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애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애는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손상과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제약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체 기능 및 구조의 손상, 활동 제약, 참여 제약을 포함하는 장애 개념을 제시하며, 국제연합은 2006년 장애인 권리에 관한 협약을 채택하여 장애가 사회적 장벽과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고 정의하고 사회적 장벽 제거를 강조했다. 대한민국 장애인복지법은 장애인을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정의하며, 신체, 지적, 정신, 발달 장애 등 다양한 유형을 인정한다. 장애는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분류되며, 1990년 미국 장애인법은 ADHD, 자폐증, 실명, 암 등 질환을 장애로 규정했다. 장애 관련 용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장애인', '장애우', '장애자' 등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비장애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장애인들은 차별과 편견에 직면하여 저학력, 불안정 고용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경제적 어려움과 고령화 사회에서의 문제도 직면하고 있다. 장애 관련 정책으로는 장애인복지법,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등이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장애인 권리에 관한 협약이 체결되어 장애인의 권익 보호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애인 - 접근성
    접근성은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정보와 서비스에 차별 없이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개념으로, 윤리적 책임, 사회적 형평성, 상업적 이익, 공익적 가치 때문에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 정보 접근, 서비스 접근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보조 기술과 적응 기술을 통해 구현되지만, 완전한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장애인 - 농아
    농아는 청각 및 언어 장애를 겪는 상태를 의미하며, 과거에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사회적 제약이 있었으나 교육 기술 발달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였고, 수화, 구화 등 다양한 교육 방식으로 청각 장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장애인
장애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양식화된 아이콘
휠체어 접근성
흰 지팡이를 사용하는 사람의 양식화된 아이콘
저시력 접근성
수화 통역
개요
정의장기간의 신체적, 정신적, 지적 또는 감각적 손상으로 인해 다양한 장벽과 상호 작용하여 다른 사람과 동등한 기준으로 사회에 완전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는 것
관련 모델의료 모델
사회 모델
교육
교육통합 교육
개별 교육 계획 (IEP)
특수 교육
특별 지원 교육
학습 장애
치료
치료물리 치료
작업 치료
언어 치료
음악 치료
운동 치료
심리 치료
사회적 영향
사회적 영향장애인 권리 운동
인클루전
피플 퍼스트 언어
간병 및 물리적 지원
간병 및 물리적 지원간호 복지사
일상생활 동작
보조기
의지
보조 장비
보행 보조 장치
접근성
유니버설 디자인
웹 접근성
단체
단체장애 연구 학회
장애인 인터내셔널 (DPI)
비지터빌리티
장애인 스포츠
장애인 스포츠스페셜 올림픽
패럴림픽
데플림픽
추가 정보
범주분류:장애인
관련 문서
관련 문서장애음
장애학
에이블리즘
장애의 의료 모델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특별 지원
특별 지원 교육
장애인 권리 운동
인클루전
피플 퍼스트 언어
사회 보장 장애 보험 (SSDI)
보충적 소득 보장 (SSI)
취업 티켓
장애인 생활 수당 (DLA)
온타리오 장애인 지원 프로그램
장애 학생 수당
장애인 철도 카드
프리덤 패스
장애 연구 학회
장애인 인터내셔널 (DPI)
비지터빌리티
스페셜 올림픽
패럴림픽
데플림픽
중증 장애인 보장 소득

2. 장애의 정의 및 분류

장애는 장애의 의학적 모델장애의 사회적 모델로 설명되는데, 현재는 ICIDH-2 모델에 따라 국제적으로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 정착하고 있다. 장애는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나뉜다. 신체적 장애는 태어날 때부터 장애를 가진 '선천적 장애'와 교통사고 등으로 장애를 갖게 된 '후천적 장애'로 나눌 수 있는데, 후천적 장애가 절대다수이다.[238][239][240][241] 반면 정신적 장애는 정신장애를 제외하면 선천적 장애인이 많다.

윈도버 고고학 유적지. 이곳에서 발견된 척추이분증을 앓던 15세 소년의 유해는 수렵 채집 사회에서 보살핌을 받았음을 보여줍니다.


선사 시대 인류가 장애인을 돌본 증거가 있는데, 윈도버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 유골 중 하나는 척추이분증을 앓았던 약 15세 남성의 것으로, 수렵 채집민 공동체에서 보살핌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7][8] 고대 이집트에서는 지팡이가 널리 사용되었고, 고대 그리스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원과 치유 성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편의 시설이 마련되었다.[11] 특히 기원전 370년경 에피다우루스의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에는 거동이 불편한 방문객들을 위해 최소 11개의 영구적인 돌 계단이 있었다.[12]

중세 시대에는 광기와 다른 질병이 악마의 소행이라고 생각되었으나, 흑사병 발생 이후에는 자연 질서의 일부로 여겨지기도 했다.[14] 근세 초기에는 신체적, 정신적 차이의 생물학적 원인을 찾고 범주를 구분하는 데 관심이 높아졌다.[15] 계몽 운동은 인간을 관찰하고 분류하는 제도와 지식 체계의 탄생을 촉진했으며, 현대의 장애 개념은 18세기와 19세기의 발전에 뿌리를 두고 있다.[16]

"정상"의 개념은 아돌프 케틀레의 연구에서 비롯되었으며, 우생학의 부상과 관련이 있다.[17] 장애뿐만 아니라 비정상, 비정상적, 정상성의 개념도 여기서 비롯되었다.[18] 나치 독일 정권은 홀로코스트 동안 약 25만 명의 장애인을 살해했다.[20]

웨일스 정부의 장애의 사회 모델에 대한 단편 정부 권고 애니메이션


장애 학자들은 산업혁명과 함께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의 경제적 변화를 장애 이해에서 중요한 역사적 순간으로 지적했다.[22]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출현으로 사람들은 생산 능력으로 평가받게 되었고, 장애인들은 해결하거나 제거해야 할 문제로 여겨지게 되었다.[23]

1970년대 초, 장애 권리 운동이 확립되면서 사회가 장애인을 대우하는 방식과 장애에 대한 의학적 접근 방식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장애의 사회 모델은 장애를 개선해야 하는 장애의 의학적 모델과 사람을 제한하는 사회를 개선해야 하는 것으로 구분한다.

2. 1. 국제적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기능분류(ICF)는 신체 기능(시각과 같은 생리적 또는 심리적 기능)과 신체 구조(눈과 관련 구조와 같은 해부학적 부분)를 구분한다. 신체 구조 또는 기능의 장애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인구 표준에서의 이상, 결함, 상실 또는 기타 중요한 편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활동은 작업이나 행동의 실행으로 정의된다. ICF는 영향을 받을 수 있는 9가지 광범위한 기능 영역을 열거한다.[170]

기능 영역
학습 및 지식 적용
일반적인 과제와 요구 사항
의사소통
기본적인 신체 이동성, 가정 생활 및 자기 관리(예: 일상생활 활동)
대인 관계
취업을 포함한 지역사회, 사회 및 시민 생활
기타 주요 삶의 영역



국제연합은 2006년에 장애인 권리에 관한 협약(약칭: 장애인 권리 협약)을 채택했다.[167] 이 협약의 전문에 따르면, 장애란 “기능 장애를 가진 사람과 이들에 대한 태도 및 환경에 의한 장벽 간의 상호 작용”이다.[168] 장애가 개인에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것임이 명시되어 있으며, 사회적 장벽을 없애기 위한 정책의 중요성이 언급되어 있다.[169] 또한, 장애가 “발전하는 개념”이라고도 쓰여 있다.[168]

2. 2. 한국의 정의

장애인복지법은 장애인을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정의한다.[238][239][240][241] 관련 법률에 따라 신체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발달장애 등 다양한 유형의 장애가 인정된다.

2. 3. 장애의 분류

장애는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나눌 수 있으며, 대한민국 장애인복지법은 15가지 장애 유형을 규정한다.[238][239][240][241] 신체적 장애는 출생 시부터 장애를 가진 경우(선천적 장애)와 사고 등으로 인해 후천적으로 장애를 갖게 된 경우(후천적 장애)로 나눌 수 있는데, 후천적 장애인의 수가 절대다수이다.[238][239][240][241] 반면 정신적 장애인의 경우에는 정신장애를 제외하면 선천적 장애 당사자가 많다.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따르면, '장애인'은 신체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발달장애 포함) 등 심신의 기능 장애와 사회적 장벽으로 인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을 말한다.

1992년 일본이 비준한 장애인의 직업 재활 및 고용에 관한 협약에서는 장애인을 "정당하게 인정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 때문에 적절한 직업에 종사하고, 이를 계속하며, 그리고 그 직업에서 향상될 전망이 상당히 감소하고 있는 자"로 정의한다.

2006년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은 장애인의 존엄, 자율, 자립 존중, 차별 금지, 사회 참여 등을 일반 원칙으로 하며, 장애인의 권리 실현을 위한 조치를 규정하고 있다. 일본은 2007년 이 협약에 서명하고 2014년에 비준하였다.

;장애 종류별 관련 항목

2. 3. 1. 신체적 장애

대한민국의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신체적 장애를 외부 신체 기능의 장애와 내부 신체 기능의 장애로 나누고 있다.[238][239][240][241]

  • '''시각장애인''': 시각 능력이 없거나 크게 떨어지는 장애인으로, 점자오디오북을 통해 정보를 얻는다.
  • '''청각장애인''': 소리를 듣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장애인으로, 주로 수화를 사용한다. 글이나 입모양을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247]
  • '''언어장애인''': 말을 할 수 없거나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인이다.
  • '''지체장애인''': 몸이 불편하지만 지적 능력은 비장애인과 같은 장애인이다.
  • '''뇌병변장애인''': 뇌성마비, 파킨슨병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장애인이다. 지적 능력은 비장애인과 같으나, 일부는 지적장애를 동반하기도 한다.
  • '''안면장애인''': 얼굴의 변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으로, 성형수술로 치료를 받는다.
  • '''신장 장애인''': 당뇨 합병증 등으로 신장 이식이나 투석 치료가 필요한 장애인이다.
  • '''심장 장애인''': 심장 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장애인이다.
  • '''간 장애인''': 간 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장애인이다.
  • '''호흡기 장애인''': 호흡기 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장애인이다.
  • '''장루·요루 장애인''': 장루, 요루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장애인이다.
  • '''뇌전증 장애인''': 뇌전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장애인으로, 2014년에 현재 명칭으로 개정되었다.[248]

2. 3. 2. 정신적 장애

정신적 장애는 크게 발달장애와 정신장애로 나뉜다.[238][239][240][241]

  • '''발달장애'''
  • '''지적장애인''': 지적 능력 (IQ 70 이하) 발달이 더딘 장애인을 말한다. 2007년 이전에는 정신지체 장애인, 정신박약이라고 불렸다.
  • '''자폐성장애인''': 자폐 장애를 앓는 사람을 의미한다. IQ가 70 이상이어도 자폐성장애 판정을 받을 수 있다.
  • '''정신장애인''': 대한민국 장애인복지법에서는 1년 이상 조현병[249], 양극성 정동장애(조울증), 우울장애, 반복성 우울장애 등의 정신질환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3. 장애의 유래 및 역사

장애에 대한 이해는 시대와 문화를 반영하여 변화해 왔다. 장애의 유래 및 역사에 대해 다양한 관점의 모델들이 존재한다.


  • 정치/관계 모델: 장애의 사회적 모델과 의학적 장애 모델 모두에 대한 대안이자 비판적인 접근 방식이다. 이 모델은 장애의 "문제"가 "접근이 불가능한 건물, 차별적인 태도, 특정 정신과 신체에 정상성과 일탈을 부여하는 이데올로기적 시스템"에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적 및 신체적 장애가 여전히 장애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장애인의 의료화를 항상 질문해야 하는 정치적 성격으로 규정한다.[40]
  • 스펙트럼 모델: 사람들이 기능하는 가청성, 감각성 및 가시성의 범위를 가리킨다. 이 모델은 장애가 반드시 작동 스펙트럼의 감소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는 종종 장애의 연속체에 설정된 한계에 따라 정의된다고 주장한다.[41]
  • 도덕 모델: 사람들이 자신의 장애에 대해 ''도덕적으로 책임이 있다''는 태도를 가리킨다.[42] 예를 들어, 장애는 선천적인 경우 부모의 잘못된 행동의 결과로, 그렇지 않은 경우 마법을 행한 결과로 여겨질 수 있다.[43] 이러한 흔적은 동양과 뉴에이지 종교의 업(業) 교리에서 볼 수 있으며, 장애가 사람에게 "지각, 반성, 초월, 영적인 능력"을 부여한다는 개념도 포함된다.[44]
  • 전문가 모델: 전통적으로 장애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제공해 왔으며, 의학적 장애 모델의 파생물로 볼 수 있다. 이 모델에서 전문가들은 장애 및 그 한계를 식별(의료 모델 사용)하고 장애인의 위치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그러나 이는 권위적이고 과도하게 활동적인 서비스 제공자가 수동적인 클라이언트를 위해 처방하고 행동하는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경향이 있었다.
  • 비극/자선 모델: 장애인을 동정심을 받을 만한 상황의 희생자로 묘사하며, 의학적 장애 모델과 함께 대부분의 장애가 없는 사람들이 장애를 정의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하는 모델이다.
  • 합법성 모델: 장애를 비정형적인 것에 대한 설명 중 어떤 것이 장애 범주에 속하기에 합법적인지에 대한 가치 기반의 결정으로 본다. 이 관점은 여러 가지 설명과 모델을 목적적이고 실행 가능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게 한다.
  • 사회 적응 모델: 한 사람의 장애가 유능한 사회에서 어떤 한계를 제시하지만, 종종 주변 사회와 환경이 장애 자체보다 더 제한적이라고 명시한다.
  • 경제 모델: 장애를 일할 능력 감소, 관련 생산성 손실 및 개인, 고용주 및 사회 전반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으로 정의한다.[45]
  • 권한 부여 모델 (고객 모델, 지지적 의사결정): 장애인과 그 가족이 치료 과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전문가는 클라이언트의 결정을 제시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전환된다. 이 모델은 개인이 자신의 목표를 추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다".
  • 시장 모델: 소수자 권리와 소비자 중심의 장애 모델로, 장애인과 이해관계자를 대규모 소비자, 직원 및 유권자 그룹으로 인식한다. 이 모델은 장애를 정의하기 위해 개인 정체성을 고려하고 특히 경제적 권한 부여에 중점을 두어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다. 미국 인구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 모델은 전 세계 12억 명의 사람들이 자신을 장애가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소비자 모델: "권리 기반"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장애인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동등한 권리와 접근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모델은 기업이 법률 요건에 따라 장애가 있는 고객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모든 비즈니스 서비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치, 마케팅, 환영하고 완전히 참여하도록 제안함으로써 권리 기반 모델을 확장한다. 또한 웹사이트, 정책, 절차, 미션 문구, 비상 계획, 프로그램 및 서비스와 같은 모든 사업 운영이 접근성 및 포용성 관행을 통합해야 하며, 이러한 관행은 모든 능력의 사람들이 비즈니스 제품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포용하고 지원하는 기존 고객 서비스 접근성 및 포용성 표준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제안한다.[46] 이러한 점에서 보조 수단, 의수, 특수 식품, 가사 도움 및 지원 생활과 같은 특수 제품과 특수 서비스가 중요해진다.[47]
  • 귀인 이론: 신체적 낙인은 통제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동정심과 도움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반면, 정신적 행동적 낙인은 통제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 장애가 있는 개인을 무시하려는 분노와 욕구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48]
  • 정의로운 세계 가설: 한 사람이 장애를 받을 만하다고 여기는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 사람의 잘못이기 때문에 관찰자는 그들을 위해 나쁘게 느끼거나 도울 의무가 없다고 느낀다.[49]


의학적 모델은 장애의 원인을 질병, 외상 또는 기타 건강 상태로 인한 개인의 문제로 간주하고, 전문가가 개별적으로 지속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사고방식이다. 이 모델은 장애 관리를 "치료" 또는 "거의 치료"하거나 효과적인 치료로 이어지는 개인의 적응이나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한다. 의료가 주요 문제이며, 정치적인 의미에서 통계 분석이 건강 관리 관련 정책 개혁을 촉진하는 요소가 된다.

3. 1. 서양의 역사

장애의 사회적 모델은 "장애"를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문제이자 개인의 사회 완전한 통합 문제로 본다. 이 모델에서 장애는 개인의 속성이 아니라 사회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 복잡한 조건들의 집합이다. 문제 해결에는 사회적 행동이 필요하며, 장애인에 대한 제약이 최소화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사회의 공동 책임이다. 장애는 문화적이면서 동시에 이념적으로 만들어진다. 사회 모델에 따르면, 장애인 또는 장애를 가진 사람을 위한 동등한 접근은 인권 문제이다.[34][35]

장애의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 of disability)이란 장애가 생물학적 차이보다는 사회적 기대와 제도에 의해 구성된다는 개념이다. 사회와 제도가 장애를 구성하는 방식을 강조하는 것이 이 개념의 주요 초점 중 하나이다.[37] 인종성별이 생물학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장애 또한 그렇다.

1970년대 초, 엘리엇 프리드슨(Eliot Friedson)과 같은 사회학자들은 라벨링 이론과 사회적 일탈을 장애 연구에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이는 장애의 사회적 구성 이론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장애의 사회적 구성은 장애가 규범에서 벗어난 것에 대한 사회적 반응으로 구성된다는 개념이다. 의료 산업은 병자와 장애인이라는 사회적 역할을 만드는 주체이다. 건강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의료 전문가와 기관은 건강과 신체 및 정신적 규범을 정의할 수 있다. 개인이 사회적 건강 정의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는, 손상, 제약 또는 제한을 초래하는 특징을 가질 때, 그 개인은 장애인으로 분류된다. 이 개념에 따르면 장애는 신체의 물리적 특징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습에서 벗어난 것으로 정의된다.[38]

장애의 사회적 구성은 장애가 손상, 제약 또는 제한이라는 의학적 장애 모델의 견해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 대신 장애로 여겨지는 것은 사회에서 "정상"으로 간주되는 것과 개인의 차이일 뿐이다.[39]

3. 2. 한국의 역사

전통 사회에서 장애인을 부르던 '병신', '벙어리', '귀머거리' 등의 용어는 오늘날에는 비칭으로 간주된다.[44] 근대 이전에는 장애인에 대한 체계적인 복지 정책이 미비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멸시가 존재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 헌법에 사회복지 이념이 명시되고, 장애인 복지 관련 법률이 제정되기 시작했다. 1988년 서울 패럴림픽 개최는 한국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다.

4. 장애 관련 용어 및 명칭

장애 관련 용어는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변천해 왔다.

'장애인', '장애우', '장애자' 등의 표현은 일반적으로 비슷한 의미로 통용되지만, 사람마다 선호하는 용어가 다르다.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를 중심으로 '장애우(障碍友)'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이는 1인칭으로 사용할 수 없고,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는 장애인들이 '장애우'보다 '장애인'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고 밝혔다.[242] '장애자'는 1990년까지 사용되던 용어이다.

"핸디캡(handicap)"이라는 용어는 중세 시대 게임인 핸드 인 캡(hand-in-cap)에서 유래했다.[58] 이 용어는 18세기 중반 핸디캡 경마로 확장되었고, 20세기 초에는 장애를 의미하는 추가적인 의미를 얻게 되었다.[59] 이는 장애를 사회적 문제보다는 개인적인 문제로 인식하게 만드는 개념을 강화했다.[60]

장애학의 마이크 올리버는 UPIAS의 성명을 바탕으로 '''장애의 사회 모델'''을 제시했다. 이 모델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지적 제약을 "인페어먼트(impairments)", 사회가 만드는 장벽이나 차별을 "디스어빌리티(disabilities)"로 구분한다.

기존의 장애의 개인 모델(Individual model of disability)은 문제의 원인을 개인의 인페어먼트에서 찾고, 해결책을 인페어먼트 제거에서 찾았다.[174] 반면, 장애의 사회 모델은 "장애" 문제를 사회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고, 개인이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의 과제로 본다. 이 문제는 문화와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정상으로 보는 이데올로기와 관련되며, 개인, 공동체, 사회 전체의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장애인의 기회 균등은 중요한 인권 문제로 다루어진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에 따르면, 심각한 장애를 경험하는 사람은 세계 인구의 약 16%인 13억 명이다.[175] 장애인 비율은 개발도상국에서 더 높게 나타나며, 장애와 빈곤은 상호 악화되는 "악순환" 관계에 있다.[176][177]

4. 1. 한국어 용어

'장애인', '장애우', '장애자' 등의 표현은 일반적으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사람마다 선호하는 용어가 다르다. 과거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를 중심으로 '장애우(障碍友)'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장애우'는 1인칭으로 사용할 수 없고,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제한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는 장애인들이 '장애우'라는 용어를 '장애인'보다 훨씬 싫어한다고 지적했다.[242] '장애자'는 1990년까지 사용되던 '장애인'의 이전 용어이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한국어에서 장애인을 가리키던 전통적인 용어들은 오늘날 대부분 비칭으로 변했다. 일반적인 장애인을 일컫던 '병신', 언어장애를 가리키는 '벙어리', 청각장애를 가리키는 '귀머거리'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을 존칭하던 '장님'도 비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246]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표준어에서 장애인에 반대되는 공식 용어로 '''비장애인'''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2015년 보건복지부에서 제작한 장애인 인권 선전물에서는 '일반인', '정상인' 대신 '비장애인'을, '장애자', '불구자', '장애우' 대신 '장애인'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한국 개신교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역개정판에서는 장애인 관련 용어를 개정하여, '절뚝발이'를 '다리를 저는 사람' 등으로 수정했다.

4. 2. 영어권 용어

영어권에서는 전통적으로 '디스에이블드'(disabled|디스에이블드영어)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한때 '핸디캡트'(handicapped|핸디캡트영어)가 더욱 정치적으로 올바른 용어라는 주장이 있었으나, 장애우와 비슷한 이유로 쓰이지 않게 되었다. 영어권의 장애인들은 handicapped라는 용어를 모욕으로 느끼기도 한다.[243] 그들은 다리에 장애가 있는 경우 휠체어를 탐으로써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handicapped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영어권에서 장애인을 뜻하는 용어로는 '디스어빌리티'(disability|디스어빌리티영어) 또는 disabled, challenged가 있다. 이 표현이 수식할 사람이 앞에 붙는 것이 적절한 표현으로 간주된다. 이를테면 "a person with disability"가 있다. 이러한 언어 표현 원칙을 '사람 우선(피플퍼스트) 용어'(People-first Language)라고 부른다. 이것은 지적당사자들의 권리옹호 운동에서 나온 이야기인 "나는 우선 사람으로 알려지기를 원한다"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반면 자페당사자들을 비롯한 일부 장애당사자들은 이러한 용어 사용을 거부하고 '정체성 우선 용어'(Identity-first Language)의 사용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칙을 관철하고 있는 곳으로 학술지 《성인기 자폐》가 있다[244].

영국 영어에서도 "사람을 앞에 두는 표현"과 비슷한 용법이 있지만, "people with impairments" (예를 들어 시각 장애 대상의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와 같이 장애에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영국의 경우 "disabled people"이 사람을 앞에 두는 표현보다 일반적으로 더 적절하다. 사회 모델이 논의되는 가운데, 장애(disability)는 그 사람의 개성이며, 예를 들어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의 통근 경로에 경사로를 설치하는 등, 공공 시설 개선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232]

일본에서 자주 사용되는 "핸디캡(handicap)"은 영어권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지만, 본래의 어원[233]과는 별도로, 민간 어원에 의해 "구걸하는 사람이 손에 모자(캡)를 얹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고 한다.[234]

4. 3. 스웨덴의 용어

사회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스웨덴 노총(한국의 민주노총과 유사하며, 민주노조 조직률 80-90%, 단체협약 준수율 80-90%를 보임)을 통해 복지국가를 이룩한 스웨덴에서는 '장애인'(handikkaped)이라는 표현 대신 '''"기능이 저하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245] 예를 들어, 다리가 불편한 신체장애인은 걷는 기능이 저하된 것일 뿐, 목발이나 장애에 맞게 개조된 자동차를 이용해 이동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스웨덴의 장애인 정책은 사회복지의 명목으로 장애인을 시설에 격리하는 대신, 비장애인과 함께 살아가는 차별 없는 세상, 장애인의 관점을 고려하는 세상을 지향한다.[245] 그 예로, 스웨덴에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공부하는 통합교육, 차별을 고발하고 개선하는 옴부즈만 제도(차별시정제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일하는 사회적 기업 등이 있다.[245]

5. 장애인 인권 및 사회 운동

흰색 테두리와 글씨가 있는 파란색 표지판에 휠체어를 탄 사람의 그림이 표시되어 있다.


아일랜드 수화 인정을 위한 시위


장애인들은 사회에서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은 인쇄된 종이 투표용지를 읽을 수 없고, 휠체어를 탄 사람은 경사로가 없는 건물에 접근할 수 없다.[62][63] 이러한 차별과 편견에 맞서 장애인들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고, 사회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운동을 전개해 왔다.

장애 활동은 장애와 장애인에 대해 논의할 때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도록 이끌었다. 예를 들어, '저능아'라는 의학적 용어는 부정적인 의미 때문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장애인들이 스스로를 '불구자'라고 묘사하는 경우도 있는데,[67] 이는 의료 전문가로부터 '장애인 정체성'을 되찾고 장애인들이 선호하는 언어와 다시 일치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목발, 보조기, 사진 및 기타 전시물이 있는 버팔로(뉴욕) 장애 역사 박물관


장애 운동은 소외에 저항하고 사회가 장애에 대한 개념과 인식을 구성하는 방식을 강조하는 사회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123] 장애인들은 접근성 부족, 미디어의 부족한 대표성, 인식 부족 등의 문제 해결을 요구한다.[123]



"장애 문화"는 사회에서의 낙인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면서 만들어졌다.[124] 장애인 공동체에 참여하고 장애 문화를 통해 장애를 긍정적인 정체성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내면화된 편견에 맞서 싸우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125]

일본의 경우, 전쟁 전에는 공적인 장애인 복지 정책이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 신도에서는 장애인을 특별한 능력을 가진 존재로 숭배하기도 했다. 일본신화에서 이자나기(伊弉諾)와 이자나미(伊弉冉) 사이에서 태어난 히루코(蛭子)는 세 살이 되어도 걷지 못해 바다에 버려졌지만, 중세 이후 에비스(恵比寿) 신앙과 연결되었다. 푱콧코(火男)는 아메노마히토츠노카미(天目一箇神) 등 대장장이 신의 본존으로 여겨진다. 에도 시대에는 맹인 국학자 하나와 호키이치(塙保己一)와 같이 장애를 가지고도 활동한 인물들이 있었다. 도쿠가와 이에시게(徳川家重)는 뇌성마비로 인한 언어 장애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시각 장애인 남성은 도도자(当道座), 여성은 고죠(瞽女)라는 안마사나 음악가 직업을 알선받았다.

오키나와 전투에서는 학동 소개가 진행되었지만, 오키나와현 맹농아학교는 제외되었다. 시각, 청각, 보행 장애인들은 공격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피난을 포기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았다.[190] 전쟁으로 인한 장애인은 1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191]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국헌법 하에서 사회복지 이념이 중시되었다. 1947년 아동복지법, 1949년 신체장애자복지법, 1950년 정신위생법(현행 정신보건복지법), 1960년 지적장애인복지법이 제정되었다. 1970년 『심신장애자대책기본법』이 제정되었고, 1993년 장애인복지법으로 개정되면서 정신장애발달장애가 장애 정의에 추가되었다. 우생보호법은 1996년 모체보호법으로 변경되어 우생사상 관련 조항이 삭제되었다.

5. 1. 장애인 권리 운동

장애인 권리 운동은 장애인에게 동등한 기회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운동이다. 이 운동의 구체적인 목표와 요구는 교통, 건축 및 물리적 환경에서의 접근성안전, 독립 생활, 고용, 교육 및 주거에서의 동등한 기회, 그리고 학대, 방치 및 환자 권리 침해로부터의 자유이다.[69] 이러한 기회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효과적인 시민권 법률이 요구된다.[69][70][71]

초기 장애인 권리 운동은 장애인을 사회적 규범에 맞추기 위한 치료 또는 치유에 중점을 둔 의학적 장애 모델이 지배적이었지만, 1960년대부터 권리 단체들은 장애를 차별 문제로 해석하는 사회적 장애 모델로 전환하기 시작하여 법적 수단을 통해 평등을 달성하는 길을 열었다.[72]

2006년 12월 13일, 유엔은 21세기 최초의 인권 조약인 장애인 권리에 관한 협약에 공식적으로 합의하여 전 세계 약 6억 5천만 명의 장애인의 권리와 기회를 보호하고 향상시키기로 하였다.[75] 2021년 1월 기준으로 182개국이 이 협약을 비준하였거나 가입을 승인하였다.[76] 협약에 서명한 국가들은 장애인이 교육, 고용 및 문화 생활에 대한 동등한 권리, 재산 소유 및 상속권, 결혼에 있어 차별받지 않을 권리 등을 가지도록, 그리고 의학 실험의 자의적인 대상이 되지 않도록 국가 법률을 제정하고 기존의 법률을 폐지해야 한다.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을 포함한 유엔 관계자들은 이 법안을 사회 모델에 따라 장애에 대한 더욱 권리 기반의 관점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보여주는 것으로 묘사하였다.[75]

5. 2. 장애 정의 운동 (Disability Justice Movement)

장애 정의 운동은 장애 권리 운동에서 발전한 것으로, 집단 해방을 우선시하여 장애인의 삶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운동은 "제2의 물결"로 불리며, 능력주의와 얽혀 있는 식민주의, 백인 우월주의, 이성애적 남성 중심의 자본주의와 같은 여러 억압 시스템을 비판한다.[74]

"장애 정의"라는 용어는 2005년 유색인종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LGBTQ) 장애 여성인 미아 밍구스(Mia Mingus), 패트리샤 번(Patricia Berne), 스테이시 밀번(Stacey Milbern)이 주류 장애 권리 운동보다 교차성을 더 강조하는 반능력주의 운동을 만들기 위해 고안했다. 이들은 소외된 목소리를 중심에 두려고 노력했다. 이들 단체인 장애 정의 컬렉티브에는 시와 크립합(Krip Hop) 운동 설립으로 잘 알려진 르로이 F. 무어 주니어(Leroy F. Moore Jr.)와 장애 연구 내에서 바디마인드(bodymind) 개념을 대중화한 것으로 유명한 엘리 클레어(Eli Clare) 등 저명한 장애 운동가도 포함되었다.

사진에는 세 명의 흑인 장애인이 있습니다. 왼쪽에는 지팡이를 짚고 있는 비이성애자, 가운데에는 전동 휠체어에 앉아 있는 여성, 오른쪽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여성이 있습니다. 그들은 모두 카메라를 향해 미소를 짓고 있으며, 그 뒤 벽에는 무지개색 자랑스러운 깃발이 걸려 있습니다.
무지개 깃발 앞에 있는 세 명의 흑인 장애인


장애인들이 사회 제도를 경험하는 방식은 그들이 속한 다른 사회적 범주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장애 남성과 장애 여성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장애를 경험한다.[126] 이는 교차성 개념을 설명하는데, 한 사람의 정체성의 여러 측면(예: 성별, 인종, 성적 지향, 종교 또는 사회 계급)이 교차하여 억압과 특권의 독특한 경험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127] 유엔 장애인 권리 협약은 연령-장애, 인종-장애, 성별-장애 교차점과 같이 몇 가지 유형의 장애 교차점을 구분한다.[128][129] 그러나 훨씬 더 많은 교차점이 존재하며, 장애는 각 개인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보이는 것일 수도 있고 보이지 않는 것일 수도 있으며, 여러 교차점은 종종 중복되는 정체성 범주에서 발생한다.

5. 3. 한국의 장애인 운동

1970년대부터 장애인 단체들이 결성되어 장애인의 권익 옹호와 차별 철폐를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1981년 '세계 장애인의 해'를 계기로 장애인 운동이 활성화되었다. 2007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은 한국 사회의 장애인 인권 보장에 중요한 전기가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장애인의 권익 보호와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6. 장애인 현황 및 당면 과제

장애인들은 사회 곳곳에서 차별과 불평등을 경험하며, 이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2004년 발달장애자 지원법 제정을 통해 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등 발달장애인에 대한 지원책이 법적으로 마련되었다. 같은 해 장애인 기본법 개정으로 "장애를 이유로 차별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기본 이념이 명시되었고, 지방자치단체에 "장애인 계획" 수립이 의무화되었다.[192] 2005년에는 장애인 자립 지원법이 제정되어 기존의 개별 법제도로 이루어져 왔던 장애인 지원책을 통합적으로 수행하게 되었다. 2006년에는 지바현에서 전국 최초로 장애인 차별을 없애기 위한 조례가 제정되었다.

2013년 일본 국회에서 장애를 이유로 하는 차별의 해소를 위한 법률이 성립되어 2016년에 시행되었고, 장애인의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법률이 시행되어 장애인 범위에 난치병이 추가되었다.[192] 같은 해 12월에는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비준이 승인되어 2014년에 일본에서 효력이 발생했다.[193] 2021년에는 장애인 차별 해소법 개정으로 사업자에 의한 장애인에 대한 합리적 배려 제공이 의무화되었으며, 이 개정법은 2024년에 시행되었다.[194][195]

장애아동 교육은 1947년 학교교육법 제정 당시 "장애아동" 정의가 있었으나, 중증 장애아동은 취학이 유예되거나 면제되었다. 1979년 특수학교가 의무화되었고, 2001년 문부과학성은 장애아동 교육을 "특수교육"에서 "특별지원교육"으로 개정했다. 2007년에는 맹학교, 농학교, 특수학교가 특수교육학교로 통합되었다. 현재는 통합교육과 포용교육이 함께 추진되고 있다.

장애인 고용 촉진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주는 장애인을 일정 비율 이상 고용해야 할 의무가 있다. 2013년 기준 일반 민간 기업의 법정 고용률은 2.0%이며, 정신장애인도 고용 대상에 포함된다. 유니클로와 같은 일부 기업은 높은 장애인 고용률을 보이고 있다. 난치병 환자에게도 취업 지원이 제공되지만, 장애인 쿼터는 적용되지 않아 차이가 있다. 장애인 관련 복지로는 장애인공제, 증여세 비과세, 심신장애자 부양공제제도에 따른 급여 비과세 등이 있다.

6. 1. 차별과 편견

장애인들은 진학, 취업, 시설 이용 등 다양한 영역에서 차별과 편견에 직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정사업본부 소속 공공기관우편집중국, 우체국, 우체국 물류지원단 등에서 장애인 고용은 일반직, 집배원, 우정실무원, 운전기사 등에 국한되어 있으며, 그 수도 적다.[80]

편의시설과 인식 부족, 선입견 등으로 인해 장애인들은 각종 시설 및 교통수단 이용에 불편을 겪는다. 점자블록, 휠체어 통로 설치 등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장애인들은 결혼과 임신을 전제로 한 성생활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겪는다. 자신의 장애가 유전될 수 있다는 걱정, 양육, 자녀와의 갈등 문제 등 다양한 고민을 안고 있다.

장애인들은 종종 낙인을 경험한다. 사람들은 장애인의 존재에 대해 두려움, 연민, 과잉 친절, 뚫어지게 쳐다봄, 혐오감, 무관심 등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반응은 장애인들이 사회와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105] 장애인 작가 제니 모리스는 낙인이 장애인을 사회에서 소외시키는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대중 앞에 나서는 것이 얼마나 용기가 필요한 일인지. 우리 중 몇 명이나 매일, 매주, 매년, 평생 거절과 혐오감을 겪으면서도 힘을 낼 수 있을까? 우리를 집과 아는 사람들에게만 국한시키는 것은 단순히 신체적 제약만이 아니다. 대중 세계로 나설 때마다 시선, 깔보는 시선, 동정, 그리고 적대감에 압도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낙인은 장애인의 심리적, 정서적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억압을 내면화하여 자신이 약하거나 무가치하다는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자존감을 손상시키고, 장애가 없는 사람들의 지배에 순응하는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105] 작가 시미 린튼에 따르면, 장애를 숨기거나 "가장"하는 행위는 공동체 상실, 불안, 자기 의심을 유발하여 장애인에게 심각한 정서적 고통을 준다.[107] 미디어는 장애와 관련된 낙인을 만들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애를 묘사하는 방식은 장애인의 존재를 소외된 것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108]

6. 2. 사회적 장벽

장애인들은 사회생활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다. 우선, 장애인을 위한 시설 부족, 선입견차별로 인해 진학 및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다. 우정사업본부 산하 우편집중국, 우체국, 우체국 물류지원단 등에서 장애인들이 일하고 있지만, 그 수는 적다.[62]

점자 블록, 휠체어 통로 설치 등 편의시설이 부족하고, 사회적 인식 개선도 미흡하여 장애인들은 각종 시설 및 교통수단 이용에 불편을 겪는다. 또한, 장애인들은 결혼과 임신에 대한 고민도 안고 있다. 자신의 장애가 자녀에게 유전될까 걱정하고, 양육과 자녀와의 갈등 문제 등을 고민한다.

접근성은 제품, 서비스, 환경을 필요한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시각장애인이 점자로 된 투표용지나 텍스트 음성 변환 기기를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이 투표용지를 읽어주고 선택 사항을 기록해 준다면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것처럼, 접근성 개선을 통해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확대할 수 있다.

장애인 권리 운동은 장애인에게 동등한 기회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운동이다. 이들은 교통, 건축, 물리적 환경에서의 접근성안전, 독립 생활, 고용, 교육, 주거에서의 동등한 기회를 요구하며, 학대, 방치, 환자 권리 침해로부터의 자유를 주장한다.[69]

장애인들은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혐오감, 소외를 경험하기도 한다. 장애인 작가 제니 모리스는 대중 앞에 나설 때마다 시선, 깔보는 시선, 동정, 적대감에 압도된다고 말한다. 이러한 낙인은 장애인의 심리적, 정서적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미디어는 장애와 관련된 낙인을 만들고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미디어에서 장애를 묘사하는 방식은 장애인의 인간성을 훼손하고, 장애인의 관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는다.[108]

이러한 소외에 저항하기 위해 장애인들은 사회적 모델을 사용하기도 한다. 장애 운동은 접근성 부족, 미디어의 부족한 대표성, 인식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한다.[123]

6. 3. 경제적 어려움

장애인들은 진학과 취업에서의 차별로 인해 저학력과 불안정 고용이라는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입학을 거부당하거나, 취업 시 겉모습만 보고 업무 능력이 없을 것이라는 편견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우정사업본부 산하 공공기관우편집중국, 우체국, 우체국 물류지원단 등에서 장애인들이 일반직, 집배원, 우정실무원, 운전기사 등으로 일하고 있지만, 그 수는 적다.

장애와 빈곤은 서로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 신체적 장벽과 사회적 낙인은 소득 획득을 어렵게 하고, 이는 건강한 삶을 위한 의료 서비스 및 필수품 접근을 더욱 제한한다.[96] 세계 장애 보고서에 따르면, 모든 장애인의 절반이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어 비장애인의 3분의 1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보인다.[96] 공공 서비스가 부족한 국가에서는 장애인 가족 전체가 빈곤에 빠질 위험이 있다.[97]

마르타 러셀(Marta Russell)은 "[적절한 편의시설을 갖춘 채 일할 수 있는] 장애인(들)에 대한 억압의 주요 근거는 임금 노동자로서의 착취에서 배제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6. 4. 고령화와 장애

신체적 장애와 변화하는 정신 상태는 사람들이 나이가 들면서 어느 정도까지는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현상이다. 고령화 사회는 장애의 높은 유병률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종종 낙인이 찍히기도 한다. 캐슬린 우드워드(Kathleen Woodward)는 《장애 연구를 위한 핵심 용어(Key Words for Disability Studies)》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노화는 수사적으로, 때로는 불길하게도 장애가 우리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가 되어야 하는 긴급한 이유로 언급됩니다(우리는 모두 나이가 들고, 결국에는 모두 장애를 갖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노화를 단지 쇠퇴와 악화의 경험으로만 보는 해로운 지배적인 고정관념을 무심코 강화합니다. 그러나 노화와 장애의 밀접한 관계에는 거의 관심이 주어지지 않았습니다."[103]

앨리슨 케이퍼(Alison Kafer)는 《페미니스트, 퀴어, 크립(Feminist, Queer, Crip)》에서 노화와 그와 관련된 불안감은 정상성에 대한 생각에서 비롯된다고 말하며,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예를 들어, 노화에 대한 불안은 강제적 신체 능력/정신 능력(compulsory able-bodiedness/able-mindedness)의 증상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평균보다 키가 약간 작은 어린이에게 성장 호르몬으로 '치료'하려는 시도도 마찬가지입니다. 두 경우 모두 관련된 사람들이 반드시 장애를 가진 것은 아니지만, 분명 문화적 이상에 따른 정상성과 이상적인 형태 및 기능에 영향을 받습니다."[104]

7. 장애 관련 정책 및 제도

유엔은 1976년 국제 장애인의 해(1981)를 계획했고,[77] 이후 국제 장애인의 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유엔 장애인 10년 동안에는 장애인에 관한 세계 행동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1984년, 유네스코는 청각 장애 아동 및 청소년 교육에 수화 사용을 승인했다.

선진국과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장애인의 정치적 권리, 사회 통합, 시민권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논의는 장애인 부양 비용에 대한 우려를 넘어, 장애인이 사회 모든 영역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국제인권법에 따라 2006년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에서는 장애인을 언급할 때 “handicapped”이나 “disabled” 대신 “with disabilities” 표현을 사용한다.[199] 이는 장애인이기 전에 한 사람으로서 존중한다는 “퍼슨 퍼스트”(person-first)의 자세를 나타낸다.[200]

7. 1. 법률 및 제도

세계보건기구(WHO)가 개발한 국제기능분류(ICF)는 신체 기능과 신체 구조를 구분하며, 신체 구조 또는 기능의 장애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인구 표준에서의 이상, 결함, 상실 또는 기타 중요한 편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79] 장애연금은 정부 기관이 장애로 인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일을 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주요한 종류의 장애보험이다.[87] 미국에서는 장애연금이 보충 안전 소득 범주에서 제공되며, 캐나다에서는 캐나다 연금 계획에 속한다.[87] 2013년 호주에서 국가 장애보험 제도가 도입되어 여러 지원을 위한 자금을 조달했다.[88] 다른 국가에서는 사회보장 시스템에 따라 장애 연금이 제공될 수 있다.[88]

장애연금 비용은 서구 국가, 특히 유럽과 미국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장애연금 지출이 1980년에는 국내총생산(GDP)의 0.9%를 차지했지만, 20년 후에는 GDP의 2.6%에 달했다고 보고되었다.[85][89]

덴마크 연구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질병으로 인한 자가 보고 결근일 정보를 사용하여 향후 장애연금 수급 가능성이 높은 그룹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89]

스위스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장애 분야의 사회 정책이 수여되는 수당의 수를 줄이고 직업 재활 조치에 대한 의존도를 높임으로써 상당히 개편되었다.[91][92]

민간 영리 장애보험은 장애인에게 소득을 제공하는 데 역할을 하지만, 국유화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청구인을 포괄하는 안전망이다.

국제연합은 2006년에 장애인 권리에 관한 협약(약칭: 장애인 권리 협약)을 채택했다.[167] 이 협약의 전문에 따르면, 장애란 “기능 장애를 가진 사람과 이들에 대한 태도 및 환경에 의한 장벽 간의 상호 작용”이다.[168]

7. 2. 국제 협력

유엔은 1976년 국제 장애인의 해(1981)를 계획하기 시작했고,[77] 국제 장애인의 해로 이름을 변경했다. 유엔 장애인 10년(1983~1993)에는 장애인에 관한 세계 행동 프로그램이 포함되었다. 1984년, 유네스코는 청각 장애 아동 및 청소년 교육에 수화 사용을 승인했다.

유엔 프로그램과 OSCE는 구소련 국가들의 정책과 프로그램을 장애인 권리 협약에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79] 개발도상국에서는 접근성, 교육, 자기 역량 강화, 자립적 고용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80]

7. 3. 더불어민주당의 노력

더불어민주당은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 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정, 장애인 예산 확대 등 장애인의 권익 보호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86] 특히, 장애인 이동권 보장, 발달장애인 지원 강화, 장애인 소득 보장 확대 등 주요 현안 해결에 주력하고 있다.

8. 결론

장애는 개인의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문제이다. 장애인이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완전히 통합되어 살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차별 없이 함께 살아가는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isability and Health Overview https://www.cdc.gov/[...] 2024-04-03
[2] 논문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Disability" https://journalofeth[...] 2016-10-01
[3] 간행물 Resolution /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A/RES/61/106 https://www.refworld[...] UN General Assembly 2007-01-24
[4] 웹사이트 Medical and Social Models of Disability https://odpc.ucsf.ed[...]
[5] 논문 Valuing Disability, Causing Disability https://www.jstor.or[...] 2014
[6] 웹사이트 Religious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2015) https://infidels.org[...] The Secular Web 2015-01
[7] 서적 Florida's First People: 12,000 Years of Human History Pineapple Press
[8] 서적 Archaeology of Precolumbian Florida University Press of Florida
[9] 논문 Insights from Sumerian Mythology: The Myth of Enki And Ninmaḫ and the History of Disability https://dergipark.or[...] 2018-12-28
[10] 논문 Staffs as Walking Aids in Ancient Egypt and Palestine 1997-08
[11] 논문 The architecture of access: ramps at ancient Greek healing sanctuaries 2020-08-01
[12] 웹사이트 Ancient Greeks may have built 'disability ramps' on some temples https://www.foxnews.[...] 2020-07-22
[13] 서적 Disability in Antiquity Routledge
[14] 서적 Handbook of Disability Studies SAGE 2001
[15] 서적 A History of Disabili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6] 서적 The History of Sexuality, vol. 1 Vintage
[17] 논문 Notes on the History of Normality – Reflections on the Work of Quetelet and Galton 2006-11-04
[18] 서적 Enforcing Normalcy: Disability, Deafness, and the Body Verso 1995
[19] 서적 Freak Show: Presenting Human Oddities for Amusement and Profit
[20] 웹사이트 Disabled people https://www.hmd.org.[...]
[21] 논문 Inbreeding, Incest, and the Incest Taboo: The State of Knowledge at the Turn of the Century
[22] 논문 Capitalism and Disability https://socialistreg[...] 2002
[23] 서적 Psychosocial Aspects of Disability https://connect.spri[...] Springer 2017
[24] 웹사이트 Disability Studies: Foundations & Key Concepts https://daily.jstor.[...] 2019-04-13
[25] 논문 Determinants of duration of disability and return-to-work after work-related injury and illness: Challenges for future research http://dx.doi.org/10[...] 2001-09-25
[26] 웹사이트 Regulations To Implement the Equal Employment Provisions of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s Amended https://www.federalr[...]
[27] 서적 Ableist Rhetoric 2019
[28] 웹사이트 Disability Social History Project – Timeline http://www.disabilit[...] Disabilityhistory.org
[29] 서적 An Introduction to Rehabilitation Engineering CRC Press
[30] 웹사이트 Student Accessibility Services: Dragon Naturally Speaking https://www.unh.edu/[...]
[31] 서적 Innovations and Advanced Technique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s and Engineering https://archive.org/[...] Springer
[32] 웹사이트 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 http://www.w3.org/WA[...] W3C 2013-01-29
[33] 웹사이트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 2.0 http://www.w3.org/TR[...] W3C 2013-01-29
[34] 서적 Exploring Theories and Expanding Methodologies: Where we are and where we need to go Emerald Group Publishing
[35] 학술지 Capturing Volunteered Information for Inclusive Service Design: Potential Benefits and Challenges https://dspace.lboro[...] 2019-01-08
[36] 학술지 Disability and narrative: new directions for medicine and the medical humanities
[37] 서적 Naturalistic Approaches to Social Construction http://plato.stanfor[...] 2016-02-23
[38] 서적 Profession of Medicine: A Study of the Sociology of Applied Knowledge Harper and Row
[39]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Disability History Vol. 2 Facts on File
[40] 서적 Feminist, Queer, Crip Indiana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International organisations report on disability http://www.dpa.org.n[...] Disabled Persons Assembly New Zealand 2013-03-06
[42] 웹사이트 Disability Model http://www.peoplewho[...] World Institute on Disability 2011-10-30
[43] 서적 Culturally Competent Practic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iverse Groups and Justice Issues Cengage Learning
[44] 서적 What Psychotherapists Should Know About Disability Guilford Press
[45] 웹사이트 Economic Model of Disability http://www.copower.o[...] Michigan Disability Rights Coalition 2012-08-11
[46] 간행물 A New and Emerging Model of Disability: The Consumer Model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47] 학술지 Marketing of specialised products and services to consumers with disabilities: exploring the role of advertising, country-of-origin, and e-commerce 2018
[48] 학술지 An attributional analysis of reactions to stigmas 1988
[49] 서적 The belief in a just world: A fundamental delusion Plenum Press
[50] 웹사이트 Cerebral Palsy: a Guide for Care http://gait.aidi.ude[...] The Nemours Foundation 2007-07-29
[51] 서적 Crises, Conflict and Disability: Ensuring Equality Routledge
[52] 뉴스 Groups and individuals honored at PWD Day http://www.manilatim[...] 2014-07-15
[53] 웹사이트 Recognising & Implementing Housing Rights CSCF449 http://devtracker.df[...]
[54] 학술지 Person-first and identity-first language: Developing psychologists' cultural competence using disability language
[55] 웹사이트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http://www.gcil.org.[...] Glasgow Centre for Inclusive Living 2009-01-03
[56] 웹사이트 Journalists should learn to carefully traverse a variety of disability terminology https://ncdj.org/201[...]
[57] 서적 Culturally Competent Practic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
[58] 웹사이트 AHEAD Statement on Language https://www.ahead.or[...]
[59]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ndicap in Oxford Dictionaries (British & World English) http://oxforddiction[...]
[60]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etymonline.co[...]
[61] 논문 Psycho-Social Problems faced by Persons with Disability 2017-07-24
[62] 논문 ADA compliance and the accessibility of physical activity facilities in western Oregon 2003
[63] 논문 Fitness for all: Is your club ADA compliant? 2003
[64] 웹사이트 Invisible Disabilities: List & Information https://www.umass.ed[...] 2015-10-28
[65] 논문 Mental illness and employment discrimination 2006-09
[66] 간행물 Episodic Disabilities in Canada 2016
[67] 서적 The Social Medicine Reader 2020
[68] 웹사이트 The Autism Puzzle Piece: A symbol that's going to stay or go? http://the-art-of-au[...] 2015-04-20
[69] 웹사이트 Disability Rights Wisconsin http://www.disabilit[...] Disabilityrightswi.org
[70] 서적 Law and the Contradictions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71] 논문 Achieving disability equality: Empowering disabled people to take the lead 2018-03-26
[72] 논문 Shaping Disability Rights through Shaping the Disability Movement 2011
[73] 뉴스 We Seek to Promote a Human Rights Based Approach to Disability https://astanatimes.[...] 2020-12-03
[74] 웹사이트 Disability Justice - a working draft by Patty Berne https://www.sinsinva[...] 2015-06-10
[75] 논문 Out of darkness into light? Introducing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008
[76]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 https://www.un.org/d[...]
[77] 논문 International Year for Disabled Persons 1980
[78] 웹사이트 People With Disability Australian Protest Timeline https://commonslibra[...] 2023-04-26
[79] 웹사이트 OSCE supports roundtable discuss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Nur-Sultan https://www.osce.org[...] 2019-11-14
[80] 논문 Fact Sheet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http://www.un.org/di[...]
[81] 서적 On the Margins of Citizenship: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ivil Rights in Twentieth-Century America https://www.jstor.or[...] Temple University Press 2009
[82] 학술지 Ensuring equal citizenship for disabled people: A matter of rights or a matter of costs? https://www.scienced[...] 2020-06-01
[83] 서적 ASSISTING DISABLED PERSONS IN FINDING EMPLOYMENT A practical guid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03
[84] 웹사이트 Abuse in Disability Communities https://www.thehotli[...] 2024-02-21
[85] 서적 Transforming Disability into Ability 2003
[86] 뉴스 'Disability hate crimes' rise by a quarter in a year https://www.telegrap[...] 2013-01-29
[87] 웹사이트 Canada Pension Plan disability benefits: Overview https://www.canada.c[...] 2024-02-08
[88] 웹사이트 Lessons from the Campaign to Stop Independent Assessments Webinar https://commonslibra[...] 2024-03-31
[89] 학술지 Self-reported sickness absence as a risk marker of future disability pension. Prospective findings from the DWECS/DREAM study 1990–2004
[90] 학술지 Sickness absence as a risk factor for job termination, unemployment, and disability pension among temporary and permanent employees
[91] 논문 The 'compliant', the 'pacified' and the 'rebel': experiences with Swiss disability insurance 2019-01-17
[92] 논문 Three Dimensions in the Register of Shame https://rdsjournal.o[...] 2020-01-18
[93] 논문 Do inclusive work environments matter? Effects of community-integrated employment on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016-06-01
[94] 논문 'Just having a job': Career advancement for low-wage worker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4-05-01
[95] 논문 Supported Employment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Effects of Job Breakdown on Psychological Well-Being
[96] 간행물 World report on disability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97] 웹사이트 Centro DÍBÁ http://centrodiba.or[...] 2022-05-10
[98] 논문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Context of Disaster: A Social Vulnerability Perspective http://cdra.colostat[...] 2013-01-31
[99] 논문 Disaster Case Management an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ttp://www.apa.org/p[...] 2013-01-31
[100] 논문 Exploring the support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fter Hurricane Ike: Children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2011-07-29
[101] 웹사이트 Effective Emergency Management: Making Improvements for Commun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http://www.ncd.gov/p[...] National Council on Disability 2009-08-12
[102] 논문 Disability, natural disasters and emergency situations http://www.un.org/de[...] 2011-05-31
[103] 서적 Key Words for Disability Studies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5
[104] 서적 Feminist, Queer, Crip Indiana University Press
[105] 서적 Reeve Chapter 2004 The Disability Press
[106] 서적 Pride Against Prejudice Transforming Attitudes to Disability http://repositoriocd[...] The Women's Press
[107] 서적 Claiming Disability: Knowledge and Identity https://archive.org/[...] NYU Press 1998
[108] 서적 Disability Rhetoric Syracuse University Press
[109] 웹사이트 We're not here for your inspiration http://www.abc.net.a[...] ABC Services 2012-07-02
[110] 서적 Representing Autism Culture, Narrative, Fascination Liverpool University Press
[111] 논문 The 'Supercrip' in sport media: Wheelchair athletes discuss hegemony's disabled hero http://physed.otago.[...]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of Otago 2016-04-19
[112] 서적 Disability, Literature, Genre: Representation and Affect in Contemporary Fiction https://library.oape[...] Liverpool University Press
[113] 논문 Reevaluating the Supercrip https://samischalk.c[...] 2016-01-01
[114] 논문 Reading Batman, Writing X-Men Superpowers and Disabilities in the First-Year Seminar 2015-01-01
[115] 서적 Narrative Prosthesis: Disability and the Dependencies of Discours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01-01
[116] 논문 Coping with an undesirable life event: a study of early reactions to physical disability https://www.proquest[...] 1982-01-01
[117] 서적 Disabling Imagery and the Media Ryburn Publishing 1992-03-15
[118] 논문 I Am Sam 2002-05-18
[119] 서적 Mind Reeling: Psychopathology on Fil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20-01-01
[120] 서적 Vulnerable Communion: A Theology of Disability and Hospitality Brazos Press 2008-01-01
[121] 웹사이트 Disability stereotypes in the media Aruma https://www.aruma.co[...] 2020-08-24
[122] 논문 Disability Aesthetics https://www.jstor.or[...] 2005
[123] 논문 Exploring the critiques of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he transformative possibility of Arendt's notion of power 2015-03-00
[124] 논문 What Is Disability Culture? https://dsq-sds.org/[...] 2002-00-00
[125] 논문 Negotiating Psycho-Emotional Dimensions of Disability and their Influence on Identity Constructions http://eprints.lancs[...] 2016-04-19
[126] 논문 Disabled Women and the Feminist Agenda 1992-03-00
[127] 서적 Factors in Studying Employment for Persons with Disability https://zenodo.org/r[...] Emerald Publishing Limited 2017-01-01
[128] 서적 European Union Non-Discrimination Law and Intersectionality: Investigating the Triangle of Racial, Gender and Disability Discrimination Routledge 2016
[129]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 United Nations Enable https://www.un.org/d[...] 2024-02-21
[130]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28 diseases and injuries for 195 countries, 1990–2016: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6
[131] 논문 Race and Disability: From Analogy to Intersectionality 2018-07-11
[132] 논문 Associations Between Child Disabilities and Caregiver Discipline and Violenc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3-07-29
[133] 논문 Maltreatment and disabilities: a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al study. 2000-10
[134] 논문 Ethnicity, disability, and risk for abuse
[135] 논문 Prevalence of maltreatment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review of recently published research. 2006
[136] 논문 A longitudinal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child maltreatment: findings of a 17-year prospective study of officially recorded and self-reported child abuse and neglect. 1998-11
[137] 논문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morbidity of Childhood Violence Exposure and Disabilities: Focus on the Ecology of the School. 2012-01
[138] 논문 Racializing Disability, Disabling Race: Policing Race and Mental Status http://www.bjcl.org/[...] 2016-05-03
[139] 논문 Towards a Theory of Disability and Gender 2000
[140] 서적 The Disability Studies Reader Routledge 2013-05-02
[141] 웹사이트 Feature on Women with Disabilities http://www.un.org/wo[...] 2017-10-24
[142] 논문 Feminist Disability Studies 2005-01-01 # Winter 2005를 2005년 1월 1일로 가정
[143] 서적 Distinguishing Disabil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1-01 # 날짜가 불명확하므로 2009년 1월 1일로 가정
[144] 논문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overty and Disability 2007-07-01 # July 2007을 2007년 7월 1일로 가정
[145] 논문 Empirical Dimensions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ople 1995-01-01 # 날짜가 불명확하므로 1995년 1월 1일로 가정
[146] 논문 Poverty and disability 2011-12-01 # December 2011을 2011년 12월 1일로 가정
[147] 논문 Disability and Social Stratification 1991-01-01 # 날짜가 불명확하므로 1991년 1월 1일로 가정
[148] 논문 Expensive Children in Poor Families: Out-of-Pocket Expenditures for the Care of Disabled and Chronically Ill Children in Welfare Families 2000-01-01 # 날짜가 불명확하므로 2000년 1월 1일로 가정
[149] 논문 Disability, politics and poverty in a majority world context 2010-12-01 # December 2010을 2010년 12월 1일로 가정
[150] 논문 The three Ds of welfare reform: disability, disgust and deservingness 2009-11-01 # November 2009을 2009년 11월 1일로 가정
[151] 논문 'Why Do They Give the Good Classes to Some and Not to Others?' Latino Parent Narratives of Struggle in a College Access Program 2002-10-01
[15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volvement as Social Capital and College Enrollment: An Examination of Racial/Ethnic Group Differences 2005-01-01
[153] 웹사이트 First Extremity Games was first class success http://www.oandp.com[...] oandp.com 2013-03-06
[154] 웹사이트 Disability World Repor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01-08
[155] 뉴스 For many, disability is part of what it means to be human https://www.ft.com/c[...] Nikkei 2018-05-11
[156] 논문 Prevalence of Disabilities and Health Care Access by Disability Status and Type Among Adults — United States, 2016 https://www.cdc.gov/[...] 2018-01-01
[157] 웹사이트 Infographic: Adults with Disabilities: Ethnicity and Race {{!}} CDC https://www.cdc.gov/[...] 2019-10-25
[158] 웹사이트 A demographic, employment and income profile of Canadians with disabilities aged 15 years and over, 2017 https://www150.statc[...] 2018-11-28
[159] 웹사이트 The Daily — A profile of Canadians with a mobility disability and groups designated as visible minorities with a disability https://www150.statc[...] 2020-12-03
[160] 웹사이트 Disability, Ageing and Carers, Australia: Summary of Findings, 2018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https://www.abs.gov.[...] 2020-09-25
[161] 웹사이트 Family Resources Survey: financial year 2020 to 2021 https://www.gov.uk/g[...] 2022-10-05
[162] 웹사이트 Life Opportunities Survey: wave 1 results https://www.gov.uk/g[...] 2022-10-05
[163] 논문 Twenty-year trends in the prevalence of disability in China 2011-11-01
[164] 웹사이트 문서뷰어 http://kostat.go.kr/[...] 2022-10-08
[165] 논문 Including disabled people in poverty reduction work: 'Nothing about us, without us' 2003
[166] 웹사이트 障害者の権利に関する条約 https://www.mofa.go.[...] 외務省 2024-08-09
[167] 웹사이트 障害者の権利に関する条約 https://www.mofa.go.[...] 외務省 2024-08-10
[168] 웹사이트 障害者の権利に関する条約(和文) https://www.mofa.go.[...] 외務省 2024-08-10
[169] 웹사이트 “障害者の権利に関する条約(和文) https://www.mofa.go.[...] 외務省 2024-08-11
[170] 웹사이트 Disability https://www.who.int/[...] 2024-08-10
[171] 웹사이트 Cerebral Palsy: a Guide for Care http://gait.aidi.ude[...] The Nemours Foundation 2007-07-29
[172] 웹사이트 職業リハビリテーション及び雇用(障害者)条約(第159号) http://www.ilo.org/p[...] ILO駐日事務所 2011-08-26
[173] 웹사이트 障害者雇用納付金制度の概要 http://www.jeed.or.j[...]
[174] 서적 よくわかる障害学 ミネルヴァ書房 2017
[175] 웹사이트 Disability https://www.who.int/[...] 2024-08-10
[176] 웹사이트 障害を持つ人々に関するファクトシート https://www.unic.or.[...] 2024-08-10
[177] 논문 Including disabled people in poverty reduction work: “Nothing about us, without us” 2003
[178] 웹사이트 American FactFinder http://factfinder.ce[...] Factfinder.census.gov 2012-08-11
[179] 웹사이트 The War's Costs http://www.digitalhi[...]
[180] 뉴스 VA: Number of Disabled Veterans Rising http://www.foxnews.c[...] FOXNews.com 2008-05-11
[181] 뉴스 Homes for disabled in Afghanistan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5-29
[182] 뉴스 Afghanistan: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call for integration http://www.irinnews.[...] IRIN Asia 2004-12-02
[183] 뉴스 Afghanistan's refugee crisis 'ignored'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12-08-11
[184] PDF 平成18年身体障害児・者実態調査結果(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185] 웹사이트 障害児の出生率が増加傾向、年間100万人以上が誕生 - レコードチャイナ https://www.recordch[...] 2007-09-21
[186] 간행물 Disability, poverty, and the new development agenda http://www.dfid.gov.[...] Disability Knowledge and Research Programme 2005
[187] 서적 「障害児」の普通学校・普通学級就学運動の証言 1979年養護学校義務化反対闘争とその後 東京大学大学院教育学研究科小国ゼミ編 2017
[188] 웹사이트 【声明】堀合研二郎さんの大和市議会選挙当選について https://jngmdp.net/2[...] 全国「精神病」者集団公式サイト 2023-04-24
[189] 뉴스 “障害ある議員に合理的配慮を” 地方議会へ周知 総務省に要望 https://www3.nhk.or.[...] NHKニュース 2024-07-30
[190] 서적 沖縄県史 各論編 第六巻 沖縄戦 沖縄県教育庁文化財課史料編集班 2017
[191] 서적 障害福祉白書―沖縄の障害者福祉対策の現状と課題 沖縄県生活福祉部 1982
[192] 웹사이트 障害者総合支援法って何? http://www.ee-life.n[...] 2017-09-01
[193] 웹사이트 第3節 「障害者権利条約」の批准 https://www8.cao.go.[...] 内閣府ホームページ 2024-11-10
[194] 웹사이트 リーフレット「令和6年4月1日から合理的配慮の提供が義務化されました」 - 内閣府 https://www8.cao.go.[...] 2024-08-10
[195] 웹사이트 改正障害者差別解消法が施行されました - 内閣府 https://www.cao.go.j[...] 2024-08-10
[196] 간행물 学校教育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平成18年6月21日法律第80号) https://www.shugiin.[...]
[197] 웹사이트 https://www.mhlw.go.[...]
[198] 뉴스 <北朝鮮>心身障害児を化学兵器の人体実験に-中国報道 https://web.archive.[...] サーチナ 2009-07-29
[199]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8-10
[200] 웹사이트 Writing Respectfully: Person-First and Identity-First Language https://www.nih.gov/[...] 2023-04-12
[201] 간행물 欧米の特殊教育 国立国会図書館
[202] 뉴스 労働保険調査会 : 第一回総会 http://www.lib.kobe-[...] 大阪毎日新聞 1921-12-17
[203] 뉴스 工場法施工後の概況 : [工場法実施成績 其九] http://www.lib.kobe-[...] 福岡日日新聞
[204] 간행물 文化審議会国語分科会(第44回)議事録 https://www.bunka.go[...] 2010-05-19
[205] 논문 〈精神障害者〉の誕生 -心身二元論的世界観の終焉- https://hdl.handle.n[...] 早稲田大学社会科学学会 2011-03-25
[206] 서적 詳解漢和辞典 冨山房 1922-03-25 #大正11年3月25日
[207] 간행물 漢語字類 https://dl.ndl.go.jp[...] 1876-06
[208] 간행물 必携熟字集 巻下 https://dl.ndl.go.jp[...] 1879-05
[209] 간행물 近時必携熟語便覧 https://dl.ndl.go.jp[...] 1881-05
[210] 서적 最新 用字用語ブック 時事通信社 2023-04-20
[211] 일반
[212] 서적 記者ハンドブック 新聞用字用語集 共同通信社 2022-09-28
[213] 학술지 DSM‒5 病名・用語翻訳ガイドライン(初版) https://www.jspn.or.[...]
[214] 뉴스 表記は「障害者」?それとも「障がい者」? http://news.ameba.jp[...] アメーバニュース 2007-02-27
[215] 뉴스 【新国語断想】塩原経央 子ども、障がい者 漢字が悪いわけじゃない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09-10-13
[216] 보도자료 三重県保健・医療・福祉総合情報-「障がい者」の表記に改めます https://www.pref.mie[...] 三重県 2016-07-30
[217] 웹사이트 「障がい」の表記について http://www.pref.oita[...] 大分県福祉保健部 2006-02
[218] PDF 要望の多かった「玻・碍・鷹」の扱いについて https://www.bunka.go[...]
[219] PDF 改定常用漢字表(答申) http://www.bunka.go.[...]
[220] 웹사이트 障がい者制度改革推進本部を設置―政府 https://www.cabrain.[...] キャリアブレイン
[221] 웹사이트 第5回障がい者制度改革推進会議議事次第 https://www8.cao.go.[...]
[222] PDF 障がい者スポーツの歴史と現状 http://www.jsad.or.j[...]
[223] 웹사이트 マイクロソフト アクセシビリティ ホーム https://www.microsof[...]
[224] 웹사이트 公文書に「障碍」使用へ、宝塚市 全国初、4月から運用 | 共同通信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9-02-05
[225] 뉴스 「障害」→「障碍」 佐賀県、国に見直し提案へ http://www.saga-s.co[...] 佐賀新聞 2010-02-17
[226] 뉴스 「障がい者」表記に反対する熊谷俊人・千葉市長、どうして? https://www.huffingt[...] 2015-05-21
[227] 웹사이트 障害者の表記について http://litalico.co.j[...]
[228] 웹사이트 このサイトについて - ATARIMAEプロジェクト http://www.atarimae.[...]
[229] 웹사이트 残疾人权利国际公约 http://www.un.org/ch[...]
[230]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残疾人保障法修改专题 http://temp.cdpj.cn/[...]
[231] 웹사이트 身心障礙者權益保障法 http://law.moj.gov.t[...] 中華民国法務部
[232] 웹사이트 Glascow Centre for Inclusive Living: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http://www.gcil.org.[...]
[233] 웹사이트 英語勉強サイト「eigo21」 handicap「ハンディキャップ」語源解説 http://www.eigo21.co[...]
[234] 웹사이트 About the Meaning of "Handicap" http://www.uhh.hawai[...]
[235] 웹인용 '도가니는 끝나지 않았다'…성범죄 피해자 10명 중 1명 장애인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14-10-15
[236] 웹인용 정신지체여성 성폭행 비율 일반인의 4배 https://www.cowalkne[...] 함께걸음 2023-03-12
[237] 웹인용 3년 만에 염전으로 되돌아간 '섬 노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7-04-30
[238] 뉴스 다름의 차이를 존중한다면 https://news.naver.c[...] 뉴스1 2017-04-12
[239] 뉴스 (누구나 장애인이 될 수 있다)'버팀목' 가족마저… '간병 전쟁'에 가정해체 내몰려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7-04-18
[240] 뉴스 밀리고 끼이고… 장애인의 험난한 봄나들이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7-04-20
[241] 뉴스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는 ‘장애인’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7-04-20
[242] 웹사이트 성명서-SBS 보도국에 “장애우”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 것을 경고한다 http://www.kofod.or.[...] 2010-10-11
[243] 웹인용 handicap/disability http://www.wsu.edu/~[...] 2008-02-29
[244] 웹인용 Information For Authors https://home.liebert[...] Mary Ann Liebert, Inc., publishers 2020-08-31
[245] 서적 복지국가 스웨덴 후마니타스
[246] 뉴스 홍성호 기자의 '말짱 글짱' 우리를 슬프게 하는 말들 ⑥ -‘장님’과 ‘시각장애인’은 세력다툼 중 https://news.naver.c[...]
[247] 드라마 CSI 마이애미
[248] 잡지 리더스 다이제스트
[249] 일반 조현병 관련 용어 변경
[250] 뉴스 http://news.sbs.co.k[...] 서울방송 2015-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