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문두리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문두리족은 고대 게르만 부족으로, 기원전 1세기부터 서기 2세기까지 로마 제국과 접촉하며 역사에 등장했다. 스트라본, 타키투스 등 고대 로마 역사가들의 기록에 따르면, 엘베강 동쪽에 거주하며 로마와 교역을 했으며, 마르코만니 전쟁에 참여하기도 했다. 일부 학자들은 헤르문두리족이 튀링기족의 기원이 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게르만족 - 앵글로색슨족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경 브리튼 섬에 정착한 게르만족 앵글족, 색슨족, 주트족으로 형성된 민족 집단으로, 고대 영어를 사용하며 여러 소왕국을 건설하고 웨섹스 왕국으로 통일되었으나, 노르만 정복 이후 지배가 종식되었지만 그들의 언어와 문화는 현대 영어와 영국 문화의 기반이 되었으며, "앵글로색슨" 용어는 영어권 국가들과 문화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역사적 정확성과 정치적 함의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고대 게르만족 - 동고트족
    동고트족은 3세기부터 로마 기록에 나타난 고트족의 한 분파로, 다뉴브 강 하류와 흑해 북부에서 거주하며 로마와 경쟁하고 용병을 제공하다가, 5세기 말 테오도리크 대왕의 지휘 아래 이탈리아에 동고트 왕국을 건설했으나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했고, 그들의 고트어와 문화는 다른 유럽 민족에게 흡수되었다.
헤르문두리족
기본 정보
기원전 100년경 게르만족의 분포를 나타내는 지도. 헤르문두리족은 엘베강 상류 지역에 거주했다.
엘베강 유역의 헤르문두리족 (기원전 100년).
민족
민족명헤르문두리족
언어게르만어
역사
존속 기간기원전 1세기 ~ 3세기
지역엘베강 유역
문화
종교게르만족 종교

2. 역사

타키투스의 '편년사'에 따르면, 서기 50년경 비빌리우스는 반니우스의 조카들인 반기오와 시도 및 루기족과 동맹을 맺고 반니우스를 축출했다. 서기 58년에는 카티족과의 전투에서 종교적으로 중요한 강을 둘러싼 국경 분쟁에서 승리했다. 이 강은 베라강이나 작센의 잘레강으로 추정된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서기 180년에 사망했을 당시, 그는 마르코만니족, 헤르문두리족, 사르마티아족, 콰디족의 동맹과 전쟁 중이었다.

일부 학자들은 헤르문두리족의 잔존 세력이 튀링기족이 되었다고 주장하지만,[8] 다른 학자들은 이에 반박한다.[9]

2. 1. 초기 기록

스트라보는 헤르문두리족을 엘베강 동쪽에 살며 유목 생활을 하는 수에비족으로 다뤘다. 그는 수에비족이 레누스강에서 엘베강까지 이르는 가장 큰 규모의 부족이며, 헤르문두리족과 랑고바르디족처럼 엘베강 건너편에도 일부 부족이 살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랑고바르디족은 모두 엘베강 건너편으로 이주했다고 덧붙였다.

카시우스 디오는 서기 1년에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로 추정되는 로마인 도미티우스가 이스테르강을 따라 지역을 다스리던 중, 어떤 이유로 고향을 떠나 다른 땅을 찾던 헤르문두리족을 마르코만니족 영토 일부에 정착시켰다고 기록했다. 이후 도미티우스는 엘베강을 건너 반대편의 야만족들과 우호적인 동맹을 맺고 강둑에 아우구스투스의 제단을 세웠다고 한다.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는 랑고바르디족의 세력이 꺾였으며, 로마군이 라인강 너머 400마일 떨어진 셈노네스족과 헤르문두리족의 영토를 지나 엘베강까지 진군했다고 묘사했다.[6]

대 플리니우스는 저서 '박물지'에서 헤르문두리족을 헤르미오네스족 중 하나로 분류하고, 카티족, 케루스키족, 수에비족과 함께 만누스의 후손이라고 기록했다.

타키투스는 '게르마니아'에서 헤르문두리족을 도나우강엘베강 수원 근처에 위치시키며, 로마에 충성하는 민족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헤르문두리족이 게르만족 중 유일하게 강둑뿐만 아니라 내륙 깊숙이, 라이티아 속주의 가장 번성한 식민지까지 교역 활동을 했다고 기록했다. 또한, 이들은 경호원 없이 어디든 통과할 수 있었고, 로마는 다른 부족들에게는 무기와 군영만을 보여줬지만, 헤르문두리족에게는 집과 터전을 개방했다고 한다.

타키투스는 '편년사'에서 서기 18년에 헤르문두리족 출신의 비빌리우스가 콰디족의 반니우스를 도와 마르코만니족의 왕 카투알다를 전복시켰다고 기술했다.[7]

2. 2. 로마와의 관계

스트라본은 헤르문두리족을 엘베강 동쪽에 살며 유목 생활을 하는 수에비족의 일파로 보았다. 카시우스 디오는 서기 1년에 로마인 도미티우스가 이스테르강(다뉴브강)을 따라 다스리던 중, 어떤 이유로 고향을 떠나 다른 땅을 찾던 헤르문두리족을 마르코만니족 영토 일부에 정착시켰다고 기록했다. 이후 도미티우스는 엘베강을 건너 이민족과 우호 동맹을 맺고 강가에 아우구스투스 제단을 세웠다.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는 랑고바르디족의 세력이 꺾이고, 로마군이 라인강 너머 400마일 떨어진 엘베강까지 진군하여 셈노네스족과 헤르문두리족의 영토에 이르렀다고 묘사했다.[6]

대 플리니우스는 저서 '박물지'에서 헤르문두리족을 헤르미오네스족 중 하나로, 카티족, 케루스키족, 수에비족과 함께 만누스의 후손으로 분류했다. 타키투스는 '게르마니아'에서 헤르문두리족을 다뉴브강엘베강 수원 근처에 살며 로마와 교역하는 유일한 게르만족으로 묘사했다. 이들은 경비 없이 로마 영토를 지나 라이티아 속주까지 교역했으며, 로마는 이들에게 집과 터전을 개방했다.

타키투스는 '편년사'에서 서기 18년 헤르문두리족 비빌리우스가 콰디족 반니우스를 도와 마르코만니족 왕 카투알다를 몰아냈다고 기록했다.[7] 서기 50년경, 비빌리우스는 반니우스의 조카 반기오와 시도, 루기족과 동맹을 맺고 반니우스를 몰아냈다. 서기 58년, 헤르문두리족은 카티족과의 국경 분쟁에서 승리했다.

헤르문두리족은 베라강 혹은 잘레강으로 추정되는, 소금 매장량이 있는 강을 경계로 카티족과 분쟁을 벌였고, 이 분쟁에서 승리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서기 180년 사망 당시 마르코만니족, 헤르문두리족, 사르마티아족, 콰디족 연합과 마르코만니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헤르문두리족의 잔존 세력이 투링기족이 되었다고 주장하지만,[8] 다른 학자들은 이에 반박한다.[9]

2. 3. 주변 부족과의 갈등

스트라본은 헤르문두리족을 엘베강 동쪽에 살며 유목 생활을 하는 수에비족의 일파로 보았다. 카시우스 디오는 서기 1년에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로 추정되는 도미티우스라는 로마인이 이스테르강(다뉴브강)을 따라 다스리던 중, 어떤 이유로 고향을 떠나 다른 땅을 찾던 헤르문두리족을 마르코만니족 영토 일부에 정착시켰다고 기록했다.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는 로마군이 라인강 너머 400마일 떨어진 셈노네스족과 헤르문두리족의 영토를 지나 엘베강까지 진군했다고 묘사하며, 이는 이전에 시도되지 못한 일이었다고 언급했다.[6]

대 플리니우스는 저서 '박물지'에서 헤르문두리족을 헤르미오네스족 중 하나로, 카티족, 케루스키족, 수에비족과 함께 만누스의 후손으로 분류했다. 타키투스는 '게르마니아'에서 헤르문두리족을 로마에 충성하는 민족으로 묘사하며, 이들이 게르만족 중 유일하게 강둑뿐 아니라 내륙 깊숙이, 라이티아 속주의 가장 번영하는 식민지까지 교역 활동을 했다고 기록했다. 또한 이들은 경호원 없이 어디든 다닐 수 있었고, 로마는 이들에게 집과 터전을 개방했지만 이들은 탐내지 않았다고 한다.

타키투스는 '편년사'에서 헤르문두리족 출신 비빌리우스가 서기 18년에 콰디족의 반니우스를 도와 마르코만니족의 왕 카투알다를 몰아냈다고 기술했다.[7] 서기 50년경, 비빌리우스는 반니우스의 조카들인 반기오와 시도, 루기족과 동맹을 맺고 반니우스를 몰아냈다. 서기 58년, 헤르문두리족은 종교적으로 중요한 강을 두고 벌어진 국경 분쟁에서 카티족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헤르문두리족은 카티족과 소금 매장량이 있는 강(아마도 베라강 혹은 잘레강)을 경계로 분쟁을 벌였고, 이 분쟁에서 승리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서기 180년 사망 당시 마르코만니족, 헤르문두리족, 사르마티아족, 콰디족의 동맹과 전쟁 중이었다.

2. 4. 마르코만니 전쟁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가 서기 180년에 사망했을 당시, 그는 마르코만니족, 헤르문두리족, 사르마티아족, 콰디족 연합군과 마르코만니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3. 헤르문두리족의 왕

비빌리우스 : 18년경 - 50년경[10][5]

참조

[1]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2] 서적 The Annals.2.63 https://wikisource.o[...]
[3] 서적
[4] 간행물 Germanische Altertumskunde Online
[5] 서적 Ann.
[6]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7] 서적 The Annals.2.63 https://wikisource.o[...]
[8] 서적
[9] 간행물 Germanische Altertumskunde Online
[10] 서적 An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