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속적 인본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속적 인본주의는 1930년대부터 사용된 용어로, 종교적 신념 없이 기독교적 가치를 유지하려는 시도에 대한 경고에서 시작되었다. 20세기 후반에는 반종교적 인본주의자들과 비종교적 접근 방식을 선호하는 이들이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1851년 조지 홀리요크에 의해 '세속주의'라는 용어가 만들어지면서 세속주의 운동이 시작되었다. 세속적 인본주의는 윤리 운동, 실증주의, 인류교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국제 인본주의 윤리 연합(IHEU)을 통해 공식적인 정의를 제시하고 '인본주의 최소 명제'를 수용한다. 세속적 인본주의는 이성, 증거, 과학적 방법을 중시하며, 정의와 공정성을 추구하며 더 나은 세상을 건설하려는 가치관을 가진다. 미국에서는 법적으로 종교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며, 1984년에는 교육법에 세속적 인본주의를 언급하는 조항이 추가되었다가 삭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본주의 - 휴머니즘에 대해서
    휴머니즘은 하이데거가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를 비판하며 존재론적 관점에서 자유 개념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제시한 철학적 입장이다.
  • 인본주의 - 수상록
    미셸 드 몽테뉴가 1570년부터 집필한 《수상록》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 식민 정책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자유로운 형식으로 서술하며 몽테뉴 자신의 내면 탐구와 인간 본성에 대한 성찰, 철학적 회의주의, 르네상스 시대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은 에세이 모음집이다.
  • 세속주의 - 세속화
    세속화는 종교의 영향력 감소와 비종교적 가치 증가를 의미하며, 사회, 문화, 종교적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합리성과 과학 발달, 사회 분화 등이 영향을 미치며, 서구 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지만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다양한 비판도 존재한다.
  • 세속주의 - 자유주의 신학
    자유주의 신학은 19세기 기독교 신앙을 당시 지성적 흐름에 맞게 재해석하려던 신학 운동으로, 과학적 발견과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성경 무오류설을 거부하고 역사비평을 통해 성경을 해석하며, 인간 이성과 경험을 중시하고 예수의 윤리적 가르침에 초점을 맞추며 사회정의와 평등을 강조했으나 보수적 신학으로부터 비판받았고 대한민국에서는 주류 신학으로 자리잡지 못했다.
세속적 인본주의
개요
자유사상 기
자유사상 기
주요 이념인본주의, 세속주의, 이성주의, 자연주의, 진보주의, 윤리주의
종교와의 관계무종교, 반종교, 비종교
관련 단체휴머니스트 인터내셔널
세부 정보
정의인간의 이성, 윤리, 정의를 옹호하는 삶의 철학
특징초자연적 또는 종교적 교리에 의존하지 않음
핵심 가치이성적 사고
윤리적 행동
사회 정의
개인의 자유
민주주의
과학적 방법
윤리인간의 행복과 복지를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둠
목적인간의 번영과 지구의 지속 가능성을 추구
세계관자연주의적 세계관
역사
기원계몽주의 시대의 자유사상인본주의
발전19세기 무신론, 불가지론, 윤리 문화 운동의 영향
현대 운동20세기 휴머니스트 선언 발표 이후 조직화 및 확산
주요 인물
사상가프로타고라스
에피쿠로스
데이비드 흄
임마누엘 칸트
버트런드 러셀
알베르 카뮈
커트 보니것
칼 세이건
스티븐 핑커
리처드 도킨스
크리스토퍼 히친스
활동가찰스 브래들로
마거릿 나이트
해리 트루먼
존 듀이
아이작 아시모프
안드레아스 니엘센
폴 쿠르츠
관련 개념
연관 분야무신론
불가지론
세속주의
인본주의
자유사상
과학적 회의주의
반대 개념신권주의
근본주의
권위주의
기타
참고 자료휴머니스트 선언
암스테르담 선언 (2002)
관련 문서인본주의
무종교
세속주의

2. 용어 유래

'세속적 인본주의'라는 용어는 1930년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70] 1943년, 캔터베리 대주교윌리엄 템플은 "기독교적 전통이 ...(중략)... 기독교적 신념이 없이 기독교적 가치를 유지하려는 '세속적 인본주의'에 의해 약화될 위기에 처했다"라고 경고했다.[71]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이 용어가 반종교적인 인본주의자들뿐만 아니라[72] 비종교적인 접근 방식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사용했다. 1980년, 민주적 세속적 인본주의 의회(CODESH, 현재는 탐구의 중심지)가 발표한 인본주의자 선언문은 미국 내에서 세속적 인본주의가 기구적 정체성을 갖추는 데 기여했다.

3. 역사

'세속적 인본주의'라는 용어는 1930년대 이전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70] 1943년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템플은 "기독교적 전통이 ...(중략)... 기독교적 신념이 없이 기독교적 가치를 유지하려는 '세속적 인본주의'에 의해 약화될 위기에 처했다"라고 언급했다.[71]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종교에 비판적이지 않은 비종교적인 접근법을 선호하는 사람들과 스스로를 반종교적이라고 칭하는 일부 인본주의자들도 이 용어를 사용했다.[72] 1980년 탐구의 중심지의 전신인 민주적 세속적 인본주의 의회(CODESH)가 발표한 인본주의자 선언문은 미국 내에서 세속적 인본주의가 조직적인 정체성을 갖추는 계기가 되었다.

'인본주의자'라는 용어의 역사적 사용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철학자들의 저작과 관련이 있다. 이 저작들은 르네상스 시대 학자들이 이슬람 자료를 통해 재발견하고 아랍어에서 유럽 언어로 번역하기 전까지 유럽 사회에 알려지지 않았다.[11] 따라서 '인본주의자'는 인문학자뿐만 아니라 계몽주의/르네상스 지식인과 세속적 인본주의자와는 다른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과 견해를 같이 하는 사람들을 지칭할 수 있다.

조지 홀리요크는 1851년에 "이 생의 경험으로 검증할 수 있는 문제에만 관여하는 의견의 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세속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2][13] 찰스 브래들로와 레스터 세속주의 협회(1851년 설립)를 중심으로 현대 세속주의 운동이 시작되었고, 1866년에는 전국 세속주의 협회로 발전했다.

오귀스트 콩트는 인류 역사가 신학적, 형이상학적 단계를 거쳐 실증주의 사회로 발전한다고 보았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 사회적 불만에 대응하기 위해 '인류교'를 도입했다.[17][18][19][20][21][22] 리처드 콩그리브는 런던 실증주의 협회를 설립하고, 1878년에는 인류교를 설립하여 콩트의 사상을 전파했다.

19세기 윤리 운동은 세속적 인본주의의 중요한 선구자였다. 사우스 플레이스 윤리 협회(현재의 컨웨이 홀 윤리 협회)는 여성 평등을 지지하는 등 진보적인 활동을 펼쳤고, 펠릭스 아들러는 1877년 뉴욕 윤리 문화 협회를 설립하여 도덕성이 신학으로부터 독립되어야 한다는 믿음을 강조했다. 영국에서는 1886년 최초의 윤리 협회가 설립되었고, 이는 1967년 영국 휴머니스트 협회(현재의 휴머니스트 UK)로 발전했다.[25]

1930년대 미국에서는 윤리 운동에 의해 '인본주의'라는 용어가 종교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영국에서는 비종교인들 사이에서 점차 비종교적인 의미로 확산되었다.[23] 1933년 시카고 대학교 연구를 바탕으로 최초의 인본주의 선언이 발표되어 인본주의 운동을 대중에게 알렸다.[24] 미국 인본주의 협회는 1943년에, 국제 인본주의 윤리 연합(IHEU)은 1952년에 설립되었다.[25]

3. 1. 세속주의

조지 홀리요크는 1851년에 "이 생의 경험으로 검증할 수 있는 문제에만 관여하는 의견의 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세속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2][13]

현대 세속주의 운동은 홀리요크, 찰스 브래들로와 그들의 지적 집단을 중심으로 뭉쳤다. 최초의 세속주의 단체인 레스터 세속주의 협회는 1851년에 설립되었다. 이와 유사한 지역 단체들이 모여 1866년에 전국 세속주의 협회를 결성했다.

3. 2. 실증주의와 인류교

오귀스트 콩트는 인류 역사가 신학적, 형이상학적 단계를 거쳐 실증주의 사회로 발전한다고 보았다. 콩트는 프랑스 혁명 이후의 사회적 불만에 대응하기 위해 '인류교'를 도입하려 했다. 리처드 콩그리브는 런던 실증주의 협회를 설립하고, 1878년에는 인류교를 설립하여 콩트의 사상을 전파했다.[17][18][19][20][21][22]

3. 3. 윤리 운동

19세기 윤리 운동은 세속적 인본주의의 중요한 선구자 역할을 했다. 사우스 플레이스 윤리 협회(현재의 컨웨이 홀 윤리 협회)는 런던의 급진적인 모임 장소였으며, 여성의 평등을 지지하는 등 진보적인 활동을 펼쳤다. 펠릭스 아들러는 1877년 뉴욕 윤리 문화 협회를 설립하고, 도덕성이 신학으로부터 독립되어야 한다는 믿음을 강조했다. 영국에서는 1886년 최초의 윤리 협회가 설립되었고, 1967년 영국 휴머니스트 협회(현재의 휴머니스트 UK)로 발전했다.[25]

3. 4. 세속적 인본주의의 발전

1930년대 미국에서는 윤리 운동에 의해 '인본주의'라는 용어가 종교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영국에서는 비종교인들 사이에서 점차 비종교적인 의미로 확산되었다.[23]

독자적인 조직 운동으로서 인본주의는 18세기와 19세기의 활발한 비종교 운동에서 나타났다. 오와니스트, 윤리 문화, 자유사상가, 세속주의자, 실증주의자뿐만 아니라 소수의 비종교적 급진적 유니테리언 교단 등이 있었다. 최초의 인본주의 선언은 1920년대 시카고 대학교에서의 연구를 바탕으로 1933년에 발표되어 인본주의 운동을 대중에게 알렸다.[24] 미국 인본주의 협회는 1943년에 일리노이주에서 비영리 단체로 설립되었다. 국제 인본주의 윤리 연합(IHEU)은 1952년 줄리안 헉슬리 경의 지도 아래 세계 인본주의자들이 모였을 때 설립되었다.[25] 영국 인본주의 협회는 1967년에 그 이름을 사용했지만, 1896년 스탠턴 코이트에 의해 설립된 윤리 협회 연합에서 발전했다.[25]

4. 선언문 및 선언

휴머니스트들은 휴머니스트 정체성을 통합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다양한 휴머니스트 선언들을 발표해 왔다.

1933년 첫 번째 휴머니스트 선언의 원래 서명자들은 스스로를 종교적 휴머니스트라고 선언했다. 그들은 전통적인 종교가 시대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보았기 때문에, 당시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역동적인 힘을 가진 종교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이 "종교"는 어떤 신에 대한 믿음도 주장하지 않았다.[26] 이후 첫 번째 선언을 대체하기 위해 두 개의 추가 선언이 작성되었다. 1973년 휴머니스트 선언 II 서문에서 폴 커츠와 에드윈 H. 윌슨은 희망찬 미래를 위해서는 믿음과 지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선언 II는 종교에 관한 단락에서 전통 종교가 인류에게 해를 끼친다고 언급했다.[26] 선언 II는 "과학적", "윤리적", "민주적", "종교적", "마르크스주의" 휴머니즘을 자연주의 철학의 일부로 인정했다.

2002년 국제 인본주의 윤리 연합(IHEU) 총회는 2002년 암스테르담 선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는데, 이는 세계 인본주의의 공식적인 정의 선언을 나타낸다.[26]

국제 인본주의 윤리 연합의 모든 회원 단체는 규약 5.1[27]에 따라 '인본주의 최소 명제'를 수용해야 한다.

> 인본주의는 인간이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형태를 만들어갈 권리와 책임을 갖는다고 주장하는 민주적이고 윤리적인 삶의 자세입니다. 그것은 인간 능력에 따른 이성과 자유로운 탐구의 정신으로 인간적 가치와 기타 자연적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윤리를 통해 더욱 인간적인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옹호합니다. 그것은 유신론적이지 않으며, 초자연적인 현실관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여러 인본주의 선언문과 선언은 다음과 같다.


  • 인본주의 선언 I (1933)
  • 인본주의 선언 II (1973)
  • 세속적 인본주의 선언 (1980)
  • 상호 의존 선언 (1988)
  • IHEU 인본주의 최소 선언 (1996)
  • 인본주의: 왜, 무엇, 그리고 무엇을 위해, 882단어 (1996)
  • 인본주의 선언 2000: 새로운 지구적 인본주의를 위한 외침 (2000)
  • 인본주의의 확언: 원칙 선언
  • 암스테르담 선언 (2002)
  • 인본주의와 그 열망: 인본주의 선언 III, 1933년 인본주의 선언의 후속 (2003)
  • 십계명에 대한 대안

5. 윤리와 종교적 믿음과의 관계

20세기와 21세기에 들어 휴머니스트 단체 회원들은 휴머니즘이 종교인지 여부에 대해 의견이 갈렸다.[32] 종교적 휴머니즘은 종교의 전통적인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려 하지만, 세속적 휴머니즘은 모든 형태의 종교를 유효하지 않다고 본다.[33]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삶의 자세"와 같은 개념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구분이 실질적으로 무의미해졌다. 대부분의 휴머니스트 단체는 '세속적' 또는 '윤리적'과 같은 수식어 없이 '휴머니즘'을 비종교적인 철학 또는 삶의 방식으로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휴머니스트는 초자연적인 믿음에 대한 맹종을 거부하고, 과학적 방법론과 방법론적 자연주의를 지지하며, 형이상학적 자연주의의 입장을 취한다.[34] 휴머니즘은 윤리를 인간의 노력으로 간주한다 (자연주의적 윤리 참조).[2][3][4]

세속적 휴머니스트는 절대주의적 도덕 체계에 대한 독단적인 믿음을 비합리적이라고 여기지만, 합리적인 도덕적 심의를 통해 보편적인 객관적 기준을 발견할 수 있다고 믿는다.[35] 많은 휴머니스트는 황금률을 채택하며, 사회가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보편적인 도덕 기준이 필요하다고 믿지만, 이는 이성, 경험, 과학적 탐구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36]

휴머니스트 앤드루 콥슨과 앨리스 로버츠는 모든 도덕적 상황이 독특하며, 상황에 따라 다른 접근 방식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휴머니스트적 도덕성의 특징이라고 제안한다.[38]

6. 현대적 맥락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이 용어는 종교에 비판적이지는 않지만 비종교적인 접근법을 선호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스스로 반종교적이라고 칭하는 일부 인본주의자들에 의해서도 사용되었다.[72] 1980년에는 민주적 세속적 인본주의 의회(CODESH, 현재는 탐구의 중심지)가 인본주의자 선언문을 발표하면서 미국 내에서 세속적 인본주의가 조직적인 정체성을 갖추게 되었다.

미국 인본주의 협회(American Humanist Association)에서 작성한 ''휴머니스트 선언''에도 휴머니즘의 일반적인 개요가 제시되어 있다.[31]

7. 인본주의적 기념일

인본주의는 종교와 달리 특정 날을 기념하거나 숭배할 의무가 없는, 개인의 비종교적 관점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인간주의자는 자신이 거주하는 곳의 일반적인 국경일에 참여할지 여부를 스스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유럽과 북미의 인간주의자들은 크리스마스와 같은 공휴일을 기독교 축제가 아닌 세속적인 공휴일로 기념한다.[64] 다른 인간주의자들은 동지, 하지, 춘분, 추분을 기념한다. 유럽의 인간주의자들은 기독교가 등장하기 수천 년 전부터 북반구에서 인간이 이러한 시기에 기념할 이유를 찾았다는 사실을 강조하기도 한다.[65] 인간주의자들은 가족과 지역 사회에서 기념하는 종교적 전통과 공휴일에 문화적으로 동일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대교 정체성을 가진 인간주의자들은 대부분의 유대교 공휴일을 세속적인 방식으로 기념한다.

국제 인간주의 연맹은 세계 인간주의자의 날(6월 21일), 다윈의 날(2월 12일), 세계 인권의 날(12월 10일), 휴먼라이트(12월 23일)를 인간주의적 기념일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만, 아직 공휴일로 지정되지는 않았다. 인간주의 단체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날짜를 중심으로 활동 프로그램을 알리는 행사를 조직한다.

많은 국가에서 인간주의 의례자(집전인)는 결혼식, 장례식, 출생 축하 의식, 성년식 등 다양한 의례 서비스를 수행한다. 스코틀랜드와 노르웨이와 같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의례가 매우 인기가 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스코틀랜드 최대 교회를 포함한 어떤 종교 단체보다 더 많은 사람이 인간주의 결혼식을 올리고 있으며, 스코틀랜드 결혼의 20% 이상이 인간주의 결혼이다. 노르웨이에서는 매년 젊은이의 20% 이상이 인간주의 성년식을 선택한다.

8. 미국의 법적 언급

미국에서는 20세기 중반부터 종교적 근본주의자들과 종교 우파가 "세속적 인본주의"라는 용어를 적대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프랜시스 A. 섀퍼는 자신의 저서에서 만연한 세속적 인본주의가 도덕적 상대주의와 윤리적 파산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미국의 도덕적, 영적 기반을 훼손하는 악마적인 것으로 묘사했다.[59] 이러한 주장은 북미의 근본주의 설교에서 널리 반복되었다.[59] 세속적 인본주의는 여성주의, 외설물, 낙태, 동성애, 뉴에이지 영성을 조장하는 거대한 음모로 묘사되기도 했다.[60]

1961년 미국 대법원의 ''토르카소 대 왓킨스'' 판결 각주에서는 불교, 도교, 윤리 문화와 함께 세속적 인본주의를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가르치지 않는 종교로 언급했다.[66] 이는 1957년 ''휴머니티 펠로우십 대 앨러미다 카운티'' 사건을 언급한 것인데,[66] 이 사건에서 법원은 비신론적 신념을 가진 휴머니스트 단체의 활동이 유신론적 교회의 활동과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세금 면제를 허용했다. ''워싱턴 윤리 협회 대 컬럼비아 특별구'' 사건에서도 윤리 협회가 비유신론적 종교 단체로 간주되어 세금 면제를 받았다.

반면, ''Peloza v. Capistrano School District'' 사건에서 미국 제9 연방 항소 법원은 진화론이나 세속적 인본주의가 정교분리 조항의 목적상 '종교'라고 판결한 적이 없다고 판결했다.[67] 1987년 '''스미스 대 모바일 카운티 교육위원회 소송'''에서 미국 제11 순회 항소 법원은 교과서가 유신론적 신념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고 판결했다.[69]

1984년 경제 안보를 위한 교육법에 오린 해치 상원의원이 추가한 "세속적 인본주의를 내용으로 하는 모든 교육 과정"을 금지하는 조항은, 정의를 내릴 수 없어 논란 끝에 1년 만에 삭제되었다.

8. 1. 해치 수정 조항

1984년 경제 안보를 위한 교육법에는 섹션 20 U.S.C.A. 4059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오린 해치 상원의원은 이 조항에 "세속적 인본주의를 내용으로 하는 모든 교육 과정"을 금지하는 문구를 추가했다. 그러나 이 조항은 "세속적 인본주의를 내용으로 하는 교육 과정"에 대한 정의를 내릴 수 없어 실질적인 문제에 부딪혔다. 상원의원 보좌관, 미국 상원 노동 및 인적 자원 위원회, 법무부 모두 정의를 제시하지 못했고, 결국 이 결정은 지역 교육 위원회에 맡겨졌다. 이 조항은 논란을 일으켜 1년 안에 해치 상원의원이 세속적 인본주의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는 수정안을 제안하고 의회가 통과시켰다.

8. 2. 판례법

1961년 미국 대법원의 ''토르카소 대 왓킨스'' 판결에서 휴고 블랙 대법관은 각주를 통해 "일반적으로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가르치지 않는 이 나라의 종교에는 불교, 도교, 윤리 문화, 세속적 인본주의 등이 있다"고 언급했다.[66]

이 판결의 각주는 1957년 사건인 ''휴머니티 펠로우십 대 앨러미다 카운티''를 언급했는데,[66] 당시 휴머니스트 단체[67]는 재산을 "오로지 종교적 예배를 위해서만" 사용한다는 이유로 세금 면제를 요구했다. 이 단체는 비신론적 신념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법원은 매주 일요일 모임을 포함한 ''휴머니티 펠로우십''의 활동이 유신론적 교회의 활동과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세금 면제를 허용했다. ''휴머니티 펠로우십'' 사건 자체에서는 ''인본주의''를 언급했지만, ''세속적 인본주의''라는 용어는 언급되지 않았다. 블랙 대법관은 ''세속적''이라는 단어를 추가하여 ''휴머니티 펠로우십''의 비신론적 성격을 강조하고, 기독교 인본주의와 구별하려 했을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 윤리 협회 대 컬럼비아 특별구 사건은 '토르카소 대 왓킨스' 판례의 각주에서 언급된 1957년의 세금 사건이다. ''워싱턴 윤리 협회''는 교회와 매우 유사하게 기능하지만, 윤리의 초자연적 기원에 대한 믿음을 강요하지 않으면서 윤리적 삶의 중요성을 존중하는 비유신론적 종교 단체로 간주된다. 미국 항소 법원은 조세 법원의 판결을 뒤집고 협회를 종교 단체로 정의하여 세금 면제를 부여했다.

''Peloza v. Capistrano School District'' 사건에서, 한 과학 교사는 학교가 진화론을 가르치도록 요구함으로써 세속적 인본주의라는 "종교"를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제9 연방 항소 법원은 "대법원도, 이 항소 법원도 진화론이나 세속적 인본주의가 정교분리 조항의 목적상 '종교'라고 판결한 적이 없다"고 판결했다.[67]

8. 3. 논란

세금 관련 결정은 단체가 교회와 유사하게 기능하는지에 따라 이루어져 왔지만, 정교분리 관련 소송은 관련된 사상이나 상징이 본질적으로 종교적인지에 따라 결정된다.[68] 1987년 '''스미스 대 모바일 카운티 교육위원회 소송'''에서 원고들은 학교 시스템이 세속적 인본주의라는 반종교적 종교의 교리를 가르치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미국 제11 순회 항소 법원은 교과서가 유신론적 신념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고 판결했다.[69]

9. 저명한 세속적 인본주의자

10. 관련 단체


  • 미국 무신론자 협회
  • 미국 인본주의 협회
  • 브라이츠
  • 캠프 퀘스트
  • 탐구 센터
  • 인본주의 유대교 시티 회중
  • 회의론 탐구 위원회
  • 호주 인본주의자 협의회
  • 윤리 문화
  • 유럽 인본주의 연맹
  • 인도 합리주의자 협회 연맹
  • 종교로부터의 자유 재단
  • 퓨전당
  • 조르다노 브루노 재단
  • 인본주의 캐나다
  • 아일랜드 인본주의자 협회
  • 뉴질랜드 인본주의자 협회
  • 스코틀랜드 인본주의자 협회
  • 독일 인본주의 협회
  • 국제 인본주의자
  • 인본주의자 영국
  • 인본주의자 스웨덴
  • 휴머니티+
  • 인본주의 연구소
  • 인터넷 불신자
  • 무신론자 및 자유사상가 군사 협회
  • 국립 과학 교육 센터
  • 뉴질랜드 합리주의자 및 인본주의자 협회
  • 인본주의자당
  • 필리핀 무신론, 불가지론, 세속주의 법인
  • 돌팔이 정보 감시
  • 이성당
  • 루마니아 세속 인본주의자 협회
  • 사피엔스 재단
  • 호주 세속당
  • 모두를 위한 스카우트
  • 세속 학생 연합
  • 시드멘트 (아이슬란드)
  • 회의론자 협회
  • 인본주의 유대교 협회

참조

[1] 웹사이트 10 Myths About Secular Humanism https://web.archive.[...] 2015-06-12
[2] 웹사이트 What Is Humanism? https://web.archive.[...]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2009-08-19
[3] 서적 Compact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Definitions of humanism (subsection) https://web.archive.[...] Institute for Humanist Studies 2007-01-16
[5] 뉴스 Unemployed at service: church and the world http://archive.guard[...] The Guardian 1935-05-25
[6] 뉴스 Free Church ministers in Anglican pulpits. Dr Temple's call: the South India Scheme. http://archive.guard[...] The Guardian 1943-05-26
[7] 간행물 An Introduction to Secular Humanism Charles Clarke Ltd 1972
[8] 웹사이트 Humanism Unmodified http://www.thehumani[...] Humanist 2002-11-12
[9] 문서 Capitalization [of ''Humanism''] is not mandatory... It is recommended usage and the normal usage within IHEU IHEU 2006-03-02
[10] 문서 Humanism is Eight Letters, No More http://iheu.org/huma[...]
[11] 웹사이트 Islamic political philosophy: Al-Farabi, Avicenna, Averroes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1-11-13
[12] 서적 The Origin and Nature of Secularism Watts & Co. 1896
[13] 웹사이트 Secularism 101: Defining Secularism: Origins with George Jacob Holyoake https://web.archive.[...] Atheism.about.com 2011-11-13
[14] 서적 Positivist Republic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15-06-12
[15] 뉴스 A Positivist Festival https://query.nytime[...] 1881-01-16
[16] 학술지 '"The Church of Humanity": New York''s Worshipping Positivists'
[17] 웹사이트 City of London page on Finsbury Circus Conservation Area Character Summary. https://www.cityoflo[...]
[18] 서적 The Sexual Contract
[19] 웹사이트 "Women's Politics in Britain 1780–1870: Claiming Citizenship" by Jane Rendall, esp. "72. The religious backgrounds of feminist activists" http://www.keele.ac.[...]
[20] 웹사이트 Ethical Society history page https://web.archive.[...] Ethicalsoc.org.uk 2013-09-29
[21] 서적 Toward Common Ground: The Story of the Ethical Societies in the United States. Fredrick Unger Publishing Co. 1969
[22] 서적 Towards a Sociology of Irreligion. MacMillan Press 1971
[23] 서적 Humanism: what's in the word? RPA/BHA/Secular Society Ltd 1997
[24] 웹사이트 Text of Humanist Manifesto I https://web.archive.[...] Americanhumanist.org 2011-11-13
[25] 웹사이트 British Humanist Association: History https://web.archive.[...] Humanism.org.uk 2011-11-13
[26] 웹사이트 Amsterdam Declaration 2002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Humanist and Ethical Union 2008-07-05
[27] 웹사이트 IHEU's Bylaws http://www.iheu.org/[...] International Humanist and Ethical Union 2008-07-05
[28] 웹사이트 What Is Secular Humanism? https://web.archive.[...] Council for Secular Humanism 2005-10-02
[29] 웹사이트 The Affirmations of Humanism: A Statement of Principles https://web.archive.[...] The Council for Secular Humanism 2012-05-28
[30] 웹사이트 A Secular Humanist Declaration https://web.archive.[...] the Council for Secular Humanism 2008-11-27
[31] 웹사이트 Humanism and Its Aspirations – Humanist Manifesto III, a successor to the Humanist Manifesto of 1933 https://web.archive.[...] Americanhumanist.org 2011-11-13
[32] 서적 The Genesis of a Humanist Manifesto Humanist Press
[33] 서적 Living Without Religion: Eupraxophy Prometheus Books
[34] 웹사이트 science must be limited to using just natural forces in its explanations.This is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principle of methodological materialism in science ... Scientists use only methodological materialism because it is logical, but primarily because it works. We don't need to use supernatural forces to explain nature, and we get farther in our understanding of nature by relying on natural causes. http://ncse.com/reli[...] National Centre for Science and Education
[35] 웹사이트 A Secular Humanist Declaration https://web.archive.[...] Secularhumanism.org 2011-11-13
[36] 서적 On Humanism Routledge
[37] 웹사이트 Morality Requires God ... or Does It? https://secularhuman[...] Secularhumanism.org 2020-12-12
[38] 서적 The Little Book of Humanism Piaktus 2020
[39] 웹사이트 Kristen Bell Drops Some Ethical Gems She Learned On 'The Good Place' https://www.huffingt[...] 2021-02-01
[40] 서적 Athe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Human New York: DK Publishing, Inc
[42] 서적 Toward a New Enlightenment: the Philosophy of Paul Kurtz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Books 2009-10-19
[43] 서적 Toward a New Enlightenment: the Philosophy of Paul Kurtz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Books 2009-10-19
[44] 서적 The New Atheism and Secular Humanism http://www.pointofin[...] Center for Inquiry 2009-10-19
[45] 서적 Toward a New Enlightenment: the Philosophy of Paul Kurtz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Books 2009-10-19
[46] 서적 Good Without God: What a Billion Nonreligious People Do Believe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47] 웹사이트 The Science of Morality http://www.centerfor[...] Center for Inquiry 2015-06-12
[48] 웹사이트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 Publications – Chapter eight: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 http://www.americanh[...] Americanhumanist.org 2011-11-13
[49] 웹사이트 India humanist http://india.humanis[...] India.humanists.net 2011-11-13
[50] 웹사이트 Census 2011 – Ethnicity and religion in England and Wales http://www.ons.gov.u[...] Statistics.gov.uk 2011-11-13
[51] 웹사이트 RELIGION IN AUSTRALIA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7-10-16
[52] 웹사이트 Top Twenty Religions in the United States, 2001 (self-identification, ARIS) http://www.adherents[...] Adherents.com 2011-11-13
[53] 웹사이트 Statistics Canada – Population by religion, by province and territory (2001 Census) http://www40.statcan[...] 0.statcan.ca 2011-11-13
[54] 웹사이트 Scotland's Census - Ethnicity, Identity, Language and Religion http://www.scotlands[...] scotlandscensus.gov.uk 2017-05-26
[55] 웹사이트 Human-Etisk Forbund http://www.human.no/[...] 2015-06-12
[56] 웹사이트 Norway – Members of philosophical2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f Norway. 1990–2013. https://www.ssb.no/s[...]
[57] 웹사이트 International Humanist and Ethical Union - Our members http://iheu.org/memb[...] 2015-06-12
[58] 웹사이트 "IHEU and EHF agree revised protocol, 24 February 2009" http://www.iheu.org/[...] Iheu.org 2011-11-13
[59] 간행물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60] 논문 "Evolution and secular humanism" 1993
[61] 웹사이트 IslamWay Radio http://english.islam[...] English.islamway.com 2011-11-13
[62] 웹사이트 Essays in the Philosophy of Humanism http://www.essaysinh[...] 2015-07-07
[63] 웹사이트 R. Joseph Hoffmann, "Humanism – What it isn't," posted 7 July 2012 on "@Humanism" blog http://humanism.ws/f[...] 2015-07-06
[64] 웹사이트 "A humanist discussion of… Religious Festivals and Ceremonies" http://humanism.org.[...]
[65] 뉴스 I'm a humanist who loves Christmas – for me, it's much more than a religious event https://www.independ[...] 2017-12-25
[66] 문서 ''Fellowship of Humanity v. County of Alameda'' http://online.ceb.co[...]
[67] 문서 ''Ben Kalka v Kathleen Hawk, et al.'' http://pacer.cadc.us[...]
[68] podcast Point of Inquiry http://www.pointofin[...]
[69] 서적 Redefining the First Freedom: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olidation of State Power, 1980–1990 https://archive.org/[...] Transaction Books
[70] 뉴스 "Unemployed at service: church and the world" http://archive.guard[...] The Guardian 1935-05-25
[71] 뉴스 Free Church ministers in Anglican pulpits. Dr Temple's call: the South India Scheme. http://archive.guard[...] The Guardian 1943-05-26
[72] 서적 An Introduction to Secular Humanism Charles Clarke Ltd.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