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편년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편년사는 타키투스가 저술한 로마 제국 역사서로, 티베리우스 통치 시작부터 네로 통치 말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최소 16권으로 구성되었으나 일부가 유실되었고, 타키투스의 또 다른 저서인 역사와 합쳐 총 30권 분량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로마 원로원의 기록을 바탕으로 쓰였으며, 티베리우스, 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 네로 시대의 사건들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내용과 문체는 원수정의 필요성을 옹호하며, 황제와 원로원 간의 갈등, 저명한 인물들의 죽음 등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보여준다. 출처와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르네상스 시대에 필사본이 발견되면서 널리 알려졌으며,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키투스 -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는 1세기 로마 제국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브리타니아 총독으로 로마의 지배를 확장하고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에서 칼레도니아인들을 격파했으며, 93년에 사망했다. - 타키투스 - 타키투스의 예수
타키투스의 예수는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가 《연대기》에서 예수와 초기 기독교에 대해 언급한 내용으로, 특히 64년 로마 대화재 이후 네로의 기독교인 박해 기록은 예수의 존재와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되지만, 진위 여부와 자료 출처에 대한 학계의 논쟁이 있다. - 2세기 역사책 - 한서
한서는 반표가 시작하고 반고와 반소가 완성한 중국 전한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사기와 비교하여 서를 지로, 세가를 열전에 포함시키는 등의 차이가 있으며 한국사 연구에도 중요한 사료이다. - 2세기 역사책 - 황제전
《황제전》은 수에토니우스가 쓴 초대 로마 황제 12명의 전기를 모은 책으로, 가십과 주관적인 의견을 포함하지만 황제들의 유산, 습관, 외모, 정치 경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연대기 - 마하밤사
5세기에 마하나마라는 상좌부 불교 승려가 편찬한 《마하밤사》는 스리랑카의 초기 역사와 불교 전파 과정을 담은 팔리어 연대기이며,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논쟁과 민족주의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 연대기 - 승전기
《승전기》는 샤라프 앗딘 알리 야즈디가 티무르의 손자인 술탄 아부 알 파흐 이브라힘 미르자의 후원을 받아 집필한 역사서로, 여러 사본이 존재하며 2020년 한국어로 완역되었다.
로마 편년사 | |
---|---|
개요 | |
![]() | |
원제 | Annales (아날레스) |
다른 제목 | Ab Excessu divi Augusti Historiarum Libri (아브 엑세수 디비 아우구스티 히스토리아룸 리브리) |
저자 | 타키투스 |
언어 | 라틴어 |
주제 | 로마 제국 |
연대 | 서기 109년경 |
내용 | |
범위 | 티베리우스 황제 통치 기간 칼리굴라 황제 통치 기간 (일부) 클라우디우스 황제 통치 기간 네로 황제 통치 기간 |
설명 | 로마의 역사에 대한 타키투스의 연대기 |
2. 배경 및 구조
《연대기》(Annals)는 타키투스의 마지막 작품으로, 티베리우스 황제 즉위(서기 14년)부터 네로 황제 통치 말기(서기 68년)까지 로마 제국의 역사를 다룬다.[4] 타키투스는 최소 16권으로 《연대기》를 저술했지만, 7~10권과 5, 6, 11, 16권의 일부가 유실되었다.[4]
《역사》(Histories)는 《연대기》보다 먼저 쓰였으며, 네로 사후 6개월 뒤인 서기 69년 초부터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죽은 서기 96년까지를 다룬다.[4] 타키투스가 언제 《연대기》 집필을 시작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서기 116년에는 이미 상당 부분 진행된 상태였다.[3] 그는 원로원 의원으로서 ''악타 세나투스''(Acta Senatus)를 참고하여 저술에 활용했을 것으로 보인다.[5]
《역사》와 《연대기》는 합쳐서 총 30권 분량이었으며, 성 제롬이 이를 언급했다. 현재는 절반 정도만 남아있다.[3] 일반적으로 《역사》에 14권, 《연대기》에 16권이 할당된다.[3] 타키투스는 작품 일부를 "나의 연대기"라고 언급했지만, 현재 사용되는 《연대기》라는 제목은 연도별 구성을 따른 것이다.[3][4]
《연대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티베리우스 치세: 6권 분량 (1~6권, 5권 유실). 정치적 분위기 변화에 따라 두 세트(각 3권)로 나뉜다.[4]
- 칼리굴라와 클라우디우스 치세: 6권 분량(7~12권, 7~10권 유실). 11권과 12권은 메살리나의 반역부터 클라우디우스 통치 말까지를 다룬다.[4]
- 네로 치세: 4권 분량(13~16권, 16권 일부 유실). 16권은 서기 66년 중반에 내용이 끊겨 네로 통치 마지막 2년에 대한 기록은 유실되었다.[3][4]
2. 1. 티베리우스 시대 (1~6권)
아우구스투스의 죽음과 장례 이후 티베리우스가 즉위하면서 그의 시대가 시작되었다.[18] 티베리우스 시대의 로마 제국은 정치적 분위기의 변화에 따라 두 시기(각 3권)로 나뉜다.[4]1권에서는 드루수스와 판노니아 군단의 반란, 게르마니쿠스와 게르만 군단의 반란이 기록되어 있다.[18]
2권에서는 게르마니아 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리보 드루수스, 피소, 아시니우스 갈루스 등이 티베리우스에 반대하였다. 타크파리나스의 반란이 일어났고, 게르마니쿠스는 소아시아로 파견된 후 사망하였다.[18]
3권에서는 게르마니쿠스의 장례와 로마의 국내 정치 및 법적 문제, 갈리아 전쟁의 시작이 기록되었다. 타크파리나스의 반란은 계속되었고, 드루수스를 독살한 세야누스가 부상하였다.[18]
4권에서는 타크파리나스 반란이 종결되고, 세야누스가 몰락하였다. 트라키아 전쟁이 발발하고, 아그리피나의 행보가 기록되었다. 티베리우스는 수도를 캄파니아로 떠났으며, 로마의 켈리언 언덕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티티우스 사비누스가 유죄 판결을 받았다.[18]
5권은 리비아 황후의 죽음에 대한 내용이지만, 미완성으로 남아있다.[18]
6권에서는 파르티아 전쟁이 벌어지고, 로마의 아벤티노 언덕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티베리우스가 죽음을 맞이했다.[18]
2. 2. 칼리굴라와 클라우디우스 시대 (7~12권)
칼리굴라와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는 7권부터 12권까지 6권에 할애되었다. 그러나 7권부터 10권까지는 유실되었다.[4] 11권과 12권은 메살리나의 반역에서 클라우디우스의 통치 말까지의 기간을 다룬다.[4]11권에서는 클라우디우스가 황제가 되고, 수일리우스가 기소된다. 아르메니아에 혼란이 발생하고, 코르불로가 프리지족의 반란을 진압한다. 원로원의 권한이 속주로 확대되고, 메살리나가 처형된다.[18]
12권에서는 클라우디우스가 재혼하고 네로를 입양한다. 파르티아와 조정이 이루어지고, 포메리움이 확장된다. 브리타니아 침공이 카라타쿠스를 상대로 한 작전으로 계속되고, 아르메니아에 혼란이 발생한다. 푸치노 호수가 배수되고, 클라우디우스가 죽는다.[18]
2. 3. 네로 시대 (13~16권)

타키투스의 '연대기' 중 마지막 4권은 네로의 치세를 다루고 있다. 16권은 서기 66년 중반에 끝나 네로 통치 마지막 2년에 대한 기록은 유실되었다.[3][4]
권 | 내용 |
---|---|
13 | 네로 황제 즉위; 브리타니쿠스 살해. 아르메니아를 둘러싼 파르티아와의 갈등 지속. 로마가 아르메니아에서 위기를 겪지만, 코르불로 덕분에 상황 호전. 게르만과의 전쟁 지속. |
14 | 네로의 어머니 아그리피나 살해. 네로니아 창설. 코르불로가 아르메니아에서 로마의 입지 강화. 브리타니아에서 부디카를 중심으로 이케니족의 반란 발생. 로마의 형사 재판 및 정치적 숙청. 루벨리우스 플라우투스와 옥타비아 살해. |
15 | 아르메니아에서 로마 패배, 그러나 승리로 "포장". 티리다테스 파르티아 왕이 로마를 방문하여 로마의 명목상 속국이 됨. 로마 대화재. 피소 음모 실패. |
16 | 네로가 스토아 철학자들을 음모. 파에투스와 소라누스 살해. |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시대를 기록했다. 타키투스는 그의 저술을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가 서기 14년에 사망하고, 그 뒤를 티베리우스가 잇는 시점부터 시작했다.[5]
타키투스의 《연대기》는 티베리우스 황제 즉위(서기 14년)부터 네로 황제 통치 말기(서기 68년)까지의 로마 제국 역사를 다룬다.[4] 전 16권 중 7~10권, 5, 6, 11, 16권 일부가 유실되었다.[4]
3. 내용 및 문체
타키투스는 ''역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원수정의 필요성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유지한다. 그는 아우구스투스가 수년간의 내전 이후 국가에 평화를 가져다주었고 이를 보장했다고 말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카이사르 치하의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 원수정 초기의 역사는 또한, 타키투스가 도덕적으로 타락하고 부패했으며 황제에게 굴종한다고 여겼던 원로원 귀족이 공화정 시대에 누렸던 정치적 자유의 종말에 대한 역사이기도 하다. 네로 통치 기간에는 이 치명적인 ''exitus illustrium virorum''("저명한 인물들의 종말")을 옹호하는 문학 작품이 널리 퍼졌다. 다시 한번, 그의 ''아그리콜라''에서와 마찬가지로, 타키투스는 헛된 자살을 통해 쓸모없는 순교를 선택한 사람들에게 반대한다.
''연대기''에서 타키투스는 ''역사''에서 매우 잘 사용했던 초상화 기법을 더욱 발전시켰다. 아마도 최고의 초상화는 티베리우스에 대한 묘사일 것이다. 그는 서술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그려지며, 중간중간 관찰과 논평을 통해 세부 사항을 채워나갔다.[3] 타키투스는 티베리우스와 네로를 모두 백성들에게 두려움을 안겨준 폭군으로 묘사한다.[3] 그러나 그는 티베리우스를 한때 위대한 인물이었던 사람으로 여기는 반면, 네로는 단순히 혐오스러운 인물로 간주한다.[3]
4. 출처 및 진위 논란
《역사》는 네로 사후 6개월 뒤인 서기 69년부터 도미티아누스 황제 사망(서기 96년)까지를 다룬다.[4] 타키투스는 원로원 의원으로서 ''악타 세나투스''(Acta Senatus)를 참고하여 집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역사》와 《연대기》는 합쳐서 30권이며, 성 제롬이 언급했으나 현재는 절반 정도만 남아있다.[3] 타키투스는 자신의 작품 일부를 "나의 연대기"라고 언급했지만, 오늘날 《연대기》라는 제목은 연도별 구조에서 유래했다.[3][4]
《연대기》 16권 중 티베리우스 치세는 6권(5권 유실)이며, 정치적 분위기 변화에 따라 두 세트(각 3권)로 나뉜다.[4] 칼리굴라와 클라우디우스 치세는 6권(7~10권 유실)이다. 11, 12권은 메살리나 반역부터 클라우디우스 통치 말까지를 다룬다. 네로 치세는 마지막 4권이며, 16권은 서기 66년 중반에 끊겨 마지막 2년 자료가 유실되었다.[3]
4. 1. 필사본 발견
르네상스 시대에 《연대기》 필사본의 출처가 발견되었다. 1425년 포지오 브라촐리니는 독일 헤르스펠트 수도원에서 세 개의 작은 작품을 발견했다.[11] 그러나 자노비 다 스트라다(1361년 사망)가 몬테 카시노에서 《연대기》 11~16권을 먼저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11][12] 몬테 카시노의 《연대기》 사본은 다 스트라다의 친구였던 조반니 보카치오(1313~1375)에 의해 피렌체로 옮겨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보카치오는 1374년경 세네카(세네카)의 죽음에 대한 《연대기》 15권의 타키투스 기록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여 ''단테의 코멘토''를 썼다.[12][13][14][15][16] 프랜시스 뉴턴은 《연대기》 11~16권이 교황 빅토르 3세가 된 수도원장 데시데리우스(1058~1087)의 통치 전반기에 몬테 카시노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17]
1508년, 독일 코르베이 수도원에서 조반니 안젤로 아르침볼디(후에 밀라노 대주교)가 《연대기》 1~6권을 독립적으로 발견했다.[11] 이 필사본은 1515년 교황 레오 10세의 명령에 따라 베로알두스에 의해 로마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이후 피렌체의 로렌치아나 도서관에 보관되었다.[11]
4. 2. 위조설 논란
18세기 이후, 타키투스가 아닌 다른 사람이 ''연대기''를 썼다는 주장이 최소 다섯 차례 제기되었다. 볼테르는 타키투스가 문명의 역사적 배경을 제공하는 기준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6][7] 1878년, 존 윌슨 로스와 1890년, 폴리도르 호차트는 ''연대기'' 전체가 이탈리아 학자 포지오 브라촐리니(1380–1459)에 의해 위조되었다고 주장했다.[8][9][10] 로버트 반 부어스트는 이를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지지를 얻지 못한 "극단적인 가설"이라고 평가했다.[10]
''연대기''를 담고 있는 필사본의 출처는 르네상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브라촐리니가 1425년 독일의 헤르스펠트 수도원에서 세 개의 작은 작품을 발견했지만, 자노비 다 스트라다(1361년 사망)는 이보다 먼저 몬테 카시노에서 ''연대기'' 11–16권을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11][12] 몬테 카시노의 ''연대기'' 사본은 다 스트라다의 친구였던 조반니 보카치오(1313–1375)에 의해 피렌체로 옮겨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는 또한 몬테 카시노에서 이 사본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3][14] 보카치오는 1374년경 세네카(세네카])의 죽음에 대한
5. 대중문화 속 《연대기》
도나 레온의 세 번째 코미사리오 브루네티 소설인 《죽음을 위한 복장(Dressed for Death)》(1994)에서 주인공은 저녁 시간에 타키투스의 《연대기》를 읽으며, 소설 전체에서 이 자료에 대한 다양한 언급이 이루어진다.
미하일 불가코프의 《거장과 마르가리타》에는 타키투스의 《로마 편년사|연대기》가 언급되는데, MASSOLIT 편집자 베를리오즈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에 대한 언급이 후대에 추가된 위조 삽입이며 타키투스가 쓴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단편 소설 《분기하는 길들의 정원》에서 주인공 유 춘이 가상의 마을 애쉬그로브에서 마지막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기차를 탈 때, 기차에서 만나는 몇 안 되는 사람들 중에는 타키투스의 《로마 편년사|연대기》를 열정적으로 읽는 젊은이가 있다.
타키투스는 또한 앤 래드클리프의 《유돌포의 수수께끼》 6권 8장에서 간략하게 언급된다.
참조
[1]
서적
The Annals ''(109 A.C.E.)''
http://classics.mit.[...]
[2]
서적
Tacitus' Annal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
서적
The Annals: The Reigns of Tiberius, Claudius, and Nero
Oxford
[4]
서적
Tacitus and the Writing of History
1981
[5]
서적
The annals
2004
[6]
서적
Tacitus: The Man And His Work
Yale University Press/Oxford University Press
1957
[7]
서적
The Classical Foundations of Modern Historiography
Univ California Press
1992
[8]
서적
Tacitus and Bracciolini: The Annals Forged In The XVth Century
Diprose and Bateman
1878
[9]
서적
De L'Authenticité Des Annales Et Des Histoires de Tacite
Bibliobazar
2009
[10]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2000
[11]
서적
Latin Literature: A Histor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9-11-04
[12]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2003-11
[13]
서적
The Scriptorium and Library at Monte Cassino, 1058–110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04-29
[14]
서적
The Fortunes of Apuleiu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01-03
[15]
서적
The Deaths of Seneca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6]
서적
Boccaccio's Expositions on Dante's Comedy
http://www.ipertec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9
[17]
서적
The Scriptorium and Library at Monte Cassino, 1058–110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04-29
[18]
웹사이트
Tacitus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2023-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