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령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령도는 대한민국 서해에 위치한 섬으로,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하며, 대한민국 최서단에 위치한다. 지질학적 특성과 함께, 해식애가 발달한 지형과 콩돌 해변, 사곶 사빈 등의 독특한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과거 고구려 시대에는 곡도, 고려 시대에는 백령도로 불렸으며, 역사적으로 중국과의 교역 요충지이자 군사적 요충지였다. 현재 북한과 가깝고, 서해 5도 중 하나로, 군사적 긴장과 천안함 피격 사건 등의 영향을 받았다. 기독교가 일찍 전래되었으며, 롯데리아 매장이 유일하게 설치된 곳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령도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서남쪽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하여 4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민군 합동조사단은 북한의 어뢰 공격을 원인으로 발표했으나, 여러 의혹과 논란이 지속되며 남북한 간 군사적 긴장 고조의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되고 정부 대응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백령도 -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는 선캄브리아기 백령층군의 장촌층에서 발견되는 대규모 단층 및 습곡 구조로, 고생대 말에서 중생대 초 지각변동의 결과로 횡압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한반도 지각 발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대한민국의 극점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대한민국의 극점 - 마라도
    마라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의 섬으로,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태계, 최남단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관광 명소이지만, 최근 고양이 개체 수 증가로 인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뭉퉁도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뭉퉁도는 물수리와 괭이갈매기 번식지로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환경 오염 행위가 제한되고 자연환경이 보호되는 섬이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모도
    모도는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크고 부분적으로 반상 조직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중립질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백령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섬의 일부 (2013년)
한글백령도
한자白翎島
로마자 표기Baengnyeongdo
위치황해
좌표북위 37도 58분 동경 124도 39분
면적46.37 km²
최고점업죽산 (184m)
소속 국가대한민국
광역시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인구 (2006년)4,716명
역사
정전 협정1953년 7월 27일
추가 정보

2. 지리

백령도는 대체로 대지상 산지를 이루며, 해식애가 장관을 이룬다. 섬에는 큰 강이 없으며, 강은 오직 여름 몬순 계절 동안에만 형성된다. 섬의 해안은 바위가 많고, 남동쪽 해안에는 갯벌이 있다.[1] 간척지가 조성되어 여러 용도로 쓰이고 있으며, 갑문과 함께 백령호로 불린 담수호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섬은 예부터 중국 산둥반도와의 교통 중개지였고,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매우 가까운 곳에 있는 군사상 요충지다. 섬의 상당수는 군사시설 보안 때문에 내비게이션 지원이 되지 않으며, '''로드뷰''', 위성지도 서비스도 제약을 받고 있다.[37] 주민과 거의 같은 4,000명 규모의 대한민국 해병대 제6해병여단이 주둔하고 있다.

부근의 바다는 조선중국을 잇는 해상 교통의 요충지이자 난관으로도 알려져 있다. 판소리 등으로 유명한 전설 심청전의 무대이기도 하다.

섬에는 기암괴석 등 자연이 많이 남아 있다. 야생 점박이물범의 서식지가 있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29] 이 외에 괭이갈매기 등이 서식하고 있다. 근해에는 상괭이밍크고래 등도 서식하고 있으며, 해양경찰청이 이 지역에서의 불법 포경을 조사하고 단속하고 있다.[30][31][32][33] 백상아리물범을 노리고 나타나기도 한다.[34][35]

2. 1. 지질

백령도는 남한보다 북한에 더 가깝게 위치해 있다. 대한민국 본토의 인천광역시에서 북서쪽으로 191.4km 떨어져 있으며, 면적은 46.3km2, 해안선 길이는 52.4km이다.[1]

이 섬은 최후 빙하기 동안 반도의 일부로서 한때 한반도 본토와 연결되어 있었다. 현재의 백령도는 해수면이 상승한 후에도 수면 위로 남아 있는 부분이다.[1]

백령도에는 큰 강이 없으며, 강은 오직 여름 몬순 계절 동안에만 형성된다. 섬의 해안은 바위가 많고, 남동쪽 해안에는 갯벌이 있다.[1]

맑은 날에는 백령도에서 북한 룡연군의 장산곶이 보인다.

2. 2. 위치

백령도는 대한민국 본토의 인천광역시에서 북서쪽으로 191.4km 떨어져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다. 면적은 46.3km2이고 해안선 길이는 52.4km로, 대한민국에서 14번째로 큰 섬이다.[1] 최후 빙하기 동안에는 반도의 일부로서 한반도 본토와 연결되어 있었으나, 해수면 상승으로 섬이 되었다.[1]

맑은 날에는 백령도에서 북한 룡연군의 장산곶이 보인다. 백령도 인근에는 대청도소청도가 있다. 백령도는 황해에 위치하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서해 5도(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 중 하나로, 행정적으로는 인천광역시옹진군 백령면에 속한다. 대한민국 정부 통치 범위의 최서단에 해당한다.

북쪽으로는 장산곶, 동쪽으로는 옹진반도가 있으며, 가장 가까운 섬은 북동쪽 11km 거리에 있는 월내도이다. 이 지역은 북한의 통치 범위(황해남도)이다.

백령도 북쪽 해역에는 1953년 8월 유엔군이 선포한 북방한계선(NLL)이 지나간다.[27] 북한은 1999년 9월 북방한계선 무효를 주장하며 독자적인 "해상군사분계선"을 백령도 남쪽에 설정했다.[27] 이에 따르면 백령도는 북한이 설정한 해상군사분계선의 북쪽에 위치하지만, 2000년 3월 북한은 미 해군 함정과 민간 선박이 통항할 수 있는 수역으로 백령도 주변 해역의 제1구역과 그곳으로 통하는 제1수로를 설정하고,[27] 백령도와 대한민국 본토 간의 선박 통행만을 인정하고 있다.[28]

이 해역의 주권을 놓고 남북은 분쟁을 벌이고 있으며, 2010년에는 백령도 서남 해역에서 천안함 피격 사건이 발생했다.

3. 역사

고구려 때는 곡도(鵠島)라고 불렸고, 고려 1018년(현종 9년)에 백령진(白翎鎭)이 설치되었다. 1896년에는 황해도 장연군에 속했다. 원래 백학도(白鶴島)라고도 불렸는데, 사또의 딸과 선비의 설화가 전해진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한 후, 한반도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북쪽은 소련군이, 남쪽은 미군이 점령했다. 백령도는 대청도, 소청도와 함께 38선 이남의 옹진군에 편입되었고, 황해도 옹진군은 경기도 옹진군으로 재편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 직후 3개월 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점령하기도 했다.[38]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에 따라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연평도서해 5도는 대한민국에 남게 되었다. 1995년 3월 1일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다.[39]

섬 이름은 "하얀 날개 섬"을 의미하며,[1] 섬 이름에 얽힌 유래는 다음과 같다. 옛날 황해북도의 한 마을에 남자와 여자가 사랑에 빠졌지만, 여자의 아버지가 반대하여 여자는 백령도로 추방되었다. 슬픔에 잠긴 남자는 꿈에서 하얀 학이 종이를 주는 것을 보았고, 실제로 여자의 주소가 적힌 종이를 발견했다. 남자는 섬으로 가서 여자를 찾았고, 두 사람은 행복하게 살았다. 그 후 섬은 백학도(白鶴島)라고 불렸고, 이 이름이 결국 백령도가 되었다.[1]


  • -* '''A:''' 유엔군 사령부가 설정한 북방한계선, 1953년[16]
  • '''B:''' 북한이 선언한 "조선 동해 해상 군사 분계선", 1999년[17]

]]

한국 전쟁 동안, 미국 공군은 백령도의 비행장을 K-53으로 지정했다. 이 섬은 미국 해병대의 지휘를 받는 제2 한국 해병 연대 병력으로 구성된 서해 도서 방어 임무 부대에 의해 방어되었다.[18] 전쟁 중, 탈북자들이 섬에 정착했다.[1]

1950년 8월 16일, 미국 해군록히드 P2V-3 넵튠기(122940)가 진남포 근처의 적군 함선을 공격하다 대공포화에 맞아 화재가 발생하여 이곳에서 서쪽으로 9.7km 떨어진 곳에 불시착했다. 9명의 탑승자 전원이 생존하여 HMS ''케냐''호에 의해 구조되었다. 이 사건 이후, 모든 정찰기는 한국에서의 공격 임무에서 제외되었다.[19]

1951년 4월 백령도는 MiG-15의 잔해를 청천강 근처에서 회수하기 위한 임무의 발진 기지로 사용되었다. 1951년 4월 17일, 미국 공군의 시코르스키 H-19가 미국/한국 팀을 사고 현장으로 이송했고, 그들은 잔해를 사진 촬영하고 터빈 블레이드, 연소실, 배기 파이프 및 수평 안정기를 제거했다. 과부하된 헬리콥터는 그 후 팀과 샘플을 백령도로 다시 날아와 SA-16으로 옮겨 평가를 위해 남쪽으로 비행했다.

미국 공군은 1951년 중반 섬에 통신 감청 기지를 설치하여 중국 군사 통신을 가로채는 데 사용했다. 1951년 12월, 미국 공군 제3 항공 구조 비행대대의 두 대의 시코르스키 H-5가 섬에 배치되어 초도 비행장으로 매일 전진 배치되어 수색 및 구조 임무를 수행한 후 1952년 1월 초도에 영구 배치되었다. H-5는 이후 더 성능이 좋은 시코르스키 H-19로 교체되었으며, 그 중 두 대는 초도에, 한 대는 백령도에 배치되었다.

1952년 11월 12일, Po-2로 추정되는 여러 대의 항공기가 야간 공격으로 기지를 폭격하여 최소한의 피해를 입혔다.

1974년, 대청도와 소청도는 대청면으로 분리되었다. 1995년, 옹진군은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다.[1]

2010년 1월, 백령도 인근에서 대한민국 해군 함정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육상 포병 간의 포격전이 발생했다.[20][21]

2010년 3월 26일, 대한민국 해군 함정 ROKS ''천안''이 이 섬 인근에서 침몰했다. 1,200톤급 선박은 두 동강이 났으며, 승무원의 거의 절반이 사망하고 (주로 선미 구역에서), 절반 이상이 생존했다 (주로 선수 구역에서). 다국적 조사 결과 북한 어뢰가 선박을 공격한 것으로 결론지었지만,[22] 이 결론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측도 있다.[23]

4. 환경

대체로 대지상의 산지를 이루며, 해식애가 장관을 이룬다. 간척지가 조성되어 여러 용도로 쓰이고 있으며, 갑문과 함께 백령호로 불린 담수호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역은 해양 동물과 조류의 다양성이 풍부하다. 세계에서 50종 안에 드는 희귀 조류인 검은머리물떼새가 이곳에서 발견된다. 이 지역에는 점박이물범의 자연 보호 구역이 있으며,[7] 바위와 해변에서 이들을 관찰할 수 있다.[8] 물범은 때때로 백상아리와 같은 포식자를 이 지역으로 유인하기도 한다.[9][10] 상괭이 또한 인근 해역에 서식한다.[11] 인천해양경찰서는 이 지역에서 밍크고래를 대상으로 한 불법 포경을 조사해왔다.[12][13][14]

5. 기후

백령도의 기후는 쾨펜의 ''Dwa''에 해당하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로, 강수량은 주로 5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된다.

백령도 (2001–2020년 평균, 2000년~현재 극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C)9.415.518.823.728.130.033.533.229.925.622.714.633.5
평균 최고 기온 (°C)1.22.87.113.018.722.925.426.923.517.710.63.814.5
평균 기온 (°C)-1.30.03.89.114.519.022.323.820.114.77.91.211.3
평균 최저 기온 (°C)-3.4-2.21.36.011.116.119.921.517.812.35.5-1.18.7
최저 기온 (°C)-17.4-15.3-7.70.55.07.313.014.110.72.1-5.2-11.3-17.4
강수량 (mm)13.3mm17.4mm18.2mm47.5mm74.3mm72mm201mm158.5mm90.6mm31mm41.9mm21.6mm787.3mm
평균 상대 습도 (%)63.463.065.565.770.180.288.083.775.967.864.763.871.0
평균 강수일수 (≥ 0.1 mm)7.44.85.36.98.110.013.911.16.75.08.59.997.6
평균 적설일수11.06.22.30.10.00.00.00.00.00.23.012.735.5
평균 일조시간139.9166.6216.9219.3239.6191.0136.7189.6212.4217.6146.7117.32193.6
일조율 (%)43.354.353.953.051.438.628.640.854.560.649.337.946.8


  • 최고 기온: 33.5°C (2002년 7월 27일)
  • 최저 기온: -17.4°C (2004년 1월 21일)
  • 일 강수량 최고: 155.6mm (2022년 7월 13일)
  • 연 강수량 최고: 1258.4mm (2020년)[24]

기상청 (일조율 1981–2010)[24][25][26]

6. 교통

백령도에서 섬 밖으로 나가는 방법은 인천광역시를 잇는 정기 고속정인천항에서 하루 1~2회 출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백령도 주변의 기상 및 날씨가 연중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정기적으로 출항하는 경우는 드물다.[1] 섬으로 가는 항로는 북한과 가깝기 때문에 운항에는 호위함이 동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

용기포선착장에서 인천항으로 가는 배편은 하루 2회, 총 3대가 운항한다. 운항 시간 및 선박은 다음과 같다.

구분시간선박
백령도 출발오전 7시옹진훼미리호
오후 12시 50분하모니플라워
오후 1시 30분코리아킹
인천 출발오전 7시 50분하모니플라워
오전 8시 30분코리아킹
오후 1시옹진훼미리



소청도·대청도를 경유하며, 소요 시간은 4시간에서 4시간 30분이다.[1] 백령도에서 인천까지 뱃길은 228km이다.[1]

편도 요금은 성인 기준 평일 69500KRW(주중, 주말 동일)이며, 인천 시민은 평일과 주말 모두 17000KRW이다. 국가유공자(보훈청 발행 연안여객할인권 제출 시), 만 12개월 이하 유아는 무임이다.[1]

섬 내 이동 수단으로는 택시와 노선 버스가 있다.[1]

7. 문화

이 섬은 본래 황해도에 속해 있고, 주민들 다수가 이 섬 토박이이거나 황해도 육지 출신 실향민과 그 후손들이기 때문에 황해도의 향토문화(방언, 음식 등)가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백령도엔 군인이 많이 들어온 특성상 유일한 패스트푸드 매장인 롯데리아 1개의 점포만 들어온 것으로 드러나고 있어, 옹진군 관내에서 유일하게 패스트푸드 매장이 직접 설치된 대표적인 경우가 있다. 다른 옹진군 지역에 없는 패스트푸드 매장 치고는 대한민국 최서단에 자리잡은 유일한 패스트푸드 매장이 들어서게 되는 특이한 케이스다.

백령도는 남한 땅보다 북한하고 가까운 ‘서해5도’ 중에서도 가장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그만큼 남북관계의 영향을 가장 빠르고, 많이 받는 곳이기도 하다.

지리적 위치로 인해 기독교는 다른 한국 지역보다 백령도를 먼저 거쳐갔다. 갑오개혁 이후, 김성진이 이 섬으로 유배되었고, 1896년 한국 최초의 교회가 세워졌다. 현재 섬에는 10개의 교회가 있다.

8. 관광

백령도는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며, 세 곳의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을 보유하고 있다.[1]

두무진

  • '''두무진''': 높이가 약 50m인 석영암 절벽으로, 섬 해안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파도, 바람, 비에 의한 침식으로 형성되었다. 이 지역은 오랫동안 아름답고 경치가 좋은 곳으로 여겨져 왔으며, 1612년 기록에는 마치 신들이 조각한 듯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4]

  • '''사곶 사빈''': 섬에 있는 길이 4km의 모래 해변이다. 간조 시 노출된 표면은 고운 입자의 모래로 이루어져 있어 자연적인 활주로로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견고성을 갖춘 것으로 여겨진다.[5]

  • '''콩돌 해변''': 둥글고 매끄러운 여러 색깔의 조약돌로 이루어진 해변이다. 조약돌은 콩을 닮았다고 하며 (해변 이름이 문자 그대로 "콩 바위"를 의미한다), 석영으로 만들어졌다. 이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침식 작용을 받아 둥글게 된 인근 석영암 절벽의 파편일 가능성이 높다.[6]

  • 심청각
  • 대빈 해수욕장
  • 백령기독교역사관
  • 사곶천연 비행장
  • 두무진 일대
  • 두무진 통일 기념비

9. 북한과의 관계

백령도는 남한보다 북한과 가까운 ‘서해 5도’ 중에서도 가장 끝에 있어 남북관계의 영향을 가장 빠르고 많이 받는 곳이다.[37]

1945년 8월 15일 일본 항복 후, 9월 2일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북쪽은 소련군, 남쪽은 미군이 점령했다. 백령도는 대청도, 소청도와 함께 38선 이남의 옹진군에 편입되었고, 황해도 옹진군은 경기도 옹진군으로 재편되었다. 한국전쟁 발발 직후 3개월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점령하였다.[38]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에 따라 백령도와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서해 5도는 대한민국에 남게 되었다.[39]

백령도 북쪽 해역에는 1953년 8월 유엔군이 선포한 북방한계선(NLL)이 지나간다.[27] 한편, 북한은 1999년 9월 북방한계선 무효를 주장하며 독자적인 "해상군사분계선"을 백령도 남쪽에 설정했다.[27] 이에 따르면 백령도는 북한이 설정한 해상군사분계선의 북쪽에 위치하지만, 2000년 3월 북한은 미 해군 함정과 민간 선박이 통항할 수 있는 수역으로 백령도 주변 해역의 제1구역과 그곳으로 통하는 제1수로를 설정하고,[27] 백령도와 대한민국 본토 간의 선박 통행만을 인정하고 있다.[28]

이 해역의 주권을 놓고 남북은 분쟁을 벌이고 있으며, 2010년에는 백령도 서남 해역에서 천안함 피격 사건이 발생했다. 대한민국 해군 함정 ROKS ''천안''은 2010년 3월 26일 이 섬 인근에서 침몰했다. 다국적 조사 결과 북한 어뢰가 선박을 공격한 것으로 결론지었지만,[22] 이 결론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측도 있다.[23]

2010년 1월, 백령도 인근에서 대한민국 해군 함정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육상 포병 간의 포격전이 발생했다.[20][21]

2018년 5월 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소형 선박이 북한과의 경계에 가까운 백령도 북쪽 해상에서 발견되었다. 선박에는 조선인민군 소좌와 민간인이 탑승하고 있었으며, 두 사람 모두 망명을 희망했다고 한다.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은 이 건에 대해 관련 당국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37]

이처럼 대한민국에게는 북한과의 최전선이 되는 섬이므로, 주민과 거의 같은 4,000명 규모의 대한민국 해병대 제6해병여단이 주둔하고 있다. 백령도의 상당수는 군사시설 보안 때문에 내비게이션 지원이 되지 않고, '''로드뷰''', 위성지도 서비스도 제약을 받고 있다.[37]

10. 천연기념물



참조

[1] 논문 백령도 (白翎島)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5
[2] 웹사이트 Text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http://news.findlaw.[...] 1953-07-27
[3] 웹사이트 https://www.google.c[...]
[4] 논문 백령도 두무진 (白翎島 頭武津)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5
[5] 논문 백령도 사곶의 사빈 (白翎島 사곶의 砂濱)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5
[6] 논문 백령도 남포리의 콩돌해안 (白翎島 南浦里의 콩돌海岸)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5
[7] 웹사이트 멸종위기 물범, 왜 백령도로 올까 http://ecotopia.hani[...]
[8] 웹사이트 한국의 섬 (Islands of Korea) http://ksum.org/g4/b[...]
[9] 웹사이트 백상아리, 백령도서 물범 공격장면 국내 첫 포착 - 민중의소리 http://www.vop.co.kr[...] 2009-08-19
[10] 웹사이트 백상아리 물범 공격장면 첫 포착 http://www.yongin21.[...]
[11] 웹사이트 백령도 어부들의 친구 쇠돌고래 http://www.sisapress[...]
[12] 웹사이트 백령도 밍크고래 발견, 7.7m 초대형 크기 경악...가격대는? http://www.newshanku[...]
[13] 웹사이트 인천해경, 대형 밍크고래 통발에 걸려 죽은 채 발견 http://news.joins.co[...] 2011-10-09
[14] 웹사이트 백령도 밍크고래, 길이 7.7m 무게 4톤... '초대형 고래' 눈길 - 뉴스인사이드 http://www.starseoul[...] 2017-12-04
[15] 웹사이트 The Korean Armistice and the Islands https://web.archive.[...] 2009
[16] 웹사이트 Factbox: What is the Korean Northern Limit Line? https://www.reuters.[...] Reuters (UK) 2010-11-23
[17] 논문 The North/South Korea Boundary Dispute in the Yellow (West) Sea
[18] 서적 U.S. Marines in the Korean War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Lockheed P2V-3 Neptune 122940 Paeng Nylong-do https://aviation-saf[...] 2023-08-31
[20] 뉴스 N. Korea fires into western sea border http://english.yonha[...] Yonhap 2010-01-27
[21] 뉴스 DPRK fires artillery again near disputed sea border: gov't http://news.xinhuane[...] Xinhua 2010-01-29
[22] 뉴스 'All out war' threatened over North Korea attack on warship Cheonan http://www.timesonli[...] 2010-05-20
[23] 웹사이트 South Korea: Film raises questions about Cheonan sinking https://www.indexonc[...] 2013-09-17
[2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5]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27] 웹사이트 NLL(北方限界線)と北朝鮮の主張する海上軍事境界線(2000年防衛白書) http://www.clearing.[...] 防衛省
[28] 웹사이트 「NLL(北方限界線)と北朝鮮の主張する軍事境界線」 http://www.clearing.[...]
[29] 웹사이트 http://ecotopia.hani[...]
[30] 웹사이트 http://www.sisapress[...]
[31] 웹사이트 백령도 밍크고래 발견, 7.7m 초대형 크기 경악...가격대는? http://www.newshanku[...]
[32] 웹사이트 인천해경, 대형 밍크고래 통발에 걸려 죽은 채 발견 http://news.joins.co[...]
[33] 웹사이트 백령도 밍크고래, 길이 7.7m 무게 4톤… ‘초대형 고래’ 눈길 http://www.starseoul[...]
[34] 웹사이트 백상아리, 백령도서 물범 공격장면 국내 첫 포착 http://www.vop.co.kr[...]
[35] 웹사이트 백상아리 물범 공격장면 첫 포착 http://www.yongin21.[...]
[36]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7] 뉴스 가장 끝에서 평화를 바라는 섬, 백령도 http://www.incheonto[...] 인천투데이 2020-09-25
[38] 뉴스 6.25 전쟁시 인민군의 협력으로 예배 드린 중화동교회 http://www.christian[...] 크리스천투데이 2010-01-30
[39] 웹사이트 옹진군 백령면의 역사 http://www.ongjin.go[...] 2012-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