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이룽장성 (중화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이룽장성(중화민국)은 중화민국 시기,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에 해당하는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이다. 중화민국 초 청나라 시대의 헤이룽장성과 거의 동일한 지역을 관할했으며, 1945년 일본의 패전과 만주국의 붕괴 이후에는 헤이룽장성, 눈장성, 싱안성, 허장성으로 분할되었다. 행정 구역은 도(道)와 현(縣)으로 구성되었으며, 만주국 성립 이전에는 43현 10설치국,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직전에는 1시 25현 1기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룽장성의 역사 - 쑹장성
    쑹장성은 1945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에 존재했던 성으로, 만주국 붕괴 후 국민정부가 설치했으나 국공내전으로 중국 공산당의 군정이 시행되어 다른 성에 통폐합되었으며, 현재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대부분과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대부분 지역에 해당했고 성회는 무단장시에 있었다.
  • 헤이룽장성의 역사 - 넌장성
    넌장 성은 만주국 룽장 성을 전신으로, 현재의 헤이룽장 성 서부 지역에 해당했으며, 치치하얼 시에 성회를 두고 1시 18현 2기를 관할했으나 국공 내전으로 행정 기구가 붕괴되었다.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성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성 - 광시성
    광시성은 중화민국 시기에 존재했던 성으로, 청나라 광서성의 관할 구역을 계승하여 현재의 광시 좡족 자치구 대부분과 광둥성 화이지현을 관할했으며, 신해혁명 이후 독립을 선언하고 국공내전 결과 중국 공산당에 점령되어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권을 상실했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타오위안시
    타오위안시는 타이완 북서부에 위치한 직할시로, 평포족 거주지에서 객가인 이주와 복숭아나무 재배를 거쳐 발전, 2014년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대만 북부의 주요 산업 및 교통 중심지이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헤이룽장성 (중화민국)
지도
헤이룽장성의 위치
헤이룽장성의 위치
기본 정보
이름헤이룽장성
간체자黑龙江
번체자黑龍江
병음Hēilóngjiāng
가타카나헤이론잔
국가중화민국
구분
성 소재지치치하얼 (1912년 ~ 1931년)
성 소재지베이안시 (1945년 ~ 1949년)
설립1912년 (1912년)
광복1945년 (1945년)
소멸1931년 (1931년)
소멸1949년 (1949년)
면적
총 면적 (1912년 ~ 1931년)572,502.5 km2
총 면적 (1945년 ~ 1949년)257,762.575 km2
이전
이전헤이룽장성 (청) (1912년 ~ 1931년)
이전빈장성 (1945년 ~ 1949년)
이후
이후빈장성 (1912년 ~ 1931년)
이후헤이룽장성 (1945년 ~ 1949년)

2. 지리

민국 초 헤이룽장성은 청나라 시대의 영역과 거의 동일했으며, 동청 철도 연선의 폭 60km 지역에 대한 동성 특별행정구를 제외한 지역을 관할했다.

1945년 (민국 34년) 8월, 일본의 패전과 만주국의 붕괴로 중화민국은 행정권을 회복했다. 그러나 민국 초의 헤이룽장성 지역에 헤이룽장성, 눈장성, 싱안성, 허장성을 설치하면서 행정 관할 범위가 대폭 축소되었다.

전후 헤이룽장성은 동쪽으로 허장성, 서쪽으로 싱안성, 남쪽으로 눈장성과 접했으며, 북쪽으로는 소비에트 연방과 국경을 접했다.

3. 역사

1912년(민국 원년) 3월 15일, 동삼성총독을 폐지하고 헤이룽장 순무를 헤이룽장 도독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민정 장관으로서 민정사를 설치했다. 1913년 (민국 2년) 1월, 민정사는 민정장으로, 1914년 (민국 3년) 5월에는 안순사, 1916년 (민국 5년) 7월에 성장으로 개칭되었다.

1928년 (민국 17년) 12월 31일, 장쉐량이치에 의해 국민 정부에 의한 통치가 시작되면서 헤이룽장성 정부의 조직을 명했다. 1945년 일본의 패전과 만주국의 붕괴로 중화민국이 행정권을 회복했다. 중화민국은 전쟁 전 행정 조직을 부활시키지 않고, 동북 지역을 9개 성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하여, 옛 헤이룽장성 지역에 헤이룽장성, 눈장성, 싱안성, 허장성(일부)을 설치했다.

3. 1. 중화민국 건국 이전

1912년 중화민국 건국 초에는 청나라의 지배하에 있었다. 같은 해 3월 15일, 동삼성총독을 폐지하고 헤이룽장 순무를 헤이룽장 도독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민정 장관으로서 민정사를 설치했다.[1] 1913년 1월 민정사는 민정장으로, 1914년 5월에는 안순사, 1916년 7월에는 성장으로 개칭되었다.[1]

3. 2. 중화민국 시기 (1912년~1949년)

1945년 일본의 패전과 만주국의 붕괴로 중화민국이 행정권을 회복했다. 중화민국은 전쟁 전 행정 조직을 부활시키지 않고, 동북 지역을 9개 성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하여, 옛 헤이룽장성 지역에 헤이룽장성, 눈장성, 싱안성, 허장성(일부)을 설치했다.

3. 2. 1. 역대 성장

성명취임일퇴임일
1쑹샤오롄1912년 3월-
2비구이팡1913년 7월-
3주칭란1914년 10월-
4비구이팡1916년 5월-
5쉬란저우1917년 6월-
6바오구이칭1917년 7월-
7쑨리에천1917년 7월-
8우준성1921년 3월-
9완푸린1928년 6월-
10창인화이1928년 7월-
11완푸린1929년 2월-
12마잔산1931년 11월-
13한쥔제1945년 9월-


4. 행정 구역

1931년 만주국 성립 이전 헤이룽장성은 43현 10설치국을 관할했다.



설치국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직전에는 1시 25현 1기를 관할했다.

구분명칭
북안 시
아이후이 현, 이안 현, 우윈 현, 어우푸 현, 하이룬 현, 치커 현, 칭청 현, 커산 현, 극동 현, 후마 현, 쑤이화 현, 쑤이렝 현, 쑨허 현, 손오 현, 통화 현, 철려 현, 덕도 현, 너허 현, 눈장 현, 바이취안 현, 모허 현, 불산 현, 왕쿠이 현, 명수 현, 용진 현
익극명안 기


4. 1. 도제 (道制)

청나라 말기 헤이룽장성에는 흥동도, 호륜도, 애이훈도 3개 도가 설치되었다. 1912년(민국 원년) 6월, 동삼성 도독 조이손은 성 재정 긴축을 이유로 흥동도와 호륜도를 폐지하고, 아이훈도를 헤이허다오(흑하도)로 바꿀 것을 내무부에 요청했다.[1] 1913년(민국 2년) 1월 헤이허관찰사(흑하관찰사)가 설치되었다. 1914년(민국 3년) 5월, 베이징 정부는 룽장다오(용강도), 쑤이란다오(수란도), 헤이허다오(흑하도) 3개 도를 설치하였다. 1925년(민국 14년) 3월 2일, 후룬베이얼(호륜패이) 선후독변공서(善後督弁公署)를 폐지하고 후룬다오(호륜도)를 설치하였다. 1929년(민국 18년) 2월 도제는 폐지되었다.

  • 용강도
  • 수란도
  • 흑하도
  • 호륜도

4. 2. 현급 행정 구역

만주국 성립 이전 헤이룽장성은 43현 10설치국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직전에는 1시 25현 1기를 관할했다.

4. 2. 1. 만주국 성립 이전 (1931년 이전)

1931년 만주국 성립 이전 헤이룽장성의 관할 행정 구역은 43현 10설치국이었다.



설치국


4. 2. 2.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직전 (1949년 이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직전 관할 행정 구획은 아래와 같다.

구분명칭
북안 시
아이후이 현(璦琿県), 이안 현(依安県), 우윈 현(烏雲県), 어우푸 현(鴎浦県), 하이룬 현(海倫県), 치커 현(奇克県), 칭청 현(慶城県), 커산 현(克山県), 극동 현, 후마 현(呼瑪県), 쑤이화 현(綏化県), 쑤이렝 현(綏楞県), 쑨허 현(遜河県), 손오 현, 통화 현(通化県), 철려 현, 덕도 현, 너허 현(訥河県), 눈장 현(嫩江県), 바이취안 현(拝泉県), 모허 현(漠河県), 불산 현(仏山県), 왕쿠이 현(望奎県), 명수 현(明水県), 용진 현(竜鎮県)
익극명안 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