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습곡은 지층이 수평 방향의 힘을 받아 구부러져 형성된 지질 구조를 의미한다. 횡압력, 지하에서 밀려 올라오는 힘 등에 의해 형성되며, 습곡축을 기준으로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습곡의 종류는 불규칙한 습곡, 얇은 판 형태 습곡, 동심원상 습곡, 횡와 습곡 등으로 나뉘며, 셰브론 습곡, 슬럼프 습곡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습곡의 밀집도와 대칭성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며, 람세이의 습곡 분류 체계가 사용되기도 한다. 습곡은 광맥 형성 및 탄화수소 함정 형성에 기여하여 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대한민국에서는 백운산 향사대, 정선 대향사 등이 대규모 습곡 구조로 존재하며, 평창 뱃재터널 등에서 중소규모 습곡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질학 용어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지질학 용어 - 조산 운동
조산 운동은 지각 변동으로 산맥이 형성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판 구조론에 기반하여 섭입, 대륙 충돌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고, 윌슨 순환을 통해 해양 분지의 열림과 닫힘, 산맥 형성, 침식 과정을 거쳐 전 세계 지질 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 구조지질학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구조지질학 - 부가체
부가체는 해양판 섭입 시 해양판 일부와 퇴적물이 대륙판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쐐기 모양 지질 구조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하며 역단층으로 특징지어지고, 임계 테이퍼에 따라 삼각형으로 성장하며, 판구조론, 자원 탐사, 지진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지형 - 땅
땅은 지구의 단단한 표면을 의미하며 천연자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토지 피복, 수계, 지하수, 대기의 일부, 인간 활동의 결과 등을 포함하여 지구과학, 생명과학, 인문학적으로 연구되고, 지형 형성, 생태계, 토지 이용, 환경 문제와 관련되며, 문화권에 따라 의미와 중요성이 다양하게 해석된다. - 지형 - 구릉
구릉은 평야와 산지의 중간 형태를 띠며 다양한 침식 형태를 보이고 농업, 혼합림, 초원 등으로 이용되며, 한국에서는 국토지리원 기준에 따라 정의되고 수도권 집중 완화 및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습곡 | |
---|---|
지질학적 습곡 정보 | |
![]() | |
정의 | |
습곡 | 원래 평면이었던 표면이 휘어진 구조 |
유형 | |
습곡 유형 | 배사 향사 모노클라인 경첩 축면 |
크기 분류 | 미소 습곡 거대 습곡 |
습곡 형태 | 대칭 습곡 비대칭 습곡 등사 습곡 횡와 습곡 파묻힌 습곡 |
습곡 형성 요인 | |
주요 원인 | 지각 변동 (횡압력, 장력) |
형성 장소 | 변성암 지역 퇴적암 지역 |
습곡 발달 | 단열, 파쇄와 함께 발생 여러 번 변형 반복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층리면 경사 암석 지질 구조 단층 |
기타 | |
관련 학문 | 구조지질학 |
2. 습곡의 형성
주로 횡압력에 의해 습곡이 형성된다. 전화번호부를 책상 위에 올려 놓고 양손으로 누르면 주름이 생기는데, 지층의 경우도 수평 방향으로 누르면 구부러져 주름이 생긴다. 습곡하고 있는 지층이 가장 심하게 굴곡하는 곳을 이은 선을 습곡의 축이라고 한다. 그리고 수평 방향에서 눌러서 생긴 습곡의 축은 누르는 힘 방향으로 직각으로 뻗는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27] 바꾸어 말하면 현재 지표에서 관찰되는 습곡의 축 방향을 살펴보면 습곡이 형성된 당시의 힘의 방향을 복원할 수 있다.
암석은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점토처럼 변형되어 습곡을 형성한다. 습곡의 형태는 형성 당시 조건, 지층의 물리적 성질, 지표 깊이에 따라 달라진다.[27] 습곡의 축에 수직인 면에서의 형태에 따라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27]
지하에서 밀려 올라오는 힘에 의해 지층이 구부러져 습곡이 형성되기도 한다. 지하에서 생기는 힘의 원인은 마그마이거나 블록 상태가 된 지각의 수직방향운동이다. 현재 관찰되고 있는 습곡이 수평 방향으로 밀려서 생긴 것인지 수직 방향의 힘에 의해 생긴 것인지는 습곡의 내부구조 등을 상세히 조사해 보지 않고는 판단할 수 없다.[27]
3. 습곡의 종류
습곡은 힌지(fold hinge영어)와 림(limb영어)으로 구성된다. 힌지는 습곡된 표면에서 최대 곡률을 가지는 점들을 연결하는 선이며, 림은 습곡의 측면으로 힌지 영역에서 수렴한다. 힌지점은 습곡의 최소 반지름(최대 곡률)을 가지는 점이다. 정점(crest)은 습곡면의 가장 높은 점이고, 곡저(trough)는 가장 낮은 점이다. 변곡점은 림에서 오목함이 반전되는 지점이다. 축면(axial surface영어)은 쌓인 습곡면의 모든 힌지선을 연결하는 평면이다. 습곡축(fold axis영어)은 습곡의 형태를 생성하는 직선에 가장 가까운 근사치이다. 원통형 습곡(cylindrical fold영어)은 습곡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2]
습곡면 사이 각도를 기준으로 습곡의 밀집도를 정의할 수 있다. 완만한 습곡은 180°~120°, 열린 습곡은 120°~70°, 닫힌 습곡은 70°~30°, 조밀한 습곡은 30°~0°이다.[6] 등사습곡은 습곡면 사이 각도가 10°~0°이며, 습곡면이 거의 평행하다.
습곡축 양쪽 림의 길이에 따라 대칭적인 습곡과 비대칭적인 습곡으로 나뉜다. 비대칭 습곡은 일반적으로 원래 습곡이 형성된 미접힌 표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축을 갖는다.[5]
향사는 아래로 오목하게 휘어진 부분이며, 중앙에 가장 젊은 지층이 분포한다. 배사는 위로 볼록하게 휘어진 부분이며, 중앙에 가장 오래된 지층이 분포한다. 신폼(synform영어)은 지층의 상하 관계가 불분명할 때 향사처럼 보이는 구조이고, 안티폼(antiform영어)은 지층의 상하 관계가 불분명할 때 배사처럼 보이는 구조이다. 단사(monocline영어, 単斜일본어)는 한쪽 방향으로만 경사진 지층이다.[25] 활습곡(active fold영어, 活褶曲일본어)은 제4기에 활동을 계속하는 습곡이다.[25]
3. 1. 형태에 따른 분류
불규칙한 습곡은 지하 깊은 곳에서 생성되며, 암석의 유동이 고려된다. 이는 물엿 표면에 잉크로 그린 주름과 유사하다.[27]
얇은 판 형태의 습곡은 얕은 곳에서 형성되며, 갈라진 틈에 의해 얇은 판이 된 암석이 빗나가서 생성된다. 이는 겹쳐 놓은 카드의 측면에 매직으로 주름을 그린 후 카드를 어긋나게 했을 때 나타나는 물결 모양과 유사하다.[27]
동심원상 습곡은 지표 부근에서 형성되며, 지층의 구부러짐과 미끄러짐에 의해 생성된다. 이는 책을 옆에서 눌렀을 때 구부러지는 모양과 비슷하다.[27]
알프스 산맥이나 히말라야 산맥과 같이 판의 충돌 지대에서 발달하는 횡와(橫臥) 습곡은 습곡이 심하게 구부러져 접어 개킨 모양을 하고 있다.[27]
셰브론 습곡은 직선형 측면과 작은 힌지를 가진 각진 습곡이다.
슬럼프 습곡은 퇴적 및 암석화 과정 동안 차별 압밀 또는 용해의 결과로 생기는 단사면이다.
부속 습곡은 더 큰 파장의 습곡 구조 내에서 형성된 짧은 파장의 습곡이다.[9]
부조화 습곡은 인접한 층에서 파장과 모양이 다른 습곡이다.[9]
3. 2. 습곡면 사이 각도에 따른 분류 (영어 문서)
습곡의 밀집도는 습곡면 사이의 각도(각 습곡면의 변곡선에서 습곡된 표면에 접선으로 측정)로 정의되며, 이를 습곡면 사이 각도라고 한다. 완만한 습곡은 습곡면 사이 각도가 180°~120°이고, 열린 습곡은 120°~70°, 닫힌 습곡은 70°~30°, 조밀한 습곡은 30°~0°이다.[6] 등사선(isocline) 또는 등사습곡은 습곡면 사이 각도가 10°~0°이며, 습곡면이 거의 평행하다.
3. 3. 대칭성에 따른 분류 (영어 문서)
모든 습곡이 습곡축의 양쪽에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같은 림을 가진 습곡은 대칭적인 습곡이라고 하고, 길이가 매우 다른 림을 가진 습곡은 비대칭적인 습곡이라고 한다. 비대칭 습곡은 일반적으로 원래 습곡이 형성된 미접힌 표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축을 갖는다.[5]
3. 4. 기타 용어 (영어, 일본어 문서)
습곡 힌지(fold hinge영어)는 습곡된 표면에서 최대 곡률의 점들을 연결하는 선이다. 림(limb영어)은 습곡의 측면이고, 힌지 영역에서 수렴한다. 힌지점은 습곡의 최소 반지름(최대 곡률)의 점이다. 정점(crest)은 습곡면의 가장 높은 점이고, 곡저(trough)는 가장 낮은 점이다. 변곡점은 림에서 오목함이 반전되는 점이다. 축면(axial surface영어)은 쌓인 습곡면의 모든 힌지선을 연결하는 평면이다. 습곡축(fold axis영어)은 습곡의 형태를 생성하는 직선에 가장 가까운 근사치이다. 원통형 습곡(cylindrical fold영어)은 습곡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습곡이다.[2]
향사는 아래로 오목하게 휘어진 부분이며, 중앙에 가장 젊은 지층이 분포한다. 배사는 위로 볼록하게 휘어진 부분이며, 중앙에 가장 오래된 지층이 분포한다. 신폼(synform영어)은 지층의 상하 관계가 불분명할 때, 향사처럼 보이는 구조이다. 안티폼(antiform영어)은 지층의 상하 관계가 불분명할 때, 배사처럼 보이는 구조이다. 단사(monocline영어, 単斜일본어)는 한쪽 방향으로만 경사진 지층이다.[25] 활습곡(active fold영어, 活褶曲일본어)은 제4기에 활동을 계속하는 습곡이다.[25]
4. 습곡의 메커니즘 (영어 문서)
암석의 습곡 작용은 암체의 체적을 보존하면서 지층의 변형을 일으켜야 한다. 이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을 통해 일어난다.[27]
굴곡면 미끄럼굴곡면 미끄럼은 습곡된 지층의 층리면을 따라 미끄러짐을 발생시켜 변형을 일으킨다. 전화번호부를 구부릴 때, 책장 사이의 미끄러짐으로 부피가 보존되는 것과 유사하다.
좌굴 (Buckling)암석층이 압축되어 형성된 습곡을 "굴곡 습곡"이라고 한다. 습곡은 평면 표면과 그를 둘러싼 부피가 좌굴되면서 발생한다. 부피 변화는 층과 평행하게 짧아지는 단축(layer parallel shortening)에 의해 일어나며, 두께는 증가한다. 이러한 습곡은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데, 가늘어진 측면은 수평으로 짧아지고 두꺼워진 핵은 수직으로 짧아진다.
질량 변위 (Mass displacement)습곡 변형이 굴곡 미끄럼이나 좌굴에 의해 일어나지 않으면, 암석은 응력 경로에서 제거된다. 이는 압력 용해작용이라는 변성 작용을 통해 일어난다. 고변형 영역에서 구성 성분이 용해되고 저변형 영역에 재결정되면서 암석이 짧아진다. 미그마타이트와 강한 축면 편리를 갖는 지역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습곡을 볼 수 있다.
5. 습곡의 원인 (영어 문서)
습곡은 모든 규모, 모든 암석 종류, 지각의 모든 수준에서 나타나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층상암석층이 층리 방향과 평행하게 단축되면, 균질 단축, 역단층 또는 습곡 등 여러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 반응은 기계적 층의 두께와 층 사이의 특성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층이 습곡되기 시작하면, 습곡의 형태 또한 이러한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덜 유능한 기질 내에 고립된 두꺼운 유능한 층은 습곡을 제어하고, 일반적으로 기질의 변형에 의해 수용되는 고전적인 둥근 버클 습곡을 생성한다. 사암-셰일 층서와 같이 대조적인 특성을 가진 층이 규칙적으로 교대되는 경우에는 킨크 밴드, 상자형 습곡 및 셰브론 습곡이 일반적으로 생성된다.[10]
많은 습곡은 단층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단층의 전파, 변위, 그리고 인접 단층 사이의 변형 수용과 관련된다.
단층 굴곡 습곡은 비평면 단층을 따라 변위가 발생하여 형성된다. 수직이 아닌 단층에서, 변위가 진행됨에 따라 상반(hanging-wall)이 단층을 가로지르는 불일치를 수용하도록 변형된다. 단층 굴곡 습곡은 신장 단층과 역단층 모두에서 발생한다. 신장 단층에서는, 리스토릭 단층(listric fault)이 상반에 롤오버 향사(rollover anticline)를 형성한다.[11] 역단층 작용에서는, 역단층이 한 박리면(detachment level)에서 다른 박리면으로 단면을 절단할 때마다 '램프 향사(ramp anticline)'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각 램프 위의 변위가 습곡을 생성한다.[12]
단층 전파 습곡 또는 끝선 습곡(tip-line folds)은 기존 단층에서 변위가 발생하지만 단층이 더 이상 전파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역단층과 정단층 모두에서 이는 상부 지층의 습곡을 유발하는데, 종종 단사습곡 형태를 띠게 된다.[13]
역단층이 평면적인 박리면 위에서 더 이상 단층이 진전되지 않고 변위를 계속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자형 습곡 형태의 박리 습곡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습곡들은 일반적으로 쥐라산맥과 같이 중기 트라이아스기 증발암에서 박리가 일어나는 우수한 박리면 위에서 발생한다.[14]
단순 전단에 가까운 전단대에는 일반적으로 비대칭 습곡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뒤집힘 방향은 전체 전단 방향과 일치한다. 이러한 습곡 중 일부는 곡률이 매우 큰 힌지선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초피 습곡''이라고 한다. 전단대의 습곡은 전단 이전의 층상 구조의 방향으로 인해 형성되거나, 전단 흐름 내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15]
최근에 퇴적된 퇴적물은 일반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암석화되기 전에 재이동되기 쉬워 습곡이 생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지각운동 기원의 습곡과 구분하기 위해, 이들을 동시성 퇴적 습곡(sedimentation 동안 형성됨)이라고 부른다.
- 사면붕괴 습곡: 사면붕괴가 굳지 않은 퇴적물에서 형성될 때, 특히 선단부에서 퇴적물이 이동하는 동안 습곡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사면붕괴 습곡의 비대칭성은 퇴적암층의 고(古)사면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6]
- 다짐: 습곡은 단층 블록이나 초와 같은 오래된 구조 위에서의 차별적 다짐에 의해 더 젊은 지층에서 생성될 수 있다.[18]
마그마 관입암의 침입은 주변의 국내암을 변형시키는 경향이 있다. 지표면 근처의 고준위 관입암의 경우, 이러한 변형은 관입암 위에 집중되며, 종종 락콜리스의 상부 표면과 같이 습곡의 형태를 취한다.[19]
암석층의 유연성은 '능력(competence)'이라고 한다. 능력 있는 암석층 또는 암석층은 붕괴되지 않고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비교적 강하지만, 능력이 없는 암석층은 비교적 약하다. 암염과 같이 매우 약한 암석이나 충분히 깊이 매몰된 암석의 경우 암석이 유체처럼 거동할 때 일반적으로 '유동 습곡'(passive folding이라고도 함, 거의 저항이 없기 때문)을 보인다. 지층은 주변의 더 단단한 암석에 의해 형성된 어떤 형태든 취하는, 왜곡되지 않고 이동된 것처럼 보입니다. 지층은 단순히 습곡의 표시 역할을 한다.[21] 이러한 습곡은 많은 관입암과 빙하 얼음의 특징이기도 하다.[22]
6. 람세이(Ramsay)의 습곡 분류 (영어 문서)
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습곡은 동심 습곡으로 분류된다. 그렇지 않은 습곡은 유사 습곡이라고 한다. 유사 습곡은 일반적으로 습곡 날개의 얇은 층과 습곡 축 부분의 두꺼워짐을 보인다. 동심 습곡은 층의 능동적인 굴곡으로 인한 곡률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반면, 유사 습곡은 일반적으로 층이 기계적으로 활동적이지 않은 일종의 전단류에 의해 형성된다. 람세이는 습곡의 안쪽과 바깥쪽 선의 곡률과 경사 등각선의 거동을 기반으로 습곡 분류 체계를 제안했다. 경사 등각선은 인접한 습곡면에서 같은 경사를 가진 점들을 연결하는 선이다.[8]
분류 | 곡률 C | 설명 |
---|---|---|
1 | C내부 > C외부 | 경사 등각선이 수렴 |
1A | align=center| | 축부에서의 직교 두께가 날개보다 좁음 |
1B | align=center| | 평행 습곡 |
1C | align=center| | 날개에서의 직교 두께가 축부보다 좁음 |
2 | C내부 = C외부 | 경사 등각선이 평행: 유사 습곡 |
3 | C내부 < C외부 | 경사 등각선이 발산 |
7. 지층의 나이
고도가 일정한 지역에서 지표면에 노출된 지층의 연령은 배사축으로 접근할수록 증가하고, 향사축으로 접근할수록 감소한다.[28]
8. 한국의 습곡
대한민국의 대규모 습곡 구조로는 태백산분지 지역의 백운산 향사대, 정선군의 정선 대향사가 있다. 중소규모 습곡 구조를 실제로 볼 수 있는 곳으로는 평창군의 뱃재터널과 강릉시 헌화로의 평안 누층군 함백산층 등이 있다.
8. 1. 주요 습곡 구조
대한민국의 대규모 습곡 구조로는 태백산분지 지역의 백운산 향사대, 정선 대향사가 있다. 중소규모 습곡구조를 실제로 볼 수 있는 곳으로는 평창군 뱃재터널과 강릉시 헌화로의 평안 누층군 함백산층 등이 있다.
백운산 향사대는 백운산을 중심으로 동-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향사 습곡으로 가운데에 평안 누층군이, 바깥쪽에 조선 누층군이 분포한다.

평창군 방림면 방림리의 국도 제31호선 뱃재터널 북측의 도로 절개사면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횡와(橫臥) 습곡 구조가 드러나 있다.












9. 경제적 중요성 (영어 문서)
암석층이 힌지(경첩부)에서 접힐 때 힌지대는 큰 변형을 겪으며, 이로 인해 층 사이에 빈 공간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공간은 특히 내부 수압이 외부보다 낮을 경우 광물 침전이 일어나기 쉽게 만든다. 수백만 년 동안 이 과정은 넓은 암석에서 미량 광물을 모아 매우 집중된 지점에 퇴적시키는데, 이는 광맥을 형성하는 메커니즘이 될 수 있다.[23]
따라서 귀금속 광맥을 찾을 때는 심하게 습곡된 암석을 찾는 것이 현명할 수 있으며, 광업 산업이 지질학적 습곡 이론에 큰 관심을 갖는 이유이기도 하다.
향사 구조 함정은 암석의 습곡 작용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투과성이 좋은 사암층이 투과성이 낮은 셰일층으로 덮여 있는 지층이 향사 구조로 습곡되면 탄화수소 함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석유가 습곡의 정점에 축적된다. 대부분의 향사 구조 함정은 측면 압력으로 인해 암석층이 습곡되어 형성되지만, 퇴적물의 다짐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24]
참조
[1]
논문
The description of folds
1964
[2]
논문
Folds and Folding
John Wiley & Sons
[3]
서적
Evolution of geological structures in micro- to macro-scales
https://books.google[...]
Springer
[4]
서적
Foundations of structural geology
Routledge
[5]
서적
Basic geological mapping: 4th Edition
John Wiley & Sons
[6]
서적
Geological Structures and Maps: 3rd Edition
https://archive.org/[...]
Elsevier
[7]
서적
Analysis of geological struct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Foundations of structural geology
Routledge
[9]
서적
Foundation of Structural Ge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서적
The techniques of modern structural ge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9-11-01
[11]
서적
Analogue and numerical modelling of crustal-scale processes
Geological Society, London
2009-10-31
[12]
서적
Structural analysis and synthesis: a laboratory course in structural geolog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09-11-01
[13]
논문
Style and sequence of deformation during extensional fault-propagation
http://www3.imperial[...]
2009-11-01
[14]
서적
The Geology of Central Europe
Geological Society, London
2009-10-31
[15]
논문
Shear zone-related folds
http://cat.inist.fr/[...]
2009-10-31
[16]
논문
Paleoslope Analysis of Slump Folds in the Devonian Flysch of Maine
https://alaska.usgs.[...]
2009-10-31
[17]
서적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y
Wiley-Blackwell
2009-10-31
[18]
서적
Nontechnical guide to petroleum geology, exploration, drilling, and production
https://books.google[...]
PennWell Books
2009-11-01
[19]
논문
Productive Large Scale Folding Associated with Igneous Intrusions: El Trapial Field, Neuquen Basin, Argentina
http://www.searchand[...]
2009-10-31
[20]
서적
Folding of viscous layers: mechan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structures in deformed rock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서적
Structural geology
https://books.google[...]
Macmillan
[22]
논문
Similar folds, recumbent folds and gravity tectonics in ice and rocks
[23]
웹사이트
Geological Folding and the Presence of Minerals
https://www.win.tue.[...]
[24]
웹사이트
Oil and gas traps - Energy Education
https://energyeducat[...]
[25]
웹사이트
지진예지에 관한 기초적 용어집
https://cais.gsi.go.[...]
지진예지연락회
2013-02-04
[26]
논문
니가타 유전 지역의 습곡: 형태와 형성 과정
https://cir.nii.ac.j[...]
일본지질학회
1990-03
[27]
위키문헌
습곡
[2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