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스페로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스페로사우루스는 2001년 명명된 검룡류 공룡으로, 미국 서부에서 화석이 발견되어 "서쪽의 도마뱀"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거의 완전한 두개골과 골격을 포함한 다양한 표본이 발견되었으며, 쥐라기 후기 킴메리지기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헤스페로사우루스는 6.5m의 길이에 3.5t의 무게를 가졌으며, 등에는 판이 존재했다. 2015년에는 성적 이형성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골판의 기능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케다르펠타
    케다르펠타는 백악기 전기에 미국 유타주에서 발견된 대형 곡룡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골격 화석을 바탕으로 2001년에 명명되었다.
  • 200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는 580만 년에서 560만 년 전의 초기 호미닌 화석 종으로, 송곳니 크기 축소와 관련된 행동 변화를 보이며 숲과 사바나 환경에 서식했고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 모리슨층의 공룡 - 마르쇼사우루스
    마르쇼사우루스는 1976년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발견된 몸길이 약 2.5미터의 작은 수각류 공룡으로, 가볍고 민첩한 골격과 모리슨 층에서의 발견, 그리고 장골 변형 등의 특징을 통해 행동 및 생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초기에는 메갈로사우루스류, 이후에는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과와의 관계 연구가 이루어졌다.
  • 모리슨층의 공룡 - 드리오사우루스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한 드리오사우루스는 긴 목과 다리, 각질 부리를 가진 최대 3m 크기의 조각류 공룡으로, 모리슨 층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1894년에 'Dryosaurus altus'로 재분류되었다.
  •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마르쇼사우루스
    마르쇼사우루스는 1976년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발견된 몸길이 약 2.5미터의 작은 수각류 공룡으로, 가볍고 민첩한 골격과 모리슨 층에서의 발견, 그리고 장골 변형 등의 특징을 통해 행동 및 생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초기에는 메갈로사우루스류, 이후에는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과와의 관계 연구가 이루어졌다.
  •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드리오사우루스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한 드리오사우루스는 긴 목과 다리, 각질 부리를 가진 최대 3m 크기의 조각류 공룡으로, 모리슨 층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1894년에 'Dryosaurus altus'로 재분류되었다.
헤스페로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북미 고대 생물 박물관에 전시된 골격
어원() - "서쪽"
() - "도마뱀"
학명Hesperosaurus mjosi
명명자케네스 카펜터, Miles & Cloward, 2001
분류
헤스페로사우루스속
스테고사우루스과
아과스테고사우루스아과
아목장순아목
하목검룡하목
조반목
목 계급 없음뺨 용류
상목공룡상목
시간 척도
화석 발견 시기쥐라기 후기,
모식종H. mjosi
명명자Carpenter, Miles & Cloward, 2001
이명?Stegosaurus mjosi

2. 발견 및 명명

1985년, 화석 사냥꾼 패트릭 맥쉐리는 와이오밍주존슨 군의 목장에서 검룡류의 화석을 발견했다.[1] 그는 표본에 붙어 있던 단단한 돌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웨스턴 고생물학 연구소의 로널드 미오스(Ronald Mjos)와 제프 파커(Jeff Parker)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들은 브리검 영 대학교의 고생물학자 디 홀(Dee Hall)에게도 협력을 구했다. 처음에는 스테고사우루스 스테노프스(Stegosaurus stenops)로 여겨졌다. 그러나 클리포드 마일스(Clifford Miles)는 화석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종일 가능성을 깨달았다.

모식종인 헤스페로사우루스 무조시(Hesperosaurus mjosi)는 2001년에 케네스 카펜터, 클리포드 마일스, 그리고 캐런 크라워드에 의해 기재되었다. 속명은 미국 서부에서 화석이 발견된 것에 기인하여 서쪽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ἕσπεροςgrc(hesperos)에서 유래되었으며, "서쪽의 도마뱀"이라는 뜻을 지닌다. 종소명은 로널드 미오스에게 헌정되었다. 미오스는 발굴에 기여했으며, 덴버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표본 DMNH 29431의 조립 골격을 만드는 데도 관여했다.

홀로타입인 '''HMNH 001''' (이후 HMNS 14)은 모리슨 지층 하부의 윈디 힐 층에서 발견되었다. 시대는 후기 쥐라기킴메리지기로, 약 1억 5600만 년 전이다. 2001년에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검룡으로 보고되었다. 거의 완전한 두개골과 많은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개골 외에 하악골 후부, 설골, 13개의 경추, 15개의 흉추, 3개의 천추, 44개의 미추, 경늑골, 미늑골, 혈도궁, 좌측 견갑골, 완전한 골반, 골화된 힘줄, 그리고 목과 등의 판(골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골격은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었고, 골절 부위의 치료 흔적으로 보아 노령 개체로 여겨졌다. 이 표본은 오카야마현의 하야시바라 자연 과학 박물관에 전시되었으나, 2016년에 후쿠이 현립 공룡 박물관의 투오장고사우루스가 있던 장소로 옮겨졌다.

릴리라고 불리는 표본의 삼각근 능선


1995년부터 와이오밍 주빅혼 군의 하우 스티븐스 채석장(과거 번엄 브라운에 의해 조사된 하우 목장과 새로운 소유자인 스티븐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에서 스위스의 고생물학자 한스 야콥 시버(Hans Jacob Siber)는 검룡의 표본을 발굴하고 있다. 첫 번째는 SMA 3074-FV01(SMA M04)라는 표본 번호로, 막스와 모리츠에서 이름을 딴 "모리츠"라고 불리는 부분 골격이다. 왜 막스와 모리츠에서 이름을 따왔냐면, 먼저 그 지층에서 발견된 용각류갈레아몹스의 표본이 막스라고 불렸기 때문이다. 1995년 9월, 표본 번호 SMA0018(이 또한 SMA M03으로 잘못 언급되기도 한다)이 발견되었고, 원래 "빅 알"이 정부에 압수된 후 "빅 알 2호"를 발견했을 때 조사대의 승리감에서 "빅토리아"라고 명명되었다. 빅토리아는 피부와 각질 덮개의 인상이 보존되어 있으며, 두개골을 포함한 상당히 완전한 골격이다. 세 번째 표본은 2002년에 발견되었고, 표본 번호는 SMA L02이며, 자원 봉사로 발굴을 지원한 니콜라 리릭과 라베아 리릭 자매의 이름을 따서 "릴리"라고 명명되었다. 릴리는 스위스 아탈 공룡 박물관(Aathal Dinosaur Museum) 소장품의 일부이다. 처음에는 이들 모두 스테고사우루스 표본으로 여겨졌다. 2001년에는 "모리츠"와 "릴리"만이 cf(참조 표본) 헤스페로사우루스 무조시로 재분류되었다. 2010년, "빅토리아"는 니콜라이 크리스티안센에 의해 헤스페로사우루스 무조시에 귀속되었다.

2015년, 추가 표본이 보고되었다. 몬태나 주 글라스 레인지 인근의 JRDI 5ES 채석장에서 최소 5개체가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그리고 코모 블러프의 메일린 채석장에서도 2개체의 표본이 발견되어 헤스페로사우루스와 동일하게 동정되었다.

2. 1. 모식 표본

2001년 케네스 카펜터, 클리포드 마일스, 카렌 클로워드는 모식종 ''헤스페로사우루스 마요시''(Hesperosaurus mjosi)를 명명하고 기술했다.[1] 속명은 서부 미국에 위치한 것을 언급하여 그리스어 ἕσπερος, ''hesperos'', "서부"에서 유래했다.[1] 종명은 홀로타입 수집 및 준비 과정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표본의 주형을 만들어 덴버 자연사 박물관에 DMNH 29431번으로 전시한 마요스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1]

홀로타입 '''HMNH 001'''(나중에 HMNS 14)은 초기 킴머리지안에 속하는 하부 모리슨 층의 윈디 힐 맴버, 지층대 1에서 발견되었으며,[2] 약 1억 5600만 년 전의 것이다.[1] 2001년에는 미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검룡류로 여겨졌다.[1] 거의 완전한 두개골과 골격의 대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두개골의 분리된 요소, 뒤쪽 아래턱, 설골, 13개의 목뼈, 13개의 등뼈, 3개의 천골, 44개의 꼬리뼈, 목 갈비뼈, 등 갈비뼈, 쉐브론, 왼쪽 어깨뼈, 완전한 골반, 골화된 힘줄, 10개의 목 및 등판이 포함되어 있다.[1] 골격은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었고, 치유된 골절로 보아 나이든 개체의 것이었다.[1] 이 표본은 일본 오카야마에 있는 하야시바라 자연사 박물관에서 입수했다. 2015년에 HMNS가 영구적으로 폐쇄되면서 홀로타입은 후쿠이 현립 공룡 박물관으로 이전되었고, '''FPDM-V9674'''로 재번호되었다.[3]

1985년, 화석 사냥꾼 패트릭 맥쉐리(Patrick McSherry)는 와이오밍주, 존슨 카운티에 있는 S.B. 스미스(S.B. Smith)의 목장에서 검룡류의 유해를 발견했다.[1] 단단한 암석 매트릭스 때문에 표본 확보에 어려움을 겪은 그는 웨스턴 고생물학 연구소(Western Paleontological Laboratories, Inc.)의 로널드 G. 마요스(Ronald G. Mjos)와 제프 파커(Jeff Parker)에게 도움을 요청했다.[1] 그들은 브리검 영 대학교의 고생물학자 디 홀과 협력했다. 처음에는 ''스테고사우루스''의 표본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클리포드 마일스(Clifford Miles)는 유해를 준비하면서 이것이 과학적으로 새로운 종에 속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1]

헤스페로사우루스의 크기 비교

2. 2. 추가 표본

1985년, 화석 사냥꾼 패트릭 맥쉐리는 와이오밍주존슨 군의 목장에서 검룡류의 화석을 발견했다.[1] 그는 표본에 붙어 있던 단단한 돌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웨스턴 고생물학 연구소의 로널드 마요스(Ronald Mjos)와 제프 파커(Jeff Parker)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들은 브리검 영 대학교의 고생물학자 디 홀(Dee Hall)에게도 협력을 구했다.[1] 처음에는 ''스테고사우루스''의 표본으로 여겨졌으나, 클리포드 마일스(Clifford Miles)는 화석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종일 가능성을 깨달았다.[1]

모식종인 ''헤스페로사우루스 마요시''(Hesperosaurus mjosi)는 2001년에 케네스 카펜터, 클리포드 마일스, 그리고 카렌 클로워드에 의해 명명되고 설명되었다.[1] 홀로타입 '''HMNH 001'''(나중에 HMNS 14)은 초기 킴머리지안에 속하는 하부 모리슨 층의 윈디 힐 맴버, 지층대 1에서 발견되었으며,[2] 약 1억 5600만 년 전의 것이다.[1] 2001년에는 미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검룡류로 여겨졌다.[1] 이 표본은 일본 오카야마에 있는 하야시바라 자연사 박물관에서 입수했다.[1] 2015년에 HMNS가 영구적으로 폐쇄되면서 홀로타입은 후쿠이 현립 공룡 박물관으로 이전되었고, '''FPDM-V9674'''로 재번호되었다.[3]

1995년부터 와이오밍주, 빅 혼 카운티에 위치한 하우 랜치(Howe Ranch)의 역사적 위치를 따서 명명된 하우-스티븐스 채석장(Howe-Stephens Quarry)에서, 스위스 고생물학자 한스 야콥 지버가 검룡류 표본을 발굴했다.[4] 첫 번째는 SMA 3074-FV01(SMA M04)로, "모리츠"라고 불린 부분 골격이었다.[4] 1996/97년에 SMA 0018(SMA V03으로 오인되기도 함) 표본이 발굴되었으며, "빅토리아"라고 명명되었다.[4] 그것은 두개골을 포함한 비교적 완전한 골격으로, 피부와 뿔집의 흔적도 보존하고 있다. 2002년에 세 번째 표본이 발견되었다: SMA L02는 "릴리"라고 명명되었다.[4] 이 표본들은 스위스의 ''아탈 공룡 박물관'' 소장품의 일부이다.[4] 처음에는 ''스테고사우루스'' 표본으로 여겨졌다.[4] 2009년에 "모리츠"와 "릴리"만 cf. ''헤스페로사우루스 마요시''로 재분류되었다.[4] 2010년에 "빅토리아"는 니콜라이 크리스티안센과 이마누엘 초프에 의해 ''헤스페로사우루스 마요시''로 언급되었다.[5]

2015년에는 추가 표본이 보고되었다: 몬태나주, 그래스 레인지 근처의 JRDI 5ES 채석장에서 발견된 최소 5개체의 개체군과 코모 블러프의 메일린 채석장에서 발견된 2개체.[9] 2018년에는 몬태나에서 ''H. 마요시''의 새로운 표본이 기술되었다.[10]

3. 특징

Stegosaurierschadel
''헤스페로사우루스'' "릴리"의 부서진 두개골 (길이 30cm)


''헤스페로사우루스''는 거대한 검룡류로, 길이가 6.5m에 달하고 몸무게는 3.5t에 달했다.[11] 어떤 큰 개체는 몸무게가 5t에 달했을 수도 있다.[12]

정면에서 본 골격


2001년 카펜터는 ''헤스페로사우루스''가 상당히 기초적인 종이었기 때문에, 가장 기초적인 검룡류인 ''화양고사우루스''와 많은 비교가 이루어졌다고 결론 내렸다.[1] 그러나 계통 발생학적 위치가 실제로 매우 파생된 것으로 밝혀지면서 이러한 비교는 관련성을 잃었다. 2008년 메이드먼트는 11개의 등뼈를 가지고 있다는 점, 네 번째 천추가 천골과 융합되지 않았다는 점, 등판이 키보다 길다는 점 등 세 가지 자신파생형질을 지적했다.[6]

메이드먼트는 또한 ''헤스페로사우루스''가 ''스테고사우루스 아르마투스''보다 더 기초적인 특성을 몇 가지 제시했다. 아틀라스에서, 심지어 성체 표본에서도 신경궁이 중심체와 융합되지 않았다. 뒷목 척추의 후관절돌기인 뒷쪽 관절 돌기가 위로 두드러지게 돌출되지 않았다. 등뼈에서, 신경관 수준 위의 신경궁은 위로 특별히 길어지지 않았다. 엉덩이 부위에 골화된 힘줄이 존재한다. 갈비뼈는 아래쪽 끝이 확장되어 있다. 꼬리 척추의 신경 극은 갈라지지 않는다. 치골의 아래쪽 끝이 확장되어 있다(옆에서 보면 숟가락 모양).[6]

카펜터는 ''스테고사우루스 아르마투스''를 ''이명''으로 간주하고, 모든 북미 ''스테고사우루스'' 재료를 단일 종으로 묶는 메이드먼트의 주장을 거부했다. 그는 ''스테고사우루스 스테놉스''를 별도의 종으로 간주하고 ''S. 스테놉스''와 비교하여 ''헤스페로사우루스''의 새로운 차별 진단을 제시했다. 안와전창은 매우 작지 않고 크다. 상악골은 길고 깊으며, 길의 절반 높이이다. 아래 뇌두개골의 기저접형골은 길 대신 짧다. 열 개의 목 척추 대신 13개의 목 척추가 있다. 열일곱 개 대신 13개의 등(등) 척추가 있다. 중간 등뼈는 높은 신경궁 대신 낮은 신경궁을 갖는 기본 형태를 갖는다. 경추 갈비뼈는 아래쪽 끝이 확장되었다. 앞쪽 꼬리 척추에서 신경 극의 상단은 갈라지지 않고 둥글다. 어깨뼈의 앞쪽 가장자리는 뒤쪽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대신 들여 쓰기되어 있다. 장골의 앞쪽 날개는 약하게 대신 강하게 옆으로 벌어진다. 장골의 뒷쪽 날개는 뒤쪽 끝에 혹 모양의 확장을 갖는다. 치골 전방 돌기의 앞쪽 끝은 위쪽으로 확장되어 있다. 엉덩이와 꼬리 기저부의 판은 높고 삼각형이 아닌 타원형이고 낮다.[7]

생물 복원도


''헤스페로사우루스''에 대한 다양한 출판된 설명은 해석의 변화와 차이로 인해 서로 모순된다. 원래 카펜터는 분리된 두개골 요소를 ''화양고사우루스''의 형태를 본떠서 매우 볼록한 머리로 재구성했다.[1] 척추 수의 불일치는 어떤 경추-흉추 척추를 목의 일부로 간주해야 하는지(그리고 어떤 것을) 또는 등의 일부로 간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발생한다. 침식으로 인해 판의 정확한 모양을 결정하기 어렵다. 그레고리 폴은 목 판은 낮지만 등판은 더 높다고 생각했다.[11]

상악 치아의 수는 측면당 20개로, ''스테고사우루스''보다 적었다. 카펜터는 그들을 약간 더 크다는 점을 제외하면 ''스테고사우루스''의 치아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1] 피터 맬컴 갤턴은 2007년에 몇 가지 차이점을 확립했다: 치관의 윗부분에 거친 수직 융기가 존재하며, 치아당 하나씩 존재한다. 치아 표면의 미세한 홈은 약하게 발달했다.[13]

생체 복원도

3. 1. 골격



''헤스페로사우루스''는 거대한 검룡류로, 길이가 6.5m에 달하고 몸무게는 3.5t에 달했다.[11] 어떤 큰 개체는 몸무게가 5t에 달했을 수도 있다.[12]

2001년 카펜터는 ''헤스페로사우루스''가 상당히 기초적인 종이었기 때문에, 가장 기초적인 검룡류인 ''화양고사우루스''와 많은 비교가 이루어졌다고 결론 내렸다.[1] 그러나 계통 발생학적 위치가 실제로 매우 파생된 것으로 밝혀지면서 이러한 비교는 관련성을 잃었다. 2008년 메이드먼트는 11개의 등뼈를 가지고 있다는 점, 네 번째 천추가 천골과 융합되지 않았다는 점, 등판이 키보다 길다는 점 등 세 가지 자신파생형질을 지적했다.[6]

메이드먼트는 또한 ''헤스페로사우루스''가 ''스테고사우루스 아르마투스''보다 더 기초적인 특성을 몇 가지 제시했다. 아틀라스에서, 심지어 성체 표본에서도 신경궁이 중심체와 융합되지 않았다. 뒷목 척추의 후관절돌기인 뒷쪽 관절 돌기가 위로 두드러지게 돌출되지 않았다. 등뼈에서, 신경관 수준 위의 신경궁은 위로 특별히 길어지지 않았다. 엉덩이 부위에 골화된 힘줄이 존재한다. 갈비뼈는 아래쪽 끝이 확장되어 있다. 꼬리 척추의 신경 극은 갈라지지 않는다. 치골의 아래쪽 끝이 확장되어 있다(옆에서 보면 숟가락 모양).[6]

카펜터는 ''스테고사우루스 아르마투스''를 ''이명''으로 간주하고, 모든 북미 ''스테고사우루스'' 재료를 단일 종으로 묶는 메이드먼트의 주장을 거부했다. 그는 ''스테고사우루스 스테놉스''를 별도의 종으로 간주하고 ''S. 스테놉스''와 비교하여 ''헤스페로사우루스''의 새로운 차별 진단을 제시했다. 안와전창은 매우 작지 않고 크다. 상악골은 길고 깊으며, 길의 절반 높이이다. 아래 뇌두개골의 기저접형골은 길 대신 짧다. 열 개의 목 척추 대신 13개의 목 척추가 있다. 열일곱 개 대신 13개의 등(등) 척추가 있다. 중간 등뼈는 높은 신경궁 대신 낮은 신경궁을 갖는 기본 형태를 갖는다. 경추 갈비뼈는 아래쪽 끝이 확장되었다. 앞쪽 꼬리 척추에서 신경 극의 상단은 갈라지지 않고 둥글다. 어깨뼈의 앞쪽 가장자리는 뒤쪽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대신 들여 쓰기되어 있다. 장골의 앞쪽 날개는 약하게 대신 강하게 옆으로 벌어진다. 장골의 뒷쪽 날개는 뒤쪽 끝에 혹 모양의 확장을 갖는다. 치골 전방 돌기의 앞쪽 끝은 위쪽으로 확장되어 있다. 엉덩이와 꼬리 기저부의 판은 높고 삼각형이 아닌 타원형이고 낮다.[7]

''헤스페로사우루스''에 대한 다양한 출판된 설명은 해석의 변화와 차이로 인해 서로 모순된다. 원래 카펜터는 분리된 두개골 요소를 ''화양고사우루스''의 형태를 본떠서 매우 볼록한 머리로 재구성했다.[1] 척추 수의 불일치는 어떤 경추-흉추 척추를 목의 일부로 간주해야 하는지(그리고 어떤 것을) 또는 등의 일부로 간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발생한다. 침식으로 인해 판의 정확한 모양을 결정하기 어렵다. 그레고리 폴은 목 판은 낮지만 등판은 더 높다고 생각했다.[11]

상악 치아의 수는 측면당 20개로, ''스테고사우루스''보다 적었다. 카펜터는 그들을 약간 더 크다는 점을 제외하면 ''스테고사우루스''의 치아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1] 피터 맬컴 갤턴은 2007년에 몇 가지 차이점을 확립했다: 치관의 윗부분에 거친 수직 융기가 존재하며, 치아당 하나씩 존재한다. 치아 표면의 미세한 홈은 약하게 발달했다.[13]

3. 2. 골판 및 피부

2001년, 카펜터는 10개의 판을 모식 표본의 일부로 확인했다. 그는 그것들을 길고 낮다고 묘사했으며, 비대칭적인 밑면은 두 줄로 이어졌음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꼬리 끝에는 두 쌍의 가시로 된 "Thagomizer"가 있었는데, 앞쪽 쌍은 더 두껍고 뒤쪽 쌍은 더 얇고 뒤쪽으로 더 수평적으로 향해 있었다.[1][18]

2012년, 조직학적 연구는 ''헤스페로사우루스''의 골편(피부 골화)이 ''스테고사우루스''의 것과 본질적으로 구조가 동일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CAT-scan은 판이 얇지만 밀도가 높은 외벽을 가지고 있으며 두꺼운 해면질 뼈로 채워져 있음을 보여주었다. 뼈는 화생골 성장 과정 동안 재형성된 흔적을 보였다. 광범위하고 길고 넓은 동맥 관이 보였다. 가시는 더 두꺼운 벽을 가지고 있으며 해면질 내부의 구멍은 더 작다. 하나의 큰 혈관이 가시의 세로 축을 따라 뻗어 있었다.[14][28]

''헤스페로사우루스'' 판에서 피부 흔적(검은색)


2010년, "빅토리아" 표본에서 보이는 연조직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 표본에서는 주변 퇴적물에 피부의 실제 흔적과 부드러운 신체 부위가 썩으면서 남겨진 공간이 퇴적물로 채워진 자연 주형이 모두 보존되어 있었다. 또한 일부 지역에는 유기 잔해 또는 세균 매트로 구성될 수 있는 검은색 층이 존재했다. 하부 몸통 측면의 일부는 지름이 2~7mm인 작고 겹치지 않는 볼록한 육각형 비늘의 줄을 보여준다. 측면 위쪽에는 더 큰 중앙 비늘이 있는 두 개의 로제트 구조가 보이는데, 하나는 크기가 20 x 10mm이고 다른 하나는 10 x 8mm이다. 비늘 외에도 약 200제곱센티미터를 덮는 등판의 하부 측면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비늘은 없지만 낮고 평행한 수직 능선이 있는 매끄러운 표면을 보여준다. 이것은 생물체의 홈이 존재했을 실제 흔적이므로 이러한 홈은 약 0.5mm 깊이이고 약 2mm 간격으로 서 있었을 것이다. 그 흔적은 판의 뿔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정맥의 수직 흔적으로 확인될 것이다. 이것은 스테고사우루스류의 뿔집에 대한 최초의 직접적인 증거이다. 이 연구는 뿔층이 전체적으로 판을 강화하고 날카로운 절단면을 제공했을 것이기 때문에 뿔집의 존재가 판이 주로 방어 기능을 했다는 강력한 지표라고 간주했다. 또한 뿔집이 가시적인 표면을 증가시키고 그러한 뿔 구조가 종종 밝은 색상을 띠기 때문에 전시 기능도 강화되었을 것이다. 반면에, 판의 또 다른 흔한 역할인 체온 조절은 추가적인 단열층과 표면의 매끄러움으로 인해 방해를 받았지만, 생존하는 소와 오리가 뿔과 부리를 사용하여 뿔 덮개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열을 배출하기 때문에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5][22]

4. 분류

2001년, 카펜터는 ''헤스페로사우루스''가 다켄트루루스와 관련이 있다는 분지학적 분석을 수행했다.[1][18] 카펜터는 자신의 분석이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1][18]

메이드먼트의 더 광범위한 계통 발생 연구는 ''헤스페로사우루스''를 ''우얼호사우루스''의 자매 종으로 포함시켰다.[15] 2009년의 연구에 따른 검룡과 진화 계통수에서 ''헤스페로사우루스''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15][29]

{| class="wikitable"

|-

! '''검룡과'''

|-

|

{| class="wikitable"

|-

| 켄트로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로리카토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다켄트루루스
미라가이아



|-

|

{| class="wikitable"

|-

| 스테고사우루스

|-

|

우얼호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호멘니)
'헤스페로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므요시)



|}

|}

|}

|}

|}

2019년, 다켄트루루스 검룡과의 재평가에서 코스타와 마테우스는 ''헤스페로사우루스''가 ''다켄트루루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제안했지만, 확장된 계통 발생 분석이 완료될 때까지 공식적으로 이 그룹에 재할당하는 것을 보류했다.[16]

5. 고생물학

2015년, JRDI 5ES 채석장에서 발견된 자료를 바탕으로 에반 토마스 사이타의 연구는 ''헤스페로사우루스''가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고 결론 내렸다.[9] 채석장에서 발견된 판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키가 큰 것과 낮고 넓은 것이다.

넓고 키가 큰 판
다양한 개체의 등판이 연결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사이타는 각 유형에 대해 경추, 등, 꼬리 순서로 정렬할 수 있었다. 이는 일부 개체가 키가 큰 판만 가지고 있었고, 다른 개체는 넓은 판만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듯했는데, 이는 이전에 한 종류의 판을 가진 표본에서도 확인되었다. 사이타는 키가 큰 판은 암컷을, 낮은 판은 수컷을 특징짓는다고 제안했다. 낮은 판이 면적이 넓어 디스플레이에 유리하다는 것이 근거로 제시되었다.[25] 이 연구의 결과는 고생물학자 케빈 패디언과 케네스 카펜터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지만, 반박하는 공식적인 과학 연구는 발표되지 않았다.[17][30]

5. 1. 성적 이형성

2015년, JRDI 5ES 채석장에서 발견된 자료를 바탕으로 에반 토마스 사이타의 연구는 ''헤스페로사우루스''가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고 결론 내렸다.[9] 채석장에서 발견된 판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키가 큰 것과 낮고 넓은 것이다. 다양한 개체의 등판이 연결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사이타는 각 유형에 대해 경추, 등, 꼬리 순서로 정렬할 수 있었다. 이는 일부 개체가 키가 큰 판만 가지고 있었고, 다른 개체는 넓은 판만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듯했는데, 이는 이전에 한 종류의 판을 가진 표본에서도 확인되었다. 사이타는 키가 큰 판은 암컷을, 낮은 판은 수컷을 특징짓는다고 제안했다. 낮은 판이 면적이 넓어 디스플레이에 유리하다는 것이 근거로 제시되었다.[25] 이 연구의 결과는 고생물학자 케빈 패디언과 케네스 카펜터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지만, 반박하는 공식적인 과학 연구는 발표되지 않았다.[17][30]

5. 2. 골판의 기능



2015년, JRDI 5ES 채석장에서 발견된 자료를 바탕으로 에반 토마스 사이타의 연구는 ''헤스페로사우루스''가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고 결론 내렸다. 채석장에서 발견된 판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키가 큰 것과 낮고 넓은 것이다. 사이타는 각 유형에 대해 경추, 등, 꼬리 순서로 정렬할 수 있었는데, 일부 개체가 키가 큰 판만 가지고 있었고, 다른 개체는 넓은 판만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듯했다. 사이타는 키가 큰 판은 암컷을, 낮은 판은 수컷을 특징짓는다고 제안했다. 낮은 판이 면적이 넓어 디스플레이에 유리하다는 것이 근거로 제시되었다.[9][25] 이 연구의 결과는 고생물학자 케빈 패디언과 케네스 카펜터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지만, 반박하는 공식적인 과학 연구는 발표되지 않았다.[17][30]

6. 한국 고생물학과의 연관성 (가상)

7.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The Armore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2] 서적 Jurassic West: The Dinosaurs of the Morrison Formation and Their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3] 논문 Transfer of museum collection from the Hayashibara Museum of Natural Sciences to the Fukui Prefectural Dinosaur Museum https://www.dinosaur[...] 2016
[4] 서적 The Stegosaurs of the Sauriermuseum Aathal Sauriermuseum Aathal
[5] 논문 Exceptional stegosaur integument impressions from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of Wyoming 2010
[6] 논문 Systematics and phylogeny of Stegosauria (Dinosauria: Ornithischia)
[7] 논문 Species concept in North American stegosaurs 2010
[8] 논문 A new phylogeny of Stegosauria (Dinosauria, Ornithischia) https://cris.brighto[...] 2017
[9] 논문 Evidence for Sexual Dimorphism in the Plated Dinosaur ''Stegosaurus mjosi'' (Ornithischia, Stegosauria) from the Morrison Formation (Upper Jurassic) of Western USA 2015
[10] 논문 A new specimen of the ornithischian dinosaur ''Hesperosaurus mjosi'' from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of Montana, U.S.A., and implications for growth and size in Morrison stegosaurs http://eprints.brigh[...] 2018
[11]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논문 "Dragons" on the landscape: Modeling the abundance of large carnivorous dinosaurs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USA) and the Upper Cretaceous Dinosaur Park Formation (Canada)
[13] 서적 Horns and Beaks: Ceratopsian and Ornithopo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14] 논문 Ontogenetic histology of ''Stegosaurus'' plates and spikes 2012
[15] 논문 A new long-necked 'sauropod-mimic' stegosaur and the evolution of the plated dinosaurs
[16] 논문 Dacentrurine stegosaurs (Dinosauria): A new specimen of Miragaia longicollum from the Late Jurassic of Portugal resolves taxonomical validity and shows the occurrence of the clade in North America 2019-11-13
[17] 웹사이트 Dino 'sexing' study slammed by critics https://www.science.[...] 2015-04-22
[18] 서적 The Armore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19] 서적 Jurassic West: The Dinosaurs of the Morrison Formation and Their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林原グループにおける古生物学研究事業の今後について http://www.palaeo-so[...] 日本古生物学会 2011-02-09
[21] 서적 The Stegosaurs of the Sauriermuseum Aathal Sauriermuseum Aathal
[22] 논문 Exceptional stegosaur integument impressions from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of Wyoming
[23] 논문 Systematics and phylogeny of Stegosauria (Dinosauria: Ornithischia)
[24] 논문 Species concept in North American stegosaurs
[25] 논문 Evidence for Sexual Dimorphism in the Plated Dinosaur ''Stegosaurus mjosi'' (Ornithischia, Stegosauria) from the Morrison Formation (Upper Jurassic) of Western USA
[26]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서적 Teeth of ornithischian dinosaurs (mostly Ornithopoda) from the Morrison Formation (Upper Jurassic)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Indiana University Press
[28] 논문 Ontogenetic histology of ''Stegosaurus'' plates and spikes
[29] 논문 A new long-necked 'sauropod-mimic' stegosaur and the evolution of the plated dinosaurs http://rspb.royalsoc[...]
[30] 뉴스 http://news.scienc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