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인 (민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인(和人)은 일본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역사적으로 그 의미가 변천해 왔다. 에도 시대에는 아이누족과 같은 특정 집단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근현대에는 일본 본토의 다수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1799년부터 2009년까지의 문헌에서 다양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아이누 정책 관련 자료에서 '일본인'을 지칭하는 용례로 나타난다.

2. 용어의 역사적 변천

문헌에서 "화인(和人)"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그 의미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해 왔다. 에도 시대 후기에는 에도 막부가 당시 아이누에 대한 일본인의 자칭으로 사용하였다.[4]

막말, 러시아 제국의 남하에 대해 영토적 위기감을 느낀 막부는 마쓰마에 번 영토였던 에조치를 상지·공의어료로 지정하고, 아이누 민족이 러시아에 회유될 것이라는 우려 하에, 지금까지 화이질서에 따라 "경계를 접하는 역외의 만이·복속민"으로 취급해 온 아이누를 "국내의 문화·습속이 다른 집단"으로 다시 파악하여, 정치적·문화적으로 동화를 추진했다.

현재는 아이누나 아이누에 접하는 일본인 및 아이누 연구자 사이에서 사용된다. 홋카이도 아이누 협회에서는 아이누를 민족 호칭으로 정의하는 한편, 일본이 메이지 시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전까지는 아이누를 기본적으로 선주 민족이라는 인식 하에 공교육을 추진해 왔지만, 전후에는 "국적을 가진 자 '국민'으로서만 파악하고, 그 민족적 속성이나 그러한 집단에 대한 배려를 결여"하는 것을 비판하며, 아이누 이외의 일본인을 "화인"으로 표기하고 있다.

서적 등에서는 하야토나 에미시 등 고대에 존재했던 집단을 언급할 때, 야마토 왕권 측의 인간(초기의 야마토 민족)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2. 1. 에도 시대

에도 시대 후기, 에도 막부는 아이누에 대한 일본인의 자칭으로 "화인"을 사용했다.[4]

러시아 제국의 남하에 영토적 위기감을 느낀 막부는 마쓰마에 번 영토였던 에조치를 상지·공의어료(1799년-1821년 1차, 1855년 2차)로 지정했다. 막부는 아이누 민족이 러시아에 회유될 것을 우려하여, 아이누를 "국내의 문화·습속이 다른 집단"으로 재인식하고 정치적·문화적 동화를 추진하여 에조치 영유를 확고히 하려 했다. "화인"은 이러한 배경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이며,[4] 역사적으로는 도난(道南) 지역의 막번 체제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주로 해당되었다.

2. 2. 근현대

에도 시대 후기, 에도 막부는 당시 아이누에 대한 일본인의 자칭으로 "화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4]

러시아 제국의 남하에 위기감을 느낀 막부는 마츠마에 번 영토였던 에조치를 상지·공의어료로 지정하고(제1차 1799-1821, 제2차 1855-), 아이누 민족이 러시아에 회유될 것을 우려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 "경계를 접하는 역외의 만이·복속민"으로 취급했던 아이누를 "국내의 문화·습속이 다른 집단"으로 재인식하고, 정치적·문화적 동화를 추진하여 에조치 영유를 확고히 하려 했다. "화인"은 이러한 배경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이며, 역사적으로는 도난(道南)의 막번 체제로부터 이주해 온 사람들이 주로 해당되었다.[4]

현재는 아이누나 아이누와 관련된 일본인, 그리고 아이누 연구자들이 주로 "와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홋카이도 아이누 협회는 아이누를 민족으로 정의하는 한편, 일본이 메이지 시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전까지는 아이누를 선주 민족으로 인식하고 공교육을 추진했지만, 전후에는 "국적을 가진 자 '국민'으로서만 파악하고, 그 민족적 속성이나 그러한 집단에 대한 배려를 결여"하는 것을 비판하며, 아이누 이외의 일본인을 "와인"으로 표기하고 있다.

일부 서적에서는 하야토나 에미시 등 고대에 존재했던 집단을 언급할 때, 야마토 왕권 측 사람들(초기 야마토 민족)을 지칭하는 의미로 "와인"을 사용하기도 한다.

3. 일본인의 자칭으로서의 "와인"

역사적으로 일본인들이 스스로를 "와인"이라고 칭한 사례들이 기록되어 있다.

3. 1. 주요 사례


  • 1799년 (간세이 11년): 마쓰다이라 이즈노카미의 『에조지 어용 담당 어달서』에 "에조인들은 차차 덕화에 감동하여, 어주법에 익숙해지고, 와진 풍속으로 하고자 하는 자도 있사옵고, 상투도 하게 하여…"라는 기술에서 "와진"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1]
  • 1808년 (분카 5년): 모가미 도쿠나이의 『도지마 필기』에 "다만 와진, 산탄, 오로코의 상인 등과 교역하는 일에 이르러서는 대차(貸借)가 있다."라는 기술에서 "와진"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1]
  • 1918년 (다이쇼 7년): 홋카이도청 내무부의 『구 토인에 관한 조사』에 "와진의 압박과 식량의 결핍은 그들의 정신을 위미(萎靡)하게 하고…"라는 기술에서 "와진"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1]
  • 2009년 (헤이세이 21년): 내각총리대신 관저에서 열린 "제4회 아이누 정책의 방향에 관한 유식자 간담회" 배포 자료에는 아이누에 대한 일본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와진''', 시삼, 샤모가 언급되었고,[4] 같은 해 "제5회 아이누 정책의 방향에 관한 유식자 간담회" 배포 자료에도 "본토인 (와진)" , "일본의 다수 민족인 와진"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

3. 1. 1. 1799년 (간세이 11년)

1799년(간세이 11년) 마쓰다이라 이즈노카미의 『에조지 어용 담당 어달서』에는 "에조인들은 차차 덕화에 감동하여, 어주법에 익숙해지고, '''와진''' 풍속으로 하고자 하는 자도 있사옵고, 상투도 하게 하여…"라는 기술이 있다.[1] 이는 아이누인들이 점차 일본 풍속을 따르려 한다는 내용과 함께 "와인"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기록이다.

3. 1. 2. 1808년 (분카 5년)

모가미 도쿠나이가 쓴 『도지마 필기』에는 "다만 '''와진''', 산탄, 오로코의 상인 등과 교역하는 일에 이르러서는 대차(貸借)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1]

3. 1. 3. 1918년 (다이쇼 7년)

홋카이도청 내무부의 『구 토인에 관한 조사』에는 "와인의 압박과 식량의 결핍은 그들의 정신을 위미(萎靡)하게 하고…"라는 기술이 있다.[1]

3. 1. 4. 2009년 (헤이세이 21년)

平成일본어 21년 (2009년) 내각총리대신 관저에서 열린 "제4회 아이누 정책의 방향에 관한 유식자 간담회" 배포 자료에는 아이누에 대한 일본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와진''', 시삼, 샤모가 언급되었다.[4] 같은 해 "제5회 아이누 정책의 방향에 관한 유식자 간담회" 배포 자료에도 "본토인 ('''와진''')" , "일본의 다수 민족인 '''와진'''"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에조의 역사 고단샤학술문고
[2] 웹사이트 『아이누』에 얽힌 Q&A http://www.alles.or.[...]
[3] 백과사전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コトバンク
[4] 사전 岩波日本史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