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자 모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자 모타는 포르투갈의 육상 선수로, 마라톤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198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여자 마라톤 시대를 열었고,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6년, 1987년, 1988년 주요 국제 대회를 연이어 우승하며 여자 마라톤 최강자로 자리매김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0년 보스턴 마라톤에서 3회 우승, 1990년 유럽 선수권에서 3회 우승을 달성했다. 1982년부터 1992년까지 21번의 마라톤 경기에 출전하여 14번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은퇴 후에는 정치 활동과 올림픽 유치 활동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여자 마라톤 선수 - 마누엘라 마샤두
포르투갈의 마라톤 선수인 마누엘라 마샤두는 1990년대에 세계적인 선수로 활약하며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과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했고, 올림픽에도 세 차례 출전했다. - 포르투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넬송 에보라
포르투갈의 육상 선수 넬송 에보라는 세단뛰기에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과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멀리뛰기에서도 뛰어난 기록을 보유한 다재다능한 선수이다. - 포르투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카를루스 로페스
카를루스 로페스는 포르투갈의 장거리 육상 선수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포르투갈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1985년 로테르담 마라톤에서 세계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으며, 세계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10,000m 은메달을 획득했다. - 포르투갈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누누 델가두
누누 델가두는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활약한 포르투갈의 유도 선수로, 1999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동메달 획득 등 여러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포르투갈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텔마 몬테이루
텔마 몬테이루는 포르투갈의 유도 선수로, 52kg급과 57kg급에서 유럽 선수권 6회 우승과 2016년 리우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파리 올림픽 출전 좌절 후 은퇴, 포르투갈 공로훈장과 올해의 여성 스포츠 선수상을 수상했다.
| 호자 모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본명 | 호자 마리아 코헤이라 두스 산토스 모타 |
| 출생일 | 1958년 6월 29일 |
| 출생지 | 포르투, 포르투갈 |
| 신장 | 157cm |
| 체중 | 45kg |
| 로마자 표기 | Rosa Mota |
| 선수 경력 | |
| 종목 | 장거리 달리기, 마라톤 |
| 은퇴 | 1992년 |
| 개인 최고 기록 | |
| 1500m | 4분 19초 53 (1983년) |
| 3000m | 8분 53초 84 (1984년) |
| 5000m | 15분 22초 97 (1985년) |
| 10000m | 32분 33초 51 (1985년) |
| 하프 마라톤 | 1시간 09분 23초 (1990년) |
| 마라톤 | 2시간 23분 29초 (1985년) |
| 올림픽 | |
| 1988 서울 올림픽 | 금메달 |
|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 동메달 |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
| 1987 로마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금메달 |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
| 1982 아테네 | 금메달 |
| 1986 슈투트가르트 | 금메달 |
| 1990 스플리트 | 금메달 |
2. 선수 경력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여자 마라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이 대회는 여자 마라톤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된 대회였다.[4] 당시 모타의 개인 최고 기록은 2시간 30분대였지만, 올림픽 본선에서 2시간 26분 57초를 기록하며 세계 정상급 선수로 떠올랐다. 1985년 시카고 마라톤에서는 개인 최고 기록인 2시간 23분 29초를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5]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위와 7분 차이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했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여자 마라톤 최강자로 자리매김했다. 서울 올림픽 우승으로 모타는 세계 선수권과 올림픽을 모두 석권한 최초의 마라톤 선수가 되었고, 올림픽 2회 연속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여자 마라톤 선수가 되었다.
모타는 일본의 도쿄 국제 여자 마라톤(1986년)과 오사카 국제 여자 마라톤(1990년)에서도 우승했으며, 세계 정상급 여자 마라톤 선수로서 일본 대회에 출전한 선구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컨디션 난조로 기권했고,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출전도 포기하면서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초기 경력
포르투에서 태어난 호자 모타는 고등학교 시절 크로스컨트리 경주에 참가하며 육상 경력을 시작했다. 1980년, 평생의 코치가 될 조제 페드로사를 만났다.[4]호자 모타의 첫 마라톤은 198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로, 여자 마라톤이 처음으로 열린 대회였다. 모타는 유력한 우승 후보는 아니었지만, 잉그리드 크리스티안센을 제치고 첫 마라톤에서 우승했다.[4]
2. 2. 전성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여자 마라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이 대회는 여자 마라톤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된 대회였다.[4] 1985년 시카고 마라톤에서는 개인 최고 기록인 2시간 23분 29초를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5]198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와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연이어 우승을 차지한 호자 모타는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여자 마라톤 최강자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서울 올림픽에서는 2위 리사 마틴(오스트레일리아)을 13초 차로 따돌리고 우승하여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1990년에는 보스턴 마라톤에서 3회 우승을 달성했고, 1990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우승하며 남녀 통틀어 전례 없는 기록을 세웠다. 1991년에는 런던 마라톤과 리스본 하프 마라톤에서 우승하는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다.
호자 모타는 1982년부터 1992년까지 21번의 마라톤 경기에 출전하여 14번 우승하는 놀라운 기록을 남겼다.
| 대회 | 연도 | 장소 | 순위 | 종목 | 기록 |
|---|---|---|---|---|---|
| 198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1982 | 아테네, 그리스 | 1위 | 마라톤 | 2:36:04 |
| 1983 로테르담 마라톤 | 1983 | 로테르담, 네덜란드 | 1위 | 마라톤 | 2:32:27 |
|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4위 | 마라톤 | 2:31:50 | |
| 1983년 시카고 마라톤 | 시카고, 미국 | 1위 | 마라톤 | 2:31:12 | |
| 1984년 하계 올림픽 | 1984 | 로스앤젤레스, 미국 | 3위 | 마라톤 | 2:26:57 |
| 1984년 시카고 마라톤 | 시카고, 미국 | 1위 | 마라톤 | 2:26:01 | |
| 1985년 시카고 마라톤 | 1985 | 시카고, 미국 | 3위 | 마라톤 | 2:23:29 |
| 1986년 도쿄 국제 여자 마라톤 | 1986 | 도쿄, 일본 | 1위 | 마라톤 | 2:27:15 |
| 198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슈투트가르트, 서독 | 1위 | 마라톤 | 2:28:38 | |
| 보스턴 마라톤 | 1987 | 보스턴, 미국 | 1위 | 마라톤 | 2:25:21 |
|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로마, 이탈리아 | 1위 | 마라톤 | 2:25:17 | |
| 1988년 보스턴 마라톤 | 1988 | 보스턴, 미국 | 1위 | 마라톤 | 2:24:30 |
| 1988년 하계 올림픽 | 서울, 대한민국 | 1위 | 마라톤 | 2:25:40 | |
| 1989년 오사카 마라톤 | 1989 | 오사카, 일본 | 마라톤 | DNF | |
| 1989년 로스앤젤레스 마라톤 | 로스앤젤레스, 미국 | 2위 | 마라톤 | 2:35:27 | |
| 1990년 오사카 마라톤 | 1990 | 오사카, 일본 | 1위 | 마라톤 | 2:27:47 |
| 1990년 보스턴 마라톤 | 보스턴, 미국 | 1위 | 마라톤 | 2:25:24 | |
| 1990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플리트, 유고슬라비아 | 1위 | 마라톤 | 2:31:27 | |
| 1991년 런던 마라톤 | 1991 | 런던, 영국 | 1위 | 마라톤 | 2:26:14 |
|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 일본 | 마라톤 | DNF | ||
| 리스본 하프 마라톤 | 리스본, 포르투갈 | 1위 | 하프 마라톤 | 1:09:52 | |
| 1992년 런던 마라톤 | 1992 | 런던, 영국 | 마라톤 | DNF |
2. 3. 부상과 은퇴
모타는 어릴 때부터 좌골 신경통과 천식을 앓았지만, 여러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91년 런던 마라톤에서 우승했으나, 그 해 말 도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기권했다.[4][5] 1992년 런던 마라톤을 완주하지 못하면서 은퇴를 고려하게 되었다.1992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했으나, 컨디션 난조로 포기하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주요 대회 성적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기록 |
|---|---|---|---|---|
| 1982년 유럽 선수권 대회 | 아테네, 그리스 | 마라톤 | 2:36:04 | |
| 1983년 로테르담 마라톤 | 로테르담, 네덜란드 | 마라톤 | 2:32:27 | |
|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4위 | 마라톤 | 2:31:50 |
| 1983년 시카고 마라톤 | 시카고, 미국 | 마라톤 | 2:31:12 | |
| 1984년 하계 올림픽 | 로스앤젤레스, 미국 | 마라톤 | 2:26:57 | |
| 1984년 시카고 마라톤 | 시카고, 미국 | 마라톤 | 2:26:01 | |
| 1985년 시카고 마라톤 | 시카고, 미국 | 마라톤 | 2:23:29 | |
| 1986년 도쿄 국제 여자 마라톤 | 도쿄, 일본 | 마라톤 | 2:27:15 | |
| 1986년 유럽 선수권 대회 | 슈투트가르트, 서독 | 마라톤 | 2:28:38 | |
| 1987년 보스턴 마라톤 | 보스턴, 미국 | 마라톤 | 2:25:21 | |
|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로마, 이탈리아 | 마라톤 | 2:25:17 | |
| 1988년 보스턴 마라톤 | 보스턴, 미국 | 마라톤 | 2:24:30 | |
| 1988년 하계 올림픽 | 서울, 대한민국 | 마라톤 | 2:25:40 | |
| 1989년 오사카 마라톤 | 오사카, 일본 | 기권 | 마라톤 | - |
| 1989년 로스앤젤레스 마라톤 | 로스앤젤레스, 미국 | 마라톤 | 2:35:27 | |
| 1990년 오사카 마라톤 | 오사카, 일본 | 마라톤 | 2:27:47 | |
| 1990년 보스턴 마라톤 | 보스턴, 미국 | 마라톤 | 2:25:24 | |
| 1990년 유럽 선수권 대회 | 스플리트, 유고슬라비아 | 마라톤 | 2:31:27 | |
| 1991년 런던 마라톤 | 런던, 영국 | 마라톤 | 2:26:14 | |
| 1991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도쿄, 일본 | 기권 | 마라톤 | - |
| 1991년 리스본 하프 마라톤 | 리스본, 포르투갈 | 하프 마라톤 | 1:09:52 | |
| 1992년 런던 마라톤 | 런던, 영국 | 기권 | 마라톤 | - |
4. 은퇴 후 활동
호자 모타는 1998년 장거리 경주 훈련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아베베 비킬라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1998년 뉴욕 시티 마라톤 전날 오전에 유엔이 후원하는 우정 국제 경주가 끝날 때 수여되었다.[4] 에우제비오, 카를루스 로페스, 루이스 피구와 함께 20세기 말 포르투갈 스포츠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4]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올림픽 성화 봉송 주자로 참여했다.[4]
1995년 1995년 포르투갈 총선에서 사회당(PS) 소속으로 출마하여 포르투갈 공화국 의회 의원에 당선되었고, 두 번 역임했다.[4][5]
2009년 9-10월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총회에서 2016년 하계 올림픽 도쿄 유치 위원회 선수 멤버로 활동하며 도쿄 유치를 호소했다. (하지만, 도쿄 올림픽 유치는 실패하였다.)
5. 기타
코치인 조제 페드로사와는 사실상 부부 관계였다. 그러나 가톨릭 국가인 포르투갈의 엄격한 가족관 때문에 정식으로 결혼하지는 않았다.[4][5] 모국 포르투갈 육상 경기 연맹과는 종종 마찰을 빚었다. 반면, 레이스 중에도 웃음을 잃지 않아 일본에서도 팬이 많았으며, 유아리 유코는 존경하는 선수 중 한 명으로 꼽았다.
참조
[1]
웹사이트
AIMS 30th Anniversary Gala
http://aimsworldrunn[...]
Aimsworldrunning.org
2014-08-10
[2]
스포츠
Rosa Mota
https://www.sports-r[...]
[3]
웹사이트
Lisbon Half Marathon winners
https://www.arrs.run[...]
Arrs.net
2014-03-19
[4]
뉴스
「モタさんにも当選の"バラ" ポルトガル総選挙 マラソン女王、国会へ」
1995-10-03
[5]
문서
Deputados e Grupos Parlamentares Biografia Rosa Mota
http://www.parlament[...]
[6]
뉴스
여자 마라톤서 포르투갈 로자 모타 선수 우승
http://imnews.imbc.c[...]
뉴스데스크
1988-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