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색 깃발을 올려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색 깃발을 올려라》는 1951년에 개봉한 영화로, 미국 육군 제442연대에 배속된 백인 장교와 일본계 미국인 병사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와 프랑스 전선에서의 활약을 통해 인종차별과 편견을 극복하고, 부대의 헌신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실제 442연대 참전 용사들이 배우로 참여했으며, 마크 웨인 클라크 장군과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기록 영상이 포함되었다. 흥행과 비평에서 준수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로버트 피로시의 각본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계 미국인을 소재로 한 작품 - 빌리 배트
빌리 배트는 우라사와 나오키와 나가사키 타카시가 스토리를 구성하고 우라사와 나오키가 그림을 그린 일본 만화로, 박쥐 형상의 캐릭터가 역사를 조종한다는 설정 아래 만화가 야마기타 케빈이 역사의 음모에 휘말리는 추리 스릴러이다. - 1951년 영화 - 아프리카의 여왕
존 휴스턴 감독의 영화 《아프리카의 여왕》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동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험프리 보가트와 캐서린 헵번이 독일 군함 공격을 위해 급류를 항해하며 사랑에 빠지는 모험 로맨스 영화로, 여러 어려움 속에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고전 영화로 평가받는다. - 1951년 영화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951년 영화)
루이스 캐럴의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원작으로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1951년 애니메이션 영화는 호기심 많은 앨리스가 흰 토끼를 따라 원더랜드에서 기상천외한 모험을 겪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초현실적인 영상미와 독특한 캐릭터들로 디즈니 대표작 중 하나로 재평가받았다. - 태평양 전쟁 영화 - 콰이강의 다리
데이비드 린 감독의 영화 《콰이강의 다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콰이강에 다리를 건설하는 영국군 포로들과 다리 폭파를 시도하는 특공대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잔혹함과 인간의 존엄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 영화 - 미드웨이 (2019년 영화)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2019년 미국 전쟁 영화 《미드웨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드웨이 해전을 배경으로 미국과 일본 해군의 치열한 전투와 그 이면에 숨겨진 인간적인 이야기를 그리며, 에드 스크레인, 패트릭 윌슨, 우디 해럴슨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고 스캔라인 VFX와 픽소몬도가 시각 효과를 담당했다.
황색 깃발을 올려라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고 포 브로크! |
원제 | Go For Broke! |
감독 | 로버트 피로쉬 |
제작 | 도어 쉐어리 |
각본 | 로버트 피로쉬 |
주연 | 밴 존슨 레인 나카노 조지 미키 |
음악 | 알베르토 콜롬보 |
촬영 | 폴 C. 보글 |
편집 | 제임스 E. 뉴컴 |
배급사 | 메트로-골드윈-메이어 |
개봉일 | 1951년 5월 24일 (뉴욕시) |
상영 시간 | 92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337,000 달러 |
흥행 수입 | 3,337,000 달러 |
2. 줄거리
1943년 미시시피주 캠프 셸비에서 새로 임관한 마이클 그레이슨 중위는 본토에 창설된 442연대에 배속된다. 442연대는 일본계 미국인(Nisei)으로 구성된 부대였다. 원래 텍사스 주 방위군 부대인 미국 제36보병사단으로 복귀할 것으로 예상했던 그레이슨은 자신이 적으로 생각했던 일본계 병사들과 함께해야 한다는 사실에 당황한다. 그는 엄격한 군 규율보다는 소대원들과의 관계를 통해 부대를 이끌어 나간다.
(내용 없음)
그레이슨은 부대원들이 자주 사용하는 "고 포 브로크(Go For Broke)"라는 구호가 '모든 것을 걸고 도박하다', 즉 '모든 것을 쏟아붓는다'는 의미의 하와이 피진어 표현임을 알게 된다.[5] 또한, 자주 외치는 '바카 타레'는 일본어로 "매우 멍청하다"는 뜻에 가깝다는 것도 배운다.
영화에서는 병사들 중 일부가 겪었던 수용소 생활에 대한 언급이 간략하게 등장하며,[7] 이는 영화 전반에 걸쳐 암시된다. 또한 하와이 출신 니세이(Nisei)와 미국 본토 출신 니세이 간의 문화적 차이와 갈등도 묘사된다.[8] 부대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하와이 출신 병사들[9](스스로를 '부타헤드' 또는 '부다헤드'라 칭함)은 집단적 연대 의식과 어느 정도의 민족적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본토 출신 병사들('카통크'라 불림)은 소수자로서 억압받는 삶에 익숙해져 있었다. 캠프 셸비에서 처음 만났을 때 이 두 집단 간의 문화적 차이는 충돌을 야기하기도 했다.
이탈리아에 도착한 442연대는 이미 전투 경험이 풍부한 제100대대와 합류한다. 제100대대 역시 하와이 출신 니세이로 구성된 부대였다. 신참 병사들은 베테랑인 100대대 병사들에게 조언을 구하며 전선에 적응해 나간다. 최전선으로 이동하는 동안 그레이슨은 잠시 이탈리아 여성('시뇨리나')과 만남을 갖느라 뒤처지지만, 소대원들이 그를 엄호해 준 덕분에 발각되지 않는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의 전투를 거치며 그레이슨은 442연대 병사들의 용기와 헌신을 목격하고 점차 자신의 편견을 버리고 존경심을 갖게 된다. 그의 의사와는 달리, 442연대가 제36사단에 배속되면서 그레이슨은 연락 장교로 제36사단으로 전출된다. 그가 니세이 병사들을 오해했듯이, 그들 역시 그레이슨을 오해하고 있었음을 깨닫는다.[5] 니세이 병사들은 그레이슨이 자신들을 향한 편견에 맞서 싸웠으며, 심지어 그들을 모욕한 제36사단의 옛 동료와 주먹다짐까지 벌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독일군에게 포위된 미국 육군 제36보병사단의 일부, 이른바 "잃어버린 대대"를 구출하는 임무에서 442연대는 엄청난 희생을 치르며 용맹함을 증명한다. 미국으로 귀환한 442연대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8번째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는다.[10]
3. 등장인물
3. 1. 주연
:‡이 배우들은 442연대의 실제 참전 용사였다.
이 영화에는 마크 웨인 클라크 장군과 해리 트루먼 대통령이 부대 표창을 수여하는 기록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4]
3. 2. 조연
:‡ 표시는 해당 배우가 442연대전투단의 실제 참전 용사임을 의미한다.
3. 3. 442연대 대원
:‡표시가 된 배우들은 제442보병연대의 실제 참전 용사였다.
4. 실제 참전 용사 출연
영화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해 442연대의 실제 참전 용사들이 직접 출연했다. 출연한 참전 용사 배우와 배역은 다음과 같다.
5. 제작진
- 감독: 로버트 피로시
- 각본: 로버트 피로시
- 미술: 세드릭 기븐스, 에디 이마주
6. 평가 및 흥행
MGM 기록에 따르면, 이 영화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253.10000000000002만달러,[15] 해외에서 80.6만달러의 수익을 올려 총 76.1만달러의 이윤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1]
로버트 피로시의 각본은 1951년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16]
7. 역사적 배경과 의미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격동의 시기, 특히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 내 일본계 미국인들은 적성 국민으로 간주되어 극심한 차별과 불신에 직면했으며, 많은 이들이 일본계 미국인 강제 수용소에 갇히는 비극을 겪었다.[7] 이러한 암울한 상황 속에서, 미국에 대한 충성심을 증명하고 자신들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자원한 니세이(일본계 미국인 2세)들로 구성된 미국 육군 제442연대가 창설되었다.
이 영화는 바로 이 제442연대 전투단의 이야기를 다루며, 인종차별과 편견이라는 사회적 장벽 앞에서 니세이 병사들이 겪어야 했던 고뇌와 갈등, 그리고 전장에서 보여준 용기와 희생을 조명한다. 부대의 구호인 고 포 브로크(Go For Brokeeng)[5]는 '모든 것을 걸고 전력을 다한다'는 의미로, 절박한 상황 속에서도 미국 시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려 했던 니세이들의 결연한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영화는 이들의 투쟁을 통해 전쟁의 참상뿐만 아니라, 소수 집단이 겪는 차별의 아픔과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그려내고 있다.
7. 1. 제442연대 전투단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미시시피주 캠프 셸비에서 새로 임관한 마이클 그레이슨 중위는 일본계 미국인(Nisei)으로 구성된 미국 육군 제442연대에 배속된다. 본래 텍사스 미국 육군 주 방위군 소속 미국 육군 제36보병사단으로 복귀할 것을 예상했던 그는, 당시 '적국'으로 여겨지던 일본계 병사들을 지휘하게 되면서 문화적 충격과 편견에 직면한다. 그러나 그레이슨은 엄격한 군 규율보다는 소대원들과의 소통과 이해를 통해 리더십을 발휘하려 노력한다.그는 부대의 구호인 "고 포 브로크(Go For Broke)"가 하와이 피진어로 '모든 것을 걸고 도박하다', 즉 '전력을 다한다'는 의미임을 알게 된다.[5] 또한 병사들이 자주 사용하는 일본어 구절 '바카 타레'(馬鹿垂れ)가 '아주 멍청하다'는 뜻임을 배우며 그들의 문화에 점차 익숙해진다.
부대 내에는 하와이 출신 Nisei와 미국 본토 출신 Nisei 간의 문화적 차이와 갈등도 존재했다.[8] 병력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하와이 출신(당시 속어로 '부타헤드', '부다 헤드'로도 불림)[9]은 집단적 연대 의식과 어느 정도의 민족적 자부심을 가졌던 반면, 본토 출신(속어로 '카통크')은 소수자로서 억압받는 환경에 익숙했다. 일부 병사들의 가족이 일본계 미국인 강제 수용소에 있다는 사실[7] 역시 영화 곳곳에서 암시되며 당시 Nisei들이 처한 복잡한 상황을 보여준다.
이탈리아 전선에 도착한 442연대는 이미 전투 경험이 풍부한 또 다른 Nisei 부대인 미국 육군 제100보병대대와 합류한다. 신참 병사들은 제100대대의 베테랑들로부터 조언을 구하며 전선에 적응해 나간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의 격렬한 전투를 거치며, 442연대 병사들의 용기와 희생은 그레이슨 중위의 편견을 존경심으로 바꾸어 놓는다.
이후 그레이슨은 본인의 의사와 달리 제36사단으로 연락 장교로 전출되지만, 그는 더 이상 과거의 편견을 가진 장교가 아니었다. 오히려 자신을 불신했던 Nisei 병사들을 적극적으로 변호하며, 심지어 그들을 모욕한 제36사단의 옛 동료와 주먹다짐을 벌이기도 한다.[5] 그의 진심을 알게 된 Nisei 병사들 역시 그를 다시 보게 된다.
442연대의 가장 빛나는 전공 중 하나는 독일군에게 포위된 제36사단의 "잃어버린 연대"를 구출한 작전이다. 하와이 출신 병사들이 주축이 된 442연대는 엄청난 희생을 치르며 임무를 완수했고, 이는 부대의 용맹함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전쟁 후 미국으로 귀환한 442연대는 이러한 혁혁한 공로를 인정받아 8번째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는다.[10]
7. 2. 인종차별과 편견 극복
영화는 주인공 마이클 그레이슨 중위가 일본계 미국인(Nisei)으로 구성된 미국 육군 제442연대에 처음 배속되었을 때 가졌던 편견을 보여주며 시작한다. 그는 텍사스 출신으로, 자신이 속했던 미국 육군 제36보병사단으로 돌아가길 원했으며, 처음에는 일본계 병사들을 '적'과 동일시하는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5]당시 미국 사회에 만연했던 일본계 미국인에 대한 차별과 불신은 영화 곳곳에서 암시된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일본계 미국인들이 강제 수용소에 갇혔던 역사적 배경이 짧게 언급되며[7], 이는 병사들 사이의 미묘한 긴장감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하와이 출신과 미국 본토 출신 Nisei 병사들 간의 문화적 차이와 갈등도 묘사된다.[8] 하와이 출신 병사들은 상대적으로 차별을 덜 경험하고 공동체 의식이 강했던 반면('부타헤드' 또는 '부다 헤드'로 불림), 본토 출신들은 소수자로서 억압받는 삶에 익숙했다('카통크'로 불림). 이러한 배경 차이는 부대 내 초기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레이슨 중위는 이탈리아와 프랑스 전선에서 442연대 병사들이 보여준 용기와 희생을 직접 목격하면서 점차 자신의 편견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그들을 존경하게 된다. 그는 Nisei 병사들이 단순한 '일본인'이 아니라, 미국을 위해 싸우는 용감한 군인들이자 동료 시민임을 알게 된다. 최전선으로 진군하는 동안 그레이슨은 이탈리아 여성과 잠시 교제하다가 뒤쳐지기도 했지만, 그의 소대원들이 그를 감싸주었기 때문에 발각되지 않았다.
그의 변화는 제36사단으로 잠시 파견되었을 때 더욱 분명해진다. 그는 Nisei 병사들을 옹호하며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하는 옛 백인 동료와 주먹다짐까지 벌인다.[5] 이는 그가 Nisei 병사들과 진정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인종적 편견에 맞서 싸우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장면이다. 그가 Nisei를 잘못 판단했듯이, 그들 또한 그를 잘못 판단했었다는 점이 드러난다.[5]
영화의 클라이맥스는 442연대가 독일군에게 포위되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제36사단의 "잃어버린 연대"를 구출하는 작전이다. Nisei 병사들은 엄청난 희생을 치르며 불가능해 보였던 임무를 완수하고, 이를 통해 자신들의 용맹함과 미국에 대한 충성심을 증명한다. 이 사건은 442연대가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부대'라는 명성을 얻게 된 결정적인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결국, 442연대 병사들은 전쟁 영웅으로 귀환하여 8번째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는 등[10] 그 공로를 인정받는다. 영화는 이들의 투쟁과 희생을 통해 인종차별과 편견을 극복하고 미국 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려낸다.
참조
[1]
서적
The Eddie Mannix Ledger
Margaret Herrick Library, Center for Motion Picture Study
[2]
뉴스
Robert Pirosh, 79, Veteran of Combat and Author, Is Dead,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89-12-31
[3]
서적
Nonfiction Film: a Cr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1992
[4]
서적
Go For Broke: The Nisei Warriors of World War II Who Conquered Germany
https://books.google[...]
2005
[5]
뉴스
"'Go For Broke!', Tribute to War Record of Nisei Regiment, Opens at the Capitol"
https://movies.nytim[...]
New York Times
1951-05-25
[6]
간행물
Forgotten Faces: Why Some of Our Cinema Heritage Is Part of the Public Domain
2007-06
[7]
웹사이트
442nd Regimental Combat Team
https://encyclopedia[...]
2023-05-06
[8]
웹사이트
Kotonks vs. Buddhaheads
https://www.100thbat[...]
[9]
웹사이트
442nd Regimental Combat Team
https://nationalvete[...]
2020-06-16
[10]
서적
Nisei memories: my parents talk about the war years
https://books.google[...]
2006
[11]
뉴스
Lane Nakano, 80, a Soldier Turned Actor, Is Dead,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5-05-11
[12]
웹사이트
Akira Fukunaga, film credits
http://www.tcm.com/t[...]
[13]
웹사이트
Harry Hamada, image of hula-dancing soldier
http://www.picturehi[...]
[14]
웹사이트
Henry Nakamura, film credits
http://www.videolala[...]
2010-05-05
[15]
뉴스
The Top Box Office Hits of 1951
Variety
1952-01-02
[16]
웹사이트
"Go For Broke! (1951); Cast, Credits and Awards,"
https://web.archive.[...]
New York Times onl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