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이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티아는 알프스 지역에 위치했던 로마 제국의 속주로, 현재의 스위스, 오스트리아, 독일 일부 지역을 포함한다. 라에티족은 이 지역의 주요 부족이었으며, 그 기원은 에트루리아 문명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5년 티베리우스와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에 의해 정복되었으며, 로마 제국 멸망 후 동고트족의 지배를 받았다. 주요 도시로는 트리덴툼(트렌토)과 쿠리아(쿠어)가 있었으며, 농업보다는 목축과 목재 생산이 주요 경제 활동이었다.

2. 역사

라이티아 지역은 고대에 라에티족이 거주했던 곳으로, 이들은 알프스의 강력한 부족 중 하나였다. 기원전 15년 로마 제국티베리우스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에게 정복되어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7][5] 처음에는 단일 속주였으나 이후 북쪽의 빈델리키아 지역이 통합되었고, 시대에 따라 행정 체계와 군사적 중요성이 변화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기에는 '라이티아 프리마'와 '라이티아 세쿤다'로 분할되기도 했다.[7] 서로마 제국 말기 혼란을 겪은 후에는 동고트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7] 중세 초기를 거치며 점차 다른 정치체에 흡수되었다.

2. 1. 기원 및 초기 역사

라이티아인(라에티족)의 기원이나 역사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적지만, 기록에 따르면 알프스 부족 중 가장 강력하고 호전적인 집단 중 하나로 나타난다. 리비우스는 그들이 에트루리아 문명에서 유래했다고 명확히 언급했으며,[7][1] 이 견해는 바르톨트 게오르크 니부어와 테오도르 몸젠의 지지를 받았다. 유스티누스[2]대 플리니우스[7][3]가 전한 바에 따르면, 라이티아인은 본래 포강 평원에 정착했던 이들 중 일부였으나, 침략해 온 골족에 의해 산지로 밀려났고, 당시 지도자였던 '라에투스'(Raetus)의 이름을 따서 부족명을 삼았다고 한다. 다만, 부족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켈트어 'rait'(산지)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들의 에트루리아 기원이 사실이라 할지라도, 로마인들이 이 지역을 알게 되었을 때는 이미 켈트족 부족들이 대부분을 점유하고 원주민과 완전히 융합된 상태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후대의 라이티아인은 켈트족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에우가네이와 같은 비켈트족 부족들도 그들 사이에 섞여 살았다.[7] 최근 오스트리아 서부 지역 주민들의 Y염색체 하플로그룹 조사 결과, 과거 에트루리아인 분포 지역과 공통되는 G 그룹이 다수 발견되어 에트루리아 기원설을 뒷받침하는 유전학적 증거도 제시되었다.

라이티아인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폴리비우스의 기록에 단편적으로 나타나며,[7][4] 로마 공화국 말기까지 그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거의 없다. 그러나 기원전 15년 티베리우스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에게 정복당하기 전까지 독립을 유지했다는 점은 거의 확실하다.[7][5]

로마 제국의 속주가 된 초기 라이티아는 별도의 행정 구역이었으나, 서기 1세기 말에는 북쪽의 빈델리키아 지역이 편입되었다. 이 때문에 타키투스는 그의 저서 ''게르마니아''(41장)에서 아우구스타 빈델리코룸(아우크스부르크)을 "라이티아 속주의 식민지"라고 기술할 수 있었다. 빈델리키아를 포함한 라이티아 속주는 처음에는 군사 장관(프라이펙투스)이 통치했고, 이후에는 검사(프로쿠라토르)가 다스렸다. 2세기까지는 로마 정규군이 주둔하지 않았으며, 지역 출신 병사들과 민병대가 방어를 담당했다.[7]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통치기인 179년, 카스트라 레기나(레겐스부르크)에 제3 이탈리카 군단이 주둔하게 되면서 라이티아는 해당 군단의 사령관이 통치하게 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에는 라이티아가 이탈리아 교구(vicarius Italiae)에 속하게 되었으며, 행정적으로 두 개의 속주로 분할되었다. 옛 라이티아 지역은 '''라에티아 프리마'''(Raetia prima)로, 빈델리키아 지역은 '''라에티아 세쿤다'''(Raetia secunda)로 나뉘었다. 라이티아 프리마의 중심지는 쿠리아 라에토룸(쿠어)이었고, 라이티아 세쿤다의 중심지는 아우구스타 빈델리코룸(아우크스부르크)이었으며, 두 속주 모두 총독(praeses)이 통치했다. 두 속주의 정확한 경계는 불분명하지만, 대체로 보덴 호(Lacus Brigantinus)에서 인 강(Oenus)을 잇는 동서 라인으로 추정된다.[7]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시기 동안 라이티아 지역은 크게 황폐해졌다. 그러나 이후 동고트 왕국의 테오도리크 대왕이 이 지역을 점령하고 두크스(dux)를 파견하여 통치하면서 어느 정도 과거의 번영을 회복했다.[7] 라이티아 프리마의 상당 부분은 이후 수 세기 동안 쿠리엔시스 라이티아라는 독립적인 정치 단위로 존속하다가, 서기 917년에 슈바벤 공국에 병합되었다.

2. 2. 로마 제국의 편입

라에티족은 기원전 15년 티베리우스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에 의해 정복될 때까지 독립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7][5] 이 정복은 호라티우스의 송가에도 언급되어 있다.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된 라이티아는 처음에는 별도의 속주를 형성했지만, 서기 1세기 말에 빈델리키아가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타키투스는 그의 저서 ''게르마니아''에서 아우크스부르크를 "라이티아 속주의 식민지"라고 기록할 수 있었다.[7] 빈델리키아를 포함한 이 통합 속주는 처음에는 군사 장관(프라이펙투스)이 통치했고, 이후에는 검사(프로쿠라토르)가 다스렸다. 2세기까지 라이티아에는 로마 군단이 상주하지 않았으며, 방어는 주로 현지 원주민 군대와 민병대에 의존했다.[7]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통치 기간 중인 179년, 카스트라 레기나(현 레겐스부르크)에 제3군단 이탈리카가 주둔하게 되면서, 라이티아는 이 군단의 사령관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7]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에 라이티아는 이탈리아 교구의 일부가 되었다. 또한 속주는 두 개로 분할되어, 옛 라이티아 지역은 '''라이티아 프리마'''로, 빈델리키아 지역은 '''라이티아 세쿤다'''로 나뉘었다. 라이티아 프리마의 중심지는 쿠어였고, 라이티아 세쿤다의 중심지는 아우크스부르크였다. 두 속주는 모두 프라이세스라는 총독이 다스렸다. 두 속주의 경계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보덴 호에서 인 강을 잇는 선으로 여겨진다.[7]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시기 동안 라이티아 지역은 황폐한 상태에 놓였다. 그러나 이후 동고트 왕국의 테오도리크 대왕이 이 지역을 점령하고 두크스를 임명하여 통치하면서 어느 정도 과거의 번영을 되찾았다.[7]

2. 3.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서로마 제국 말기에 라이티아 지역은 황폐한 상태에 놓였다. 이후 테오도리크 대왕이 이끄는 동고트족동고트 왕국을 세우고 이 지역을 점령하였다. 동고트족은 이곳에 통치자 격인 ''두크스''(dux)를 파견하였고, 덕분에 라이티아는 어느 정도 이전의 번영을 되찾을 수 있었다.[7] 한편, 옛 라이티아 지역이었던 '라이티아 프리마'의 많은 부분은 이후 여러 세기 동안 쿠리엔시스 라이티아라는 이름의 독립적인 정치 단위로 유지되다가, 서기 917년에 슈바벤 공국에 병합되었다.

3. 경제

라이티아 지역은 매우 산악 지형이었기 때문에, 주민들은 약탈 원정을 하지 않을 때는 주로 소를 기르는 목축과 나무를 베는 임업으로 생계를 유지했으며, 농업에는 거의 종사하지 않았다.[1][2] 그러나 일부 계곡은 토양이 비옥하여 스펠트 밀(Zea)이나 와인을 생산하기도 했다.[2] 특히 라이티아산 와인은 이탈리아에서 생산된 와인과 견줄 만큼 품질이 좋았다고 평가받았으며,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다른 어떤 와인보다 라이티아 와인을 가장 선호했다고 전해진다.[1][2] 이 외에도 송진, 꿀, 밀랍, 치즈 등이 생산되었고, 이 품목들을 중심으로 상당한 규모의 무역이 이루어졌다.[1][2]

4. 지리

라이티아(빈델리키아 제외)의 주요 도시는 트리덴툼(트렌토)과 쿠리아(쿠어)였다. 이 지역에는 여러 중요한 로마 도로가 지나갔다.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다.[7]



알프스산맥의 일부인 레티콘 산맥의 이름은 라이티아에서 유래했다.

4. 1. 주요 도시

라틴어 이름현대 도시 이름
Abodiacum에프파흐
Alae아렌
Aquileia하이덴하임안데어브렌츠
Arbor Felix알본
Augusta Vindelicorum아우크스부르크
Ausugum보르고 발수 가나
Bauzanum 또는 Pons Drusi볼차노
Belunum벨루노
Bilitio벨린초나
Brigantium브레겐츠
Cambodunum켐프텐
Castra Batava파사우
Castra Regina레겐스부르크
Clavenna키아벤나
Clunia아마도 펠트키르히군 또는 발처스
Curia쿠어
Endidae노이마르크트
Feltria펠트레
Foetes퓌센
Gamundia Romana슈베비슈 그뮌트
Guntia귄츠부르크
Oscela도모도솔라
Parthanum파르텐키르헨
Sebatum산 로렌초 디 세바토/성 로렌첸
Sorviodurum슈트라우빙
Sublavio폰테 가르데나/바이드브루크
Tridentum트렌토
Veldidena인스브루크의 빌텐
Vipitenum비피테노/슈테르칭


참조

[1] 서적 Ab urbe condita https://www.perseus.[...]
[2] 문서 xx. 5
[3] 서적 Naturalis Historia https://www.perseus.[...]
[4] 서적 Histories https://www.perseus.[...]
[5] 서적 Odes
[6] 웹사이트 Via Claudia Augusta – die alte Römerstraße, Bayern, Tirol, Südtirol, Italien: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2010-10-12
[7] 간행물 Raetia EB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