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허버트 A. 하우프트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버트 A. 하우프트만은 미국의 수학자이자 X선 결정학자이며, 1985년 제롬 칼레와 함께 X선 결정학의 직접적인 방법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뉴욕에서 태어나 유대인 가정에서 성장했으며,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수학 석사 학위를,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해군 연구소에서 제롬 칼레와 협력하여 X선 결정학의 위상 문제를 연구했으며, 1970년 버팔로 의학 재단의 결정학 그룹에 합류하여 연구 이사를 역임했다. 2003년에는 인본주의 선언문에 서명한 무신론자이자 세속적 인본주의자였다. 하우프트만은 170편이 넘는 논문을 저술했으며, 하우프트만-우드워드 의학 연구소의 소장, 버팔로 대학교의 교수직을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 주립 대학교 버펄로 동문 - 리처드 호프스태터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20세기 미국의 역사학자로서, 미국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심리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정치사를 설명했으며, 퓰리처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 뉴욕 주립 대학교 버펄로 동문 - 김상률
    김상률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수와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수석비서관을 역임했으며, 한양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버펄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영어영문학 및 문화 연구 분야의 저서를 출간했다.
  • 메릴랜드 대학교 동문 - 문정인 (정치학자)
    문정인은 제주 출신으로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정치학자로서, 미국 대학 교수와 연세대 교수를 역임하며 활발한 학문 활동을 펼쳤고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안보 정책 자문과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으로 활동했으며, 햇볕정책 지지자로서 대북 정책 및 한미 동맹 관련 발언으로 논쟁을 일으켰다.
  • 메릴랜드 대학교 동문 - 제이슨 블레어
    제이슨 블레어는 뉴욕 타임스 기자로, 2003년 기사 표절 및 날조 스캔들로 사임하여 뉴욕 타임스 역사상 최악의 사건으로 기록되었고, 이후 저널리즘계를 떠나 라이프 코치로 활동하며 저널리즘 윤리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유대인 노벨상 수상자 - 멜빈 캘빈
    멜빈 캘빈은 광합성 과정의 탄소 고정 경로를 밝혀 196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로, 캘빈 순환을 규명하고 화학 생역학 연구소 설립, NASA 협력 등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유대인 노벨상 수상자 - 가브리엘 리프만
    룩셈부르크 태생의 프랑스 물리학자이자 발명가인 가브리엘 리프만은 빛의 간섭을 이용한 컬러 사진술을 발명하고 모세관 전위계를 발명하는 등 물리학에 공헌하여 19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허버트 A. 하우프트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9년의 허버트 하우프트만
2009년의 하우프트만
출생 이름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만
출생일1917년 2월 14일
출생지미국 뉴욕
사망일2011년 10월 23일
사망지미국 뉴욕주 버펄로
국적미국
배우자(1940년 에디스 시트리넬과 결혼)
자녀2명
학력
모교시티 칼리지 오브 뉴욕 (이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문학 석사)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 파크 (PhD)
경력
직장하우프트만-우드워드 의학 연구소
버펄로 대학교
연구 분야
분야수학
수상
수상노벨 화학상 (1985, 제롬 칼과 공동 수상)
UNSW 디랙 메달 (1991)
기타

2. 생애

1917년 2월 14일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2011년 10월 23일 버팔로에서 사망했다.[11] 무신론자이자 세속적 인본주의자로서, 인본주의 선언문에 서명한 22명의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8]

2. 1. 어린 시절과 교육

그는 뉴욕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4] 어린 시절부터 과학수학에 관심을 보였으며, 타운센드 해리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뉴욕 시립 대학교를 졸업(1937년)한 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1939년 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전후 워싱턴 D.C.에 있는 해군 연구소에서 제롬 칼레와 협력하기 시작했고, 동시에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 파크에서 철학 박사 과정에 등록했다. 1955년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

2. 2. 결혼과 가족

1940년 11월 10일에 에디스 시트리넬과 결혼하여 두 딸, 바바라(1947년생)와 캐럴(1950년생)을 두었다.[4]

2. 3. 과학 연구 경력

제롬 칼레와 협력하여 X선 결정학의 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워싱턴 D.C.에 있는 해군 연구소에서 제롬 칼레와 함께 연구를 시작했고, 동시에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 파크에서 물리학 박사 과정을 밟았다. 1955년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 수학과 물리 화학 지식을 결합하여 X선 결정학의 위상 문제에 정면으로 도전하였으며, 당시 이 문제는 풀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의 연구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6]

1953년, 확률적 방법을 도입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모노그래프 "위상 문제 해결 I. 중심 대칭 결정"을 발표했다.[4] 1955년 X선 결정학의 직접 방법의 기초를 마련했다.

1970년에는 버팔로 의학 재단의 결정학 그룹에 합류했으며, 1972년에는 연구 이사가 되었다. 이 기간 초기에 인접 원리 및 확장 개념을 공식화했고, 이러한 이론은 그 후 수십 년 동안 더욱 발전했다.

하우프트만은 170편이 넘는 논문을 저술했으며, 여기에는 학술 논문, 연구 논문, 챕터 및 서적이 포함된다. 그는 하우프트만-우드워드 의학 연구소(구 버팔로 의학 재단)의 소장, 버팔로 대학교 생물물리학과 연구 교수 및 컴퓨터 과학과 부교수로 재직했다.

2. 4. 말년

1970년, 그는 버팔로 의학 재단의 결정학 그룹에 참여했고, 1972년에 연구 이사가 되었다. 이 시기 초기에 그는 인접 원리 및 확장 개념을 공식화했다. 이러한 이론은 그 후 수십 년 동안 더욱 발전했다. 그는 버팔로 의학 재단을 전신으로 하는 하우프트만-우드워드 의학 연구소의 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곳의 생물 물리학 교수이자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의 컴퓨터 과학 교수이기도 했다. 2011년 10월 23일, 미국 뉴욕주 버팔로에서 사망했다.[11]

3. 연구 업적

하우프트만은 학술 논문, 연구 논문, 챕터 및 서적을 포함하여 170편이 넘는 논문을 저술했다. 1970년 하우프트만-우드워드 의학 연구소(구 버팔로 의학 재단)의 결정학 그룹에 합류했으며, 1972년 연구 소장이 되었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 하우프트만-우드워드 의학 연구소 소장, 버팔로 대학교 생물물리학과 연구 교수 및 컴퓨터 과학과 부교수로 재직했다. 버팔로에 오기 전에는 1947년부터 해군 연구소의 여러 부서에서 수학자 및 감독관으로 일했다.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및 경력
1936년뉴욕 시립 대학교 벨던 수학상
1959년미 해군 연구소 미국 과학 연구 협회 순수 과학상
1969년–1970년워싱턴 철학회 회장
1979년–1980년독립 연구 기관 협회 회장
1984년미국 결정학회 패터슨 상
1985년제롬 칼레와 공동 노벨 화학상 수상,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 파크 명예 학위
1986년뉴욕 시립 대학교 명예 학위, 버팔로 이브닝 뉴스 올해의 시민상, 뉴욕 주립 대학교 노턴 메달, 미국 화학회 웨스턴 뉴욕 지부 쇠코프 상,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10]
1987년뉴욕 주립 대학교 쿠크 상, 뉴욕 주립 대학교 에클스-하우프트만 학생상 제정
1988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국제 인본주의 윤리 연합 인본주의자상
1989년파르마 대학교 (이탈리아) 명예 학위, 듀빌 칼리지 (버팔로, 뉴욕) 명예 학위
1990년바르-일란 대학교 (이스라엘) 명예 학위, 컬럼비아 대학교 명예 학위
1991년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디랙 메달
1992년우치 기술 대학교 (폴란드) 명예 학위
1993년퀸스 대학교 킹스턴 (캐나다) 명예 학위
2009년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 (버팔로, 뉴욕) 명예 학위


5. 사회 활동

허버트 A. 하우프트먼은 1988년 휴머니스트 상을 받았다.

6. 영향과 유산

연도수상 및 경력
1936년벨덴 상 수학 부문[1]
1959년미국 학술자 협회 퓨어 사이언스 상[1]
1969년 - 1970년워싱턴 철학회 회장[1]
1979년 - 1980년독립 연구자 협회 회장[1]
1984년패터슨 상[1]
1985년노벨 화학상[1], 메릴랜드 대학교 컬리지 파크교로부터 명예 학위[1]
1986년뉴욕 시립 대학교 시티 칼리지로부터 명예 학위[1], 버펄로 이브닝 뉴스지의 올해의 시민[1], 노턴 메달[1], 미국 화학회 숄코프 상[1], 골드 플레이트 상[1]
1987년쿡 상[1], 에클스-하우프트먼 학생상 설립[1]
1988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1], 휴머니스트 상[1]
1989년파르마 대학교 (이탈리아)로부터 명예 학위[1], 듀빌 대학교로부터 명예 학위[1]
1990년바르-일란 대학교 (이스라엘)로부터 명예 학위[1], 컬럼비아 대학교로부터 명예 학위[1]
1991년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로부터 디랙 메달[1]
1992년로즈 공과 대학교(폴란드)로부터 명예 학위[1], 퀸즈 대학교 (캐나다) (캐나다)로부터 명예 학위[1]


참조

[1] 뉴스 Herbert A. Hauptman, Nobel Laureate,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11-10-24
[2] 간행물 Herbert Hauptman (1917–2011)
[3] 웹사이트 Dr. Herbert Hauptman, Nobel Prize winner, is dead at 94 http://www.buffalone[...]
[4] 웹사이트 Herbert Hauptman https://www.jewishvi[...] 2013-11-08
[5] 웹사이트 Herbert A. Hauptman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20-04-18
[6] 웹사이트 Herbert Hauptman – The Joy of Science http://www.pointofin[...] Center for Inquiry 2014-01-17
[7] 뉴스 "Outside the field of scientific research, he was known for his outspoken atheism: belief in God, he once declared, is not only incompatible with good science, but is \"damaging to the wellbeing of the human rac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8] 웹사이트 Notable Signers http://www.americanh[...]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2012-10-02
[9] 웹사이트 Herbert Hauptman, Ph.D. https://jewishbuffal[...] 2024-08-19
[10]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11] 뉴스 Herbert A. Hauptman, Nobel Laureate, Dies at 94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11-10-24
[12] 뉴스 Herbert A. Hauptman, Nobel Laureate,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11-10-24
[13] 간행물 Herbert Hauptman (1917–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