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활옥동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활옥동굴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석회광산 동굴로, 1900년 활석맥이 발견된 후 1912년 일본인에 의해 개발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활석 채굴이 이루어졌으며, 광복 후에는 일신산업주식회사를 거쳐 1998년 (주)영우켐텍이 인수하여 관광지로 개발되었다. 동굴 내부는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지질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현재는 건강테라피실, 동굴공연장, 동굴보트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입장료를 받고 운영된다.

2. 역사


  • 1900년: 충주시 목벌리 곱도실에서 활석맥 노두 발견[1]
  • 1906년: 광업법 제정, 광산 개발 허가 시작[1]
  • 1912년: 일본인 죽하독차랑(竹下篤次郞)이 충주 곱도실 활석광산 소유[1]
  • 1921년: 충북선 철도 개통[1]
  • 1928년: 충북선 충주까지 연장, 부산에서 화물선을 통해 오사카 제분공장으로 활석 반출[1]
  • 1929년: 충주 활석광산 본격 개발 시작[1]
  • 1935년: 일본인이 광산 소유, 조선인 덕대(광산 관리인)가 광산 운영[1]
  • 1945년: 미군정에 광산 귀속[1]
  • 1947년: 활석이 수출 허가 품목으로 지정, 일본으로 수출 시작 (외자 획득)[1]
  • 1948년: 일제강점기 덕대였던 배현철, 김영선, 이도영이 조선활석광업소 설립[1]
  • 1953년: 일신산업주식회사로 상호 변경[1]
  • 1958년: 최신식 제분공장 준공[1]
  • 1962년: 정부와 불하 계약 체결로 활석광산 소유권 취득[1]
  • 1965년 ~ 1968년: 활석제분시설 2, 3호기 건설[1]
  • 1971년: 새 광맥 개발을 위해 광산 심부 개발 착수[1]
  • 1973년: 활석 생산량 10만 톤 돌파[1]
  • 1975년: 활석 제분 생산량 10만 톤 돌파[1]
  • 1982년 ~ 1984년: 광산 심부 개발 1, 2단계 공사 완료 (본사갱 경사 40도)[1]
  • 1986년: 국내 활석 생산량 210,613톤으로 최고 달성 (이후 생산량 감소)[1]
  • 1987년: 수입 활석의 대량 유입으로 국내 활석 가격 폭락[1]
  • 1990년: 동양활석광산 생산량 90,621톤으로 최고 달성 (이후 생산량 감소)[1]
  • 1993년: 수입산 저가 활석 유입, 고품질 원석 고갈로 일신산업주식회사(동양활석광산) 법정관리[1]
  • 1998년: (주)영우켐텍이 동양활석광산 인수[1]
  • 1999년: 광산 부지 인수[1]
  • 2001년: 갱도 및 동굴 대형화 작업 진행, 관광지화를 염두에 둔 대형 동굴 개설[1]
  • 2010년: 한국광물자원공사와 (주)영우켐텍이 합작법인 (주)영우자원 설립[1]
  • 2016년: 동굴 관광 테마파크 조성안 수립[1]
  • 2017년: 관광지화를 위해 동굴 내부 2.3 km 구간 안전 확보, 제분공장을 리노베이션하여 활옥동굴카페 오픈[1]
  • 2018년: 활옥동굴 관광 테마파크 조성[1]
  • 2019년 7월: 충주 활옥동굴 관광테마파크 정식 개장[1]
  • 2020년: 동굴 내 보트 체험, LED 이용 동굴 속 와사비 스마트팜 오픈[1]
  • 2022년: 동굴 속 와사비 재배 및 관련 제품 개발[1]
  • 2023년: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 사계절테마 관광지 100선 선정[1]

3. 지질

충주 활옥동굴은 옥천 누층군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에 발달한다.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은 백색 내지 회백색의 돌로마이트질 석회암 지층이다. 동굴 내부에는 층리, 습곡, 단층 등 다양한 지질구조가 발달하며, 특히 정단층과 습곡이 많이 발달하여 오랜 세월 무수히 많은 지각변동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2][3]

3. 1. 주요 지질 구조

활옥동굴 내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에는 여러 지질 구조가 발달해 있다. 대부분 하얀색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회색 셰일 지층과 검은색 암맥 등이 관입되어 있다.

동굴 내부에서는 층리, 습곡, 정단층 등 다양한 규모의 지질구조를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다.[2][3] 특히 정단층과 습곡이 많이 발달하여 오랜 세월 동안 여러 번의 지각변동을 겪었음을 알 수 있다.

정단층


정단층


정단층


정단층


정단층


단층


단층 근경


단층 근경


석회암셰일


아래 사진은 동굴 내부에서 대규모로 발달하는 습곡의 모습이다. 이 습곡은 동굴 입구의 기프트샵을 지나 첫 번째 갈림길이 나오기 전에 위치한다.

향사습곡 전경 (파노라마)


습곡 좌익


습곡 중앙


습곡 우익

4. 시설 및 관람

동굴 내부에서는 지하수가 유출되어 천장에서 물이 떨어질 수 있다. 동굴 내 흡연, 음식물 반입, 애완동물 출입은 금지된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마지막 입장은 오후 5시이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나,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날 대체 휴관한다.

4. 1. 관람 순서

입장 시 지도가 제공되며 아래 순서로 관람하도록 유도한다. 순서대로 관람 시 약 1시간이 소요되며 동굴보트장에서 보트 탑승 시 소요시간은 5~10분이다.

출입구 → 1) 기프트샵 → 2) 건강테라피실 → 3) 500마력 권양기 → 4) 300마력 권양기 → 5) 동굴공연장 → 6) 청정연못 → 7) 해양세계 빛의 공간 → 8) 사갱운반차 → 9) 미지의 산책로 → 10) 상상의 홀 → 11) 동굴농원 → 12) 와인동굴 → 13) 동굴호수 → 14) 동굴보트장 → 15) 동굴오락실 → 16) 광산체험장 → 17) 채광장 → 18) 야광벽화 → 출입구

5. 입장료

충주 활옥동굴의 입장료는 다음과 같다.

활옥동굴 입장료[1]
구분개인단체 (30인 이상)비고
어른 (만 19세 이상)10000KRW9000KRW
청소년 (초·중·고등학생)9000KRW8000KRW
유아 (만 2세~만 18세)8000KRW8000KRW
특별 요금8000KRW8000KRW충주시민, 만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동굴+보트 패키지15000KRW14000KRW
동굴+보트 패키지(청소년)14000KRW13000KRW
동굴+보트 패키지(유아, 특별요금)13000KRW13000KRW


  • 중복 할인은 적용되지 않는다.
  • 만 24개월 미만은 무료이다.

6. 교통

도로명주소한국어는 충북 충주시 목벌안길 26, 지번은 목벌동 319-8이다. 활옥동굴은 종민동 마즈막재삼거리에서 목벌길을 따라 4 km 가면 있다. 동굴 주변에는 대규모 주차장, 식당, 카페, 정원이 있다.[1]

참조

[1] 뉴스 국내 유일 활석 광산 ‘충주 활옥동굴’ 뜬다 https://www.cbnews.k[...] 충북뉴스 2020-07-10
[2]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 웹인용 忠州 地質圖幅說明書 (충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