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주공군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주공군기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황주군에 위치한 공군 기지이다. 1996년과 2005년, 2010년 등에 미그 전투기의 출격 및 전개와 관련된 사건들이 있었으며, 김정일, 김정은 등 북한 지도자들이 시찰한 기록이 있다. 8,180 x 154 피트 크기의 활주로와 여러 개의 주기장을 갖추고 있으며, 과거 MiG-19 전투기 연대가 주둔했었다. 또한, 오중흡 7연대 칭호를 받는 제1016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 미림비행장
평양 동쪽 대동강변에 위치한 미림비행장은 활주로와 유도로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김일성 광장 열병식 훈련장으로 주로 활용되지만,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 사용, 미림 비행 클럽의 경량 항공기 시내 관광 운영, 그리고 과거 무수단 미사일 발견 및 정치범 공개 처형 장소 이용 등 다양한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 덕산비행장
덕산 비행장은 05/23 방향의 콘크리트 활주로 1개를 갖춘 군 비행장이며, 2,484 x 49m 크기의 활주로를 가지고, 지형적 특성상 방어에 유리한 계곡에 위치해 있고, 현재는 군사 공항으로 사용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항 - 미림비행장
평양 동쪽 대동강변에 위치한 미림비행장은 활주로와 유도로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김일성 광장 열병식 훈련장으로 주로 활용되지만,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 사용, 미림 비행 클럽의 경량 항공기 시내 관광 운영, 그리고 과거 무수단 미사일 발견 및 정치범 공개 처형 장소 이용 등 다양한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항 - 선덕비행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위치한 선덕비행장은 한국 전쟁 당시 K-26으로 불렸고 대한항공 YS-11기 납치 사건 때 납치 항공기가 착륙한 곳이며, 활주로 1본을 갖추고 고려항공이 평양과의 부정기편을 운항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황주공군기지 | |
---|---|
기본 정보 | |
공항 이름 | 황주공항 |
![]() | |
IATA 코드 | 해당 없음 |
ICAO 코드 | 해당 없음 |
FAA 코드 | 해당 없음 |
공항 종류 | 군사 공항 |
소유주 | 해당 없음 |
운영자 | 해당 없음 |
도시 | 황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위치 | 해당 없음 |
고도 (피트) | 26 |
고도 (미터) | 8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번호 | 12/30 |
활주로 길이 (피트) | 8,180 |
활주로 길이 (미터) | 2,493 |
활주로 표면 | 콘크리트 |
2. 역사
황주공군기지는 한국 전쟁 이후 북한의 주요 공군 기지 중 하나로 기능해왔다. 황해북도 황주군에 위치하며, 대한민국과의 군사적 최전선에 가까운 전략적 요충지이다. 이 기지는 대한민국 공군의 원주공군기지에서 북서쪽으로 약 230km 거리에 있어, 전투기로 약 10분 내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있다.[1] 이러한 지리적 근접성 때문에 대한민국 공군은 상시 비상출격(스크램블)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1] 북한 당국은 황주기지가 최남단에 위치한 점을 고려하여, 소속 조종사의 대한민국 귀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비행 임무 후 착륙 시 잔여 연료를 최소화하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주요 주둔 부대는 조선 인민군 공군 1016부대이며,[3] 미그-21과 미그-23 등 구형 전투기를 주력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들 전력은 주로 서북도서 지역에 대한 기습 타격 임무를 염두에 둔 것으로 평가된다. 과거 여러 차례 소속 전투기의 추락 사고가 발생했으며,[2] 서해 NLL 및 KADIZ를 침범하는 등 군사적 긴장을 유발하는 활동도 기록되었다. 특히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당시에는 미그-23 전투기들이 이 기지에 전개되어 대기하기도 했다.
북한 최고 지도부의 관심도 높은 기지로, 김정일과 김정은 부자가 여러 차례 방문하여 부대를 시찰했다.[3] 2008년 김정일의 시찰은 당시 후계자로 부상하던 김정은의 첫 공식 활동으로 알려져 주목받았다.[3] 2015년에는 김정은이 직접 방문하여 오중흡7연대 칭호를 받은 1016부대를 격려하기도 했다.
또한, 황주공군기지 인근 약 5km 거리에는 북한의 최남단 스커드 미사일 기지로 알려진 삭간몰 미사일 기지(황주 미사일 기지)가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황주 지역은 공군력뿐만 아니라 탄도미사일 위협까지 포함하는 복합적인 군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일부 군사 전문가들은 유사시 삭간몰 기지의 스커드 미사일이 제1격의 선제 타격 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한다.
2. 1. 1990년대
1996년 10월 22일, 황해도 황주기지 소속의 MiG-21 전투기 한 대가 연료 부족으로 추정되는 원인으로 추락했다. 황주기지는 대한민국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조선인민군 조종사의 대한민국 귀순을 막기 위해, 비행 후 착륙 시 예비 연료를 거의 남기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같은 해 12월 17일, 황주기지 소속의 또 다른 MiG-21 전투기가 이착륙 훈련 도중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추락했다.
2. 2. 2000년대
2001년 9월 21일 오전, 서해 최북단 백령도의 해병 흑룡부대에 대한 국정감사를 위해 국회 국방위원과 보좌진을 태운 대한민국 육군 CH-47 치누크 헬기 2대가 백령도 인근 해상에 진입하자, 황주공군기지에서 미그 전투기 2대가 긴급발진했다.2005년 11월 11일 오후 1시 13분, 황주공군기지를 이륙한 미그-21 전투기 2대가 서해 백령도 서쪽 32마일 지점의 NLL을 넘어 남하 비행한 뒤 북한으로 복귀했다. 이는 KADIZ도 침범한 것이다.
2008년 11월 30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황주공군기지에 주둔한 조선 인민군 공군 1016부대를 시찰했다. 이는 김정은의 첫 공식 행보로 알려져 있다.
2. 3. 2010년대
-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건 발생 직전, 평안남도 북창공군기지에서 이륙한 미그-23 전투기 5대가 전투초계비행을 마친 후 황주공군기지에 전개하여 대기 상태에 들어갔다.
- 2011년 11월 25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김정은과 함께 황해도 및 NLL 담당 부대인 제4군단 사령부를 방문했다. 이는 김정일 위원장의 첫 제4군단 사령부 방문이었다. 다음 날인 26일에는 황주공군기지에 주둔하는 조선 인민군 공군 1016부대를 시찰했다.
- 2015년 3월 9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전용기를 이용하여 오중흡7연대 칭호를 받은 조선 인민군 공군 1016부대를 방문하여 시찰했다.
- 2019년 1월 28일, 북한은 황주공군기지와 태탄공군기지에서 야간 비행훈련을 실시했다. 황주기지에는 주력 기종인 미그-23과 미그-21이, 태탄기지에는 미그-21과 공격헬기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서북도서에 대한 기습 타격 능력을 갖춘 전력으로 평가된다. 당시 운용 중인 전투기들이 구형 기종임을 고려할 때 야간 이착륙 훈련은 매우 이례적이며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훈련은 해당 공군기지에 야간 이착륙을 위한 전자식 지원 장비가 설치되었고, 전투기에도 관련 장비가 탑재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만성적인 연료 부족에 시달리는 북한 공군이 야간 비행훈련을 실시한 것은 연료 확보 상황에 변화가 있었을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3. 시설
황주공군기지는 2493m x 47m 크기의 콘크리트 활주로(12/30 방향) 1개를 갖추고 있다. 이 기지는 계곡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여러 개의 유도로와 활주로에 인접한 3개의 주기장이 있다. 44대의 MiG-19 제트 전투기로 구성된 1개 연대가 이곳에 주둔하고 있다.
4. 오중흡 7연대
오중흡 7연대는 1930년대 항일 빨치산 투쟁 당시 김일성의 지휘부를 사수했던 부대이다. 당시 7연대 연대장이었던 오중흡은 북한에서 '수령결사옹위정신'을 발휘한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1996년부터 '오중흡7연대 칭호 쟁취운동'이 시작되었다.[3]
오중흡 7연대 칭호를 받은 부대로는 항공저격여단인 제323부대, 공군 제1354부대, 황주공군기지의 공군 제1016부대, 순천공군기지의 공군 제1017부대, 131부대, 조선인민군 공군 제813 군부대 등이 있다.
5. 대한민국과의 관계
황주공군기지는 서해 NLL(북방한계선)과 인접해 있어 대한민국의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군사 시설로 평가된다.[1] 강원도 원주공군기지의 제8전투비행단 (대한민국)은 원산공군기지, 곡산공군기지, 황주공군기지 등 북한의 주요 공군기지로부터 전투기로 10분 이내 거리에 위치하여 상시 비상출격(스크램블, Scramble)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2] 원주공군기지에서 북서쪽으로 약 230km 거리에 황주공군기지가 있다.[2]
황주공군기지 소속 전투기와 관련된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 1996년 10월 22일, 황주기지 소속의 미그 21 전투기 1대가 연료 부족으로 추정되는 원인으로 추락했다. 황주기지는 북한 최남단 공군기지 중 하나로, 조종사의 남한 귀순을 막기 위해 착륙 시 예비 연료를 거의 남기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 1996년 12월 17일, 황주기지 소속의 미그 21 전투기 1대가 이착륙 훈련 중 원인 불명으로 추락했다.
- 2001년 9월 21일, 서해 최북단 백령도의 해병 흑룡부대에 대한 국정감사를 위해 이동하던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 및 보좌진 탑승 육군 CH-47 치누크 헬기 2대가 백령도 인근 해상에 접근하자, 황주공군기지에서 미그 전투기 2대가 긴급발진하였다.
- 2005년 11월 11일, 황주공군기지를 이륙한 미그-21 전투기 2대가 서해 백령도 서쪽 32마일 지점에서 NLL을 넘어 남하 비행한 후 북한으로 복귀하여 KADIZ(한국방공식별구역)를 침범하였다.
황주공군기지 인근에는 삭간몰 미사일 기지(황주 미사일 기지)가 위치해 있다. 조선 인민군 공군 1016부대가 주둔한 황주공군기지에서 약 5km 떨어진 이 기지는 북한의 최남단 스커드 미사일 기지로 알려져 있다. 일부 전문가는 유사시 북한이 삭간몰 기지의 스커드 핵미사일로 제1격의 선제 핵공격을 감행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북한 지도부의 황주공군기지 및 관련 부대 시찰 기록은 다음과 같다.
- 2008년 11월 30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북한 공군 제1016부대를 시찰했으며, 이는 김정은의 첫 공식 행보로 알려졌다.
-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건 발생 직전, 평안남도 북창공군기지에서 이륙한 미그-23 전투기 5대가 전투초계비행 후 황주공군기지에 전개하여 대기 상태에 있었다.
- 2011년 11월 25일, 연평도 포격 사건 1주년을 맞아 김정일 위원장이 김정은과 함께 황해도와 NLL을 담당하는 제4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령부를 방문했으며, 이는 김정일의 첫 제4군단 사령부 방문이었다. 다음 날인 26일에는 조선 인민군 공군 1016부대를 시찰했다.
- 2015년 3월 9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전용기를 이용해 오중흡7연대 칭호를 받은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제1016부대를 시찰했다.
2019년 1월 28일, 북한은 황주공군기지와 태탄공군기지에서 야간 비행훈련을 실시했다. 황주기지에는 주력 기종인 미그-23과 미그-21이, 태탄기지에는 미그-21과 공격헬기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북도서 기습 타격 전력으로 평가된다. 1970년대에 도입된 구식 전투기로 야간 이착륙 훈련을 실시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이는 공군기지에 야간 이착륙 지원 장비가 설치되었거나 전투기에 관련 장비가 탑재되었을 가능성, 또는 만성적인 연료 부족 상황이 일부 해소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andings database page
http://www.landings.[...]
2010-08-23
[2]
웹사이트
Air Bases - North Korea
http://www.globalsec[...]
2010-08-23
[3]
뉴스
북한군, 10년만에 '오중흡7연대 쟁취 열성자대회' 개최(종합)
연합뉴스
2016-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