -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은 해방 직후 좌우익 대립 심화 속에서 김규식, 여운형 등 중도파가 주도한 민족통일운동으로, 미군정 지원과 좌우합작 7원칙 발표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냉전 심화, 여운형 암살 등으로 실패하여 1947년 해산되었으나, 남북 분단 방지와 통일 정부 수립 노력으로 평가받는다. - 서울 은평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교통 - 진흥로 (서울)
진흥로는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종로구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은평로와 직결되어 신사오거리, 역촌역, 대조불광시장을 거쳐 구기터널을 지나 신영동삼거리에서 세검정로와 만난다.
통일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도로 이름 | 統一路 (통일로) |
다른 이름 | 통일로 |
로마자 표기 | Tongil-ro |
도로 종류 | 아시안 하이웨이 일반 국도 서울특별시도 경기도 지방도 고양시도 파주시도 |
노선 번호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 국도 제1호선의 일부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의 일부 서울특별시도 제22호선의 일부 서울특별시도 제C1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360호선의 일부 파주시도 제29호선의 일부 |
총 연장 | 57.569km |
최초 개통 | 일제강점기 |
통일로 명명 | 1972년 |
기점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은평구 경기도 고양시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어룡리 |
주요 교차 도로 | |
교차 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60호선 지방도 제356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
추가 정보 | |
길이 (다른 출처) | 47.3 km |
길이 (다른 출처) | 58.0 km |
관련 도시 | 경기도 고양시 |
연결 도로 | 국도 1호선 |
2. 역사
1972년 3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까지 49.2km 구간을 통일로로 결정하였다.[3] 이후 도로명 및 구간 변경, 시설 개선 등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2. 1. 명칭 제정 및 변경
- 1966년 11월 26일: '서울역(중구 동자동 43-1)~서대문로터리~갈현동(서대문구 갈현동 1)' 구간을 '''의주로'''(義州路)로 지정[3]
- 1972년 3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한양주택 시계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임진각 구간 (총 연장 35.2 km)을 통일로로 명명
- 1979년 1월: 의주로의 구간을 서울역에서 은평구 진관동 한양주택 시계까지로 정함 (총 길이 12.5 km)
- 1984년 11월: 의주로의 종점을 은평구 진관동 한양주택 시계에서 홍은사거리로 단축[4]하고, 통일로의 시작점을 홍은사거리로 연장
- 1998년 6월 15일: 통일대교 개통으로 마정리 임진각 구간은 임진각로로 분리됨
- 2008년 11월 1일: 서울특별시의 은평뉴타운 계획에 따라 기존 박석고개 - 구파발역(구파발삼거리) - 서울시계 구간을 박석고개 - 구파발사거리 - 서울시계 구간으로 이설
-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통일로'''를 고시
- 2010년 5월 19일: 통일로와 의주로가 통합됨
- 2010년 12월 4일: 은평뉴타운 ~ 녹번역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 2011년 12월 28일: 녹번역 ~ 서울역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 2012년 2월 20일: 홍제고가차도 철거
- 2019년 11월: 삼송역사거리 ~ 신원동(숫돌고개 구간)간 왕복 6차선으로 확장 개통
2. 2. 도로 확장 및 시설 개선
- 1998년 6월 15일 통일대교 개통으로 마정리 임진각 구간은 임진각로로 분리되었다.[4]
- 2008년 11월 1일 서울특별시의 은평뉴타운 계획에 따라 기존 박석고개 - 구파발삼거리 - 서울시계 구간을 박석고개 - 구파발사거리 - 서울시계 구간으로 이설하였다.
- 2010년 12월 4일 은평뉴타운 ~ 녹번역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었다.
- 2011년 12월 28일 녹번역 ~ 서울역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었다.
- 2012년 2월 20일 홍제고가차도가 철거되었다.
- 2019년 11월 삼송역사거리 ~ 신원동(숫돌고개 구간)간 왕복 6차선 확장이 개통되었다.
3. 기념비
구파발역에서 고양시 방향으로 가는 진관동 행정복지센터 입구(은평구민암벽등반장 옆)에는 '통일로' 기념비가 있다.
4. 경유지
통일로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를 거치는 도로이다.
4. 1.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 · 봉래동1가 · 순화동 · 의주로2가 · 의주로1가) - 종로구 (교남동 · 교북동 · 무악동) - 서대문구 (미근동 · 충정로2가 · 현저동 · 홍제동) - 은평구 (응암동 · 녹번동 · 불광동 · 대조동 · 갈현동 · 진관동)4. 2.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동산동 · 삼송동 · 지축동 · 오금동 · 신원동 · 대자동 · 관산동 · 내유동) - 파주시 (조리읍 · 아동동 · 월롱면 · 파주읍 · 문산읍 · 진서면)5. 노선
거리
(km)
거리
(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