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빌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빌라는 아일랜드에서 기원하여 스코틀랜드 경기병으로도 활약한 기병의 한 유형이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사이의 전쟁에서 빠른 기동력을 활용하며 잉글랜드 군에 도입되었으며, 15세기경 역사에서 사라졌다. 호빌라는 정찰, 수색, 순찰에 능숙했으며,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에서 양측 모두에게 사용되었다. 장비는 가벼운 철모, 가죽 갑옷 또는 쇠미늘 갑옷, 창과 칼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말은 코네마라 포니와 같은 아일랜드 토종 말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군사사 - 보이테크
    보이테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폴란드군 22 보급 중대에서 군 생활을 하며 몬테카시노 전투에서 포탄 운반을 돕는 등 활약한 시리아불곰으로, 종전 후 에든버러 동물원에서 여생을 보냈다.
  • 스코틀랜드의 군사사 - 갈로글라
    갈로글라는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된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용병 무사 계급으로,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고지대에서 클랜 간 분쟁 등에 참여하며 활약했고, 튜더 왕조 시대에는 잉글랜드 왕실에 고용되어 아일랜드 정복에 기여했으나, 9년 전쟁 이후 용병으로서의 입지가 줄어들며 유럽 각지에서 활동하며 사회문화적으로 영향을 미쳤습니다.
  • 아일랜드의 군사사 - 아일랜드 시민군
    1913년 더블린 락아웃 당시 노동자 보호를 위해 결성된 아일랜드 시민군은 노동자 민병대에서 아일랜드 사회주의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하는 혁명 조직으로 발전하여 부활절 봉기에 참여하고 아일랜드 공화군을 지원했다.
  • 아일랜드의 군사사 - 아일랜드 의용군
    아일랜드 의용군은 아일랜드 자치 획득을 목표로 1913년 결성된 민족주의 군사 조직으로, 부활절 봉기를 주도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문제로 분열되어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으로 계승되었으며 현재 아일랜드 방위군 창군일의 기원이다.
  • 20세기 이전의 병과 - 펠타스트
    펠타스트는 고대 그리스에서 펠테라는 초승달 방패를 들고 투창을 주 무기로 사용하며 기동성이 뛰어났던 경무장 보병으로, 트라키아에서 기원하여 그리스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는 마케도니아 군대의 핵심 구성원으로 활약했다.
  • 20세기 이전의 병과 - 사무라이
    사무라이는 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일본의 무사 계급을 일컫는 말로, 본래 귀족을 섬기는 사람을 뜻하는 '사부라이'에서 유래하여 쇼군을 섬기는 무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변화했으며, 무사도를 따르며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호빌라
호빌라
호빌라
14세기 아일랜드의 호빌라 재현
기원
기원중세 아일랜드
유형
역할기병
보병
크기작은 말
전술급습
정찰
척후
역사
사용 기간13세기 ~ 17세기
전쟁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백년 전쟁
국가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2. 역사

호빌라는 아일랜드에서 기원한 경기병으로,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을 비롯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간의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빠른 기동력을 바탕으로 정찰, 수색, 기습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앤드류 해클러에 의해 잉글랜드 군대에 편입되어 15세기까지 활약했다.

2. 1. 기원

본래 아일랜드 기병으로 알려진 호빌라는 그 연도를 알 수 없지만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게일인 출신 기병대였기에 스코틀랜드 경기병으로도 활약했으며, 후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사이에 전쟁이 일어났을 때 특유의 빠른 기동력으로 전장을 유린했다. 결국 잉글랜드 원정군 사령관이었던 앤드류 해클러의 주장으로 도입되었다.[1] 그 뒤 잉글랜드가 벌인 전장에서 활약했으며 15세기경의 기록을 끝으로 역사에서 사라졌다.

제임스 라이든에 따르면 "호빌라(hobelar)는 병사의 한 유형으로서 의심의 여지없이 아일랜드에서 기원했다... 완전 무장한 기사인 'equus coopertus'와 경무장한 궁수인 'equus discoopertus' 사이에는 중간 단계가 있었다. 이 중간 단계는... 호빌라에 의해 제공되었다." 그는 또한 호빌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 그들은 기동성이 뛰어나 정찰, 수색 및 순찰에 능숙했다... 아일랜드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해야 했던 지형에 매우 적합했다. 노르만인 기사가 전장에서 우월할지라도, 아일랜드의 늪과 숲은 갑옷을 입은 돌격에 거의 기회를 주지 않았다. 따라서 모든 앵글로-노르만 군대의 습관적인 부분으로서 아일랜드에서 호빌라로 알려지게 된 일종의 경기병이 진화했다. 이 현상이 시간이 지나 아일랜드 해협을 건너 다른 앵글로-노르만 군대로 퍼져나가는 것은 시간 문제였다.[1]

그러나 최근에는 로버트 존스에 의해 이 견해에 이의가 제기되었다. 그는 호빌라의 조상이 ''문타토르(muntator)''라고 불리는 일종의 2류 기병이었다고 믿는다. 이 병사들은 12세기에 아일랜드를 침략한 앵글로-웨일스 군대에서 기원했다. 존스는 호빌라가 13세기에 앵글로-웨일스 문타토르에서 분화되었고, 아마도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호빌라가 더 가볍게 무장하게 되었다는 점을 인정한다. 따라서 호빌라는 다른 곳이 아닌 아일랜드의 군사적 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여전히 여겨진다.[2]

2. 2. 군사적 활용

호빌라는 본래 아일랜드 기병으로 알려졌으나,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게일족 출신 기병대였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경기병으로도 활약했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간의 전쟁에서 특유의 빠른 기동력으로 전장을 누볐으며, 앤드류 해클러 잉글랜드 원정군 사령관의 제안으로 잉글랜드 군에 도입되었다. 이후 잉글랜드가 벌인 여러 전장에서 활약하다가 15세기경 기록을 끝으로 역사에서 사라졌다.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동안 양측 모두 호빌라를 성공적으로 활용했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는 아일랜드 호빌라 말의 수출을 스코틀랜드로 막으려 했고, 로버트 브루스는 호빌라를 게릴라전과 기마 습격에 사용하여 하루에 약 96.56km에서 약 112.65km를 이동했다.[3]

호빌라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296년 아일랜드에서 시작되었는데, 당시 260명이 존 워건 휘하의 아일랜드 군대와 함께 에드워드 1세의 군대의 일부로 스코틀랜드로 갔다. 1300년 이후에야 잉글랜드 호빌라에 대한 언급이 나타났다. 에드워드는 1301년 6월 칼라일에서 14명을 소집했다. 이듬해 그는 2,300명의 아일랜드 군대에 390명의 호빌라를 포함시켰다. 1303년에는 총 499명(3,400명의 군대 중)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모두 경무장 기병으로서 그들의 가치를 보여준다.[4]

호빌라는 스코틀랜드에서 작전하는 잉글랜드 군대에 빠르게 채택되었고, 14세기 초에는 모든 주요 국경 수비대에서 호빌라를 찾을 수 있었다.[5] 1319년 버윅 포위전에서 845명의 호빌라 중 500명은 컴벌랜드와 웨스트모어랜드 출신이었고, 36명은 바너드 성, 24명은 노르함 성, 45명은 타인 데일 출신이었다.[6] 1322년 뉴캐슬에서 376명의 잉글랜드 호빌라, 10명의 웨일스 호빌라, 139명의 아일랜드 호빌라가 소집되었다.[7] 호빌라는 1320년대와 1330년대에 걸쳐 전국에서 잉글랜드 군대의 표준적인 특징이 되었다. 1326년 소집 기록에 따르면 노퍽, 서퍽, 옥스퍼드셔에서 호빌라를 모집하고 있었다.[8]

1330년대에는 새로운 유형의 기마 보병인 기마 궁수가 등장했다.[9] 1335년부터 1350년까지 기마 궁수는 호빌라를 능가하여 특히 해외 작전에 주로 투입되는 기병 보조병이 되었다. 예를 들어, 1346~47년 칼레 포위전에 소집된 군대 중 600명이 호빌라였고 5,000명이 기마 궁수였다.[10] 1335년에 호빌라의 무장이 처음 공식적으로 정의되었고,[11] 1346년에는 재산이 10파운드인 사람은 호빌라로 무장해야 한다고 정의되었다.[12]

호빌라는 14세기 나머지 기간 동안 현지 군대의 구성 요소로 남아 있었지만, 15세기에는 언급이 줄어들었다.[13] 호빌라에 대한 마지막 언급은 1485년 노퍽과 서퍽에서 이루어진 병력 소집 위원회로 보인다.[14]

3. 장비와 전술

호빌라는 경기병으로서 가벼운 무장을 했고, 타는 말도 조랑말처럼 작아서 무거운 장비를 피해야 했다. 이들은 가벼운 철모를 쓰고 가죽 갑옷이나 가벼운 쇠미늘 갑옷을 입었으며, 창과 칼로 무장했다.

3. 1. 장비

경기병답게 가벼운 무장을 했을 뿐만 아니라 말조차 조랑말급으로 작았기에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무장을 피해야 했다. 이들은 가벼운 철모를 쓰고 가죽 갑옷이나 가벼운 쇠미늘 갑옷을 입었으며, 창과 칼로 무장했다.

호빌라의 초기 장비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당시 아일랜드 기병의 스타일을 따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아케톤, 호버크, 바시넷을 착용하고 검, 스킨[15], 을 사용했다. 말 자체는 갑옷을 착용하지 않았으며, 안장, 고삐, 등자 없이 아일랜드식으로 기승했다. 1335년의 기록에 따르면, 잉글랜드 호빌라의 장비는 말, 아케톤 또는 플레이트, 바시넷 또는 팔레트, 고르겟, 철제 건틀릿, 검, 칼, 창으로 구성되었다.[16]

3. 2. 전술

호빌라는 경기병으로서 가벼운 무장을 선호했으며, 탑승하는 말도 조랑말처럼 작아 무거운 장비를 피해야 했다. 이들은 가벼운 철모를 착용하고 가죽 갑옷이나 가벼운 쇠미늘 갑옷을 입었으며, 창과 칼로 무장했다.

3. 3. 말

아일랜드 호비는 오늘날 코네마라 포니로 대표되는 아일랜드 토종 말이었다. 이 말의 이름은 프랑스어 'hobin'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빠른'을 의미하는 게일어 'obann'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비록 작았지만, 호비가 반드시 품질이 떨어지는 말은 아니었다. 1336년 스코틀랜드에서 사용된 11마리의 호비의 평균 가치는 6.8GBP였는데, 이는 다른 군마의 평균보다 약간 적었지만, 두 마리의 호비는 10GBP의 가치를 지녔다. 1338년 플랑드르 전투에서 잃어버린 또 다른 말의 가치는 20마크(13GBP 6실링 8펜스)였다.[17]

참조

[1] 서적 Lydon 1954
[2] 서적 Jones 2008
[3] 서적 Hyland 1998
[4] 서적 Lydon 1954
[5] 서적 Morris 1914
[6] 서적 Morris 1914
[7] 서적 Morris 1914
[8] 서적 Morris 1914
[9] 서적 Strickland and hardy 2005
[10] 서적 Morris 1914
[11] 서적 Powicke 1962
[12] 서적 Powicke 1962
[13] 서적 Powicke 1962
[14] 서적 Goodman 1981
[15] 웹사이트 The scian is a knife http://irish-history[...] 2009-03-14
[16] 서적 Powicke 1962
[17] 서적 Ayton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